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종파별 교세현황에 대한 연구

        김경집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5 No.-

        The Japanese imperial relations with Korea in 1876. They put Japanese Buddhism ahead to hide their intentions of invasion. After Japanese rule, Japanese Buddhism advanced into Korea. By 1945 they had all 26 religious denominations. Japanese Buddhism built temples throughout Korea. There are over 1,000 Buddhist temples built by them. The status of each region is as follows. The largest number of Japanese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in Seoul and Gyeonggi-do. Next was Busan and Gyeongnam, and the third was Chungnam. First, Gyeonggi-do, including Seoul, and Gyeongnam, including Busan, were politically important regions. Next, many Japanese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in Chungnam, Jeonnam, and Jeonbuk, in relation to Japanese rice production. And Hambuk was deeply involved in mineral production. Japanese Buddhism mainly led the Japanese religious life. Koreans turned away Japanese Buddhism with anti-Japanese sentiment. Only Koreans involved in Japan attended Japanese Buddhist temples. Therefore, the increase in Koreans was inevitable. Each sect of Japanese Buddhism organized a group of people who believe in Buddhism at major temples. Such activities also influenced Korean Buddhism, and new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Most of these activities were used as colonial policy. Because the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m, Korean Buddhism's traditional rituals have gradually changed. Rituals involving Japanese Buddhism and culture were performed, relatively Korean Buddhism gradually lost its place. 1876년 2월 일제는 朝日修好條規을 체결하며 한국침략의 야욕을 감추기 위해 한일 양국에서 신앙하는 불교를 이용하였다. 처음에는 소수가 진출하다가 1895년 4월 일본 승려에 의해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자 일본불교에 대한 외경심이 높아지면서 진출하는 일본불교 종파가 점점 증가하였다.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는 13종파에 속한 26교파이다. 개항 초에는 한국진출의 교두보인 부산에 많이 세워졌다. 이후 정치적으로 중요한 경성에 집중되었다. 1925년 전후까지 일제의 쌀 증산에 따라 호남과 충남에 많이 세워졌다. 그 후 군수물자의 수요가 많아지자 광물이 많은 함경도에 많이 진출하였다. 한국 전역에 세워진 일본불교의 사찰을 분석하면 경기[경성] 181개, 경남[부산] 161개, 충남 81개, 함북 77개, 경북과 전남 71개, 전북 61개, 함남 47개, 황해도 40개, 평남 38개, 강원도 32개, 그리고 충북과 평북이 각각 20개였다. 일본불교 각 종파를 교학적으로 분류하면 밀교 계열 10교파, 정토 계열 7교파, 선종 계열 4교파, 법화 계열 4교파, 그리고 화엄 계열 1교파였다. 한일합방 이전까지 그들이 세운 사찰은 121개 정도였고 그 이후에 890여 개가 설립되었다. 가장 많은 사찰을 세운 곳은 정토 계열로 339개, 밀교 계열 216개, 선종 계열 213개, 법화 계열 114개, 그리고 화엄 계열 8개 순이다. 가장 활발하게 진출한 상위 5종파는 조동종 179개, 진종 본원사파 164개, 진종 대곡파 96개, 일련종 61개, 그리고 진언종 제호파 58개이다. 일본불교 각 종파는 일제의 식민지 통치이념이 정립되도록 활동하였다. 그들의 의례가 도입되면서 한국불교 의례는 상당히 훼손되게 되었다.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유입의 초기 전개 양상 - 통감부통치 시기를 중심으로 -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e of the initial stage of the inflow of Japanese Buddhism into Korea. So far, the views on it are divided into pure propagation of Buddhism and the preliminary role of colonization. Consequently, the point was revealed that the colonial rule and Japanese Buddhism were closely related upon the withdrawal of all Japanese templ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Nevertheless, the investigation of the concrete characteristics of this point is one of important issues.