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왕의 남천과 익산 금마 명칭의 내력

        박찬규(Park, Chan-kyu)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본고에서는 準王의 남천과 益山 지역의 연관성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었다. 준왕의 남천에 대한 내용은 2세기 후반의 『潛夫論』에서 그 시초를 볼 수 있다. 그 뒤 『후한서』 동이전과 『삼국지』 동이전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었다. 준왕이 남천지가 어디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益山說, 公州說, 廣州 京安說, 稷山說, 洪城 金馬說, 內浦地域說, 江華島說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준왕이 남천한 곳은 현재 문헌자료상 관련 기록이 가장 많이 보이는 익산이 유력한 후보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준왕의 남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준왕은 문헌상 금마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승은 금마가 마한국이라는 인식으로 굳혀져 각종 자료에 실리게 되었다. 익산의 별칭인 금마라는 용어는 道敎式 산천제사에서 모시는 神의 이름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漢書』에 의하면 중국의 益州에 金馬와 碧鷄라는 보물이 있는데 金으로 만든 말과 碧玉으로 만든 닭이라 하였다. 이것이 神의 이름으로 쓰였고, 뒤에 상서로운 물건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益州라는 지역과 金馬라는 명칭이 대응을 이루어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고려시대에 金馬郡이 州로 승격될 때 중국에서의 익주와 금마 명칭의 조합이 본보기가 되어 명칭이 익주가 된 듯하다. 그리고 扶桑川이라는 하천과 古都里 石人像을 통해서도 이 지역의 도교적 자취를 살필 수 있었다. 익산의 부상천이라는 명칭은 扶桑日出處 신화와 箕子東來 관념이 연결되어 준왕의 남천지로 알려진 익산 지역에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부상천의 존재를 도교적 자취로 볼 때 그 대칭되는 짝으로서 금마산을 대입해 볼 수 있다. 고도리 석인상은 일반적으로 고려시대 불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풍수적 裨補信仰物로서 세웠다는 점과 牽牛織女形 설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교적 요소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익산의 도교적 자취는 金馬-益州-益山으로 이어지는 명칭의 내력을 이해하는 한 요소로 보아도 되지 않을까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outhward transfer of the capital by King Jun with Iksan area. The issue of King Jun’s transfer of the capital to the south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Qian Fu Lun (潛夫論)』in the second half of the 2nd century CE. Later, it was directly mentioned in the Section for East Barbarians (東夷傳) in 『Houhanshu 後漢書』 as well as i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志)』.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as the first Korean literature which, since then, had recorded about King Jun’s transfer of the capital to the south. There are various suggestions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re King Jun moved the capital, including the theories of Iksan (益山說), Gongju (公州說), Geyongan of Gwangju (廣州 京安說), Jiksan (稷山說), Geumma of Hongseong (洪城 金馬說), Naepo area (內浦地域說), Ganghwa Island (江華島說), etc. Among them, Iksan is said to be the most promising candidate for the site where King Jun moved the capital because the largest amount of relevant records about it are found in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King Jun was linked to Geumma in the literature regardless of whether King Jun actually moved the capital to the south. By thus, such tradition was solidified as a recognition that Geumma was a Mahan statelet and it was published as such in various materials. The origin of the name Geumma has been linked to Mahan through linguistic reasonings until now. In this paper, however, I tried to look for the origin of Geumma based solely on the literature. As a result, the term Geumma, which is a nickname of Iksan, was considered to have been derived from the name of a deity worshiped in the Taoistic memorial service for nature. According to『Hanshu (漢書)』, there were treasures such as Geumma (金馬) or horses made of gold and Byeokgye (碧鷄) or chickens made of jade in Ikju (益州), China. These were employed as names of gods, and later used as symbols of auspicious objects. Remarkably, the name Geumma (金馬) appeared here in pairs with the name Ikju (益州). For this reason, it is presum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names Geumma and Ikju in China became an example when Geumma-gun was promoted to a province in Goryeo Kingdom. In addition, the Taoist traces of this area could be examined through the stream called Busangcheon (扶桑川) and the stone statue in Godo-ri (古都里 石人像). The name Busangcheon in Iksan is believed to have appeared in the area which was known as the place where King Jun moved the capital, while the myth of “Busang is the place of sunrise (扶桑日出處)” and the concept of “Gija came to the east (箕子東來)”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Busangcheon as a Taoist trace, it would be possible to substitute Mt. Geumma as a symmetrical counterpart with it. Although the stone statue in Godo-ri is generally known as a Buddhistic statue of Goryeo Kingdom, it might also be seen to have a Taoist element in that it was constructed as a geomantic object of faith for supplementary appearance and held a Gyeonu-Jiknyeo story in it. Such Taoist trace of Iksan as this could be thought of as a factor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 name that leads to Geumma (金馬)-Ikju (益州)-Iksan (益山).

