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 동부지역 백제, 가야, 신라의 지역지배

        김재홍(Kim Jae Hong)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8 No.-

        In the examination of this article, today's Eastern part of the Jeolla Buk-do province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considering the landscape. Those regions include (1) Jangsu and Jin'an at the Geumgang river area, (2) Namweon's Seo'bu and Imshil areas at the Seomjin-gang river area, and (3) the Wunbong Plateau at the Nam-gang river area. This region, after the 5th century and before the unification of Shilla, became part of Baekje first, then Gaya, and then finally Shilla, but managed to retain its unique culture during all that time. Among these areas, the Wunbong Plateau and the Jangsu area went through a significant political growth especially in the late 5th century, as we can see from the construction of large and middle-sized ancient burial mounds in 'Dae-Gaya style.' As “Small states”(Soguk, 小國) in the Dae-Gaya area, the Gaya area in Jangsu was referred to as “Sang-Gimun”(“Upper Gimun”), while the Gaya area in the Wunbong Plateau was referred to as“Ha-Gi'mun”(“Lower Gimun”). In the early half of the 6th century, the Sang-Gi'mun area(the Jangsu area) and the“Jung-Gimun”(“Middle Gimun”) area inside today's Seo‘bu and Imshil of Namweon, were absorbed into Baekje. During Baekje dynasty's Wungjin period, these areas were only governed by the Baekje government indirectly, but during the Sabi period they were incorporated into Baekje's official local system as Gun/Hyeon/郡縣units and came to be ruled directly. We can see this from the foundation of the burial mound groups in Cheokmun-ri and Chochon-ri, and also from the flower-shaped silver ornaments(銀製花形裝飾) found inside the Chochon-ri burial mounds. In the mid-6th century, after Dae-Gaya fell, Shilla forces advanced into this region. Already in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Shilla expanded its influence to cover today's Chungcheong Buk-do province. In the middle and later periods of the 6th century, Shilla forces entered the Geumsan area and the Namweon area's Wunbong Plateau, and came to share borders with Baekje. At the time, Baekje was caught up with its confrontation with Goguryeo, and was concentrating its attention upon the Han-gang river area, and in the meantime Shilla was able to establish its presence there. 자연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전북 동부지역을 금강 수계의 장수·진안, 섬진강 수계의 남원 서부·임실, 남강 수계의 운봉고원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지역은 5세기 이후 신라 통일 이전까지 백제, 가야, 신라로 국가적인 귀속이 진행되었으나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이 중에서 운봉고원과 장수지역은 대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축조될 정도로 정치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대가야권에 속한 소국으로 장수지역의 가야는 상기문, 운봉고원의 가야는 하기문으로 지칭되었다. 6세기 전반에 장수의 상기문과 남원 서부·임실의 중기문이 백제에 편입되었다. 웅진기에는 백제의 간접지배를 받았으나 사비기에는 백제의 郡縣으로 편제되어 직접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것은 척문리, 초촌리고분군의 무덤 구조와 척문리고분 출토의 銀製花形裝飾을 통해 알 수 있다. 6세기 중엽 대가야의 멸망 이후 신라세력이 이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이미 5세기 후반에 충북지역으로 진출한 신라는 6세기 중·후반에 금산지역과 남원 운봉고원으로 진출하여 백제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신라는 백제가 한강유역을 사이에 두고 고구려와 항쟁하는 사이에 이 지역으로 진출을 시도한 것이다. 이후 이 지역을 두고 신라와 백제는 일진일퇴를 거듭할 정도로 유동적인 상황이 전개되었다.

