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개념도 연구

        손다정,위햇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3 No.-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들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캐인․트로침(Kane & Trochim, 2007)의 개념도 연구 방법에 따라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진술문의 생성과 구조화, 개념도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일본 대학 한국어 교수자의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별 분류, 중요도, 숙달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교수자들은 어휘 교육 기본 내용, 교수 어휘와 함께 제시해야 하는 내용, 어휘 교육 확장 내용, 대조언어학적 내용, 학습자 요구에 따른 내용 등이 그 순서대로 어휘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일본어를 제1언어로 하면서 주로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수자들은 학습자의 어휘 사용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을 설계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수자가 속한 기관의 교육 과정이나 담당하는 강의의 성격에 따라 숙달도를 유연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이를 고려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한국어와 일본어 간 대조언어학적 연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교양 교과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교과 개발과 그에 적합한 어휘 교육 내용 마련,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과 상황에 적합한 숙달도 체계화와 그에 따른 어휘 교육 내용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 Japanese universities in the content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he instructors’ perceptions on content classification, importance, and proficiency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overall, they prioritized basic vocabulary, followed by teaching vocabulary, extended instruction, contrastive linguistic content, and learner-specific contend. As their students primarily spoke Japanese and studied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this order was aligned with their teaching approach. The instructors emphasized on improving learners’ vocabulary use through adapted proficiency assessments based on the institutions curriculum and course nature.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should integrate the findings of contrastive linguistic studies, design curricula based on learners’ motivations, and develop appropriate vocabulary content for Korean course context. Systematizing proficiency levels is also recommended to enhance vocabulary education.

      • KCI등재

        일본 대학에서 비전공 한국어 교육의 현황 조사

        박종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4 언어와 문화 Vol.10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non-major in Japanese universities. For this aim, I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who are taking Korean lessons as a non-major class. The survey was held over seven months, from July 2013 to January 2014, and 481 students were surveyed, attending eight universities in Japan.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re was found a higher interest in Korean popular culture that leads to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compared to previous Korean Waves in Japan. In addition, learners are also hoping to ga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of the curriculum, but they do not like to go to Korea to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Korean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Japan quips to the demands of students. These results tell us that the Korean education courses in Japanese universities are being asked for a reorganization of the whole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 KCI등재

        일본 대학에서 비전공 한국어 과목 수강자의 수강 동기에 대한 현황과 추이

        박종후 ( Park Jonghoo ),정선영 ( Jung Sunyo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Korean. In the analysis, we compared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for the participants classified with two different variables: gender and presence of former experience in Korea-related fields. In addition, we compared this study with the 2014 survey to examine if there were any longitudinal differences. We conducted a survey with 552 students in twelve different regions in Japan. We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non-major Korean language course had an internal motivation. Not many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were tak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for a practical reas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ose students who previously visited Korea were taking the language class with an internal motivation. Former experience in making Korean friends or learning the language did not seem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form students’ motivation to take the Korean language class. As we compa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2014 study, it is noteworthy that external motivation has decreased and internal motivation has increased in contrast. Namely, internal motivation has become more crucial over 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calibrating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elective subject in Japanese universities. (Dokkyo University · Former Yonsei K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