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 연구현황 분석-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형환,박소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tatus on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ritten by years, academic abilities, and contents from 1970 through the first half-year of 2011.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til 2011, 196 papers from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65 papers from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233 papers from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published.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focused o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contents, these studies mainly featured concerns about teaching methods, status of activation, and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In the 1970s to 1980s especially, the initial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usually conducted rega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attitudes and educational interest. From the 1990s to 2000s,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rapidly grew quantitatively as did the variety of the research contents.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on of these studies expanded the approaches connected with various fields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Korean music education reflecting social interests. Also, new studies emerged comparing music curricula and music textbooks, or in order words, the analyses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t is inspiritingly that since 2010 the studies have incorporated more social issues, more Korean musical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as after school clas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ppreciating class materials. Furthermore, this paper expects that the following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need to more effectively develop the approaches to appreciating Korean music. 1970년대부터 2011년 전반기까지 이루어진 국악교육 관련 연구를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대별, 교육편제별, 주제별 연구 현황점검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악교육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국악교육학회는 2011년 현재까지 196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는 65편, 석사학위 논문 233편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대별로는 2000년대에 연구 성과의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교육편제별로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지도방안 연구, 교육실태 및 활성화,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1970~8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 초창기로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교육적 관심이 변화하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이 시기 연구경향의 특징이라 하겠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가 급격한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 경향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즉 다양한 분야와 형태를 접목시킨 국악교육 지도방안 연구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국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려는 연구 흐름들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비교와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국악교육 내용 분석 등 다양한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2010년 이후 연구는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국악교육, 특기적성 교육, 감상워크북 개발과 같은 새로운 연구들도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다만 국악교육 연구 분야 중 효과적인 국악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국악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향후 국악교육 연구의 새로운 연구 영역 분야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Heo, Seon-Hyeong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20세기 초부터 미국사회는 세계 각국으로부터 몰려온 이민자들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배경은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음악교육계에서는 유럽의 클래식 음악 일색의 제재곡 및 교육내용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권의 다양한 음악을 음악수 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 교재들의 동아시아 편에 소개된 한국음악제재곡과 교수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종’과 ‘아침바람’을 수록한 『Roots and Branches』,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수록한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 ‘거문고 산조’와 ‘아악(문묘제례악)’을 소개한 『Teaching Music Globally』 그리고 서양음악에 없는 개념인 한국의 장단과 구음 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Thinking Musically』 등 4종류의 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위 책들에 나타난 한국음악에 관한 내용과 지도법을 다음 3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첫째, 위 제재곡들이 한국음악을 대표하는 곡으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둘째, 이 제재곡들이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셋째, 위의 책들에 실린 한국음악의 설명, 악보, 그림, 참고 자료 등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혹 오류가 있다면 시급히 고쳐서 바른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이와 같이 본 글은 