      • KCI등재

        고려 무신집권기 ‘復政于王’ 명분의 등장과 都房의 변화

        홍민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Dobang (都房) is a private group created by the military governor for their private escort and utilization. For the military regime, Dobang was their exclusive property, and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Dobang was able to survive throughout this period. Kim Jun (金俊), one of the figures who led Muojeongbyun (戊午政變), was in a position that he could be eliminated if he did not become the highest authority. Thus, he ousted YuKyeong (柳璥) and became a military governor. However, he was a person who grew up through the banner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and he was fully aware of it. Kim Jun, who is in a dilemma between military governor and the cause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eventually failed to fully regain his authority related to the Dobang, leaving room for formal mobilization by the king. This aspect continued even when Im Yeon (林衍) took power. It was a formal crack that was inflicted on the firm system of the former military governor. In the end, the justification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which appeared during the Muojeongbyun, continues to affect the military governor during the decline. Of course, it is not thought that the king at the time would have used Dobang freely, but at least formally, it was not entirely attributed to Kim Jun and Im Yeon and could be mobilized by the king. Eventually, a curve was created in the operation of the private system of the military governor. 도방은 무신 집정들이 자신들의 사적인 호위⋅활용을 위해 창설한 사병집단이다. 무신 집정에게 있어서 도방은 본인들의 전유물이었으며, 이는 도방이 무신집권기를 통틀어 존속할 수 있었던 이유의 하나이다. 무오정변을 주동한 인물 중 하나인 김준은 자신이 무신집정이 되지 않으면 도태될 우려가 있는 입장이었다. 그리하여 정변 직후 정권을 잡았던 유경을 축출하고 무신 집정이 되었다. 하지만 본인은 ‘復政于王’의 기치를 통해 성장한 인물이며, 그 스스로도 충분히 그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무신집정과 ‘復政于王’ 명분 사이의 딜레마에 놓인 김준은 결국 온전히 도방 관련 권한을 환수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는 국왕에 의해 동원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이러한 모습은 임연 집권기에도 이어졌다. 전대 최씨 무신 집정의 확고한 집권 체제에 가해졌던 형식적 균열이었다. 결국 무오정변 당시 등장했던 ‘復政于王’의 명분은 ‘쇠퇴기’의 무신 집정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물론 실제로 당시 국왕이 도방을 자유로이 활용했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지만,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온전하게 김준⋅임연에게 귀속되지 않았고 국왕에 의해 發命될 수 있었다. 결국 무신 집정의 사적 체제 운영에도 굴곡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 KCI등재

        太祖 7年(1398) ‘제1차 왕자 난’의 재검토

        한춘순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Lee Bang-won reversed situation were killed Jeong Mong-ju when Lee Seong-gye had received threats political life by King Gongyang. And he was crowned Lee Seong-gye so crucial to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built exploits. He received hospitality by King Taegjo because he was been countries in recognition of his contributions to. But he discussed with crown prince erect(세자책립) and gyekuk-gongsen(개국공신) were excluded from the debate because he had checked Hyeonbi(賢妃) coerced and suffered bullying. Lee Bang-won was Cholla-jeoljesa(전라도절제사) But he was conductor undergone stepbrother Lee Bang-beon after Jeong Do-jeon had led by military reform. His distaste for King Taegjo and Jeong Do-jeon were root cause of 'the 1st prince's rebellion'Jeong Do-jeon raised Ryodong-attackism(요동공격론) but King Taegjo stopped it have taken against of Cho Jun. Came in 7years King Taegjo is frequently serious illness. He abolished an army who was commanded bprince and royal family. Because it was threatening that he had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national stability and crowned princess issues. Lee Bang-won who an army have abolished by King Taegjo is acceptable to a secret plan of Ha Ryun. So he make opportunity to make disease severity of King Taegjo and he have been rallying allies to raise 'the 1st prince's rebellion'. Through the rebellion Lee Bang-won removed all schools of Jeong Do-jeon. He was selected first grade gyekuk-gongsen and jeongsa-gongsen(定社功臣) Since he will be left to national by the most powerful in King Jeonggjong's reign 이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李芳遠 관련 부분을 주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려 하였다. 이방원은 공양왕 2년 尹彛․李初의 獄이 발생하면서 守勢에 몰리기 시작한 李成桂의 정치적 상황을, 鄭夢周를 살해하여 一擧에 바꾸어 놓았다. 그는 태조 추대에도 결정적 역할을 하여 개국 초 태조에게 特待를 받았다. 그러나 賢妃와 外戚이 조직적으로 그를 견제하였고, 태조도 처음과는 달리 현비의 뜻을 수용하여 이방원을 동북면으로 내보냈고, 8남 李芳碩을 세자로 책립하였다. 이방원은 開國功臣에서도 배제되었다. 그는 전라도절제사였지만, 鄭道傳이 주도한 군제 개혁 후에는 李芳蕃의 휘하에 소속되어 있었다. 일련의 정치적 과정을 거치면서 추락한 태조․정도전에 대한 이방원의 반감이, 이후 전개되는 다른 상황과 맞물리면서 ‘제 1차 왕자 난’ 발생의 根因이 되었다. 遼東攻擊論은, 조선을 계속 劫迫하고 자신의 호송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명나라에 대해 정도전이 제기하였으나, 현실 문제를 거론하며 만류하는 趙浚의 견해를 수용한 태조가 그 논의를 중지시켰다. 그 후에도 이 문제로 태조가 가장 신임하는 두 사람의 대립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요동공격론은 추진될 수 없었다. 사병혁파는, 7년 들어 잦아진 重患으로 국정 안정과 세자의 繼位를 고심하고 있었던 태조가, 사병을 거느린 왕자․종친들이 오히려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전격적으로 단행한 조치였다. 그러나 사병을 혁파당하여 절박한 처지였던 이방원은, 하륜의 계책을 따라 태조의 병환이 깊어져 모든 사람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을 때를 적기로 판단하였고, 외척․무장세력․동조세력들과 연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일으켰다. 그는 정도전 일파를 완전히 제거하고, 李芳果를 세자로 추대하여 명분과 실리를 다 얻었으며, 開國․定社 1등 공신에도 冊錄되었다. 압도적 위상을 확보한 그는 정종 대 국정을 좌우하게 된다.