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 aspects of the inflow of modern Japanese Buddhism into Korea should be viewed from four points. First, the release of no entrance of Buddhist monks into the capital city, ordered by Sano Jenlay (佐野前勵) is linked with Wonjong (圓宗) affair. Second, the activities of Busan branch of O-otanipa (大谷派), Jeongtojinjong of Okumura Ensin (奧村圓心), is related with the domestic enlightenment party of Korea. Third, the organization of Buddhism research institute is re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yungjin School (明進學校). Fourth, we should consider a pledge between the Jodongjong Order, which took over the Bakmunsa (博文寺)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Wonjong Order, the first religious order of modern Korean Buddhism. This way, the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ts of the initial stage and their Buddhist institu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Buddhist policy after the Japan-Korea treaty. After the Japan-Korea treaty in 1905, the Tonggambu (Japanese resident general) put Japanese religion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resident general through the propagation control documents such as 「A Regulation of Propagation of Religion」. This included the intention to integrate Korean Buddhism into Japanese temples. This, eventually, was similar to the policy to control Japanese Buddhism through Sinbulbunri (神佛分離) after the Meiji (明治) restoration. This regulation was succeeded into the 「Temple ordina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this is revealed well by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emples registered as the Malsa temples of the religious order of the Jinjong Bonwon reached around 100 in 1909.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colonial era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agation of the colony with the utilization of the relation of Sunchi (脣齒) was the priority. Second,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Buddhist edification of Hwangdo (皇道) for the colonial rule. Third, Japanese Buddhism took the lead of the colonization by utilizing Jeonggyoilchi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政敎一致). Such goals and practices were, in short, a part of the coloniza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is was a process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rule of government general, which intended to control Korean people and Korean Buddhism through Japanese Buddhism to accomplish a perfect colonial rule, just like Japanese Buddhism itself serving the Japanese expansion policy by creating the Jeonsigyohak (戰時敎學) in Japan.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에 관한 초기 단계의 모습을 조명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견해는 순수한 불교 포교와 식민지 건설을 위한 사전 역할이라는 점으로 나누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해방 후 일본의 거의 모든 사찰이 철수함으로써 식민지 통치와 일본불교가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구체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필자는 근대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 초기의 모습을 네 가지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후에 圓宗 사건과도 연동되는 사노 젠레이(佐野前勵)에 의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의 건이다. 둘째는 국내 개화파들과 관계한 오쿠무라 엔신(奧村圓心)의 정토진종 오오타니파(大谷派) 부산별원의 활동이다. 셋째는 明進學校를 설립한 불교연구회의 조직이다. 넷째는 식민지기에 博文寺를 맡게 된 조동종과 근대 최초의 불교종단인 원종의 맹약이다. 이처럼 초기 일본불교인들과 불교계의 활동은 한일병합 이후에도 한반도 불교정책과 깊은 관련을 갖게 된다. 1905년 을사조약 후 통감부는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과 같은 포교 규제를 통해 일본종교를 통감부의 관할 하에 둔다. 여기에는 한국불교를 일본사원에 통폐합하고자 하는 의도도 담겨 있다. 이는 결국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神佛分離 정책을 통해 불교계를 통제하고자 했던 정책과도 유사하다. 이 규칙은 총독부의 「사찰령」으로 계승되고, 1909년 진종 본원사파의 말사로 등록된 사찰이 100여 개소에 이르렀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식민지 초기의 일본불교의 포교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脣齒 관계를 활용한 식민지 포교가 우선이었다. 둘째, 식민통치를 위한 皇道佛敎化와 관계가 깊다는 점이다. 셋째로는 政敎一致를 이용해 식민지화에 일본불교계가 앞장섰다는 점이다. 이러한 목표와 실천은 한 마디로 식민지 사업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본불교계 스스로가 국내에서 戰時敎學을 창안함으로써 국가의 대외팽창에 복무한 것처럼 완전한 식민통치를 위해 일본불교를 통해 한국인과 한국불교를 통제하고자 했던 총독부의 통치 기반을 구축하는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제식민지기 경성부 일본 불교계의 침투양상 - 조동종 박문사와 약초관음당을 중심으로 -

