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지적조사 체계와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신순호(Shin, Soon Ho),박성현(Park, Sung Hyun) 한국지적학회 2009 한국지적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반세기 전부터 지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우리나라에 근대적 지적제도를 도입시킨 일본의 지적조사 현황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실시할 우리나라의 지적재조사사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일본의 지적조사는 1951년 국토조사법의 제정으로 법적 근거를 가지고 실시되고 있으며, 2008년 말 현재, 전 국토의 48%의 부진한 진보율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지적조사가 부진한 이유에 대해 법제도적 관점, 실무적 관점, 의식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즉, 조사실시자인 지자체의 담당인력의 부족, 재정 확보 문제, 의식 부족 문제, 지자체의 담당부서의 문제 그리고 이해관계자의 협력 부족(필계미지정의 발생)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주민과 행정이 지적조사의 필요성과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조사 착수의 전반적인 분위기 형성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일본의 지적조사를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지적재조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실천이 있어야 한다. 둘째, 안정된 재원조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민간 참여의 유도가 중요하다. 넷째, 경계분쟁해결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적재조사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통한 공감대 형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s to current issues on needs for Renovation of Korean Cadastral Survey System. Since the modern Korean Cadastral System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one which initiated 50years ago to process Cadastral Survey. However, after the contradictory concepts the Japan's Cadastral Survey System are discussed and criticized in this research and the solutions to concepts ares ought for the New Korea's Cadastral Survey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Japan's Cadastral Survey operated on the basis of legal authority after they established and passed the National Land Survey Laws of Japan in 1951. However, in 2008, only 48% has been processed in the Cadastral Survey in Japan. It was analyzed at a legal system side, a practical side and a conscious side to the reason that results of a Cadastral survey are this low. The major reasons for delay are shortages of specialist to lead the Cadastral survey actions in the local government, financial issue, stake-holders' lack of cooperation, and awareness. In general, stake-holders including citizens and governments who did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dastral Survey. Also, circumstances around Cadastral survey were not provoked and motivated enough with strong drivers. The recommendations for Renovation of Korean Cadastral Survey System are below from Japan's points at issus; First,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dastral Survey System renewal with administratively strong drivers and actions. Second, abundant and stable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Third, civic participation should be included. Fourth, boundary conflict issues should be dealt with mediation system. Finally, consensus should be evoked with necessity and obligation on the Renovation of Korean Cadastral Survey System by informing the public.

      • KCI등재

        토지조사사업과 임야조사사업에서의 사정에 관한 법적 문제점 검토

        배병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법학논고 Vol.0 No.61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adastral survey from 1910 to 1918 and the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from 1917 to 1924 carried out the purpose of economic exploitation policy. Japanese imperialism government practised assessment and determined own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Land Assessment Ordinance and the forest Land Assessment ordinance. In relevant cases, the Chosun high Court had understood the above ownership determination as a ground of absolute acquisition. But It was available to judgment decision before assessment, and it did not went out of existence mortgage right before assessment. It did not claimed erase register and certification before assessment. All the take together, assessment of the land is not absolutely but relatively effect with some any exception. Therefore legal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and decision in the Chosun High Court contained relative meaning. and then it is a problem that Korean Supreme Court announced legal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is original acquisition. 일제하 1910년부터 1018년까지 실시된 토지조사사업과 1917년부터 1924년까지 실시된 임야조사사업은 일제의 우리나라에 대한 경제적 수탈의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일제는 조선토지조사사업이나 임야조사사업에 의한 토지의 사정이나 재결이 절대적인 효력을 가지는 것이어서 사정이전에 있었던 일체의 사유는 소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조선고등법원에서는 토지의 사정 이전의 확정판결은 유효하고. 토지의 사정이전에 소유자가 설정한 저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토지의 사정 이전에 확정된 판결에 의한 등기나 증명 등은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토지의 사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예외를 둔 상대적인 효력을 가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조선고등법원 판결에서의 사정·재결의 법적 성격이 절대적이라는 의미는 상대적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아야 하고, 우리 대법원이 토지의 사정의 법적 성격을 원시취득이라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 KCI등재

