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해주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 리더십 연구

        양명호(Yang Myeong-Ho) 국방정신전력원 2016 정신전력연구 Vol.0 No.47

        이 연구의 목적은 연해주 일대에서 항일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던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에 대해 고찰하여 후손들의 귀감을 삼고자 하는데 있다. 수많은 항일독립운동가 중 김경천 장군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걸어간 인생역정이 특이하고, 리더십이 탁월하여 연구의 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김경천 장군의 육필일기 『경천아일록』과 당시언론발표자료, 러시아 정보해제 자료와 선행연구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세 가지 유형은 동행 리더십(follow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이다. 첫째, 동행 리더십(follow leadership)은 그가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시절 나폴레옹을 추종모델로 삼고 그와 같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고 행동한 데서 찾을 수 있었다. 그것은 나폴레옹의 리더십에 대한 동행 리더십이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은 1919년 만주망명시절 그가 보여준 리더십이었는데, 그는 자기보다 3년 후배인 지청천 수하에서 신흥무관학교 교관을 하였다. 지청천은 신흥무관학교 교장 다음의 직급까지 올랐다. 김경천 장군은 오직 조국독립에 전념한 나머지 일신상 영달이나 직위를 탐하지 않았던 것이다. 셋째,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은 그가 연해주 일대에서 백마를 타고 호령하며 일본군과 마적 퇴치에 앞장섰던 시절 그가 보여준 리더십이었다.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은 오늘날 우리 군이 지향하는 리더십의 모델로 삼을 만한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의 혁혁한 공은 당시 소련과 북한 정권으로부터 철저히 유린당하였고, 왜곡되었으며, 이름마저 도용당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 후손들은 김경천 장군의 이름과 리더십을 재평가하고 본받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bout the leadership of General Kim Gyeong-Cheon who acted as an anti-Japanese activist in the Maritime province and to give inspiration to the future generation. The reason why choose General Kim Gyeong-Cheon among numerous anti-Japanese activists is because of his life had shown unusual and outstanding leadership with high worth of studyi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literatures review of the handwritten diary of General Kim Gyeong-Cheon 『Kyeong-Cheon-A-ILOK』, press presentations, data released by the Russian information, and NIS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study, General Kim Gyeong-Cheon`s leadership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the follow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charisma leadership. First, the follow leadership can be found in a way that one stating and I hope to be like him. General Kim studied about Napoleon at the Japanese Imperial Army Academy and wished to be like him. It was the follow leadership of Napoleon`s Leadership. Second, servant leadership is the leadership that he showed during the Manchuria exile in 1919. He was an independent school instructor of Gee Cheong-Cheon who was three years younger than him. In the next ranks, Gee Cheong-Cheon was the principal of Shinhung Military school. He did not take any rest for himself and spent his time with dedicated position for the homeland"s independence. Third, the charisma leadership was shown in the Maritime province where he played leading roles in the fight against the bandits and Japanese military. The leadership of General Kim Gyeong-Cheon can be a good example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leadership. Unfortunately, his distinguished merits were completely devastated by the Soviet regime. His roles were distorted and even his name was stolen. Thus, this paper argues that our generation as well as future generations must look up to the General Kim Gyeong-Cheon`s leadership and reevaluate it.

      • KCI등재

        조선후기 김경서 현창의 추이와 당대사적 의미

        장정수(張禎洙)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Explored in this article is how Vice Commander(Bu-Weonsu) Kim Gyeong-seo, who joined the Shimha war only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and later died in Hu-Geum, was commemorated posthumously, and why. At the Shimhar war, many Joseon soldiers were either killed or captured. However, while the former were hailed as loyal victims and commemorated in the name of loyalty and dignity[忠節], the latter were condemned as traitors[逆節]. Case of Kim Gyeong-seo belonged to the latter, as he was criticized –along with Do-Weonsu(Supreme commander) Kang Hong-rib- just for the reason that he was captured. Compared to the ongoing praise of Kim Eung-ha who was known to have valiantly struggled and then got killed, the evaluation of Kim Gyeong-seo was quite harsh. Then, later the fact that Kim Gyeong-seo was actually killed by Hu-Geum was revealed and disclosed to the public, so his honor was reinstated along with his earlier position, and a new title was even bestowed posthumously. It seemed like his name was being finally cleared from that of a ‘surrenderer.’ Yet in reality, for quite some time, his reputation remained somewhat murky, between ‘loyal’ and ‘disloyal,’ as there was an opinion –supported by many- which believed while his case certainly merited a sympathetic reevaluation, the fact that he surrendered could not be ignored.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sense of obligation to ‘honor the true master race(in this case, the Chinese Ming dynasty)’ began to form rather dominantly, and a new effort to commemorate Kim Gyeong-seo was initiated. He was hailed as a “Loyal vassal,” and in the 19th century he was even cited as a symbol to propagate an agenda of the time, which was to ‘uphold a righteous cause,’ commemorating Ming. In the process of his being reevaluated and newly honored, the evaluation of Gang Hong-rib, who was known to have surrendered to Hu-Geum with Kim, deteriorated. Gang’s surrender was defined as an act following former king Gwang’hae-gun’s secret order, and the Shimha battle was redefined as a battle that cost many lives in the name of honoring the true legitimate (Ming) dynasty. Such definitions were meant to strengthen Joseon’s new identity as the bearer of the Sino-centric traditions, while the dynasty itself was being forced to serve the ‘barbaric’ Qing.