미국의 음악수업시간에 소개되고 가르쳐지는 한국음악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교수법을 적용하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의 석학이자, 시애틀의 워싱턴 주립대학의 페트리샤 쉐한 캠벨 교수는 초기 월드 뮤직 소개서인 『Roots and Branches』라는 책에 ‘학교 종’과 ‘아침바람’과 같은 두 곡의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오선보를 사용한 악보에 한국어 가사의 영어 표기와 미국학생들이 가사내 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 영어해석을 함께 소개하였다. ‘아침바람’에서는 노래와 ‘가위, 바위, 보’ 놀이, 그리고 신체표현을 한국음악의 특징으로 보고 지도하였고, ‘학교종’에서는 학생들이 선생님을 존경하는 한국문화의 특징과 4/4박자 리듬에 맞춰 신체표현과 리듬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법들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바로 그 제재곡이 가르쳐질 만한 곡인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침바람’은 홍양자의 연구에 의해, 2박자 계통의 리 듬을 사용하는 일본 동요라는 것이 밝혀졌고, ‘학교 종’ 역시 서양음악의 특징인 으뜸화음과 딸림화 음을 사용한 화성음악으로 전통적 한국음악 양식과 거리가 멀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의 음악 교과서에 이런 음악들이 제재곡으로 자주 나왔으나, 현재 전통적 한국음악어법에 따른 전래동요들 이나 새로운 창작동요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 다른 문화권의 독특한 음악 과 문화를 배우기 위해 한국음악을 제재곡으로 선택한다면, 반드시 한국음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한 제재곡의 선택이 무엇보다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는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등과 같은 한국음악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도내용은 한국음악의 특징은 외면한 채, 오선보에 기보된 악보와 피 아노 반주, 그리고 벨칸토 창법의 소프라노처럼 서양음악교수법에 따라 적용되었다. 또한 ‘세마치장 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3/4박자에 기보하여 진정한 장단감을 느끼기 어려움으로 9/8로 기보된 악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 노래를 배우는 학생들이 한국의 민요가창자의 음원을 들어보고 음 원의 가락과 오선보에 기보된 가락과의 차이 그리고 그들이 이제까지 익숙했던 소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세상의 모든 음악이 같은 방식으로 연주되지 않는다는 좀 더 넓고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음악교재는 페트리샤 쉐한 캠벨의 『Teaching Music globally』로, 이 책에서 한국음악은 거문고 산조와 문묘제례악 두 가지가 소개되고 있다. 거문고 산조에서는 독주악기 거문고와 반주악 기 장구, 그리고 산조라는 음악장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거문고의 농현과 대점을 치는 연주법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한국음악에서 거문고의 위상이나 문화적 의미까지 설명한다. 또한 이 곡의 감상법으로 수차례 음악을 듣고 나서는 한 번에 그 음악의 특징, 즉 3분박의 장단, 농현과 같은 시김새, 우아한 선율, 장구반주 등에 하나씩 집중하여 들어보고 다시 이를 종합적으로 감상하 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은 1116년 중국에서 수입된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전래되어 12세기 아악의 연구에 귀 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묘제례악(“A-ak”)으로, 유교제례음악이라는 객관적, 역사적 설명들과 함께 독특한 음조직, 여음 등에 집중하며 소개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은 문묘제례악보다는 종묘 제례악에 더 큰 의미와 비중을 두고 가르치고 있어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의 유교 성인뿐만 아니라 조선의 위대한 선대 학자들에 대한 예와 존경을 다한 우리의 전통이 거의 잊히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 종묘제례악보다 문묘제례악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며, 그 음악의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음악은 동아시아 국가 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교제례악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는 유교적 정서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나라에서 한국음악을 배울 때 또는 동아시아 음악의 전체적 특징을 찾을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ade가 쓴 『Thinking Musically』는 음악수업을 위한 제재곡 중심이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음 악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음악개념에 대해 나타낸다. Wade는 흔히 한국음 악의 장단이 중동아시아 음악의 리듬선법과 비슷하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한국음악에서 장단 은 박의 단위라기보다 한배라는 그룹단위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장단은 단 위박의 속도, 음악 반복의 단위, 긴장과 이완의 표현, 그리고 산조의 악장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책을 통해 음악교사들이 한국음악의 핵심개념인 장단에 대해 제 대로 이해한다면, 한국음악 제재곡에서 세마치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을 만났을 때 그 음악을 제대로 표현하고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미국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재들에 나타난 한국음악 제재곡들과 교수법들 이 한국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얼마나 잘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제재곡으로 한국음악은 단 몇 곡 사용되었을 뿐이지만, 그 제재곡들로부터 학생들이 한국의 음악적․문화적 특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양한 교수법들을 적용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노래의 악보는 어린 학생들을 위해 단조롭게 편곡하였고, 원곡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는 박자로 그 음악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도 많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국음악을 비롯한 다문화 음악교육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 악을 그저 펼쳐 보이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단 한 곡을 통해서라도 진정으로 그 음악의 문화적 측 면, 의미, 그리고 전승과정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지도되길 당부하고자 한다.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 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 KCI등재후보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허선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 KCI등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에 관한 연구 -제5․6․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미영 한국민요학회 2009 한국민요학 Vol.25 No.-