      • KCI등재

        정조 후반 순조 초반 정치세력과 정국의 동향 - 정조 16년(1792)~순조 6년(1806)을 중심으로 -

        김정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50 No.-

        정조는 12년에 노·소론, 남인 중에서 삼정승을 임명하는 탕평을 이루었고, 13년에는 수원에 사도세자의 묘를 遷園하였으며, 14년에 新邑을 조성하였고, 같은 해에 王子를 낳았다. 왕실의 후사문제가 안정된 후, 사도세자 신원상소가 다시 올라왔다. 정조 16년 영남남인의 萬人疏와 소론의 南學疏였다. 앞서 정조는 즉위년인 병신년에 소론과 남인의 ‘사도세자 신원상소사건’이 일어나자 그들에게 ‘丙申處分’을 내리고, 『명의록』을 간행한 일이 있었다. 정조는 ‘壬子處分’으로 과거의 사건들이 왕위계승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아닌 ‘壬午禍變’까지 연관된 문제라고 밝혔다. 이는 즉위년에 노·소론, 남인세력의 정치적 사안을 대립시켜서 해결했던 ‘以熱治熱’하여 ‘兩治兩解’한 방식의 政局運用術이었다. 정조 17년 정조는 영조 연간의 ‘辛壬義理’를 붙잡고 있던 노론과 소론세력에게 ‘임오화변’의 ‘壬午義理’와 『명의록』의 의리가 일맥상통한다는 동의와 공감을 요구하였다. 그러면서 앞선 사건들에 연루되어 몰락했던 가문과 인물들에 대한 대대적인 赦免令을 내렸고, 정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疏通시켜 주었다. 노·소론세력 내에서는 정조의 의도에 강력히 반발하는 세력과 수긍하는 세력이 나뉘었고, 남인 채제공이 영조의 의중을 담은 『금등』을 내보이자 일단락되었다. 한편 정조의 최측근이었던 소론 鄭東浚 등이 도리어 정조에게 반대하는 세력으로써 처벌을 받았다. 정조 19년 화성에 행차하여 혜경궁 홍씨의 환갑잔치를 마친 후, 20년에 소론 성덕우·정호인이 노론 외척 홍수영·홍낙임과 관련되었다는 혐의로 처벌을 받았다. 정조의 정국운용방식은 戚臣·家門·親分·혈연·학연 등으로 복잡하게 맞물려있던 각각의 정치세력들과 정치적 사건들에 대해 같은 색목과 당파, 집안·형제·부자지간을 ‘以水治熱’의 방식으로 모조리 처분하지 않고, ‘이열치열’의 방식으로 나누어 처분함으로써 世臣과 世家를 보호하며, 調停하고 진정시켰던 것이었다. 그러나 6월 정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僻派政權이 형성되었다. 순조 1년 벽파정권은 노론 외척 풍산 홍씨 세력, 종친 은언군과 노·소론, 남인 내 추숭 세력 중 서유린·심노숭·윤행임 등과 정동준세력에 대해서 西學을 빌미로 한 ‘辛酉迫害’ 또는 ‘辛酉獄事’를 일으켜서 토죄·징토를 단행하였다. 순조 3년 정순왕후의 철렴 이후, 새로운 외척세력이 된 안동 김문 김조순 집안과 노론 시파 영의정 이병모와 소론 이시수 등이 연합하여 벽파정권에 대한 반격을 도모하였다. 순조 4년 순조의 국혼을 방해한 혐의로 金觀柱와 鄭日煥의 사주를 받은 권유가 대역부도죄로 심문을 받았다. 순조 5년 ‘김달순 사건’은 순조 6년(1806) ‘丙寅更化’로 이어져서 벽파정권을 몰락에 이르게 하였다. 이로써 순조 초반 벽파정권에 참여한 세력에 대한 토죄·징토의 처분과 폐고되었던 세력의 정계진출과 신원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In his 12th year in the throne, King Jeongjo appointed individuals from three different parties(Noron, Soron, Namin) to the seat of the Three Ministers. In the next year he moved the grave of his father(the late Crown prince Sado) to the Suweon area, built a new town around it the year after that, and had a son in the same year. With the issue concerning his successor finally resolved, appeals requesting the restoration of Sado’s honor began to be submitted again to the king.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requests were the Manin-so(萬人疏) appeal submitted from the Yeongnam region’s Namin figures in the 16th year of Jeongjo’s reign, and the Namhak-so(南學疏) appeal raised by the Soron faction members the same year. In the past, immediately after Jeongjo’s enthronement(the Byeongshin-year), a political controversy had formed when Soron and Namin figures submitted relatively same requests, and king Jeongjo had to punish them with charges that they hurt the king’s leadership as well as its stability it should maintain. The punishment was called ‘the Ruling of the