      • KCI등재후보

        연해주 항일독립운동가 김경천 장군 리더십 연구

        양명호,박갑룡 한국보훈학회 2017 한국보훈논총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bout the leadership of General Kim Gyeong-Cheon’s who acted as anti-Japanese activist in the maritime and to give inspiration to the future generations. I chose General Kim Gyeong-Cheon for the numerous anti-Japanese activists because his life story had been unusual and outstanding leadership and the high worth of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s were reviewed literatures as a handwritten diary of General Kim Gyeong-Cheon 『Kyeong-Cheon-A-ILOK』, the press presentation, the Russian information released data, and NIS materials. As a result, The leadership of General Kim Gyeong-Che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the following leadership,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charismatic leadership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irst, the following leadership could be found in his passion for Napoleon as a role model while he was studying in a Napoleonic at the Japanese Imperial Army Academy as a follow-up model. It was the following leadership of Napoleon’s Leadership. Second, the servant leadership is the leadership he showed Manchuria exile in 1919. He was a independent school instructors of Gee Cheong-Cheon who was three years younger than him. In the next ranks, Gee Cheong-Cheon was the principal of Shinhung Military school. He did not take any rest for himself and spent dedicated position for homeland’s independence. Third, the charismatic leadership which was one unde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iding a white horse, he showed yelling and leading in the fight against the bandits and Japanese military. The leadership of General Kim Gyeong-Cheon is a good example which can adopted by South Korean military leadership as a role model for today. Unfortunately, his illustrious merits were completely devastated by the Soviet regime, they were distorted, and even the name was stolen. Therefore, today's descendants will have to reevaluate and look up to the name of general Kim Gyeong-Cheon and his leader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연해주 일대에서 항일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던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에 대해 고찰하여 후손들의 귀감을 삼고자 하는데 있다. 수많은 항일독립운동가 중 김경천 장군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걸어간 인생역정이 특이하고, 리더십이 탁월하여 연구의 가치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김경천 장군의 육필일기 『경천아일록』과 당시 언론발표자료, 러시아 정보해제 자료와 선행연구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세 가지 유형은 동행 리더십(Follow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이다. 첫째, 동행 리더십(Follow leadership)은 그가 일본육군사관학교에 유학시절 나폴레옹을 추종모델로 삼고 그와 같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고 행동한 데서 찾을 수 있었다. 그것은 나폴레옹의 리더십에 대한 동행 리더십이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은 1919년 만주망명시절 그가 보여준 리더십이었는데, 그는 자기보다 3년 후배인 지청천 수하에서 신흥무관학교 교관을 하였다. 지청천은 신흥무관학교 교장 다음의 직급까지 올랐다. 김경천 장군은 오직 조국독립에 전념한 나머지 일신상 영달이나 직위를 탐하지 않았던 것이다. 셋째,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은 그가 연해주 일대에서 백마를 타고 호령하며 일본군과 마적 퇴치에 앞장섰던 시절 그가 보여준 리더십이었다. 김경천 장군의 리더십은 오늘날 우리 군이 지향하는 리더십의 모델로 삼을만한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의 혁혁한 공은 당시 소련과 북한 정권으로부터 철저히 유린당하였고, 왜곡되었으며, 이름마저 도용당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 후손들은 김경천 장군의 이름과 리더십을 재평가하고 본받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행문학(使行文學) 초기 자료의 쓰기 관습과 내용적 성격 -인재(?齋) 최현(崔晛)의 『조천일록(朝天日錄)』을 중심으로-