        One of the direction and emphasis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s ‘the qualitative raising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it is desirable to investigate how Korean music has been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and to look for implications on how it should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high schoo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factors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have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5th․6th․7th curriculum but most of them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Western music. Most of the Korean folk songs in textbooks are about Gyeonggi-do and popular folk song. For Jangdan, ‘Gutgeori and Semachi Jangdan’ is common.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there is a song written by more than two Jangdan. That is the one that is arranged. Also there appeared a lot of problems when Jangdan is replaced by meter. That is, instead of showing the structure of Jangdan, a song is interpreted through the Western system of meter or divided by bar. In the 7th curriculum, songs and Jangdan is mostly match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s, staff notation is mainly notated and Jeongganbo is secondar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The form of singing music is arranged into a chorus in the fifth and 6th curriculum and a single melody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consolidation, Bagyeon waterfall is investigated in terms of rhythm and melody. For rhythm, clapping rhymes and syncopation are mainly used, and other terms of Western music like tie or accent. For Jangdan, it is pointed out that se of Jangdan is marked at beat and ‘the change of se’ which matches with musical piece is stressed out. Melody is examined with musical note. Throughout the 5th and 6th curriculum, a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contained. In the 7th curriculum, except one publisher, standard musical note is collecte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musical note in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similar to one in the standard musical note. Most of melody is related to scale and its constituent sounds different are different in spite of analysing the same musical note. Also when explaining Gyeonggi-do folk song by dividing gyemyeonjo and pyeongjo. Although much has been improved in the seventh curriculum, Korean folk song is still presented using the system of Western music. From now on, Korean folk song should be presented along with Korean music language. Also systematic research and discussion needs to be done. One of the direction and emphasis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s ‘the qualitative raising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it is desirable to investigate how Korean music has been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and to look for implications on how it should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high schoo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factors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have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5th․6th․7th curriculum but most of them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Western music. Most of the Korean folk songs in textbooks are about Gyeonggi-do and popular folk song. For Jangdan, ‘Gutgeori and Semachi Jangdan’ is common.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there is a song written by more than two Jangdan. That is the one that is arranged. Also there appeared a lot of problems when Jangdan is replaced by meter. That is, instead of showing the structure of Jangdan, a song is interpreted through the Western system of meter or divided by bar. In the 7th curriculum, songs and Jangdan is mostly match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s, staff notation is mainly notated and Jeongganbo is secondar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The form of singing music is arranged into a chorus in the fifth and 6th curriculum and a single melody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consolidation, Bagyeon waterfall is investigated in terms of rhythm and melody. For rhythm, clapping rhymes and syncopation are mainly used, and other terms of Western music like tie or accent. For Jangdan, it is pointed out that se of Jangdan is marked at beat and ‘the change of se’ which matches with musical piece is stressed out. Melody is examined with musical note. Throughout the 5th and 6th curriculum, a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contained. In the 7th curriculum, except one publisher, standard musical note is collecte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musical note in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similar to one in the standard musical note. Most of melody is related to scale and its constituent sounds different are different in spite of analysing the same musical note. Also when explaining Gyeonggi-do folk song by dividing gyemyeonjo and pyeongjo. Although much has been improved in the seventh curriculum, Korean folk song is still presented using the system of Western music. From now on, Korean folk song should be presented along with Korean music language. Also systematic research and discussion needs to be done.