        문혜진 서울역사편찬원 2017 서울과 역사 Vol.- No.96

        현재 학계에서 일제식민지기 일본 불교계의 조선 진출에 관한 연구는 개항기부터 1910년대로 한정되어 있으며, 특히 경성부의 일본 불교계의 진출양상을 다룬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경성부에 침투한 일본 불교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연구가 부재하다. 일제식민지기 일본 불교계는 해외진출을 통해 일본 천황의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황도불교적 성격을 띠며, 한일병합 이전부터 일본 정권, 이후로는 조선의 식민정권의 지원 하에 개항지를 중심으로 조선에 진출하여 식민정권의 지배 정당화 담론을 종교적 의례를 통해 구축하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식민지기 경성부에 진출한 불교 종파를 시기별로 나누어 그 진출양상을 제시하여 일본불교의 유입양상의 이해를 돕는 것이며, 그 틀 속에서 식민통치 정당화의 성소인 이토 히로부미 통감과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보리사로서 남산에 창건된 조동종의 박문사와 약초사의 사적을 재구성하여 조동종의 식민불교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경성부에 진출한 일본불교는 1890년 대곡파, 1897년 일련종, 1898년 정토종, 1902년 제호파, 1906년 본파․고야파․조동종, 1907년 법화종, 1910년 묘심사파가 진출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에는 본문법화종․정토종진서파가, 1930년대에는 신의진언종․황벽종이 새롭게 경성부에 진출하였다. 그리고 경성부에 진출한 일본불교 중 1910년대에는 대곡파가, 1930년대에는 본파가 가장 많은 신도 수를 보유하며 재경성일본인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조동종은 경성부에서 포교실적은 미비했으나, 1932년 남산에 이토 히로부미 통감을 제사지내는 박문사를 완공하였으며 1938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제사지내는 약초관음당을 약초정에 완공하여 남산에 불교의 성역화 작업을 완성하였다. 이후 약초정 약초관음당은 공간이 협소하여 1940년 남산으로의 이전이 계획․진행되었다. 즉, 조동종은 남산에 식민통치의 상징적인 인물들을 위령하는 보리사를 건립하여 이들을 제사지내는 의례를 집행함으로써, 불교를 통한 식민통치 정당화의 역할에 이바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일제식민지기 시기별 경성부에 진출한 일본 불교계에 대한 연구는 조선총독부의 지원 하에 내선융합을 목표로 전개된 경성부의 황도불교의 전개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경성부에 진출한 일본불교지형도라는 큰 틀에서 이토 히로부미와 사이토 총독을 봉제한 박문사와 약초사의 사적 재구성은 남산의 일본종교의 성역화에서 누락된 약초사를 복원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넓게는 조동종의 식민통치 정당화 행적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expansion of Japanese Buddhism into colonized Joseon are restricted to studies that are focused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1910s. In addition, the researches about what kinds of sects of Japanese Buddhism had entered into Keijyo during colonial period of Japan are rare. In other words, in order to draw the big picture of expansion of Japanese Buddhism into Keijyo, the researches about when and how Japanese Buddhism had entered into Keijyo are requi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Buddhism played the role of justification of Japan's colonial rule in colonized Joseon; Japanese Buddhism had entered in the opening ports of Joseon with support of Japanese government before colonization of Joseon or of colonial power after colonization of Joseon, and they tried to justify Japan’s colonial rule, implanting rituals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zed Jos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how Japanese Buddhism had entered into Keijyo in 1910s, 1920s and 1930s and to investigate how Parkmusa(博畝寺) that dedicated to resident general of Itō Hirobumi and Yakchosa(若草寺) that dedicated to governor-general of Saitō Makoto had been constructed and what kinds of role they had don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sects of Japanese Buddish, Daegokpa(大谷派) in 1890, Illyeonjong(日連宗) in 1897, Jeongtojong(淨土宗) in 1898, Jehopa(醍醐派)in 1902, Bonpa(本派)․Goyapa(高野派)․Chodongjong(曹洞宗) in 1906, Beophwajong(法華宗) in 1907 and Imjejong(臨濟宗) in 1910 entered into Keijyo. In addition, Bonmun beophwajong(本門法華宗) and Jeongtojongjinseopa(淨土宗鎭西派) in 1920s and Sinuijinoenjong(新義眞言宗) and Hwangbyeokjjong(黃蘗宗) in 1930s newly entered in Keijyo. Especially, Daegokpa in 1910s and Bonpa in 1930s had the most believers and it signifies their great influence in Japanese society of Keijyo. On the other hand, Chodongjong in Keijyo had relatively few believers, but it built the h​oly of holies of Japanese Buddhism in Nam mountain through construction of Parkmusa and Yakchosa. And then, because of narrow space of Yakchosa, new building in Nam mountain was planned in 1940. In short, Chodongjong constructed temples which dedicated to Itō Hirobumi and Saitō Makoto, who are symbol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Nam mountain; it contributed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symbolic religious performance of Japanese Buddhism. Finally, this study might provide basic materials to understand expansion of Japanese Buddhism into Keijyo and their roles in justification of colonization such as becoming Japanese. Moreover, among Japanese Buddhism in Keijyo, the study related to Yakchosa of Chodongjong, as first thesis in South Korea, might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how and why Japanese Buddhism had been implanted into Nam mountain and how Chodongjong played the role to justify Japanese colonization.