Byeongshin-year(Byeongshin Cheobun, 丙申處分)’ and a Myeong’eui-rok annal was published. In his 16th year, The punishment was called ‘the Ruling of the Imja-year(Imja Cheobun, 壬子處分)’, Jeongjo wanted to clarify that the said incident was not caused by the enthronement itself, and was a controversy whose seeds were actually sown during the “Purge of the Imo-year(Imo Hwabyeon, 壬午禍變).” This was essentially an intentional act of putting Noron figures and Soron figures at odds with each other, thus enabling to king to control them both and maintain order in the government. A quintessential display of leadership based upon the strategy of “Controling fire with fire” or “Managing both, and resolving both.” In his 17th year, Jeongjo demanded that Noron and Soron members – who were still clinging on to the Cause of the Shin/Im years(辛壬義理) - should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Cause of the Imo-year(壬午義理) and the goal of Myeong’eui-rok indeed shared the same sentiment and goals. He also issued a wide pardon for all the individuals and houses that had fallen after being implicated in the aforementioned political incidents, and gave them permission to apply for a seat inside the government. Members of both Noron and Soron parties were divided, between a group which strongly opposed Jeongjo’s such stance, and a group which recognized its sincerity. Chae Je-gong, who was from the Southerner party revealed the Geumdeung text which supposedly contained former king Yeongjo’s intentions, and that was when the controversy began to tone down. Meanwhile, Jeong Dong-jun(鄭東浚), who was from the Soron party and was also one of Jeongjo’s most trusted advisors, was punished for opposing Jeongjo’s agenda too strongly. In his 19th year, Jeongjo traveled to Hwaseong, attended a banquet commemorating his mother’s 60th birthday, and the next year punished Soron figures Seong Deog-wu and Jeong Ho-in for being affiliated with Hong Su-yeong and Hong Nag-im, who were Noron figures as well as in-laws to the royal family. This kind of a political maneuver was facing an arena which was filled with all kind of peopl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friendship, kinship and clans, academic partnership, and political sharing of fates. In order to navigate through all them, he had to develop and nurture new political factions through which he could exact his own leadership. Yet Jeongjo died in June that year, and when Queen Jeongsun began to oversee the government, changes continued. In the first year of King Sunjo’s reign, the Byeok-pa sect engineered a purge, and expelled the Southerner members claiming they embraced Western (Christian, 西學) studies in the “Shin’yu-year purge(‘辛酉迫害’),” and drove out the Pungsan Hong House (an in-law house, aligned with the Noron party) as well as Eun’e...