      • KCI등재

        국악 교수학습법 관련한 국내 연구의 융·복합적 연구 동향 분석 - 2000~2010년대를 중심으로 -

        허문정(Hur, Moon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일반적으로 국악은 전통음악을 의미하며, 사람들은 흔히 양악과 구분하여 인식한다. 이러한 국악에 대한 교육은 양악과는 다른 한국 문화예술의 전통을 승계하고, 창조적 발전을 위한 활동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기존 전통적인 방식의 교육에서 탈피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국악을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융·복합적인 측면에서 국악 교수학습법이 현대적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악 교수학습법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 교수학습법 주제 논문의 최근 연구 동향을 메타정보로부터 개략적으로 고찰하여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부터 2018년 말까지 간행된 국악교육 분야 박사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려 한다. 분석을 위하여 동 기간동안 실제 지도 방안 및 적용 효과 등에 관해 연구를 수행한 선행연구는 워크숍 간행 논문, 학위논문의 게재 논문 및 기타 중복 논문을 제거하고,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상에 공개되지 않은 채 서지정보만 공개된 논문을 배제한 결과 총 286편의 선행연구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도방안, 교육과정 순으로 연구주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연도별로는 2000년대 전반기에는 초등학생 대상의 지도방안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2000년대 후반기에는 전반기에 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2010년대 전반기에는 음악교과서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2010년 후반기에는 다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악교수학습법 관련 연구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국악 교수학습법의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국악 교수학습법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미진했던 연구 분야, 자주 채택되지 않았던 연구방법론 및 연구대상으로 잘 다뤄지지 않았던 교육 편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찾는 작업이 수월해질 것을 기대한다. In general, korean traditional music refers to traditional music, and people often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wester music. This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music refers to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both musical instruments, and the activities for creative development, and has recently been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way of education. These changes mean that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is not merely a transf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a modern change in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erms of convergence and synthesis. Despite the changes, research on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thesis on the subjec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overviewing them from meta-inform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published papers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the 2000s to the end of 2018, will be reviewed. A leading study that conducted research on actual guidance methods and application effects during the same period for analysis removes workshop publications, academic papers, and other duplicate papers, a total of 286 pre-research studies will be studied as a result of excluding papers that were not released on the online database but only bibli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ncentra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high in the order of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a. By year, in the first half of the 2000s, the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ainly conducted,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00s, the study on the curriculum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half. Next, in the first half of the 2010s,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music textbooks increased, and in the latter half of 2010,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curriculum increased agai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aims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research found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fessors learning act by examining the flow of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Further, we hope that the follow-up research will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areas of research that were not developed in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subjects that were not well dealt with as subjects of research.

      • KCI등재

        국악찬불가운동이 불교계와 국악계에 끼친 영향연구

        박혜리나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Korean Buddhist music by re-examining the influ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hymns (Gukak Ch’anbulga) movement, which seeks the roots of traditional Buddhist music and creates new creative Buddhist music based on it. The first influence that the Korean Buddhist hymns Movement has made to the Buddhist community is that it has created a new Buddhist music genre and has secur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music. Seco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ist Music Institute is contributing to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Buddhist music and the creation of new Korean Buddhist music. Finally, b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Buddhist music, it can play a big role in promoting Korean Buddhist music to the world. The Korean Buddhist hymns Movement also showed remarkable influences in the Korean music community. First, it established a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Buddhist music and created a new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Second, it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classical music lovers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국악찬불가란 전통불교음악과 전통음악의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찬불가를 뜻하는 것으로 본고는 전통불교음악의 뿌리를 찾고 그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창작불교음악을 만들어가는 국악찬불가운동이 불교계와 국악계에 끼친 영향을 재조명해 봄으로써 한국 불교음악의 정체성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국악찬불가운동이 불교계에 끼친 영향으로는 첫째, 새로운 불교음악 장르인 국악 교성곡을 탄생시켰다는 것과 불교음악의 정체성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둘째, 불교음악원의 설립으로 전통불교음악의 전승과 새로운 한국 불교음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불교음악의 정체성 확립으로 한국 불교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악찬불가운동은 국악계에도 주목할 만한 영향을 끼쳤다. 첫째, 국악과 불교음악의 역사적 관계를 확립했으며 새로운 국악곡을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불교음악과 국악은 같은 뿌리를 두고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기에 새롭게 탄생된 국악 교성곡은 불교계의 성과인 동시에 창작국악의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킨 국악계의 성과이기도 하다. 둘째, 국악 애호가의 증가와 국악 전공자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국악찬불가의 활성화로 많은 불자들의 국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봉은국악합주단의 창단은 국악 전공자들의 활동기반 확장에 큰 역할을하였다.