      • KCI등재

        일본 근대불교계의 전쟁에 대한 인식 연구

        이태승(Lee, Tae-seung)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6 No.-

        With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the new government adopted a strong anti-Buddhist attitude, and a movement to eradicate Buddhism and bring Shinto to ascendancy arose throughout the country due to the strong connections of Buddhism to the Shoguns. During the Edo Period of Tokugawa (1600-1868) Buddhism was supported by the state. The new Meiji government established a government bureau, the ShintōWorship Bureau(神祇事務局) to oversee religious affairs and to administer the government-ordered separation of Buddhism from Shintō. Through this process, the Meiji Restoration restored the power of the Imperial Household, which had been under the shadow of successive military governments in previous years. The haibutsu kishaku (廢佛毁釋; literally “abolish Buddhism and destroy Shākyamuni”)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most famous instance of the phenomenon, was an event triggered by the official policy of separation of Shinto and Buddhism and caused great damage to Buddhism in Japan. It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mages and texts, and Buddhist monks were forced return to secular life. The Buddhist traditions, however, fought hard to overcome national suppression, eventually earning equal status with Shinto by the mid-Meiji Period. Meanwhile, Japan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and encountered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and technology, forging a modern nation. Together with a series of wars, a militaristic ideology developed in the Empire of Japan: that the military should dominate the political and social life of the nation,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military is equal to the strength of the nation. This militarism came to a climax in the Second World War and eventually to defeat in 1945.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Japanese Buddhism overcame the haibutsu kishaku and what kinds of roles it played to support Japanese militarism by focusing on the matter of war. Zen at War focuses o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and Japanese militarism from the time of the Meiji Restoration through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ostwar period. It describes the influence of state policy on Japanese Buddhism, and particularly the influence of Zen philosophy on the Japanese military. Brian Daizen Victoria, an American-born Sōtō priest, draws from his own study of original Japanese documents, but also uses the publications of Ichikawa Hakugen (市川白弦, 1920-1986), a Rinzai-monk and a scholar. In The War Responsibility of Buddhists (Bukkyosha no Senso Sekinin, 1970), Hakugen himself had been “a strong advocate of Japan's ‘holy war’”. to which he later confessed, “I should not forget to include myself as one of those modern Japanese Buddhists who did these things.” Victoria's book exploded onto the Western Zen scene in 1997 and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ever since. Statements of some of Western Zen's most revered teachers and masters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and nationalism. A re-evaluation of Zen Buddhism's role in the Japanese w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s long overdue and Victoria's book is but a first step in a long and ultimately painful process of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Zen. The book's great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cceeded, where others scholars have not, in bringing to public attention the largely unquestioning support of Japanese Buddhists for their nation's militarism. In response to “Zen at War” Japanese Buddhism started a campaign to receive apologies from leading parties within the Japanese Buddhist schools since 2001. This involvement was not limited to the Zen schools, as all orthodox Japanese schools of Buddhism confessed on supporting the militarist state. In the process, Japanese Buddhist academia demonstrated their 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on the matter, while Japanese scholars traditionally refused to face the existence of their social issues. It is also important for Koreans because it gives u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f 메이지유신으로부터 시작되는 일본의 근대에 있어 불교는 역사상 초유의 탄압을 받는다. 곧 메이지유신 이전 도쿠카와 막부의 에도시대에 國敎의 지위를 가지고 있던 불교가 근대의 初頭부터 국가에 의한 탄압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압의 배경에는 권력의 중심을 천황에 두고 그 천황에 대한 이론적 근거 를 제공하는 神道에 국교적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메이지정부의 방침이 있었던 것이지만, 국가에 의한 불교탄압은 역사상 초유의 일로서 불교계는 큰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탄압이 發佛毁釋이라 불리어 진행되지만 불교계 또한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모습이 폐불훼석 초기 결성된 諸宗同德會盟의 모임이며, 그와 같은 불교계의 노력이 결실을 거두어 메이지 중기이후에 불교계는 신도와 동등한 종교적 지위를 갖게 된다. 이렇게 불교계는 메이지유신 이후 국가적 탄압을 극복하는 과정을 갖게 되는 반면, 일본 국가는 근대초기의 서구문물의 유입을 통한 체제정비 이후 천황중심의 강력한 국가체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국가적 체제는 근대 중기이후의 일련의 전쟁을 통해 군국주의의 형태를 띄게 되고, 그러한 군국주의 체제는 태평양전쟁까지 이어져 결국 1945년 패전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본고는 근대 폐불훼석을 극복한 불교계가 이러한 군국주의 일본의 사회체제와 어떻게 관계하고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살펴본 것으로 특히 전쟁과 관련된 불교계의 입장을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近年 근대 일본불교계와 전쟁의 관계를 다루어 전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브라이언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Zen At War)』을 근거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빅토리아에게 큰 영향을 끼쳤던 이치카와 하쿠겐(市川白弦, 1902-1986) 에 대해 살펴보았다, 빅토리아는 미국인으로 일본에 와 曹洞宗의 禪僧으로서 수행을 하는 일면 불교와 전쟁에 대해 오랫동안 고뇌와 사색을 바탕으로 그 자료를 모아 이와 같은 저서를 공간하였지만, 그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된 데에는 이치카와 하쿠겐의 영향이 컸다고 밝히고 있다. 이치카와는 臨濟宗의 승려로서 전후 불교계의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을 촉구한 『佛敎者의 戰爭責任』(春秋社, 1970)을 출간한 불교계의 양심적인 인물로 간주되지만, 실제 그의 저술들이 주목을 받게 된 것은 빅토리아의 『선과 전쟁』이 출간된 이후의 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치카와를 비롯한 불교계의 전쟁책임 규명을 위한 노력에 의거해 일본의 불교계는 終戰이후 거의 4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전쟁에 대한 반성을 교단별로 밝혔지만, 빅토리아의 저술이 일본어 번역판으로 출간된 2001년 이후 보다 많은 불교교단이 전쟁에 대한 반성을 표명하였고 더불어 일본의 불교학계에서도 전쟁과 사회의 책임에 대해 학술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간 사회적인 문제에 직접적인 언급을 자제하던 불교학계의 자세에 대해서도 반성과 책임을 촉구하는 입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본불교학계의 전쟁책임이나 사회윤리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은 단순히 일본불교계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에 의해 식민지를 경험한 우리에게도 중요한 현실인식을 가져다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불교계의 윤리의식을 넘어 우리사회의 역사적, 정치적 의식과도 관련되는 폭넓고 중요한 문제제기로, 여전히 불편하게 지속되는 한일관계에 새로운 사회인식과 도덕의식을 제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의 양상