      • KCI등재후보

        475년∼551년 한강유역 領有國 論議에 대한 검토

        김현숙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3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has been generally acknowledged that Koguryo occupied the areas of the Han River from 475, when King Jangsu attacked Hanseong 漢城, to 551, when King Seong recovered the region. After then, other scholars have asserted that after Koguryo attacked Hanseong, Baekje still controlled this region. Another refutation emerged to convert the argument of Baekje's control on the region. After the middle of 2000, archaeological materials supporting the prevalent idea were excavated. Therefore, the argument that Koguryo had never occupied the southern areas of the Han River came to be shaken. Moreover, the pottery fragment with the inscription of the gyeongja 庚子 was excavated at the second fortress of Hongryeon peak, which almost makes an end of Baekje's occupation theory on the region. However, despite the emergence of new data, there are still some aspects which do not let us accept the prevalent idea. Thus, this debate on who occupied the areas of the Han River has not been settled. The future discussion concerning the problem on which kingdom occupied the areas of the Han River should contemplate the following matters. As for the opinions arguing Baekje's occupation on the areas of the Han River during Ungjin period, if one suggests that Koguryo had never occupied the region, or the southern areas of the Han River had been always Baekje's territory, a complementary explanation is necessary. First, one needs to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the Koguryo counties and prefectures written in the Hanju article of geography treatise in Samguk sagi. In addition, rational explan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Koguryo-style stone chamber tombs confirmed in Giheung, Yongin, Hwaseong, and elsewhere. In the case of the opinion asserting Koguryo's occupation on the region, one should provide more concrete evidence because it is hard to believe the data showing Koguryo's occup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Muryeong. Also, as for archaeological data, it is unreasonable to believe that Koguryo kept control of the region because Baekje artifacts and relics have not been excavated yet. Because a complete archaeological excav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e so-called fragmentary pottery with the inscription of the gyeongja could be misread or suggest different opinions on the reading of the inscription. Thus we need to be careful about developing an argument based on the pottery inscription as a definite standard date. Whether it is the Baekje occupation theory or the Koguryo occupation theory, future studies should concentrate on determining the concrete conditions of governance of the areas. 475년 장수왕이 漢城을 攻陷시킨 후 551년 성왕이 한강유역을 되찾기까지 고구려가 이 지역을 領有했다는 것이 일제시기 이래의 통설이었다. 이에 대해 한성 함락 이후에도 백제가 이곳을 영유했었다는 연구들이 나오게 되었고, 다시 그에 대한 반론도 나오게 되었다. 2000년 중후반부터는 통설을 뒷받침해주는 고고자료들이 발굴됨에 따라, 한강 이남 지역을 고구려가 지배한 적이 없었다고 하는 설은 존립근거가 흔들리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홍련봉 2보루에서 520년에 비정되는 ‘庚子銘’ 토기조각이 발굴되면서 백제영유설은 이제 종점에 다다른 듯한 느낌도 든다. 하지만 새로운 자료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통설 그대로만 볼 수 없는 측면은 여전히 남아 있다. 또 새로 제시된 자료들에 대한 해석도 달리 이루어질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한강유역 영유논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연구사상 전환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한강유역 영유국 문제 관련 논의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웅진기 한강유역 백제영유설 가운데 이 지역을 고구려가 전혀 차지한 적이 없었다고 보거나, 한강 이남 지역은 항상 백제 땅이었다고 보는 경우에는 보완설명이 필요하다. 먼저, 「삼국사기」 지리지 漢州條의 고구려 군현 기사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그리고 최근 기흥, 용인, 화성 등지에서 확인된 고구려계 석실분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고구려영유설의 경우에는 무령왕대 한강유역 지배를 보여주는 자료들을 믿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 고고자료의 경우 주변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백제의 유물·유적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것을 근거로 고구려가 시종 지배하고 있었다고 보는 것은 무리이다. 그리고 이른바 ‘경자명’ 토기편은 글자 판독상 異見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절대 기준연대로 삼고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아직 유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는 백제영유설이나 고구려영유설 모두 구체적인 지배양상에 대한 검토에 더 치중해야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전북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손정모,신인현,안건상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11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ol.4 No.1