      • KCI등재후보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정재훈 ( Jae Hoon J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5 No.-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 1499~1572)은 16세기 중반인 명종~선조 연간의 대표적인 재상이다. 이 시기는 훈구와 사림의 정치적 교체기로서 이후 300여 년의 조선 역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이러한 격변기를 살았던 이준경은 그의 정치활동과 정치사상을 통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니는 인물이다. 첫째, 이준경은 중종대부터 선조 초반까지 오랜 관직생활을 통해 청렴한 관직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던 점, 그래서 사후에도 청렴한 재상으로 일컬어질 수 있었던 것은 훈구와 척신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개인이 쌓은 성취가 매우 높았던 점을 돋보인다. 둘째로 명종 때에 일어난 을묘왜변을 성공적으로 다스린 점은 문과 무를 겸비한 탁월한 능력을 보여준 것이었다. 북방의 야인을 초무한 경험까지 더하여 국방에 대한 많은 대책을 제시한 점, 비변사를 상설기구화하는 데에 기여한 점은 문무겸전과 행정능력에서 이준경의 기여가 매우 현저하였음을 보여준다. 셋째로 명종 사후에 선조로 이어지는 승계과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점이다. 당대까지의 조선 역사에서 국왕의 사망 당시에 후계가 정해지지 않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큰 소란 없이 국왕의 승계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데에는 고명대신으로서 이준경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넷째로 무엇보다 이준경은 새로운 시대, 즉 이전까지의 구시대를 마감하고 사림의 시대를 여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훈구와 사림의 교체기였던 명종 후반과 선조 초반의 시기는 구시대의 질서가 아직 청산되지 않은 시기였다. 과거의 척신, 훈신과 연관되어 있던 인물들과 새로운 시대를 갈망하는 신진의 사류들이 뒤섞이어 혼란하던 시기에 필요한 것은 혁명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이었다. 이러한 점진적인 개혁에서 필요한 점은 국왕과 대신, 신진의 사류까지 포함하여 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선의 정책이었다. 이 과정에서 모두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래서 비방도 없을 수 없었다. 이준경이 태어나고 주로 살았던 시대는 조선전기의 모순이 극대화되었던 시기였고, 그 때문에 대안을 찾는 데에 더욱 갈증이 컸던 시기였다. 그래서 이준경이 제시한 방법은 그 갈증을 모두 채우기에는 부족했을지는 몰라도 다음시대를 위해 거쳐 가야 할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DongGo Lee, Jun-Gyoung was the prime-minister in Myeongjong and Seonjo. This period was the important time between the two rival(Hungupa aad Sarimpa) that has been going during the transition. In this time,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Lee, Jun-Gyoung are listed below. First, Lee, Jun-Gyoung was a man of the cleanest integrity from Jungjong to Seonjo. So He was selected as clean government employee after his death. Second, Lee, Jun-Gyoung was proficient in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when the Eulmyowaebyeon broke out. And he suggested a creative method countermeasures against national defense. Third, Lee, Jun-Gyoung had been responsible for managing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Myeongjong to Seonjo. When Myeongjong died, there was no crown prince. So when the situation was critical, Lee, Jun-Gyoung played an important role. Fourth, Lee, Jun-Gyoung had finished the old days, and made the new age(the period of Sarim). In late Myeongjong and early Seonjo, the old and new element was mixed. So it was necessary evolution than revolution. He performed his proper roles in history.

      • KCI등재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의 산문(散文) 시탐(試探)

