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국내은행의 순위변화 측정 : Super효율성접근

        박노경 대한경영학회 2003 大韓經營學會誌 Vol.16 No.1

        The measure of super-efficiency was put forward by Andersen and Petersen(1993) as a way to distinguish between the efficient observations. In particular the super-efficiency measure examines the maximal radial change in inputs and/or outputs for an observation to remain efficient, i.e. how much can the inputs be increased(or the outputs decreased) without becoming inefficient. The larger the value of the super-efficiency measure the higher an observation is ranked among the efficient uni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rankings of the efficient Korean banks using super-efficiency method with the trend change of rankings of those efficient banks during 6 years(1995-2000) for 3 inputs(labour, fixed assets, number of branches) and 3 outputs(loans, deposits, and equity). The main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ranking order of efficient banks under super CCR model is Shinhan, Boram, Hana, Korea First, Hanil Banks before IMF supervision system, and after IMF system, Boram, Hana, Shinhan, Foreign Exchange, and Pyunghwa Banks. Second, the top ranked efficient banks under super BCC model are Choheung, Commercial, Foreign Exchange, and Kookmin Banks before IMF system, and after 1998, Kookmin, Hanvit, Housing, and Pyunghwa Banks. The policy implications to the Korean banks and planners are as follows. First, inefficient banks should choose the highest banks which are recommended by Super-efficiency method among the efficient banks as the benchmarking bank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management way to enhance the inefficient bank's efficiency. Second, FSS(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should introduce the new methods for enhancing the efficient banks' efficiency further more

      • KCI등재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의 자금조달 및 운용구조 변화가 수익성에 미친 영향

        이내황(Naehwang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본고는 우리 경제에서 금융중개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은행의 수익성이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하락하여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고, 그 원인을 금융위기 전후 국내 은행의 자금조달 · 운용구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규명하는 한편 수익성 개선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자금조달ㆍ운용구조 추이를 분석하여 금융위기 이후 자기자본비율은 높아진 반면 요구불예금 조달비중은 하락하였으며 유가증권비중, 가계대출비중, 유가증권비중이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일반은행의 자금조달 · 운용구조 면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보인 다섯 가지 지표들을 관심변수로 선정하고, 2002년부터 2014년까지를 표본기간으로 하는 패널 선형회귀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관심변수와 수익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금융위기 이후 요구불예금 조달비중, 유가증권비중 및 예대율의 하락이 수익성을 악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기본모형에 금융위기 전후 기간을 구분하는 더미변수를 추가한 모형과 관심변수와 금융위기 이후기간 더미변수의 교차항을 추가한 모형을 각각 추정한 결과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의 수익성 결정 메커니즘에 수익성 수준이 구조적으로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은행들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조달금리가 낮은 예금 유치 노력을 강화하고, 유가증권에 의한 자산운용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새로운 개념의 업무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금융정책 및 감독 당국은 예대율 규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은행의 영업환경 개선을 위해 규제 완화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13 Korean commercial banks" profitability declined sharply and failed to restore the previous level. This paper seeks to analyze how the changes of Korean banks" funding and asset management structure after the financial crisis affect Korean banks" profitability. In terms of funding, equity ratio has been in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demand deposit to total funding has been lowered. In the case of asset management, the ratio of securities to total assets and the ratio of household loans to total loans have been decreased. Loan-to-deposit ratio, which reflects both funding and asset management side, has been declined. A panel regression model was designed for the sample period of 2002-2014 with such five variables as principal explanatory variables to estimate the sign and magnitude of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the profitabilit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roportion of demand deposit, the ratio of securities to total assets and loan-to-deposit ratio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ROA(Return on Assets). The empirical results generally indicate that downward trends of demand deposit proportion, the ratio of securities to total assets and loan-to-deposit ratio after the financial crisis accounted for worsening the profitability. The models are extended and estimated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structural change in the mechanism of determining the profitability of Korean bank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commercial banks are likely to undergo structural change of lowering of the profitability level after the financial crisis. For a discussion of the direction to improve Korean banks" profitability,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are presented.