        The precambrian gneis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Jangs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s and metamorphic P-T conditions of the gneiss. We have analyzed garnet, biotite and plagioclase among the gneiss through the EPMA analysis, and calculated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ly. The metamorphic temperature was estimated by the average of values from the garnet and biotite formulas, and the metamorphic pressure by value of the Hoisch(1990) geopressured on garnet-biotite-plagioclase. The mineral sample we examined shows garnet-biotite-plagioclase-quartz composite and garnet-plagioclase-orthoclase-quartz composite. Garnet shows almandine-pyrope solid solution in general, while porphyroblastic gneiss shows almandine-grossluar solid solution. The fact that the abundances, observed by garnet profil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the central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ndicates that the crystal was developed uniformly. There is almost negligible variance in biotite on metamorphic grade, and andesine is observed in plagioclase.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EPMA analysis and its indications are as follows: the middle-temperature, high-pressure metamorphism (500-650℃, 6.9-10 kbar) ensued in the beginning, and then was followed by the high-temperature, middle-pressure(600-740℃, 2.7-5.9 kbar) to (500-540℃,3.1 kbar) retrograde metamorphism.

      • KCI등재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역사 부도의 삼국시대 지도 검토

        장창은(Jang Chang-Eun)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7

        4세기 백제의 세력범위와 대외활동 지도에서는 근초고왕대 마한 잔여세력의 복속 표시문제, 백제의 요서 진출과 대외교류 문제, 耽羅의 백제 복속 표시 문제를 검토하였다. 모든 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 백제가 근초고왕대 마한의 남은 세력을 정복해 전라도 지역을 차지했다고 서술하며 이를 지도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최근 학계의 연구동향과 고고자료의 출토 양상을 고려할 때 백제 영역 확장사를 계기적으로 볼 수 있도록 유연한 서술을 할 필요가 있다. 백제의 요서 진출은 집필기준 때문에 학계에 논란이 있다는 점을 부연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학생들이 역사적 사실로 인식하게끔 본문 내용과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백제의요서진출을인정하는최근연구성과는드물고그나마도근초고왕대가아닌385년이라 는 제한된 시기로 보고 있다. 향후 개정 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는 오해가 내포된 지도는 삭제하고, 간단한보충설명정도로서술하는것이타당하다. 한편탐라를백제와같은색깔로 칠해 놓아 마치 탐라가 4세기대 백제에 복속된 듯한 오해를 주고 있다. 실제 이를 표기한 지도도 있었는데, 탐라는 삼국시대에 독립국이었으므로 별도의 색깔로 구별해주어야 한다. 5세기 고구려 전성기의 영토확장지도에서는 장수왕대남방진출경계선의 문제와, 5세기 고구려의북방진출경계선및요동지역고구려성의표기문제를살펴보았다. 다수의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 고구려의 동남방 진출 경계선을 아산만에서 경주 북쪽 인근의 영덕까지 그려놓았다. 그러나 이는 사료해석의오류에서초래된것으로, 실제로 당시고구려와신라의 국경선은 소백산맥 이북과 강릉 이북을 연결하는 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북방 진출의 경우도 일부 교과서와 역사 부도의 경우 북부여 방면의 부여성이 고구려 영역 안에 포함되도록 수정해야할것이다. 또한고구려성의축조시기를고려하지않고7세기대에축조된오골성과안시성 등을 5세기 지도에 표시하였다. 좀 더 세심한 고증이 필요하다. 6세기 신라의 영토 확장 지도에서는 진흥왕대 동북방 진출의 범위와 영역 표시, 그리고 순수경로문제를고찰하였다. 진흥왕은568년에함흥평야일대에까지순수를단행한후 황초령비 와 마운령비 를세웠다. 그러나진흥왕은순수를마친직후함흥일대의지리적인조건이 고구려의 반격에 취약함을 알고 최전방 군사기지를 비열홀주[안변]에서 달홀주[강원도 고성]로후퇴하였다. 여기에최근 학계의연구를 감안해일부교과서와 부도가안변 이북지역을 ‘진흥왕 때 진출했다가 상실한 영토’로 구별해 표시하였다. 아직 이를 반영하지 않은 지도는 수정이필요하다. 그리고대다수의교과서와역사부도에서568년진흥왕의동북방순수경로 를 동해안일변도로표시하였다. 그러나 북한산비 의 건립연대가 황초령비 · 마운령비 와 같은 568년임이 유력한 상황이므로 재검토할 필요가있다. 북한산에서 추가령이나 철령경로를 경유한 내륙으로의 순수가 좀 더 유력하다. This research paper reviews the current school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used in the Middle School which was released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Maps of Three Kingdom Period. First,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Sphere of influence and external activities in Baekje Period. It had a problem with Subjection of Mahan(馬韓) in King Gunchogo(r. 346~375). Also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on BaekJae s advance in Yosoe(遼西) area was exaggerated. Meanwhile, Tamna(耽羅: Jeju-do) is misunderstood by Baekje s subjugated in 4th century. But Tamna was an independent kingdom in period of Three Kingdoms. It has to paint the Map differently on BaekJae. Second,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golden age of Goguryeo. Goguryeo s southward advance in the reign of King Jangsu(r. 413~491) was imprecised east sea coast line.