        정시열 ( Jeong Si-youl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본고는 금계 황준량의 산문 가운데 특정 사안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밝힌 6편을 분석한 글이다. 황준량은 16세기 영남의 유학자로서 퇴계학파의 중심인물이었다. 퇴계 이황은 그의 시문에 대해 문장이 시보다 뛰어나며, 논사가 명쾌하고 훌륭하다는 평을 내렸다. 금계의 문장이 많은 찬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산문에 대한 연구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그의 사상과 신념의 일단을 보여 주는 글, 6편을 선정해서 대도와 권도, 근본과 기강, 설득과 논리라는 세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고찰했다. 이들 작품은 역사와 내치에 대한 작자의 관점과 유학자이자 목민관으로서의 자세를 명쾌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금계의 산문을 대표한다. 금계는 47세로 죽기까지 20여 년간 관직에 몸담았기에 그의 산문 대부분은 관직 생활 중에 쓰여졌다. 그런 까닭으로 인해 국가의 안위, 민생의 안정에 대해 관료로서 우려를 표하고, 조정에 정책적 결단을 촉구하는 성격의 글이 상당수 있는데, 특히 본고의 논의 대상인 6편의 글에서 이러한 성향이 잘 나타난다. 이 6편을 문체별로 분류해 보면, 일관된 논리로 어떤 사실의 시비곡직을 논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논변류가 3편, 의론과 서사를 위주로 해서 인물의 행적이나 사물의 양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주장하는 서발류가 1편,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특정 사안에 대해 계책을 올리는 주소류가 2편이다. 금계는 유학자이자 관료로서 사리사욕이나 당리당략이 아닌 국가와 민생을 우선적으로 생각했다. 그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감당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권도를 주장하기도 했으며, 위기 상황을 앞에 둔군주의 처신과 불교의 횡행으로 인한 폐단에 대해서도 논했다. 금계는 역사와 학문의 근본을 중시한 인물이었다. 그는 군주를 보필하는 신하로서의 직분과 백성을 다스리는 목민관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자는 마음가짐을 글로 담아내기도 했는데, 보편타당한 논리로 상대를 설득하는 문체에서 그의 충정을 읽을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prose works by Geumgye Hwang Jun-Ryang, of which six reflective writings that well express the author’s view points. This study refers to writings in which the writer discusses specific issues and expresses his thoughts as “reflective writing.” Hwang Jun-ryang was a Confucian scholar from the Yeongnam region and a key figure of the Toegye School during the Joseon Dynasty. Of Hwang Jun-ryang’s poems, Toegye Lee Hwang evaluated Hwang wrote prose better than poems and his reflective writings were clear and excellent. Focusing on the fact that in spite of his prose works being highly praised, there lacked research on Hwang’s prose, this study examines six writings that show aspects of Hwang Jun-ryang’s ideology and conviction. Of Hwang Jun-ryang’s prose works, this study selected three writings on history and politics each; analyzed in three aspects: greater concept and political expediency, basis and discipline, and persuasion and reasoning, and examined their meanings. Until he died at the age of 47, Hwang Jun-ryang worked as government official for some 20 years, so most of his prose works were written during his career. The influence showed his concerns for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tability as a bureaucrat as well as his writings prompting policy decision to the Court. Six writings, the subject of this study, show well such tendencies. When categorized by writing style, 「Seokmyeonbansangboknon」, 「Sahoyumubyeon」 and 「Gyunjeoneui」 belong to the reflective writing type, in which the author discusses the right and the wrong through consistent reasoning while proposing his opinions. 「 Seosonggojongchinjeongjohu」 belongs to the prologue/epilogue type, in which the author, focusing on debate and narration, subjectively describes and argues about a character’s whereabouts or conditions of an object. 「Danyangjinpyeso」 and 「 Cheonghyeokyangjongso」 belong to the written statement type, in which the royal subject delivers his thoughts and schemes on specific issues to the King.

      • KCI등재

        한국 고대사상의 익산 문화권

        김정배(Kim, Jung-Bae)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익산지역은 한국 고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청동기 및 고조선사와 연결되면서 백제 역사의 첫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익산 지역은 고조선 준왕의 남래를 통해 한왕을 자처한 고조선 준왕의 도읍이자, 준왕을 계승한 마한의 도읍 그리고 백제무왕에 의한 백제 중흥의 터전이었다. 또한 고구려 유민에 의한 고구려 부흥의 땅으로 자리하였으며 후백제 견훤에 의해 새롭게 백제 역사의 중심으로 다시금 부각되었다. 익산 지역은 준왕의 남래와 연결된 마한 즉, 삼한 역사의 시작과 연결됨으로써 삼한 정통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전통과 역사 자원은 익산의 역사문화적 위상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한국 고대사의 또 다른 중심축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와 문화 전통은 익산이 최근 추진하고 있는 백제 古都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의 명분과 내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익산의 역사와 문화전통은 새로운 미래를 위한 역사의 교훈과 지혜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ksan cultural area that has importance in ancient Korean thought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bronze and the history of Kojos?n and thus can be said to have constituted a part of the foundation of Paekche. Not only was the Iksan area the place designated as capital of Kojos?n by King Jun after his having moved southward, but was the capital of Mahan and the basis for the restoration efforts by King Mu of Paekche. Furthermore the area was the place where the displaced people of Kogury? tried to revive their kingdom and later became the center of the history of Paekche by Ky?nhw?n of Hubaekche. The Iksan area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mhanj?ngt’ongnon with its connection to Mahan that was related to King Jun’s southward movement, namely its connection to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the Samhan. Not only do the long tradition and historical sources represent the particularly important place Iksan occupi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but show that the area was one of the center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of Iksan makes the ancient capital more than qualified to be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by the UNESCO. Moreover they will provide us with historical lessons and wisdom for a bright future.