      • KCI등재

        미국에서의 한인 금융

        안현효(Hyeon Hyo Ahn),정연선(Yun Sun Chu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2 No.1

        본 논문은 캘리포니아의 중국계와 한국계의 양 소수민족은행을 비교하여 한국계 민족은행과 한국계 이민사회의 경제적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다. 통상 미국 내 소수민족경제권의 경제적 성과 차이는 문화적 차이 또는 비공식금융의 기여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으나 우리는 공식금융제도의 적극적 역할에 주목하여 금융제도와 소수민족경제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동시에 한국계 미국은행은 성장, 수익성, 은행전략 면에서 중국계 소수민족은행과 구분된다는 점을 중시하여, 은행전략 측면에서, 중국계와 한국계가 고객과의 장기적 거래를 중시하는 유사한 관계은행전략을 구사하지만, 은행의 대출분포와 예금분포는 서로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각 소수민족은행이 다른 경영성과를 낳는 이유가 된다. 한국계은행의 경우 대출구조가 사업대출 중심이며, 이자 낳지 않는 예금의 비중이 중국계 민족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사실이 한국계 소수민족은행이 높은 성장을 하게 된 배경이다. 따라서 관계은행전략이라는 개념만으로는 다수의 소수민족은행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는 한국계와 중국계의 이민사회 그 자체의 특수성에 주목하였다. 중국계 미국인의 경우 인구구성의 이질성과 해외자본의 영향이, 한국계 미국인의 경우 동질적 인구 및 사업구성과 착 한국계 미국인 금융기관의 경쟁력이 특징적이다. By comparing to Chinese American banks, this research shows the uniqueness of Korean American banks. This article argues that instead of the cultural attributes and/or informal financial institutions, form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ethnic banks studied here, are responsible for the business success of Asians abroad. However, ethnic banks have different development trajectories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ethnic communities. Korean American banks are notably different from Chinese American banks in terms of growth, profitability, and banking strategies. Although both ethnic banks exercise relationship banking strategies in their loan portfolios, their deposit compositions are very different and cau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ncial performance. The focus on business loans and high rates of non-interest deposits allow for higher growth rates in Korean American banks. Therefore, relationship banking does not adequately explain the differences of ethnic banks. This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factors in choosing banking strategies by mainly focusing on the unique examples found in Korean and Chinese immigrant societies. For Chinese Americans, the heterogeneity of their population composition and foreign influence dominate their bank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Korean American homogeneity and business orientation are distinctly different. The influence of Korean capital is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overseas Chinese capital.

      • KCI등재후보

        한국계 미국은행의 성장 :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 소수민족은행산업의 맥락에서

        안현효 ( Hyeon Hyo Ahn ) 한국아메리카학회 2003 美國學論集 Vol.35 No.1

        By summarizing the economic success of Korean Americans in the Southern California, this paper addresses the role of Korean American banks. Banking strategies of Korean American banks have a common element with those of other ethnic banks, that is , relationship banking. However the unique success of Korean and Chinese American banks comes from their communities` extensive social capital-the networks of information, norms, and disciplinaty mechanism that cross the Korean ethnic enclaves.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in each minority ethnic community can also explain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of Chinese American banks and Korean American banks. Finally we observed the prosperity of ethnic banks in the U.S. can determine the econornie the economic success of those ethnic groups.