        류승주(Sung Joo R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일본의 불교계는 천황제를 기반으로 하여 군국주의 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탄압과 회유를 극복하지 못하고 정치권력에 영합함으로써 종교의 사회적 역할을 왜곡시킨 국가주의적 어용 불교로 변모하게 되었다. 1905년 한반도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같은 해 11월 17일 2차 한일협상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이토히로부미를 초대 통감으로 세운 통감부를 설치함으로써 대한 제국의 주권을 침탈하고 실질적인 식민 통치를 시작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정부의 요청과 후원 하에 민간의 주도로 이루어진 포교의 성격을 지녔던 일본 불교의 침투는, 이제 일제의 식민지 지배 권력이 뚜렷한 목적의식 하에 불교 정책을 입안하고 이에 의거하여 직접적으로 한국의 불교계를 통제·관리하는 양상으로 전환된다. 식민통치가 본격화 되자 일제는 조선인들을 순량한 인민으로 교화하는 역할을 한국불교에 부여함으로써 일본불교와 같은 국가주의적인 어용불교로 변화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위하여 한국불교계를 통제·장악하는 수단으로서 `사찰령(寺刹令)`을 비롯한 `사찰령시행규칙(寺刹令施行規則)`과 각 본·말사의 사법(寺法), `포교규칙` 등의 불교관계 법령들을 제정하였다. 한반도 민중들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농민 계급을 주요 대상으로 정신교화(精神敎化)를 추구했던 일제의 이데올로기 정책은 1930년대 침략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로 돌입하면서 조선에서 추진된 `황민화정책(皇民化政策)`은, 넓게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일제가 침략전쟁에 조선 민중을 동원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의 총체적 표현이며, 좁게는 `민족말살`을 위한 폭력적 이데올로기 정책을 지칭한다. 이러한 폭력적 이데올로기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에 앞서 종교, 사상 및 교육 분야에서 입안되었던 것이 이른바 `심전개발(心田開發)` 운동이었다. 심전개발운동은 일제가 조선인들을 황국신민으로 육성하려는 의도로 기획된 이데올로기 정책으로 시발된 것이었으나 조선불교계는 이를 불교의 중흥과 대중화의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조선 불교계가 심전개발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불교의 대중화와 교세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는 자체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나, 그것은 곧 전시체제하에서 전쟁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황도불교(皇道佛敎)로의 변질을 담보로 한 것이었으며 일제의 군국주의를 위해 종교적 진리를 희생시킨 결과였다. 조선왕조라는 국가권력에 대한 불교계의 인식은 기본적으로 적대적인 정서에 기반을 두었고 이에 따라 제국주의의 본질에 대한 몰이해와 민족의식으로부터 이탈이 합리화 될 수 있는 조건을 내재하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조건이 식민지 시기의 한국 불교가 친일적 성향을 탈피하지 못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친일불교는 단지 일본불교의 풍습을 따른 불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의 국가주의적 불교에 동화된 불교, 제국주의 권력에 영합하여 불교의 본래 면목을 상실한 식민지 이데올로기를 지칭하며, 여전히 현재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불교의 궁극적 본질은 근대성이라는 역사적 한정을 초월하며 민족의식의 한계를 넘어선 세계만민주의(cosmopolitanism)를 지향한다. 식민지 치하의 근대화 과정에서 떠안은 친일불교라는 역사적 질곡을 진지한 반성 속에서 풀어냄으로써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때 그러한 초월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shows that there has been a sharp conflict between different value systems of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those have played roles as significant driving forces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After the long political suppression of Joseon Dynasty, Korean Buddhists generally recognized pillage by Japan as an opportunity of Buddhist restoration. That became the epistemological basis of pro-Japanese Buddhism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n Korean Buddhism and pro-Japanese Buddhism distorted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and oppressed the evolution of national Buddhism. Even after liberation, they still have affected to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In this context, the analysis of Japanese colonial policy on Korean Buddhism in the occupation period and pro-Japanese Buddhism becomes the opportunity of reflective recognition for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SInce 1990s research on pro-Japanese Korean Buddhists has revealed facts and behaviors of them in most parts. On the basis of prior research, this thesis examines the transition process of pro-Japanese Buddhism by the development stages of Japanese colonial policy on Korean Buddhism rather than investigating pro-Japanese activities. Buddhist recognition of Chosun dynasty was based on emotional hostility so as to trigger misunderstanding of the real nature of imperialism and seceded from national consciousness. This condition played as an important reason why Korean Buddhism did not get out of pro-Japanese tren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Nevertheless, it was not so that all the Buddhists accepted the condition as their fate. People who understand fundamental limitation of modernization logic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uch as Yong-Un Han and Yong-Seoung Paik, explored the ways to synthesize the evolution of national Buddhism and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those seemed to be impossible Buddhism tends toward cosmopolitanism that rises above modernism and nationalism in the end. It will be possible to transcend modernism and nationalism when the real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s recognized precisely through reflective examination of pro-Japanese Buddhism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충남불교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

