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노년층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주문 키오스크 디자인 방향 제시: 국내 패스트푸드 상위 5개 브랜드 키오스크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강필식 ( Pilsik Kang ),이강현 ( Kanghyun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패스트푸드 업계는 무인주문 키오스크 도입을 확산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사용성 배려가 부족하여 사회적으로 디지털 소외현상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 사용성 개선 연구도 등장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사용성 개선방법이 대부분이며 실질적인 하드웨어 중심의 사용성 배려와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한 키오스크와 사용자 그리고 디자인 접근법에 대해 고찰하였고, 관찰조사를 통해 패스트푸드 키오스크의 서비스 환경과 제품분석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노년층 고객의 페인포인트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는 설치 공간과 환경에 따라 배치가 다르지만 기기 자체의 구성요소는 거의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었다. 장노년층의 인체평균치수를 고려하여 키오스크도면에 대입해본 결과 사용상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관찰내용을 고객여정지도를 활용하여 정리해본 결과 실제사용상의 문제점들을 맥락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본 결과 키오스크의 화면부와 결제부를 오가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사용상 문제가 주로 발생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각 구성요소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introduction of fast food unmanned kiosks is spreading, but the digital marginalization phenomenon is increasing due to lack of usability consideration for the information vulnerable class. Research on improving kiosk usability for the elderly is also emerging, but most of the software usability improvement methods are still lacking. Methods This study considered kiosks, users, and design approache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rough the observation, we comprehensively looked at the service environment, product analysis, and user interface of fast food kiosks, and found painting points for older-aged customers.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fast-food restaurant kiosk had almost the same user interface. Considering the average size of the human body of the aged population,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use problem objectively in kiosk drawing, and summarizing the observation using the customer margin chart provided contextual identification of actual use problems. Conclusion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problems resulted in a major use problem in the simultaneous software and hardware interface between the kiosk screen and the payment section, and suggested a design direction for each component to solve the problem.

      • KCI등재

        Motion Graphic Effects and Time in Self-Service Kiosk Selection

        조유인,정의철 한국디자인학회 2024 Design Works Vol.7 No.1

        Technology h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success of businesses through several key factors that improve how businesses operate. Self-service kiosk technology promotes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across businesses. The study uses user engagement analysis to compare user experiences of interacting with self-service kiosks. The thesis describes the need for self-service kiosks and their purpose. The case study method involving a literature review of prior research on self-service kiosk design, elements of self-service kiosks, and interaction flow is adopted. The aim of the study is to analyze seve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elf-service kiosks’ features and their implementation to promote kiosks’ effectiveness, to further explore how adding different motion graphics effects promotes the effectiveness of self-service kiosks, and to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described concept to provide background knowledge in designing the self-service kiosk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 research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s with motion graphics effects on the interface of self-service kiosks. The experiment gathered data o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ngagement during these interactions. The experiment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motion graphic effects and timing within the user interfac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ach effect played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design of self-service kiosks and fostering user engagement.

      • Improving Usability of Kiosks in Fast Food for Seniors: A study on Kiosk Interface Design

        Gia Ann,Ye eun Park,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As unmanned kiosk system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restaurant, many senior users struggle with complicated user interfaces. This study proposes an intuitive and easy-to-understand user interface by identifying seniors challenges when using ondemand kiosks. We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seniors in their 50s and 60s, encounter with food kiosks. We developed a prototype kiosk user interface that catered to their needs based on our findings. Subsequently, usability testing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e design considerations effectively alleviated the kiosks challenges. The results showed that our prototype enhanced user satisfaction by providing clearer directions at each step and offer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items available for ordering compared to existing kiosks. Additionally, the intuitive layout of the kiosk design improved participants perceived ease of use. Our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practical design considerations that can address seniors current use challenges with kiosk systems.

      • KCI등재

        터치스크린 키오스크의 유니버설 설계 지침 개발: 화면 크기 및 화면설계요소를 중심으로

        신주혜,이민지,이원섭 대한인간공학회 2022 大韓人間工學會誌 Vol.41 No.3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touchscreen kiosks that can be comfortably used by various users such as wheelchair patients and elderly people. Background: The use of touchscreen kiosks in customer service has been increased; however, various usability problems with the kiosk have been reported. Method: A literature survey and expert review were conducted to draft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touchscreen kiosks; then, a prototype of the kiosk for a fast-food restaurant was built by applying the design guidelines, and its usabil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it with an original interface for the kiosk of that restaurant. Results: The revised kiosk design showed better usability than the original design regarding performance time, number of screen touching, number of mistakes and errors, task success rat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touchscreen kiosk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Application: The proposed design guideline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ouchscreen kiosks providing good usability to a wide range of users including wheelchair patients, elderly people, and children.