        조규익 ( Cho Kyu-ic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2 No.-

        여타 사행록들과 달리 최현의 『조천일록』은 사적인 기록과 공적인 기록을 함께 포괄하고 있다. 6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권1에 서계(書啓)(附 聞見事件 逐日附日錄)가 덧붙어 있고, 권6에 각종 정문들과 장계가 실려 있다. 물상들에 대하여 열린 관점을 갖고 있던 그는 사일기(私日記)와 공적인 기록으로 나누어 기록 안에서 목소리를 약간씩 다르게 처리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사`와 `공`을 나누었다 하여 글쓰기의 면에서 양자가 크게 변별되는 것은 아니다. 사적인 글쓰기가 주로 노정을 위주로 약간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글쓰기였다면, 물상들의 제도적인 측면을 상세히 탐사하여 기록함으로써 나라의 이익에 기여하고자 한 것이 바로 `공적인` 글쓰기였다. 최현은 기록의 순간에 임할 때마다 사실 묘사나 기술에 충실해야 하고 고도로 상세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그러한 결과는 사명에 충실해야 한다는 공인으로서의 자세로부터 나온 것일 수 있으나, 사실은 당대의 지식인 관료 최현 스스로 갖고 있던 현실인식이나 견문을 국가 정책에 반영하여 합리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의 소산이었을 것이다. 최현이 『조천일록』에서 보여준 글쓰기의 두드러진 장점은 시각적 이미지를 적절히 사용하여 견문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성의 효과를 거둔 점, 상세한 탐문을 통해 스쳐 지나가는 `견문`으로는 쉽게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상세하게 기록해 놓은 점 등이다. 양자 모두 사명을 수행하는 공인의 자세로부터 나온 결과였다. 단순히 정보의 기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나라가 바탕으로 삼고 있던 이념적 색채까지 노출함으로써 범상치 않은 글쓰기의 일면을 보여주었다. 학계의 주된 연구대상인 김창업·홍대용·서유문·박지원·김경선 등 17~19세기 사행록의 흐름에서 시기 상 가장 앞자리를 차지하는 동시에 독특한 글쓰기의 양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최현의 『조천일록』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Unlike the other travel logs by envoys to Beijing, Choe Hyun`s Jocheon Ilrok contains private diaries and public records together. It is divided into 6 parts. There is Seo gye(書啓) in the volume 1, various kinds of Jeong moon(呈文) and Jang gye(狀啓). He was able to treat voices in the text a little differently dividing into private diary and public report, owing to his open viewpoint. However, although he succeeded to divide it into private and public, we can`t say the two are distinguished clearly. The private was the writing style to think over emotional side giving the first consideration to itinerary, but the public writing was for the dynasty`s interest with exploring and recording the institutional side. Whenever he faced up to recording chance, he was likely to have an obsession to be faithful and minutely to descript facts. It came out of the attitude of public figure, but we can imagine it was a result of his recognition about reality or his desire to reflect the observation in dynasty`s development. The outstanding and strong point of his writing Jocheon Ilrok is that he succeed to obtain the effects of concreteness in explain about his observation using visual images appropriately. The second strong point is to record the rare information that is impossible to obtain with slight seeing and listening. It was a result from the public figure`s posture to accomplish his mission. It can`t be finished only with recording information. He showed a side of the uncommon writing skill with enclosing his ideological colour for national foundation. Like this, his Jocheon Ilrok the first step`s work in the history of travel log to Beijing by Kim, Chang-Up, Hong, Dae-Yong, Seo, Yu-Moon, Pak, Ji-Won, and Kim, Gyeong-Seon can be made an object of criticism as an example to show a unique writing style.

      • KCI등재

        이시항의 삶을 통해 본 서북지역 엘리트의 ‘미시사적’ 이해

        남호현(Nam Ho-hyun) 한국역사연구회 2017 역사와 현실 Vol.- No.105

        This article is a critical analysis of Sun Joo Kim’s book, Voice from the North: Resurrecting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life and work of Yi Sihang (1672~1736). The author, based upon a steady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s Northwest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its examination upon a person named Yi Sihang,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local elites’ of the Korean peninsula’s Pyeong’an-do region. The author tried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Pyeong’an-do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of the Northwest region, and analyze the nature of the Joseon society in its second half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he Northwest region of Joseon, the existence of ‘local elites,’ and a methodology based upon microscopic examination, are all a bit unfamiliar to the Korean historians. Even the focus of this book, an individual named Yi Shi-hang, is a figure not that well known. It is indeed a bold move to study the life and writings of this local elite. A new and systemic approach to a relatively unknown historical figure (as well as a subject) seems more than enough to inspire studies in Korea. Hopefully it will encourage future Korean studies to delve deeper into the Joseon period’s Northwest region and the region’s local elites. Yet in spite of the meaning of this book,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would have to be addressed. First, although this book proclaimed that it will take on a microscopic approach on the Northwest region’s local elites, in actual discussion the author seems to be more resorting to macroscopic analyses or at least depending on previous analysis of such sort. A rather lengthy discussion of the Party Conflicts is one of those examples. Second, chapters three and four, where the author analyzed the changes Yi Sihang displayed in his recollections concerning the 「Gwanseo Byeonmu-so」 office and a figure named Kim Gyeongseo, in which he supposedly revealed his so-called ‘regional identity,’ actually rather lack a prudent and sufficient attention to the reality of the time. These can be cited as this book’s problems, but nothing of them could not be rectified with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The worth of this book is based upon the fact that it attempted a new approach to a new academic topic.