        김방룡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0 No.100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국불교계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 현황 및 충남불교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제강점기 불교계는 국권이 침탈된 상황이었지만 조선시대 억불정책이 사라짐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일제는 사찰령에 의해 한국불교계를 통제 관리하는 한편 일본불교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 시기 충남의 불교계는 기본적으로 한국불교계가 처한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 지역이 조선 후기 유학의 중심지였던 특수성으로 인하여 불교계의 적극적인 활약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남지역 불교계의 동향과 일본불교의 침투현황을 살펴보는 일은 일제강점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과 활동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충남지역의 불교계에 대해서는 첫째, 사찰령과 불교개혁(1910~1919) 둘째, 불교 자주화와 종단 건립운동(1919~1935) 셋째, 총본산 건설과 조계종 성립(1935 ~1945)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시기일본불교의 침투 현황에 대해서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일본불교의 포교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충남지역에 미친 일본불교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일제강점기 충남불교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trend of Korean Buddhism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enetration status of Japanese Buddh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Buddhism. The Buddhist community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in a situation where national authority was invaded, but due to the disappearance of the Joseon Dynasty's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a new phase was faced. Japanese imperialism facilitated the 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while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y temple decree.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during this period is basically closely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ut the active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were limited due to the uniqueness of this region, which was the center of study abro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Nevertheless, examining the trends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and the penetration of Japanese Buddhism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Buddhist community in Chungnam, Japanese colonial era Provinc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temple order and Buddhist reform (1910-1919), second, Buddhist independence and longitudinal establishment movement (1919-1935),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onghansan Construction and Jogye Order (1935-1945).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Buddhism penetration during this period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rough this, the impact of Japanese Buddhism on the Chungnam region was examined. Through these contents, we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Buddhism during the Japanes colonial era.