      • KCI등재

        대한제국기 중앙은행 제도의 도입과 변용

        조명근(Cho, Myung-Keu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대한제국은 1900년의 특립제일은행, 1903년의 대한제국중앙은행 등 두 차례에 걸쳐 중앙은행 설립을 추진하였다. 대한제국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제도를 모방하였으나 중앙은행의 핵심 기능인 국고금 취급과 은행권 발행에 있어서는 다른 방향으로 변용하였다. 대한제국은 일본이 장악한 해관세 징수권을 환수하여 재정의 충실히 기하려 하였고, 은행권 발행도 탄력적인 통화 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독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제도를 채택하였다. 한편 일본은 대한제국의 재정 상황과 운영 주체의 무능력 등을 들어서 자립적인 중앙은행 설립을 반대하고, 그 대안으로서 ‘대한중앙은행’안을 제시하였다. 이 안에 따르면 일본인 주주와 고문을 중심으로 중앙은행을 운영하도록 하여 대한제국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있었다. 대한제국 중앙은행 설립안은 재정 건전성 및 정화준비의 실태 등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하는 데에는 시행착오의 유예기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일본도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안정적인 제도를 확립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한제국은 이런 시도조차 하지 못한 채 자주적 화폐금융제도의 수립은 좌절되고 말았다. The Korean Empire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bank twice: the Special First Bank in 1900 and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in 1903. The Korean Empire basically imitated the Japanese system but transformed it in different directions in terms of handling the national funds and issuing bank notes,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a central bank. The Korean Empire tried to redeem the sea customs tax collection rights held by Japan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its finances. On the other hand, Japan op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entral bank, citing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incompetence of the operating entity, and proposed a plan for the “Korea Central Bank”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is plan, Japanese shareholders and advisors would run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thereby denying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Empire. It is true that there were problems in the plan to establish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in terms of the capability of its operating entity and the actual gold coverage situation. However, a certain grace period length for trials and errors is normally required to introduce and apply a new system. Japan eventually established a stable system while undergoing several trials and errors, while the Korean Empire fail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without even making such an attempt.

      • KCI등재후보

        農工銀行·朝鮮殖産銀行의 운영주체와 조선인 참여자의 지위

        정병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1906년부터 ‘농공업의 개량발달’을 목적으로 전국 주요지역에 설립된 농공은행은 주주와 중역이 모두 조선인으로 구성된 은행이었다. 그러나 은행의 경영권은 밖으로는 탁지부의 일본인 관리에 의해 통제를 받았고 안으로는 지배인을 비롯한 일본인 간부에 의해 장악되었다. 일제는 조선인 자산가를 은행의 주주나 중역으로 ‘포섭’함으로써 식민지 금융기구의 기반을 확보하였던 반면에, ‘포섭’된 조선인 상층은 경영의 주체가 아니라 자금을 융통받을 수 있는 단순 이용자에 머물러야 했다. 1918년 농공은행을 강제합병하여 조선식산은행이 설립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조선인 주주나 중역의 권리와 의견은 무시되었ㄷ. 조선식산은행은 ‘자금의 충실’을 위해 일본에서 주식을 모집함에 따라 일본인 주주의 비중이 조선인의 그것을 압도하였다. 각 농공은행의 조선인 중역들은 모두 물러났으며, 새로 선임된 소수의조선인 중역도 상징적인 존재에 불과했다. 그나마 1931년 이후에는 조선인에게 중역의 자리가 주어지지 않았다. 또한 조선인 은행원은 경영의 핵심적 지위에 오르지 못했다. 조선인 주주에 의해 외형상 조선인 은행으로서 출범한 농공은행이 조선식산은행으로 전환되면서, 내용은 물론이고 형식적인 차원에서도 조선인은 은행 경영에서 배제되었다. Nonggong Bank(農工銀行) was constitutsd all of Korean stockhoilers and directors, and established to develop and improve into agricultures in the major cities in 1906. But its management right was controlled outside, by Japanese asministrator on Ministry of Finance(度支部), and Japanese ececutive members of the Bank took hold of it in the internal affairs. Japanese imperialism solidified an colonial banking organ's foundation by winning Korean man of property over the stockholders and the directors of the Bank, but they couldn't be the subject of management. They remained just a customer. In 1918, Chosun-Siksan Bank(朝鮮殖産銀行) was established by amalgamating compulsively with Nonggong Bank. In the coures of that, the rights of Korean stockholders and directors were totally ignored. For the purpose of raising fundsm Chosun-Siksan Bank offeres to stock for subscription in Japan, as a result, the number of Japanese stockholders overwhelmed Koreans. All of tje old Korean directors on Nonggong Bank were retired, and a few of newly Korean sirectors on Chosun-Siksan Bank were feeble, and just symbolic being in existence. Since 1931, non of them had a position of directors, and Korean clerks have never plac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Bank. Apparently Nonggong Bank have started in Korean Bank, but it eventually have converted to Chosun-Siksan Bank. In the course of that, all Korean were excluded from management both in name and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韩国和中国银行效率的变化及影响因素

