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포소설(西浦小說) 성립(成立)의 배경(背景)

        김무조 ( Mu Jo Kim ) 택민국학연구원 2008 국학연구론총 Vol.0 No.2

        1992년에 西浦年譜1)가 발표되면서 마치 九雲夢은 宣川작으로 굳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가 다시 한 번 서포연보를 잘 분석해 보면 꼭 그렇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여기 서포연보에 나오는 그 항목을 예시하면 ‘丁卯年, 府君51歲라, 9月에 宣川謫所에 가다.’라고 쓰여 있다. 이 아래 서포가 쓴 글 가운데 어머니에게 시를 써 보내면서 소일꺼리로 글을 보냈는데 ‘그것이 부귀번화가 모두 夢幻이다.’라 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九雲夢>이라고 단정할 수 있겠는가? 문제는 <저서>라는 문제인데 이 <저서>라는 말이 오늘날의 개념으로 <책>이냐, 아니면 그저 <글>이냐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저서로 본다면 <구운몽>같은 소설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서 심심풀이로 보냈다면 짧은 글일 수도 있다. 그리고 <夢幻>이라는 말이 바로 <九雲夢>의 주제와 같다고 하여 그렇게 단정하는 것도 南海현지의 지리적 조건에서 나오는 지명의 借用등은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서포연보에는 謝氏南征記에 관계됨직한 항목은 한 군데도 없다. 서포연보를 서포 후손들이 만든 것으로 가정했을때 그 문중으로 봐서는 구운몽보다 사씨남정기가 오히려 정치적, 아니면 家統에 있어서 더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도 언급이 없는 것은 儒家家門에 荒誕한 글이라 하여 배척한 것이 아닌지, 그렇게 보면 구운몽도 여기에 속한 것으로 본 것이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여하튼 舊稿를 정리하여 寄稿하면서 일생동안 필자가 가지고 있는 서포소설 성립의 배경은 ‘南海현지 사정을 도외시 하고는 언급될 수 없다.’는 것과 반드시 <사씨남정기>, <구운몽>은 대비연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적으로 그 시기와 동기는 南海작으로 귀납될 것이다. According to Sop’oyonbo(Biographical Details of KimManjung), revealed in 1992, Kuunmong(A Nine Cloud Dream)has been known be written while the writer KimManjung stayed at Sonch’on. A record from Sop’oyonbo writes “in the year of Chongmyo(丁卯), he(Kim Manjung), at the age of fifty one, arrived at the land of exile named Sunch’on in September.”Considering this record in details, however, it is not convincing to think of Sonch’on as the place of writing. In Kim’s letters to his mother, it is stated “this (writing) is about wealth and prosperity that exists only in fantasy”referring to a certain writing. The question is how we interpret the word “the writing”in his letter,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a “book” or a “work of writing.”The word seems to indicate the work of Kuunmong. However, it could indicate other short stories purported to entertain his mother. Many scholars have engaged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fantasy in the theme of Kuunmong. I assume a critical stance to ward this assumption and here question geographical description of Namhae(南海) frequently adopted in this fiction. Interestingly, no single record of Sassinamjongki(Madame Sa``s Journey to the South)is found in Sop’oyonbo. It is noted that Sassinamjongki contains more political and family-clan related issues than Kuunmong. Supposing that Sop’oyonbow as compiled by Kim’s descendents, the fact that Sassinamjongki is not even mentioned in Sop’oyonbo makes us question whether this work was intentionally eradicated. We can also think about a possibility that Kuunmong as well as Sassinamjongki were rejected during the compilation of Sop’oyonbo. Conclusivel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Kim Manjung’s fi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work’s familiarity with Namhae of geographical condition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f Sassinamjongki and Kuunmong. Those approaches will enable us to identify Namhae as the place where in KimManjung wrote his fiction.