      • KCI등재

        일본 불교와 내셔널리즘 — 식민지 조선의 녹기연맹과 기관지 『녹기(緑旗)』를 중심으로 —

        오성숙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9 일본사상 Vol.0 No.37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Buddhism and nationalism focusing on ‘Ryokki League (綠旗聯盟, Green Flag League) and its organizational journal, ‘Ryokki’. First, while Western imperialism brought Christianity, Japanese Buddhism attempted to utilize Buddhism which was familiar to Joseon and Asia as an implementation tool of its imperialism as a religion opposing against Western religions. Innovating the truths of Buddhism to fit the foundation of Japan and the Japanese national polity while simultaneously achieving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through the ‘State of Japan’ centering on reality, people, society and nation, Japanese Buddhism established its identity as a practical Japanese religion for Japanese nationalism and a popularized ‘Japanese Buddhism.’ Especially, this study verified that Morita Yoshio, a fighter of Ryokki League and a Buddhist, wrote ‘Overview on History of Buddhism’ to fit Japanese imperialism while ignoring the genuine truths of Buddhism. In addition, the Ryokki League and ‘Ryokki’ actively attracted Buddhism to Mental Enlightenment Movement (心田開發運動), which was a movement to induce colonial Joseon to be in lin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sense, there is no denying that Ryokki League including Morita Yoshio and Tsuda Sakae used Buddhism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imperialism. 본 논문은 일본 불교와 내셔널리즘의 관계에 주목하여 식민지 조선에서 활동한 녹기연맹과 그 기관지 『녹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서양 제국주의의 기독교에 대항하는 종교로, 일본은 아시아에 친숙한 불교를 일본 제국의 식민지 정책을 수행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불교는 일본국체와 합치되도록 불교의 진리를 혁신하는 한편, 현실, 민중, 사회, 국가라는 ‘일본 국가’를 매개로 하여 불교의 근대화를 이루면서 일본 내셔널리즘의 실천적 종교, 대중화된 ‘일본 불교’로서 그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여기에 ‘녹기연맹의 투사’이자 불교신자 모리타 요시오의 『개관불교사』가 제국주의에 합치하는 불교사를 기술함으로써 불교를 활용한 일본 제국주의를 부추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모리타 요시오, 쓰다 사카에를 위시한 녹기연맹과 『녹기』는 식민지 조선의 일본 제국주의 정책에 순응하게 만드는 정신계몽운동, 즉 ‘심전개발운동’에도 불교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近代仏教」としての日本仏教の語り方 : 近年の研究動向をふまえて