      • KCI등재

        14세기 형정 개혁의 시도와 「신률」의 편찬

        김인호(Kim, In-ho) 포은학회 2022 포은학연구 Vol.29 No.1

        14세기 법전 편찬의 필요성은 제도 개혁과 함께 커지고 있었다. 고려왕조는 공식적 법전이 없으며, 국왕의 명령과 정부의 결정이 법률적 효력을 지녔다. 고려전기 식목도감은 법조문을 보관하고 필요에 의해 열람, 참조하였지만, 무신정변 이후에 이 기능이 사라졌다. 원은 고려왕조에 대해 형정 개혁을 요구하였다. 정동행성의 활리길사는 고려의 노비법을 바꾸려 하였으며, 자의적인 형벌에 대한 개혁을 요구하였다. 이후 공민왕은 남발되는 형벌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지방의 경우는 형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거나, 지방관에게 맡겨져 있었기에, 표준화한 형벌 적용이 어려웠다. 아울러 형정을 맡은 지방관의 자질 함양이 중요해졌다. 또한 토지, 노비와 관련된 재판이 증가하면서 권력에 의한 사법 왜곡이 심각하였다. 고려 정부는 개인적인 사법 처리를 금지하는 한편, 전민에 대한 분쟁은 전민추정도감과 같은 전문 기관을 두어 처리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공민왕은 판도사와 도관에게 소송 업무를 위임하고, 전법사는 형정에만 전념하도록 조치하였다. 하지만 이 방안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였다. 한편 이곡과 같은 지식인은 고려에 대한 원률 적용을 고민하였다. 일부 관료는 원의 법전을 그대로 적용하면서, 형정의 자의성과 왜곡, 그리고 고려법과 충돌하였다. 이곡은 원 법률의 적용에 대해 이를 활용하는 인간의 문제를 중시하였다. 이후 김지는 『주례』에 입각한 6전 체제에 따른 『주관육익』을 편찬하였다. 그의 6전 체제는 이후 조준과 같은 급진개혁파의 법전 편찬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그는 책을 모은 만권당을 서재로 활용하였는데, 이런 곳에 원의 법전 등이 수장되어 있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지정조격』의 경우는 이처럼 고려에 있던 책을 세종대에 발간했을 것이다. 형정 개혁의 중요한 기점은 우왕대 『지정조격』의 사용이다. 형벌 체계는 원과 같이 7단위로 부과되었으며, 『지정조격』은 판례집이기에 고려의 법전 편찬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조준 등은 형전 편찬을 시도하도록 하면서 『대명률』을 사용하려 하였다. 하지만 1392년 정몽주는 「신률」을 편찬하면서, 『대명률』, 『지정조격』, 기존 고려 법을 참작하여 만들었다. 「신률」 편찬은 정몽주가 대표자였을 것이며, 이첨 등이 참여하였다. 「신률」은 『대명률』을 따라 6전에 따라 분류체계를 만들었으며, 이는 고려말 이래 형정 개혁의 결정판이다. 「신률」은 조선왕조에서 만든 『경제육전』 형전으로 계승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위상이 있다. In the 14th century, the need for codification was growing. There was no official law code. The king’s orders and government decisions have legal effect. Sikmokdogam(式目都監)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an institution dealing with laws, but it did not function properly after 1170. The Won dynasty asked the Goryeo dynasty to reform punishment. Jondonghansung(征東行省)’s Haligilsa(闊里吉思) tried to reform the pun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Since then, King Gongmin(恭愍) has worked to reduce the punishment for abuse. In particular, in the provinces, punishments were freely given or left to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rials against land and slaves increased, judicial administration became difficult. The Goryeo dynasty personally forbade legal processing. And the Goryeo dynasty tried to handle litigation by having a specialized agency. The judge in charge of the law was to take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punishment. Intellectuals were concerned about accepting the laws of the Won dynasty into the Goryeo dynasty. Kim Ji(金祉) wrote Jukanyukek(周官六翼), which classified the six war systems. He helped radical reformers like Cho Jun(趙浚).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reform was the use of King Uwi(禑)’s Jijungjokuk. Like the Won dynasty, the punishment system consisted of 7 units. As Jijungjokuk is a collection of precedents, it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the Code of Laws of the Goryeo Dynasty. Cho Jun tried to use Daemungul. However, in 1392, Chung Mong-ju(鄭夢周) compiled Shinrul(新律), using the original code of law. As for Shinrul, Chung Mong-ju is the representative writer, and Lee jown and others participated as writers. Shinrul created a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6th War. This is the definitive version of punishment reform since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Shinrul may have been handed down to Gungjaeukjon(經濟六典), which was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14세기 형정 개혁의 시도와 「신률」의 편찬