      • KCI등재

        고소설 『구운몽』이본의 종결형식 연구

        장요한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5

        이 글은 고소설 『구운몽』의 이본에 나타난 종결 형식을 비교 검토하여, 각 이본에 나타난 종결 형식의 특성을 살핀 것이다. 이 글에서는 고소설 『구운몽』의 세 이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필사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경판 32장본), ‘唯一書館 간행본’(구활자본)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세 이본과 관련한 서지 사항을 간략하게 기술하였고, 이어서 세 이본의 내용이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비교하여 언어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세 이본의 서지 사항을 통하여서는 간행 순서를 추적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세 이본의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언어적 차이가 자료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시대의 언어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각 이본에 나타난 종결어미의 체계를 검토하여 정리하고, 그 차이를 기술하였다. 세 이본의 종결 형식의 목록이나 사용 양상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흥미로운 사실은 개신형과 보수형의 출현이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4장은 앞서 검토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final endings in the different versions of ancient novel Kuunmong. Especial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of final endings appeared in the different versions of Kuunmong. This paper will suggest the new way for the study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Chpter 1 discusses the purpose of study and previous studies about final endings of ancient novel. Chpter 2 deals with period of the different versions and analysis the differences of endings in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Chpter 3 investigates the system of final endings in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The formal and functional differences of final endings mostly have occurred in declarative endings, interrogative endings. One of the distinctive differences of final endings is the appearance of syntagm which combined with a ‘-sʌp-’, ‘-ket-’. Interestingly, This ‘-sʌp-’, ‘-ket-’ was generally combined with declarative endings and interrogative endings, imperative endings(‘-sʌp-’ expresses honorific meaning to the hearer.). There have been interrogative ending ‘-nʌnyo’, ‘-nʌnya’, ‘-nʌnda’, ‘-lsonya’. Chpter 4 summarize the previous discussed things instead of conclusion.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 성찰과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구운몽>교육

        김효주 ( Kim Hyo-j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이 글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구운몽>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서의 <구운몽>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첫째, <구운몽>에 내장되어 있는 분별심 극복과 욕망의 본질에 대한 성찰, 현실을 꿈으로 보는 전복적 세계관 등을 우선적으로 포착하여 활용해야 한다. 둘째, <구운몽>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언어가 대학생이 이해할 수준으로 변환되어야 하며, 작품의 주요 장면이나 등장 인물의 성격, 관계 등이 대학생의 일상적 경험 사례와 비근하게 연결되도록 예시되어야 한다. 셋째, <구운몽>읽기는 학습자들의 공감을 얻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좀 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을 갖게 하는 데 주목하여야 한다. 다섯째, <구운몽>의 구성을 `[현실-(욕망성취기-관조기)-현실]`이라는 4단 구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 여섯째, 각몽 단계에 주목하여 `지금-여기`를 좀 더 부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진정한 행복의 가치를 되물어야 한다. 일곱째,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교수자는 <구운몽>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교수 과정과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구운몽>교육의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구운몽>에서 자아 성찰과 가치관 정립에 기여할 핵심적 사상을 추출해내어 교수자의 학습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런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인생 추체험 4단계 구성표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 학습활동과 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아를 성찰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prepare for and propose an education plan using "Kuunmong" for collegians. The author think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s in improving education on "Kuunmong". First, selective extraction and application is necessary in learning from "Kuunmong": subjugation of discrimination, introspection of the essence of desire and subversive view of the world. Second, the words and phrases of "Kuunmong" should be adapted into those easy for collegians to understand. And the personalities and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in "Kuunmong" should be illustrated in a way collegians are familiar with in their daily lives and experiences. Third, reading "Kuunmong" should begin from sympathy with learners. To achieve these goals, learner`s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Fourth, an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help learners have long-term and macro-perspective on their lives. Fifth, it is more appropriate to understand that "Kuunmong" is composed of 4 phases: reality - achievement of desire - contemplation - reality. Sixth,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now-here`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stage of dream awakening. By doing so, we have to ask a question of `true value of happiness`. Seventh, a teacher should comprehend the messages "Kuunmong" clearly and engage him/herself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Kuunmong" more actively in order to make students more deeply understood on the literary work. Being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e author proposed the educational plan of "Kuunmong" for collegians. First of all, this study extracted the core ideas helpful for the self-examination and establishment of values from "Kuunmong" and recomposed learning contents for teachers. Next, it suggested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and cases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above. As a result, `Reenacted Life Experience of 4 Stages table` was prepared and it helped students experience and self-examine their own lives.