        제점숙(諸点淑)(Je Jum Suk)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 재고 -최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제점숙 ( Je Jum-suk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서양-동양/제국-식민지>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 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일본불교의 조선포교 양상과 종교시설 현황- 1894~1910년까지의 진종본원사파(眞宗本願寺派) 사례를 중심으로 -

        제점숙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일본불교 진종본원사파(眞宗本願寺派)의 조선포교 활동과 종교시설 현황을 분석한 글이다. 지금까지 일본불교의 조선포교 활동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지만, 주로 1877년 조선에 처음 진출한 진종대곡파(眞宗大谷派)의 조선 내 활동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외 종파에 대해서는 간헐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개항기를 거쳐 일제시기까지 각 종파별 일본불교를 대상으로 조선포교 경위와 그 현황을 집중 조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는 일본불교 각 종파의 입장에서 일본불교를 바라보려 한 것이 아닌 이 시기 일본의 불교를 ‘일본불교’라는 하나의 종교 틀에 집어 놓고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 이른바 제국의 종교로써 침략적 행위를 파악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일본불교 종파를 한 개의 ‘일본종교’로써 그 전체상을 파악하는 것에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식민지 조선에서 가장 많은 종교시설을 확보한 진종본원사파를 연구대상으로 1910년까지 조선에서의 포교활동과 종교시설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당시 조선에 진출한 일본불교 종파는 43개에 이르며 활동 역시 다채롭다. 특히 같은 진종이라 할지라도 진종대곡파와 진종본원사파는 그 양상이 확연하게 다르다. 진종대곡파의 조선포교는 일본 정부 의뢰로 시작되었고 일본 정부의 지원은 어느 종파보다 막강했다. 반면 이글의 연구대상인 진종본원사파는 개인 포교가 그 시작이었고, 조선포교를 위한 본원사파 교단의 재정도 녹녹하지 않았다. 그리고 조선 포교가 안착한 시점은 1877년 진출한 대곡파보다 훨씬 후인 러일전쟁 이후다. 무엇보다 진종대곡파와는 달리 조선인 대상의 포교가 활발했다. 이는 다른 일본불교 종파와는 다른 두드러진 점이다. 또한 1910년까지 파악된 조선 내 종교시설도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35여 개에 이른다. 이러한 양상들은 하나의 ‘일본불교’ 틀에서는 볼 수 없는 본원사파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본불교 개별 종파의 조선 활동에 관한 연구는 식민지 공간에서 일본불교 활동의 전체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종합적으로 도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activities for propagation in Korea and religious facilities of the Shinshu Honganji sect of Japanese Buddhism. Until now, there has been a certain amount of studies of Japanese Buddhism’s activities for propagation in Korea, but it has mainl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Shinshu Otani sect, which first entered Korea in 1877. Other sects have been studied intermittently.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that focus on the history and status of Japanese Buddhism in Korea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ason behind this is that the researchers did not try to look at Japanese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sect, but rather tried to put Japanese Buddhism into a single religious framework called “Japanese Buddhism” and to understand the aggressive behavior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al Korea as a religion of empire. Thus, this study takes a critical view of the overall picture of various Japanese Buddhist sects as a single ‘Japanese religion’ and focuses on the Shinshu Honganji sect, which secured the largest number of religious facilities in colonial Korea, to examine its propagation activities and religious facilities in Korea until 1910. At that time, there were 43 Japanese Buddhist sects in Korea, and their activities were diverse. In particular, the Shinshu Otani sect and the Shinshu Honganji sect, both of which are part of the same sect, Shinshu, are quite different. The Shinshu Otani sect’s propagation in Korea began commissio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ts support was stronger than any other sect. On the other hand, the Shinshu Honganji sect, the subject of this study, began with personal proselytizing, received little financial support from the Honganji sect for propagation in Korea, and was establishe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much later than the Otani sect in 1877. Moreover, unlike the Shinshu Otani sect, it was active in propagation in Korea. This is a distinctive feature that sets it apart from other Japanese Buddhist sects. There were also about 35 religious facilities in Korea by 1910, according to this researcher. These aspects can be characterized as unique to the Honganji sect that cannot be found in a single “Japanese Buddhism” framework. The above study on the activities of each sect of Japanese Buddhism in Korea are significant in that it concretely presents the overall picture of Japanese Buddhist activities in the colonial space and comprehensively draws out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