      • AHCISCOPUSKCI등재

        KOREAN FUSION MUSIC ON THE WORLD STAGE : PERSPECTIVES ON THE AESTHETICS OF HYBRIDITY

        ANDERSON SUTTON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9 Acta Koreana Vol.12 No.1

        Western music and musical element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Korea—not only in the direct performance of Western classical and popular music, but also in the varieties of hybrid mixes and interactions involving Korean and Western repertory, instruments, and stylistic features. From the popular shin minyo and t’ŭrot’ŭ songs that first 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composer-based art music known as ch’angjak kugak that has flourished in the years since independence, Korea has developed a broad array of music that is distinctly “Korean” and yet also clearly indebted to foreign (primarily Western) music. Among these an increasingly important category is “p’yujŏn” (“fusion”) music, which differs from ch’angjak kugak in its emphasis on commercial appeal and popularity. But while Korean fusion music has been growing in popularity in Korea, and Korean fusion musicians have been making international tours, its reception overseas is not uniformly positive.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national exposure that Korean fusion music has experienced in recent years and proposes some reasons for its mixed reception. The findings of the article are based on evidence of various fusion musicians’ international tours,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availability of recordings abroad, and a small sample of reactions by non-Korean audiences to Korean fusion music by Seulgidoong (Sŭlgi-dung), Samul Nori, Sagye, Kang Eunil/Haegum Plus (Kang Ŭnil/Haegŭm P’ŭllŏsŭ), and others. The paper seeks to uncover what aspects appeal to foreign audiences and what aspects are disliked. Central to the ambivalent reactions is a combination of orientalist expectations and a sense that some hybrid mixes use harmonic clichés, grating or shrill timbres, or overly sentimental arrangements. Individual tastes differ even among audience members of similar backgrounds, but it seems that foreign audiences are more likely to be drawn to traditional kugak than to Korean fusion music, seeing the latter as inauthentic and shallow, even though many Koreans find traditional kugak to be strange, boring, or linked to a past they feel they have long left behind and therefore would prefer fusion as the Korean music of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제재곡 및 학습내용 분석

        박정은,박원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2008 특수학교 음악교육과정의 하위목표 하나는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여 우리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기르는 것이다. 이렇게 교육과정에서 국악영역을 중시하여 목표를 잡고 있고, 또 장애학생에게 음악치료의 한 방법으로 국악이 이용되어 많은 효과를 보이고,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음악교육과정 내에 있는 국악에 대한 연구는 없었으며, 특수학교 내에서 국악이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들에게 국악을 배우고 접하게 하기 전에 교과서의 국악부분의 내용체계를 살피고, 특수학교 음악교과서 및 지도서 1단계, 2단계, 3단계를 분석하여 장애학생에게 체계적으로 국악을 지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8 특수학교 음악교과서 국악부분은 서양음악과 분리되었으며, 국악곡의 분량은 전체 대단원 42단원 중 단 4단원뿐이었고, 전체 제재곡 210곡 중 33곡만이 제시되어 서양악곡에 비하여 적은 분량이었으며, 대단원과 소단원, 제재곡이 맞지 않게 제시되거나, 내용이 중복, 구성이 순차적,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부분들이 있다. 지도서 내용체계에 따라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각활동은 1, 2, 3단계의 수준에 맞게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1, 2단계는 신체활동 위주로 이루어졌고, 3단계는 장구가 중심이 되어 제시되어 있으며, 표현활동은 단계별 내용과 맞지 않게 대부분의 내용이 노래부르기와 타악기 다루기로 되어 있다. 감상활동도 단계별 내용에 맞지 않게 다양한 음악감상이 영역이 대부분이었으며, 생활화 영역은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다. 국악 제재곡을 전래동요, 민요, 창작곡, 감상곡으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 학습 수준에 맞추어 1단계에서는 전래동요만이, 2단계에서는 창작곡을 제외하고 전래동요, 민요, 감상곡이, 3단계는 전래동요를 제외한 민요, 창작곡, 감상곡이 편성되었다. 앞으로 특수학교 음악교과의 교육내용을 구성할 때 국악전공자의 참여로 국악곡이 서양음악에 소외됨이 없이 편성되어야 할 것이며, 특수학교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국악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의 양성과 연수에 대하여 모두 함께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One of the subordinate goals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8 for special-education schools is to enhance and encourage the self-esteem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here was no study on pie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ggested by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8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we have not known how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pecial schools. Thus, this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we must go to teach disabled students Korean traditional music. We intend to systematically analyze level 1, 2, and 3 textbooks including the guidebooks for music teachers in the schools. In addition, we will explore the content system of the pa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befor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re taught Korean traditional music. Firstly, the pa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of the 2008 revision for special schools are separated from Western music which leaves only 4 of the 42 chapters associ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over, there are overlapping contents with systematically and sequentially wrongly suggested par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uidebooks for music teachers of special schools, intellectual activities must match up with the suggested level. On the other hand, levels 1 and 2 consist of only physical activities whereas level 3 consists almost only of activities associated with janggu (traditional Korean percussion).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levels, only traditional Korean children songs have been included in level 1, while in level 2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Korean folk songs, and listening music except for newly written music as well as in level 3 Korean folk songs, newly written music, and listening music except for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From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usic curriculum for special-education schools include traditional Korean music as well as Western music with the specialists in Korean music parts. In addition, it needs to be discussed the training courses of the teachers who intend to systematically instruct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disabled students.