      • KCI등재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 재론

        이윤석(Lee, Yoon-Su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고소설 연구자들 사이에서 『구운몽』의 원작이 한글본인가 한문본인가 하는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며, 많은 이본 가운데 어떤 것이 원본에 가장 가까운가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기존의 『구운몽』 이본 연구는 을사본, 서울대본, 강전섭본 등 세 종의 이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세 종의 이본 사이의 몇몇 단어나 문장의 비교만으로 『구운몽』 원본을 찾아내기는 어려우므로, 원본을 찾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다룬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본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책으로 유통된 한글본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재(李縡)의 『삼관기』에 나오는 『구운몽』 관련 기록을 검토해서, 1689년 이전에 이미 한글본 『구운몽』이 서울의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했다는 것을 밝혀냈고, 아울러 김만중이 선천(宣川)에 유배되었던 기간(1687.09-1688.11)에 『구운몽』을 썼다는 학계의 통설이 잘못임을 지적했다. 이재는 『구운몽』의 작자를 김만중이라고 말한 최초의 인물인데,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그런데 김만중을 『구운몽』의 작자라고 지목한 조선시대의 기록은 대부분 『삼관기』를 그 전거로 삼고 있다. 이처럼 『구운몽』의 김만중 창작설은 믿을 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에 관한 논의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original work of Kuunmong,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old novel, is a Hangul version or a Chinese version. The original is not yet confirmed among the various versions. The previous studie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Kuunmong was conducted mainly on three different versions. Because those studies only tried to find the original work with only a few different versions, the attempt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has not been successful. It is difficult to find the original by comparing some words or sentences between the three versions. In order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any more different versions.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Hangul version distributed by lending library.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cords related to Kuunmong in Lee Jae s Samgwangi, and found that the Hangul Kuunmong was already popular among women in Seoul before 1689. And I pointed out that the academia s popular belief that Kim Man-Jung wrote Kuunmong in 1687, when he was exiled to the Seoncheon district was wrong. Lee Jae is the first person to not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but he did not offer any solid evidence to support his claim. Some of these facts tell us that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author and the original of Kuunmong must be restarted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구운몽 을사본 판본 연구

        이윤석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2 No.-

        Today, academia regards that Kuunmong was first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among these Chinese versions, the so called ‘Nozon copy’ seems to be the closest to the original version. Also, it is a widely accepted scholarly theory that Kim Man-jung created this story during Seoncheon’s exile around 1688. However, this general opinion is a clear disregard for the fact that the women of the high class family in Seoul read Kuunmong in the 1680s. This was mentioned in Lee Jae’s Samgwangi, and therefore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academia needs to be revis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s in Samgwangi, it can be said that Kuunmong was already being read as a Korean novel in the 1680s. In order to study the author and original text of Kuunmong, it is necessary to review previously known data. This thesis deals with the Eulsabon of Kuunmong as a part of such work. The Eulsabon is the earliest version among the extant copies of the Kuunmong, and was published in Naju in 1725. Currently, the first edition cannot be found, but several reprints remain. The last printing appears to b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about one-third of the entire block has been replaced. The Eulsabon is an example of a copy of the engravings of a government official being flowed into the private secto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used to print commercial publications. 현재 학계에서는 구운몽 원작은 한문본으로 보고 있고, 한문본 가운데 소위 ‘노존본’을 원본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김만중이 1688년 무렵에 선천의 유배지에서 「구운몽」을 창작했다고 하는 것도 거의 학계의 통설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학계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견해는, 이재의 「삼관기」에 1680년대에 서울의 사대부 집안 부녀자들이 「구운몽」을 읽었다는 기록을 도외시한 결과이므로, 잘못된 것이 분명하다. 「구운몽」은 1680년대에 이미 한글소설로 읽히고 있던 작품이다.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에 알려진 자료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구운몽」 을사본을 다룬 것이다. 을사본은 현존하는 「구운몽」 이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1725년에 나주에서 간행된 관판본이다. 현재 초판본은 볼 수 없으나, 후쇄본은 여러 가지가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인출된 것은 20세기 초로 보이는데, 여기에는 전체의 약 3분의1 정도 보판(補板)이 섞여 있다. 을사본은 관판의 판목이 조선 말기에 민간으로 흘러들어가 상업출판물을 찍어내는 데 사용된 하나의 예이다.