      • KCI등재

        純祖 前半期 親鞫·推鞫의 政治性 - 『親鞫日記』·『推案及鞫案』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김정자(Kim, Jeong-ja)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3 No.-

        조선시대 국가와 국왕에 대한 중대한 범죄가 일어나면 국왕이 직접 심문하는 親鞫이 시행되었다. 친국 과정 후, 자세한 조사를 위해서 委官을 정해 궁궐 내에서 시행하는 庭鞫과 義禁府에서 시행하는 推鞫으로 진행되었다. 국왕의 친국 과정 없이 추국청 위관에 의한 정국과 추국이 시행되기도 했으며, 綱常과 관계된 삼성추국 등이 시행되었다. 친국은 『친국일기』, 추국은 『추안급국안』·『추국일기』 등의 자료가 남아있다. 순조 4년(1804) 순조 親政 후, 추국이 행해진 ‘권유·이안묵 사건’은 순조 1년(1801) ‘신유옥사’와 관련된 사안이었다. 벽파 세력 내 反안동 김문 세력에 대한 안동 김문 세력과 시파 세력에 의한 정치 공세였다. 순조는 의도적으로 정조 연간의 世臣을 보존하는 성대한 덕과 착한 뜻을 계승하며, ‘권유·이안묵 사건’을 엄히 다스리지 않았다. 순조 5년(1806) ‘김달순 사건’과 순조 6년(1806) ‘병인경화’ 과정에서 ‘권유·이안묵 사건’은 재론되었다. 당시 위관 중에 金觀柱가 추국이 제대로 되지 않게 막았다는 것이었다. 순조 7년(1807)에도 권유를 논척한 일로 귀양 가 있던 ‘이경신 사건’이 재론되었다. ‘임오화변’·‘병신옥사’·‘신유옥사’에 대한 의리를 유지·지속하는 公論은 재확립되었다. 순조가 친국한 순조 8년(1808) ‘이심도 사건’은 조사과정에서 안동 김문 외척 세력이 배후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순조는 사건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한달 만에 친국을 끝마쳤다. 순조 9년(1809)에서 순조 11년(1811) 동안 사도세자 추숭 관련 친국·추국 사건이 일어났다. 趙㯳은 경기감영에 投書를 했고, 張夢瑞는 擊錚을 하였으며, 許倫은 포도청에 掛書를 붙였다. 조경은 杖斃했고, 장몽서는 정조 즉위년 ‘丙申獄事’ 때 李德師·趙載翰이 사도세자를 신원하는 상소를 올린 것과 같은 일을 했다고 진술했다. 장몽서와 허륜은 大逆不道로 正刑하였다. 이 당시 순조와 당국자들은 친국과 추국을 통해서 사도세자의 추숭을 주장하는 세력을 懲討하였고, ‘임오화변’·‘병신옥사’·‘신유옥사’의 의리를 유지·계승·재확립시켰다. 순조 18년(1818) 조경 支屬과 장몽서의 일이 停啓되었다. 이로써 조경·장몽서에 대한 啓辭는 더 이상 거론되지 않았다. 또한 박종경을 논척했다가 유배보내졌던 趙得永 등을 처분을 감해주었다. 풍양 조문 趙萬永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아 왕실 내 외척은 안동 김문 세력과 풍양 조문 세력으로 재편된다.