      • KCI등재

        촉각적 인터랙션을 활용한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

        임병우(Byung-Woo Lim),조동희(Dong-Hee Jo),조용재(Yong-Jae Ch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5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배치된 무인정보시스템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달리 다양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하철역과 같은 공공장소의 키오스크는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사용성이 떨어져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적극적인 개선 방안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컨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촉각적 인터랙션과 인터스페이스의 개념 그리고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희성에 관해서 고찰하고 촉각적 인터랙션 원리를 활용한 인터스페이스에서의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서 연구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을 위해 아트콤(ART+COM) 프로젝트를 참고했다. Kiosk is an unmanned information system arranged in public places or commercial spaces so that a user may utilize information conveniently. Unlike a personal computer, it targets varied users' brackets, so we have to consider a user's characteristic in designing Kiosk Interface. However, in reality, the Kiosks of public places like subway stations are of Interface Design without considering users and become almost useless with serviceability falling. In this study, we attempt to point out such problems and suggest the concept as to the Interface Design in the public places for a more positive promotion method. For this purpose, we are about to look into the concept of Tangible Interaction and Interspace and the recreation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and study the sportive Kiosk Interface Design in the Interspace using the principle of the Tangible Interaction. For the conceptual Model in this study, we referred to ARTCOM(ART+COM) Project.

      • User Experience difference based on User Engagement analysis by Kiosk Interaction Process

        Yooin Cho,Eui-Chul Jung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Pursuing perceptual design that induces human behavior and flawless user experien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various human senses and design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design. Kiosk is an information system with efficient information provider with voice service and video to face customer. The interface plays the rol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for the user"s ease of use of kiosk. Kiosks needs to be designed based on human experience by analyzing i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s the use of kiosks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experience inconvenience in daily life has also increased. Currently, the kiosk is a passive interaction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experiences difficulties in using the kiosk, user is not able to get help directly from the kiosk to finish their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user experience design to improve user experience in the passive behavior of kiosk us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user interview.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 지능형 가로등 정보 표현 장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이태원 관광 특구 지역을 중심으로

        송규만,김억,장지영 디자인융복합학회 200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7 No.3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UI)는 인간과 정보를 소통하게 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정보의 습득과 이해를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최근 도시 내 공공공간에 설치되는 어반 키오스크(Urban Kiosk)는 도시민에게 다앙하고 유용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있어 대표적인 장치이다. 이러한 어반 키오스크 구축에 있어 도시민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획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UI 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어반 키오스크의 UI 는 설치위치, 디스플레이, 서비스 특성의 고려 없이 기존 웹 페이지 형식을 활용한 인터페이스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UI 는 어반 키오스크의 사용의 목적, 설치공간의 특성, 서비스의 종류, 목표사용자, 등에 따라서 차별화 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 징보 키오스크, 특히 유비쿼터스 지능형 가로등의 정보 표현 패널에서 활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유비쿼터스 지능형 가로등을 정의하고, 둘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셋째,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각 서비스 시나리오에 맞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자인 하였다. The user interface (UI) is everything designed into an information device with which a human being may interact. The user interface enables a human being to acquire and understand information in course of interactions with digital de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 Particularly, due to the rising number of the public information kiosks on the street, the need of efficient UI design have been increased more than ever befor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urban kiosks have web page-style UI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displays, locations, users, and services. Therefore, this research introduces UI design methodologies of the urban kiosk for public information service and demonstrates its application by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Intelligent Light", as a case project. Research methods are, firstly, the ubiquitous intelligent streetlight is defined, secondly, the design method for graphic user interfaces is presented, thirdly, service scenarios are set, lastly, graphic user interface for each service scenarios are introduced.

      • KCI등재

        장 · 노년층 대상 키오스크 사용성 측정 지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 코레일 열차 발권 키오스크 개발 사례