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ountain city-sites of Goguryeo on the Liaoning peninsula have to mark accurately. Third,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6th century of silla. In 568.8, King Jinheung(r. 540~576) patrolled the Hwangchoryeong and Mounryeongin Hamgyeongnamdo. He erected Steles at there. It was called Hwangcho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 Moun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 . King Jinheung went throuth Chugaryeong route at there. After the patrol in 568.10, King Jinheung abolished Biyeolheulju. Instead, He established Dalhoju[Goseong-gun in Gangwon-do]. Because Hamheung reigion was indefensable area. This poi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 KCI등재후보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전상학 ( Sang Hak Jeon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진안고원은 지금까지 문화의 점이지대, 고대 교통의 중심지, 백제·신라·대가야의 각축장이라 불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진안고원을 크게 고총고분이 밀집 분포하는 장계분지와 장수분지가 위치하는 장수권과 금산·무주·진안권으로 구분하고, 고총고분의 주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수권에 밀집분포하고 있는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4~7세기대의 문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권에서 새롭게 드러난 고총고분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여 장계분지 120여 기, 장수분지 80여 기, 총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고총의 규모나 배치·밀집도의 검토를 통해 삼봉리고분군과 월강리고분군을 중심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장계분지에 자리한 120여 기 이상의 고총들은 금강 상류지역에서 최대 밀집도와 규모를 보이며, 이러한 고총들은 진안고원 가야의 지배자 집단이 조영한 고분으로 이해하였다. 고총의 입지는 분지 내에 펼쳐진 구릉과 들판이 내려다보이며, 분지를 감싸고 있는 산지에서 뻗어내린 지류에 자리하고 있어, 백두대간의 동쪽에서 조사된 가야계 고총의 입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봉토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에 호석을 두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야계 고총 중 봉토 가장자리에 호석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하나의 분포권을 이룬다. 남원 월산리·두락리를 중심으로 함양, 산청, 장수지역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진안고원에는 5세기 전반에 가야토기가 등장하여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대가야 양식 토기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5세기 중반 이후 대가야토기의 확산이 이루어지지만 재지의 묘제 또는 재지토기양식과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가야 중심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치권이 보장된 지역집단으로서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진안고원의 가야는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 산줄기에 산성과 봉수를 축조·운영하였고,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을 조영하였으며,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가야계 소국으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Jinan plateau has been called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center of ancient traffic,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Baekje, Silla, and Daegaya,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it. Jinan plateau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Jangsu area with Janggye basin and Jangsu basin where ancient tombs are concentrated and the Geumsan/Muju/Jinan area, and the structure of Stone-Lined tombs, the main tomb style of ancient tombs and the overall trend of excavated articles were to be reviewed. Especially, centering on ancient tombs concentrated in Jangsu area, the cultural trend of 4th~7th century was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ancient tombs newly found in Jangsu area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120 tombs in Janggye basin and 80 tombs in Jangsu basin to the total of 200+ of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were confirmed to b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and through reviewing arrangement/density of these ancient tombs, Sambong-ri ancient tomb site and Wolgang-ri ancient tomb site were taken as the central ancient tomb sites. Especially, 120 or so ancient tombs located in Janggye basin showed greatest density and size at the upper region of Geum River, and such ancient tombs were understood as those built by the ruler class of Gaya in Jinan basin. The location of ancient tombs had a view of the hills and fields within the basin and was in the tributary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area surrounding the basin, exhibiting relationship to the location of Gaya-style ancient tombs found on the east site of Baekdudaegan. The planar shape was a long ellipse to west and east, and there was no trace of stone tigers around the boundary. There is an area of distribution for Gaya-style ancient tombs without tiger stone facilities around the tomb, to which Hamyang, Sancheong, and Jangsu area belongs centering on Namwon Wolsan-ri and Durak-ri. Gaya potterys began to emerge around 5th century in Jinan plateau, and after mid-5th century, Daegaya-style potterys account for a large amount. After mid-5th century, Daegaya potterys began to spread, but as it is observed that it coexisted with the local memorial service or local pottery style, it appears that they maintained an alliance relationship to Daegaya as a local group with right of autonomy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It i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Gaya of Jinan plateau built and operated fortresses and signal-fire on the mountain range of Baekdudagan and Geumnam-Honam vein, built 200+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and existed as a small Gaya country from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 KCI등재