      • KCI등재

        유가의 악론으로 본 국악교육철학 연구

        김영욱 민족음악학회 2010 음악과 민족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 some idea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by resorting to Confucius‘s music the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the deficiency in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Korea today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indebt discourses or efforts to establish theories about it. With the development of our own educational philosophy, we will be able to put the unlikely reality and polic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to perspectives. Many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curriculums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re caused not only by instructors of Korean classical music, but also by the policy makers and authors of textbooks who lack a solid educational philosophy.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will affect the minds of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Second, Korean classical music must be taught in schools today according to some guiding credo that could offer the bases for teaching activities. Why must Korean classical music be taught in schools and what kind of materials must be used and how should they be instructed? A serious thought should be given to these questions. In the current textbooks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90% of their contents are concerned with folk music (popular Korean music). This alarming phenomenon must be remedie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eaching materials of national Korean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idea is in accordance with Confucius's philosophy that music exert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man disposition. Third, in order for the teach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to prepare and execute their curriculums properly and without adhering excessively to the conventional ideas or their own impulses, they need to accomodate the traditional and Asian perspectives of music and applying them selectively. This study expect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ing of balanced music textbooks and proper teaching methodology for Korean classical music and Korean folk music.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창작활동 고찰

        허선형,정미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Creating Korean music is literally to make Korean music with Korean musical languag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music in music textbooks,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e musical expression and creativity as well as succeed in the unique musical characteristics combining music and language transmitt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reative activities to includ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It also aims at exploring the problem and the reasonable direction of creative Korean music composition in the books. The creative activities in Korean music are challenged by using the terminology and notation of Western music. Moreover, ‘minyopung’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new song style in regards to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has been composed by the creative techniques of Western music like time signatures and the solmization ‘sol, la, do, re, mi’ of the pentatonic scale. The creative activities of the books did not include original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jangdan, malbutchimsae, traditional notation, and Korean musical notes. As a result, this study explores the proper approaches to making Korean music in the music textbooks for Korean middle school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reative activities for making Korean music be presented by traditional Korean notation in jeongganbo or garakseon and that they describe the detailed musical terms of Korean music. In addition, this study expects to continue the creative activities in the music textbooks which may lead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creating Korean music us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s well as to enjoy creating Korean music. 국악창작이란 말 그대로 우리의 음악 어법에 따라 우리 음악을 창조하는 것이다. 국악창작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력과 창의성을 함양시키는 동시에, 이 땅에서 전승되어온 한국음악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교육적 효과를 함께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의 음악교과서의 국악 창작 활동과 내용들이 우리 음악 어법에 맞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음악교과서의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창작활동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제시된 악보가 오선보로 되어 있어 음악 용어나 표기방법이 서양식으로 표현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민요풍’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서양음악창작 기법을 이용하여 국악창작은 단순히 오선지 위에 주어진 박자표에 맞춰 ‘솔, 라, 도, 레, 미’의 5음 음계의 음들로 채워 가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국악어법에 맞는 방법으로 국악창작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의 국악창작내용이 개편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전통 악보인 정간보와 가락선 악보를 사용하고 국악용어로 설명해야 한다. 또한 노랫말과 장단, 가락이 유기적인 관계임을 인지하고 단일 요소의 변형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요소들이 모두 결합되어 체계적인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국악어법에 맞는 국악창작활동이 제시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