      • KCI등재

        중국대학(中國大學) 한국어(韓國語) 전공자(專攻者)를 위한 < 구운몽(九雲夢) > 교육(敎育) 연구(硏究)- 중국소설(中國小說) < 속황량(續黃粱) >의 주제비교(主題比較)를 중심(中心)으로 -

        등정 ( Ding Deng ) 겨레어문학회 2016 겨레어문학 Vol.56 No.-

        본고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 구운몽 > 교육의 실제를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전반적으로 비교문학적 관점을 등을 통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전공자를 위한 < 구운몽 >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를 통한 ‘구운몽’ 교육의 효율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고는 9명의 중국인 한국어 고급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특히 주제 비교를 통한 중국대학 한국어과의 학생들에게 < 구운몽 >의 이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해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비교를 통한 < 구운몽 > 교육을 위해 주제를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쓰기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문학적 관점을 도입하고 실제 수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학의 ‘구운몽’ 교육의 실제를 모색한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actual education of Kuunmong for advanced-level learne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China. Comprehensively, the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actual education of Kuunmong for advanced-level learne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China. In order to figure out efficiencies and problems in educating Kuunmong through comparison, the actual class was conducted on 9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advanced level. And then, it studied about understanding Kuunmong in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China through comparison of theme, in particular. Based on the analysis of understanding, the learning to write about understanding the theme for educating Kuunmong through comparison of theme was conducte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seek the acutal education of Kuunmong in Korean literature for advanced-level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universities in China,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a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 KCI등재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정병설 한국고전문학회 2006 古典文學硏究 Vol.30 No.-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novels and paintings. However novels in Choseon did not have any paintings in their book. Some paintings concern with the novels in Choseon were painted in Byeong-poong[canvas for blocking the wind] or silk canvas. Just the scenes of several novels, Kuunmong[九雲夢], Sanguoji[三國志演義], Chunhangjeon[春香傳], etc. were painted. Sanguoji is Chinese novel, among the Korean novels, Kuunmong is a representative. Kuunmong Paintings had been probably painte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Seoul. In the center of Seoul there was a art gallery in which Kuunmong Painting were sold, and some paintings had been painted by wandering painters in the rural area. Some Kuunmong Paintings were painted in a silk canvas, and others were painted in Byeong-poong that had 4-10, mostly 8 or 10 canvases. Kuunmong Byeong-poong have 4-10 pictures in sequence. The pictures of Kuunmong in sequence shows the romance of the characters, the fantasy and harmony that the peoples in Choseon had dreamed. For example, the meeting with Kyeseomweol, Gachunun shows the romance of the characters, and the meeting with Baekneungpa shows the fantasy. 대개 소설과 그림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조선시대 소설에서는 삽화를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소설의 독특한 면모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삽화는 없어도 소설 내용을 그린 그림은 얼마간 전한다. 소설 그림이 전하는 소설로는 중국소설로 <삼국지연의>, 한국소설로 <구운몽>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또 관심을 가졌다 해도 자료의 한계로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조선시대 소설 그림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일단 한국소설 가운데 가장 많은 그림을 전하고 있는 <구운몽> 그림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급 박물관의 도록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아울러 <구운몽도>의 연원을 문헌 기록을 통해 검토하여 그것의 문화적 위상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운몽도>의 각 장면을 분석하였는데, 지면의 제한으로 인하여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지만, 조선인들에게 <구운몽>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는 볼 수 있었다. <구운몽도>를 통해 볼 때, <구운몽>은 주로 낭만성, 환상성, 조화성의 측면에서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것으로 보인다. 당대인들에게 <구운몽>은 유불도 삼교의 사상적 가치보다, 또는 다른 어떤 이념적 가치 지향보다, 현실에 지친 독자들에게 이상 공간을 마련해 주었다는 데 더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고전소설 자객화소의 창작경로 - <구운몽>ㆍ<창선감의록>의 중국 협의 자객담 수용을 중심으로