        마을재산의 소유권의 발생과 변동에 관한 연혁적 연구

        배병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법학논고 Vol.0 No.53

        This article reviews historical study on the rise and change of the ownership of villagers’ property. Villagers’ property is a real estate under village ownership or under village residents’ ownership. Although the land is in multiple villagers’ name, the ownership of the land belongs to village. Villagers’ property was permitted in the Joseon Dynasty under practices called ‘sichojang’, or ‘songgye’. Sichojang is a kind of reflective interest caused by prohibition on personal possession, songgye is a kind of real right, beyond the right of bond. Songgye changed to exclusive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use with the forest suit. But under Japanese Imperialism, former customs were ignored and private lands were nationalized by the Korean Cadastral Survey in 1912 and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in 1918. But former practice of common changed ownership of lands by the Korean Cadastral Survey in 1912 and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in 1918.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Law transferred ownership of villagers’ property to ownership of local autonomous entity. Villagers’ property transferred to the property of local government due to the Act on temporary measures of Local Autonomy in 1961, Act on special measures for registration, etc. of transfer of forest ownership in 1969 and Act on special measures for registration, etc. of transfer of real estates ownership in 1978. This transfer of ownership from village to local entity is invalid in principle because of being formed without evidence, and this article argues the ownership should be returned to village. 조선시대 시초장은 개인의 사점 금지로 인한 반사적 이익으로 인한 마을재산이 라고 볼 수 있고, 송계 등을 통해서 동네 산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채권적인 권 리를 넘어서는 물권적인 권리로 볼 수 있다. 송계 등이 가지는 권리는 산송 등을 통해서 배타적인 용익물권적인 권리로 변화되었다. 조선시대 송계, 동계 등에서 근거한 입회관행으로 인하여 발생된 마을재산은 일제하 1912년 토지조사사업이나 1918년 임야조사사업에서 일부 주민의 공유나 마을명의로 사정되었고, 토지대장이 나 임야대장에 마을 주민들의 공유 또는 마을 명의로 되었다. 일제는 종전의 입회 관행을 무시하였다가 우리 민중의 반발로 인하여 입회관행을 부활시켰고, 조선특 별연고삼림양여령 의한 특별양여 등을 통해서 마을재산을 인정하였다. 종래 용익 물권적인 권리에 지나지 않던 마을의 입회관행은 토지조사사업이나 임야조사사업 을 통해서 소유권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1912년 당시 조선부동산등기령에서는 주 민들의 공유로는 등기를 할 수 있지만, 마을명의로는 등기를 할 수 없었다. 그 후 1930년 조선부동산등기령 개정이후에는 권리능력없는 사단으로서의 마을명의로 등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0년 10월 이전까지는 마을명의로 등기를 할 수 없었 기 때문에 등기 여부를 기준으로 마을재산의 귀속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 나 일제는 1930년 당시 읍면제를 시행하면서, 종전의 마을재산을 읍면의 지방자치 단체 명의로 귀속시켰다. 마을재산은 크게 3차례나 변동되었다. 먼저, 1930년 읍면 제 시행으로 마을재산이 면(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전되었다. 두 번째, 1961년 9월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을 시행하면서 마을재산이 군(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 전되었다. 이는 귀속기관의 변경에 지나지 않고 소유권이 이전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1978년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시행하면 서 마을재산이 시군(지방자치단체)소유로 이전되었다. 마을재산의 지방자치단체로 의 이전은 구체적 사실관계를 따져서 소유관계를 확인하여야 하고, 그 이전이 근 거없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원인 무효라고 보아야 하고, 마을재산으로 복원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제하 토지조사사업에 있어서의 결수연명부