        김인호 포은학회 2022 포은학연구 Vol.29 No.-

        In the 14th century, the need for codification was growing. There was no official law code. The king’s orders and government decisions have legal effect. Sikmokdogam(式目都監)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as an institution dealing with laws, but it did not function properly after 1170. The Won dynasty asked the Goryeo dynasty to reform punishment. Jondonghansung(征東行省)’s Haligilsa(闊里吉思) tried to reform the pun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Since then, King Gongmin(恭愍) has worked to reduce the punishment for abuse. In particular, in the provinces, punishments were freely given or left to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rials against land and slaves increased, judicial administration became difficult. The Goryeo dynasty personally forbade legal processing. And the Goryeo dynasty tried to handle litigation by having a specialized agency. The judge in charge of the law was to take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punishment. Intellectuals were concerned about accepting the laws of the Won dynasty into the Goryeo dynasty. Kim Ji(金祉) wrote Jukanyukek(周官六翼), which classified the six war systems. He helped radical reformers like Cho Jun(趙浚).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reform was the use of King Uwi(禑)’s Jijungjokuk. Like the Won dynasty, the punishment system consisted of 7 units. As Jijungjokuk is a collection of precedents, it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the Code of Laws of the Goryeo Dynasty. Cho Jun tried to use Daemungul. However, in 1392, Chung Mong-ju(鄭夢周) compiled Shinrul(新律), using the original code of law. As for Shinrul, Chung Mong-ju is the representative writer, and Lee jown and others participated as writers. Shinrul created a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6th War. This is the definitive version of punishment reform since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Shinrul may have been handed down to Gungjaeukjon(經濟六典), which was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기원전 2세기 古朝鮮 準王의 南來와 益山

        송호정(Song Ho 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본 연구는 『삼국지(三國志)』 및 『후한서(後漢書)』 등에 보이는 기원전 2세기 초 고조선 준왕(準王)이 ‘한(韓)’ 지역(=馬韓)으로 내려왔다는 기사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준왕이 내려 온 지역은 고려시대 이래 전통적인 견해에 따라 익산(益山)으로 파악하였다. 기원전 3~2세기경 후기 청동기문화가 한반도 서북지방과 금강~만경강 유역에서 유사하게 번성한 점은 문헌 기록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작성하면서 크게 두 가지 사실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고조선 준왕이 한강 이남의 한(韓) 지역에 내려오면서부터 처음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었다면, 두 지역은 동일한 청동기문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조사된 고고 자료에 대한 고찰 결과 한반도 서북지방의 후기 청동기문화(=준왕 단계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가장 유사한 청동기 문화가 집중하는 곳은 전라북도 익산(益山) 지역이었고, 그 지역이 바로 준왕이 내려온 곳이었음을 설명하였다. 다른 하나는 진국(辰國)의 위치 문제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강 이남에서 금강 이북에는 ‘진국(辰國)’ 또는 ‘중국(衆國)’이 존재하고, 금강 이남 지역은 ‘한(韓)’으로 불렸으며, 이 지역에 준왕이 내려온 것으로 보았었다. 이에 대해 본고는 금강 이북에서는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이지만 특별한 고고 자료가 조사되지 않아 특별한 정치체를 비정하기 어렵다고 보았고, 오히려 금강~만경강 일대에 걸쳐 진국(辰國)이 위치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 지역에 준왕이 내려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분명 고조선 준왕의 남쪽 이주는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선진적인 금속문화의 경험을 일찍 할 수 있게 하였고, 그것이 바탕이 되어 삼한(三韓) 사회가 열리는 기본 배경이 되었으며, 마한(馬韓)의 진왕(辰王)을 중심으로 한(韓) 연맹체 사회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rust in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Book of the Later Han’ mention that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MAH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With the traditional view from the GORYEO Dynasty, it appears that he went down to IKSAN. Meanwhile, during the 3rd and 2nd centuries th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s thriving as the basins around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which seems to substantiate literature records. The autho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that the bronze ware cultures of the two regions might have in common if King JUN of GOJOSEON went down to the HAN region and first formed a union. So far,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showed that the late bronze ware culture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of GOJOSEON at the time of King JUN) was most similar to that of IKSAN, whereto King JUN went down. The other is the problem of the kingdom called ‘JIN.’ Many scholars have viewed that a kingdom named ‘JIN’ or ‘JUNG’ was located in the north of GEUM River, and that the south of the river was called the HAN region and the king went down there. In the author’s opin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ment on a specific political body because at least for now there has been no archaeological material that could be evidence in the north of GEUM River. Instead, the author’s argumentum is that the JIN Kingdom was more likely to be located along GEUM River and MANGYOUNG River, and moreover it was highly likely that King JUN went down to the region. Evidently, the transfer of King JUN enabled the early spread of advanced metalwork to the sou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refore led to the opening of the Three HANs and the consequent HAN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