        김도환 한국고소설학회 2016 古小說 硏究 Vol.42 No.-

        Regardless of all ages and countries, stories of assassins have been a popular subject matter in epic poems and stories. The fact that assassin stories are regularized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such as Kuunmong, Changseongamuirok Sohyunsungrok, and etc. held my interest. The dissertation is aimed at studying the reasons and meanings centered on Changseongamuirok and Kuunmong which were created by accepting a story of Chineseassassin. Firstly, by presenting the tradition of assassin stories in general, the premise of the dissertation was arranged. Next, an aspect of acceptance of Chinese assassin story of Kuunmong and Changseongamuirok was studied. Kuunmong was freely and drastically transformed so it would suit a man and woman’s determined relationship in narrative-oriented work, but also took Hongseonjeon, Seobeunnangjeon, and Sujujagaek into the story. The reason why “Hongseon” was proposed in the contents was to discuss the similarity of red thread and the red line corresponding with women from frequently referenced “The Red and Blue Thread,” when talking of conn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Meanwhile, Changseongamuirok revealed the fact that a Chinese assassin character, Xiu Zhou who accorded with the theme of being influenced into the virtue by Hwajin’s personality, was accepted, and the fact that transformation took place in order to emphasize the consciousness of the theme. Such acceptance of Chinese assassin stories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First, it can be understood as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from a comparative literature perspective.” Transformation means changing the original into a story of one’s own, and the way Kuunmong dissolute or combine the original in order to suit the theme, or the way Changseongamuirok involve the suitable narration into a more emphasizing way. Development means a new discovery through transformation, and the fact that assassin stories and formation of female chivalrous fighters were a new required element in epic poems and stori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for expansion of literature was examined. Lastly, through comparison of Changseongamuirok and Sohyunsungrok in a literature perspective, “influenced assassin” was completed in two works, and after the completion, the way it became the settlement of classical novel’s assassin is discussed. 본 논의에서는 고전소설의 자객화소가 17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는 점에 흥미를 느끼고, 구체적으로 <구운몽>과 <창선감의록>을 중심으로 자객화소의 창작경로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먼저 <구운몽>과 <창선감의록>의 중국 자객담의 수용양상을 고찰하였다. <구운몽>은 <홍선전>ㆍ<섭은낭전>ㆍ<수주자객>을 끌어들이되 남녀의 결연에 어울리도록 대폭적으로 자유롭게 변용되었다. 특히 문면에 홍선이라고 제시된 까닭이 남녀 간의 인연을 의미하는 청실홍실 중에서 홍실과 홍선의 유사성에 의한 것임을 논의하였다. <창선감의록>의 자객화소는 <구운몽>으로부터 창작의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화진의 인품에 의해 선으로 감화된다는 주제에 부합하는 <수주자객>을 직접 수용한 흔적도 포착된다. 나아가 주제의식을 강조하기 위한 변용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중국 자객담 수용의 의의를 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첫째,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변형’과 ‘발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변형이란 원작의 자기화를 말하는데 바로 <구운몽>의 자객화소가 남녀의 결연이라는 작품의 서사적 지향에 맞게 원작의 서사와 의미를 대폭 해체ㆍ조합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발전이란 변형을 통한 새로운 발견을 의미하는 바, 자객화소가 17세기 서사적 편폭의 확대 과정에서 새롭게 요구된 서사 요소였다는 점을 검토하였다. 둘째, 소설사의 관점에서 고전소설 속에 빈번히 나타나는 ‘감화된 자객’ 유형이 이 시기에 성립되었음을 <창선감의록> 및 또 다른 17세기 후반의 고전소설인 <소현성록>을 통해 설명하였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구운몽> 활용양상과 수용 의미

        경일남 ( Il Nam Ky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이 논문은 고전소설에 <구운몽>이 수용되어 활용된 양상과 거기에 담긴 문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구운몽>이 폭넓게 향유되면서 이 작품은 여타의 고전소설에 적극 수용되고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구운몽>과 관련된 내용이나 인물은 고전소설 작품에 소재나 작중인물로 활용되기도 했다. 또한 <구운몽>은 고전소설에서 대화·독백 등 작중인물의 대사는 물론, 묘사·설명 같은 작중 화자의 서술에도 활용되었다. 고전소설에 수용된 <구운몽> 관련 내용에는 불교적 내용이 별로 없는 대신 세속적 애정이 많이 보이며, 팔선녀(팔부인)가 자주 등장한다. 이는 <구운몽>에 대한 향유층의 관심이 빚어낸 결과라 하겠다. 그리고 고전소설에 하층 신분의 팔선녀(팔부인)가 자주 수용되는데, 이는 조선후기 소설 향유층의 하층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진다. 아울러 고전소설에 수용된 성진과 팔선녀는 같은 작품의 동일한 대목에서 이본에 따라 세속적으로 변모된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당대에 <구운몽>의 주인공이 세속적 존재로 변모되어 향유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aspect and the acceptance meaning of <Kuunmong> in the classical novels. The latter of Choseon, <Kuunmong> was enjoyed wildly and it was applied in lots of classical novels diversely. It was utilized as a character or subject material in classical novels and It was used as a dialogue of character or a description of narrator. <Kuunmong> accepted in classical novels has lots of context about love and eight angels appears a lot. Through this, we can see the view of readers at that time. We also can notice that eight angles of low-class are often accepted in classical novels and it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reflection of readers` awareness about low-class. Also Sungjin and eight angels indicate the aspect transformed worldly according to a different version.