        배병일(Bae, Byung-Il) 한양법학회 2015 漢陽法學 Vol.26 No.3

        List of land tax was a document which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cadastral project of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from 1912 to 1918. At that time, Japanese strongly explained that a major significance of Korean cadastral project was introduction of the modern land ownership registration. In those days, Japanese compared and checked a owner name in the land report with a owner name of the list of land tax on grounds the land ownership existed in Korea already. If both of owner’s name was mismatched, Japanese rejected suggestion of the land report. And then Japanese decided and assessed the land owner in the Korean cadastral project. In the beginning of establishment of land tax list system, list of land tax made a draft as a land tax ledger. In this case, owner name of land tax list has little relation with name of land ownership. We would be justified that it suggested a owner name as a name of cultivation and tenant. In the process of full-scale establishment on the Korean cadastral project, list of land tax played a decisive role in land owner confirming of that project. Japanese received documents only which a name of land report checked with a name of land tax list. In conclusion, I can’t be too little emphasis that list of land tax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assess and public notice of the land ownership.

      • KCI등재
      • KCI등재

        '내재적 발전론'에서 '경제성장론'으로: 근현대 한국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재호 경제사학회 2022 經濟史學 Vol.4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economic history research undertaken after the paradigm shift from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o economic growth theory in the mid-1980s. It focused on uncovering the aspects of the studies from the opening port(1876) to the 1980s by dividing it into the opening-port period, the colonial period, the 1950s following the liberation(1945), and the high growth following the 1960s. In general, the nationalistic and political perspective has waned, while quantitative and positive researches have advanced. As interest in estimating economic growth or economic change grew, numerous time series were organized, most notably national accounts and GDP. Growth accounting was undertaken, and studies on the institutions that underpin economic growth, such as the Korean cadastral survey, were also conducted. Interest in nationalist concerns has waned, while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 in the market economy have gained prominence. Not only macroeconomic developments have been actively studied, but also microscopic empirical investigations on individual businesses. As scholarship into the colonial period and particularly after the liberation has increased, so have long-term studies spanning multiple eras. Comparative researches were prompt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economic history, but interest in modernity judgment waned. To further future research, not only should studies based on the paradigm of economic growth theory be deepened and enlarged, but also the paradigm itself must be reviewed. To have an image of Korea s economic history as a whole, more studies should be made on economic issues of the period or area where quantitative measurement is difficult. Nationalistic problems must also be appropriately studied,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state power and political process into economic history research. Above all, a balance between economic history and general history is important. 이 글의 목적은 '내재적 발전론'에서 '경제성장론'으로 연구의 패러다임이 전환하기 시작한 1980년대 중반 이후, 특히 1990년대 이후 최근까지의 근현대 한국경제사 연구를 조감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는 것이다. 개항 이후 1980년대까지를 개항기, 식민지기, 해방 이후 1950년대,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로 구분하여 연구의 양상을 드러내 보이는 데 주력하였다. 전반적으로 민족주의적, 정치적 관점이 퇴조하고 수량적, 실증적 연구가 진전되었다. 경제성장 또는 경제적 변화의 측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다양한 시계열이 정비되었으며 무엇보다 국민계정과 GDP가 추계되었다. 성장회계가 시도되었으며, 경제성장의 근본 요인이라고 인식된 제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민족자본에 대한 관심은 퇴조하였으며 시장경제에서 활동하는 주체인 기업과 기업가가 주목받게 되고 식민지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 회사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국민계정 추계와 관련된 거시적 연구와 병행하여 개별 기업에 대한 미시적인 실증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식민지기, 특히 해방 이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여러 시기를 아우르는 장기적 연구가 진전되었다. 한국경제사의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서 비교연구가 촉발되었으며 근대성 여부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였다.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경제성장론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연구가 한층 심화되고 확장되어야 하겠지만, 패러다임 자체에 대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경제사의 전체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수량적 측정이 어려운 시기나 영역, 그리고 경제성장 외의 경제 문제에 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민족 문제도 적절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권력과 정치 과정에 대한 연구를 경제사 연구에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사 연구는 역사학과 경제학 두 분야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고 양자의 균형을 취할 필요가 있다. 시대구분과 같이 한 사회를 총체적으로 인식하는 노력이 감퇴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성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