        刘美谨,诸慧琴 중한연구학회 2023 중한연구학간 Vol.0 No.32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commercial banks in China and South Korea during the financial recovery phase in Asian countries following the 2008 financial crisis. It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iciency of banks in China and South Korea between 2010 and 2021. Additionally, it explores potential challeng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commercial banks in both countries. The research involved pre-processing data using Excel and conducting efficiency analysi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Subsequently,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bank efficiency were performed using STATA software.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initially, in the first phase of the DEA model, South Korean banks exhibited higher operational efficiency than Chinese banks, but in the second phase, Chinese banks surpassed South Korean banks. Moreover, factors such as business innovation, cost expenses, profitability, and asset size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efficiency of Chinese banks, while profitability, stability, and asset siz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fficiency of South Korean banks. In the context of economic globalization, China is rapidly narrowing the gap with South Korean banks through financial reforms and experiencing rapid growth. Finally, this study’s results offer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banks in China and South Korea.

      • KCI등재

        종합금융회사의 설립 및 발전과 쇠퇴

        김대호(Dae-Ho Kim) 韓國經營史學會 2014 經營史學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종합금융회사의 설립 및 발전과 쇠퇴史를 살펴보았다. 먼저 종합금융회사의 설립과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금융산업 개편에 따라 투자금융회사가 종합금융회사로 전환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금융·외환위기 후의 종합금융회사 합병 및 퇴출史를 살펴보았다. 종합금융회사는 1975년 12월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그 제도적 기반이 갖추어졌다. 원래 종합금융회사는 영국의 merchant bank와 미국의 investment bank을 모델로 하여 중장기 설비금융의 기능을 혼합한 기업금융 전문 금융기관이다. 최초의 종합금융회사로 한국종합금융이 1976년 4월 설립되었으며 1979년까지 추가로 5개 종합금융회사가 설립되어 1990년대 초반까지 6개 회사 체제가 유지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금융산업 개편의 일환으로 1994년 중 지방 소재 9개 투자금융회사가, 1996년에는 15개 투자금융회사가 종합금융회사로 전환하여 종합금융회사는 1997년 말에 30개에 달하였다. 종합금융회사는 1990년대 중반 최고의 직장으로 꼽히던 금융기관이었으며, 금융 권역간 겸영이 금지되었던 금융환경 속에서 유일하게 겸영 금융기관으로서 은행, 증권, 보험, 투신과 함께 금융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였고, 종합금융업을 수행하여 제2금융권의 중심으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금융당국이 당초 종합금융회사 설립시 기대하였던 원활한 외자도입, 선진금융기법 도입 및 복합적인 기업금융서비스 제공 등의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30개나 되는 종합금융회사가 난립하면서 과당경쟁이 나타났다. 아울러 무모한 자산 확장 등으로 부실해진 종합금융회사들이 금융·외환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합병, 폐업됨에 따라 1998년 16개 부실 종합금융회사가 퇴출되었고 추가로 1999년부터 2003년 기간 중 13개사가 퇴출되거나 합병되었다. 2013년 12월말 현재 전업 종합금융 회사는 1개사만 남아 있으며 2개 겸영은행 및 1개 겸영증권사와 함께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종합금융회사들이 명맥을 유지할 지 아니면 완전히 사라질 지는 두고 볼 일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of the Korean Merchant Bank(KMB). We review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growth and decline of the KMB. The KMB was established as a combined financial institution to import foreign capital from foreign banks. The merchant bank of the UK and investment bank of the USA are the role model of the KMB. And the KMBs were established as a joint venture between Korean companies and forean financial institutions. Until 1979, 6 KMBs were established and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and they had been in sound financial position. As a major financial reform in 1990s, 24 Investment & Financing Companies were converted into the KMBs. Thus the market became much more competitive and the financial position became bad. On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KMBs were strongly condemned as responsible for the Crisis. Thus, 16 KMBs were bankrupted and liquidated from the market. Also 13 KMBs were liquidated additionally until 2003. Until the time of Korean Financial Crisis, the KMBs played a key role in importing foreign capital from foreign financial institutions. Also the KMB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the universal banking system to Korean financial system. However the KMBs failed in controlling the maturity gap in risk management. For example, most converted KMBs borrowed the long term capital from foreign banks and made a short tem loan to Korean companies. At the time of Korean Financial Crisis, the borrowed loans were not refinanced and they became default into financial distress position. As of December 2013, only 1 specialized KMB and 2 universal KMBs have survived.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BIS Capital Adequacy Regulation on Stock Prices of Korean Commercial Banks