      • KCI등재

        17세기 동아시아 연애소설 『호색일대남』에 나타난 불교사상 고찰 ―『구운몽』과의 비교의 시점을 중심으로 ―

        정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17세기 후반에 출현한 한일의 대표적인 풍속소설 『구운몽』과 『호색일대남』은 17세기 한일의 대표적 소설이라는 점, 애욕과 종교라는 인간의 본원적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두 작품을 비교의 시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 등에서 비교고찰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연애소설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구운몽』에는 주인공과 8부인과의 애욕관련 묘사에 관능적 표현이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표현방식에는 불교적, 혹은 유교적 엄숙주의를 탈피하고자 하는 남녀의 자연스러운 이성애의 묘사가 담겨져 있고 『호색일대남』에는 관능적 묘사가 등장하고 있지만 외설적 묘사는 등장하지 않는다. 『구운몽』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동성애의 모습들이 그려지고 있고, 신체적 접촉과 같은 애욕묘사는 찾아볼 수 없고, 남성 특유의 정신적 교감의 세계를 그려내고자 하는 묘사가 등장하는 점은 흥미롭다. 불도를 다룬 소설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구운몽』은 『금강경』의 교의를 흥미롭게 풀어내면서 불도의 세계를 허구의 문학세계 안에서 지적 유희와 과장적, 희작적 표현 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작가의 희작적 창작의도가 내재되어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호색일대남』은 불교소설을 내걸고 있지는 않지만 근세기 불교의 실천적 세계관이 내면화되어 있다. 이 점은 사이카쿠 작품과 근세 후기의 희작작품들과의 차별성과 문학성을 둘러싼 희작성 논의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동시기에 생존했던 두 작가의 유사적이고 개성적 작품세계는 우연의 일치가 아닌, 근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연애소설과 불교사상의 전개라는 관점에서 자연스러운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세속적 영위 중 가장 본원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성(연애)의 문제는 세속의 영위이기에 필연적으로 유한성을 지닐 수밖에 없고, 인간이 스스로의 유한성을 자각했을 때 그 활동을 개시하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기본적인 영위를 종교라고 한다면, 연애와 불교의 문제는 서포와 사이카쿠의 소설창작에 있어 대립적이고 상호보완적인 대주제였다고 할 수 있다. It might be meaningful to study “Kuunmong” and “Koushokuichidaiotoko” on a comparative manner, because they were the representative writings of Korea and Japan at 17th century, they are about essential aspects of human beings, and the fact that there had rarely been comparative studies regarding with these writings. “Kuunmong” employs no sensual mode in description of the protagonist’s passionate relationship with his 8 wives. But it reveals the notion out of rigorism used to be found from Buddhism or Confucianism, throughout drawing out eroticism as it is being in nature. “Koushokuichidaiotoko”, on the other hand, employs sensual modes for sure, but not suggestive. What is interesting about this writing is the fact that this writing shows diverse homosexual relationships drawn by spiritual and mental communication without any suggestive description. As a Buddhism writing, “Kuunmong” shows the author’s purpose to play writing by describing the world of Buddhism with pedantic amusement and exaggeration under the explanation of “Diamond Stura”. On the other hand, “Koushokuichidaiotoko” reveals nothing with Buddhism on the surface. But it apparently implies a practical view of Buddhism. This feature provides a kind of suggestion to discussions regarding with Saikaku works and modern light literature. The similarity of those two individual works had not taken place by chance, but a dialectical result of romance stories and Buddhism in the early modern era of the East Asia. Sexual matter is one of essential part of life and so it is supposed to be a matter of inevitable finite existence. Religious thoughts take place when people get to know their limitation. For these reasons, romance and Buddhism are the two pillars of materials, intertwined each other, for writing stories to both of Seopo and Saikak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