      • KCI등재

        1920년대 초반 김경천의 항일무장투쟁

        윤선자(Yoon, Seon-j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2

        김경천은 1920년대 전반기 연해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이다. 일본 육군유년학교와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군대에서 현역 장교로 상당 기간 복무하였던 그는 1916년 일본육사 후배들과 만든 친목모임 전의회에서 그의 장래 그리고 국망된 조국의 현실과 미래를 고민하였다. 1918년 일본에 거주하였던 가족들을 서울로 옮기고 1919년 초에는 칭병하고 휴가를 얻어 서울로 온 후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가 망명에 나선 날은 셋째 딸이 태어난 지 채 두 달도 안 된 때였다. 식민지로 전락한 조국의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던 그는 가장으로서의 의무와 위치 대신 조국을 선택하였다. 가족을 뒤로 하고, 식민통치에 협력하면 일신의 안달은 가능하였던 현실을 거부하고 가시밭길 독립운동의 길에 나선 그의 결심은 그래서 더욱 소중하다. 만주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에 잠깐 참여하였던 그는 무기 구입 문제로 러시아로 이동하였다. 이후 러시아 적군에 의해 해산명령을 받을 때까지 4년여를 무장독립운동의 방법으로 일관하였다. 일본육사 출신이었던 그에게 많은 지역과 많은 독립운동단체들이 함께 할 것을 제안하였다. 군인이었던 그는 한국의 국망 원인을 약한 무력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는 무장독립운동에 가장 관심을 기울였고, 독립운동단체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들과 독립운동단체들은 그들의 출신과 교육, 그리고 지역을 근거로 독립운동을 시작하고 전개하였으므로 그러한 여건들을 무시할 수 없었다. 그런데 어릴 때 일본으로 유학하여 일본육사를 졸업하고 일본군에서 복무한 그에게는 학맥도, 연고 연맥도 없었으므로 독립운동가들과 독립운동단체들의 지역성, 학맥성, 종교성 등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그는 굳건한 마음으로 독립운동단체의 군사 분야에 주력하여 독립운동가들을 훈련시키고,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군인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강한 독립운동단체를 만들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의 독립을 이루어내고자 노력하였다.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므로 러시아의 현실을 무시할 수 없었고, 그래서 그동안 함께 하였던 러시아 적군의 한국독립군 해산 명령은 그에게 절망이었다. 그것은 망국민으로서 너무나도 아픈 현실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계속하여 독립운동의 길과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소련 당국은 그러한 그의 행동을 간첩혐의로 간주하여 수감하였고, 그는 감옥 안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는 가족과 출세를 뒤로 하고 조국 독립의 험난한 길은 선택하였다. 독립운동을 위한 그의 선택과 발걸음은 가치롭다.

      • KCI등재

        정부수립 전후 한국 정치학계의 학문 동향과 이념 지형 : 원론서·개론서 분석을 중심으로

        홍정완 한국근현대사학회 2017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3 No.-

        There were three movements of ideological trends in the books on the theories of political science published in 1948~50: the first movement followed the ‘totalitarian political principle’ as it was explained in the book written by Kang Sang-un. The second movement involved the books written by Seo Pil-won and Baek Sang-geon that benefited from the political science of Imanaka Tsugimaro. Seo Pil-won sought after a ‘sozialer Rechtsstaat’ depicted in the Weimar Constitution. The final movement was concerned with the translation of British and American books. one was the translation of Raymond Gettell’s books, and the other was the translation of Harold Laski’s books. While the former made an approach to politics with a focus on the ‘state as an institution’ based on the sovereignty theory from the liberalist perspective, the latter projected the ideological tendency of valuing the realization of ‘economic democracy’ by paying attention to the moderate socialism of Laski. 정부수립 전후 발간되었던 정치학 원론서, 개론서의 학문적, 이념적 경향은 크게 3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1920~30년대 근대 자유주의 정치원리의 파산을 선고하며 대두했던 ‘전체주의적 정치원리’를 답습, 지속한 강상운의 개설서를 들 수 있다. 강상운은 반공주의와 직결된 전체주의적 민족주의, 국가주의로서 ‘민족사회주의’를 내세우고 그에 입각한 내적 체제 건설을 주장하였다. 둘째,1920~30년대 이마나카 쓰기마로(今中次磨)의 정치학에 기대어 서필원, 백상건이 산출했던 원론서를 들 수 있다. 서필원은 공공성에 근거한 균등사회의 수립을 현대국가가 지향해야 할 정치목적으로 규정하여, 바이마르헌법에 담긴 ‘사회적 법치국가’를 지향하였다. 셋째, 영‧미 정치학 원론서의 번역을 들 수 있다. 미군정 공보 활동과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게텔(R. Gettell)의 원론서가 번역되었으며, 여러 정치학자들에 의해 라스키(H. Laski)의 원론서 번역이 이루어졌다. 전자는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 주권론과 ‘제도로서의 국가’를 중심으로 ‘정치’에 접근한 것이었다. 후자는 라스키의 온건 사회주의에 주목하여 ‘경제적 민주주의’의 실현을 중시했던 이념적 경향이 투영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