        Jong-Han Song(宋種韓),Dong-Han Chang(張東漢) 한국무역학회 2006 한국무역학회 세미나 및 토론회 Vol.2006 No.2

        본 연구는 BIS자기자본비율 규제가 한국에서 동 규제안과 후속 개정안의 공표를 전후한 여러 기간에 걸쳐서 은행주가의 변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만약 동 규제로 인하여 은행이 차입효과와 규제완화효과로 인한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되어 은행의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투자자가 사전에 혹은 사후에 부정적으로 규제에 대응함으로써 주가가 떨어진다면 은행은 필요자본을 조달하기 어려워지므로 결과적으로 동 규제가 목표로 하는 은행의 건전성 제고는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외견상무상관선형회귀(SUR)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정부가 BIS자기자본비율에 미달한 5개 은행을 폐쇄하기 2개월 전부터 폐쇄대상은행의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하였으며, 폐쇄 이후에는 BIS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하락하였다. 이 시기에는 BIS자기자본비율이 주가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는 사후예측에 의한 자본비율보다는 이미 공표된 자본비율에 의거하여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시기를 제외하면, 동 규제는 주가에 사전 혹은 사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거나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동 규제가 원래의 제정 목적과 다른 방향으로 운용될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 규제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BIS자기자본비율을 활용하여 은행의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함께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BIS capital adequacy regulation and its following amendments on Korean banks' stock prices over multiple periods. If investors act in advance or in arrears against the announcement of the new regulation to cause banks' stock prices dropp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gulation would limit benefits of the leverage effect and the deregulation to affect banks' profitability adversely, the regulation may not attain its original goal of enhancing banks' business soundness. Utilizing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UR) model, the analysis shows that when the Korean government ordered the closure of five banks that failed to meet the minimum BIS capital adequacy ratio the stock prices of the closed banks started to drop from 2 months prior to the closure.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after the closure of the five banks, the higher the BIS ratio of a bank was, the less its stock price dropped. This implies that banks' stock pric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IS capital ratio during this period. Investors also acted based on the past capital ratio instead of the future capital ratio. Except this period, however,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regulation either affected stock prices negatively on an ex-ante or ex-post basis or did not affect stock prices at all. This implies that the BIS capital regulation tends to operate against its original purpose. Therefore, a bank has to take advantage of the BIS ratio to generate higher profit to attain the goal of the BIS capital ratio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