        신은주(Eun-joo Sin),임순범(Soon-Bum L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최근 증가하고 있는 키오스크의 보급에 비해 이를 활용하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격차는 줄지 않고 있다. 키오스크의 사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가고 있는 환경에서 장노년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은 삶의 질에 직결되는 문제가 되고 있다. 장노년층을 고려한 키오스크의 개발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모호하거나 어떤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보다는 디자이너의 경험적 능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 콘텐츠 개발을 위해 키오스크의 사용성에 대해 분석하고, 그 측정지표로 가용성, 유용성, 효율성, 매력성, 그리고 시인성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측정지표의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이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장노년층을 위한 키오스크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과정의 키오스크가 장노년층을 지원할 수 있는지 혹은 개선된 키오스크가 실제 장노년층의 사용성을 높이는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키오스크의 접근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추후 장노년층이 겪게 될 다양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though the use of kiosks is increasing recently, the digital divide for the elderly who uses them is not decreasing. We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 of kiosks is becoming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In such an environment, the digital alienation of the elderly is becoming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Even if a kiosk is developed considering the elderly, the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is ambiguous, or in most cases, it depends on the designer’s experiential ability ra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usability.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the kiosk was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kiosk contents for the elderly. The metrics were defined as availability, usefulness, efficiency,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And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measurement index was developed, and the usability of the kiosk for the elderly was confirmed by performing usability evaluation. This is a method to verify whether the kiosk in the development process can support the elderly or whether the improved kiosk actually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elderly.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kiosk.

      • KCI등재

        사용성 평가를 통한 자원회수 키오스크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김아현,임지욱,홍진욱,이보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의 변화가 계속됨에 따라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형태도 변화되었다. 비대면(contactless) 서비스의 확장으로 인해 무인 서비스를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비중으로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플라스틱과 같은 자원들의 소비와 그로 인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들의 시행으로 자원회수를 위한 키오스크의 개발은 환경 보호에 있어 편리한 회수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원회수키오스크 는 다양한 업체의 다른 회수 방법과각기의 GUI 화면으로 기능과 디자인에 대한 기본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지 않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높은수거율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자원회수의 특성에 맞추어 GUI 가이드를 제안함에목적성을 두고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용 프로세스에 따라 GUI 디자인의 항목 요소를 검토하여 레이아웃, 그래픽, 컬러, 타이포그래픽, 데이터 등 5가지 요소로 정리하였으며 제시된프로세스 과정을 바탕으로 사용성을 고려해 GUI 디자인의 개념 및 사용성에 대한 평가 원칙을 수집해검증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GUI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휴리스틱 분석을 통해 "네프론", "쓰샘", "해피해빗" 키오스크를 기준으로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첫째, 사용자들은 “명확성”과 “인지성”을 선호하였다. 둘째, 3가지 자원회수키오스크의공통적인 문제점은 “데이터”와 “레이아웃”의 “효율성” - 74 - 이 낮아 현재 자원회수키오스크의 상태와 현황 등의정보를 제공받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컨텍스트 기반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사용 프로세스를 단계화하여 현재 자원회수키오스크의 GUI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을 확인하고평가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원회수키오스크 GUI 디자인사용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At the age of 19, the user's personality undergoes changes influenced by evolv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highlights the increasing role of glass service kiosks. Despite the longevity of durable plastics, their environmental impact becomes a significant concern. Addressing this, attention shifts towards recycling technologies. However, the growing diversity of recycling kiosks, coupled with varying recovery methods, leads to a lack of established guidelines for functionality and design, causing awkwardness in their implementation. The user's objective is to achieve a high collection rat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efficient services. An invention proposes a GUI guide for kiosk design based on resource functions. The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and excludes elements of GUI design aligned with kiosk users' processes. It validates concepts enhancing GUI usability, encompassing graphics, color, typography, and data within a comprehensive process system. Using this research as a foundation, guidelines for evaluating recycling kiosk GUI usability are developed. These guidelines are applied to heuristic analysis using "Nephron," "TsuSam," and "HappyHabit" kiosks as benchmarks, revealing user preferences for "clarity" and "recognizability." The study identifies persistent efficiency issues in "data" and "layout" in the three recycling kiosks, indicating challenges i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ir status and condition. As a result, the research proposes comprehensive guidelines for recycling kiosk GUI design based on resource recovery, aiming for efficient services by rigorously verifying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current GUI design for resource recovery kiosks.

      • KCI등재

        외식업체 키오스크 이용속성이 20대고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민선(Jeon, Minsun),최정아(Choi, Jeonga) 한국생활과학회 2021 한국생활과학회지 Vol.30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usage attributes affect the kiosk usage of customers in their 20s, and to provide future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kiosks by catering companies.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overall, the usage level of kiosks at fast food restaurants was very high, with many respondents choosing to use the kiosk ordering method due to the lack of other ordering methods which did not require active use. 32.6%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main advantage of kiosks was the ability to order without interacting face-to-face with employees, On the other hand 22.3%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main disadvantage of using the kiosk was the differing levels of difficulty in different kiosks’ user interfaces. The main kiosk usage attributes which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cluded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error management, system design, and service style, with all of these attribute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hold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