        광개토왕비(廣開土王碑)의 성격(性格)과 입비(立碑)의 의의(意義)

        ( Seong Je Lee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9 No.-

        광개토왕비는 독특한 생김새의 거대한 비석으로, 비가 서 있는 위치 역시 어느 특정 묘역에 속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특징들에 내포된 의미를 최근 발견된 集安高句麗碑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광개토왕비는 다듬지 않은 날 것에 가까운 거대한 비라는 점에서 長壽王이 처음부터 정형화된 일반적인 비를 생각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하나의 비에 담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1,775자의 내용을 담았다는 사실에서 그러하다. 광개토왕비가 서 있는 禹山墓區는 國內城 시기의 마지막 葬地라는 점에서 왕릉 조영에 짝한 立碑의 공사는 한 시기를 마감하는 役事였다. 비의 전면으로는 王陵群이 集安 분지에 펼쳐져 있어 그 자체로서 문란했던 국가적 祭禮에 질서를 부여한 광개토왕의 업적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생생한 왕의 업적이 늘어서 있는 구역에 최종 단계에 세워졌다는 점에서 비는 국가적 제례의 완성을 기념하고 왕의 업적을 찬양하는 상징적인 구조물이었다. 정복 활동의 武勳 기사는 이어지는 수묘역 부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였다고 보는 이해와는 달리, 무훈 기사의 절반 이상은 수묘인과 무관하다는 사실이 찾아진다. 이 점에서 무훈 기사 역시 독자의 훈적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묘인연호조는 새로운 수묘인의 役 부과와 역대 왕릉의 立碑를 언급하고 있어, 수묘제에 관한 내용이면서도 광개토왕비만의 독자적 내용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광개토왕비의 守墓人烟戶條는 광개토왕릉의 수묘를 위해 제작된 ‘수묘비’ 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 무훈과 함께 수묘제 정비가 왕의 훈적으로 기록된 연유를 여기에서 살필 수 있는 것이다. 정복 활동의 대외 분야와 왕릉 정비의 대내적 치적을 거론하여 외정과 내치 모두에서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다고 보인다. 광개토왕비가 수묘제의 淵源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곧바로 왕릉을 수호할 지역별 연호수를 나열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러한 기술방식은 광개토왕릉의 수묘인이 기존의 수묘인 편성과는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서술방식이라고 생각된다. 新來韓穢와 舊民의 조합이라 는 낯선 편성이 종래의 수묘제와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가를 분명히 해두려는 의도가 읽혀지는 것이다.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is a huge one with a unique shape and its location does not seem to belong to any specific boundaries of a grave. This paper specifically delves into the meaning of those characteristic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recently discovered Jian Koguryo Stele(集安高句麗碑).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implies that King Jangsu did not think of a standard general stele from the start, considering that it is similar to a stele not properly processed. The over-lettered epitaph (1,775 letters) contained in the stele proves such a theory. Yushan tomb area (禹山墓區), where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stands, is the last burial site during the period of Gungnae Fortress (國內城), and the erection of the stele represented the end of an era that reflects its combination with royal tomb construction. In front of the stele, a cluster of royal tombs spread across Jian basin, and thus, the stele itself exhibits the feat of King Gwanggaeto, who kept in order of disorderly national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The stele was a symbolic structure commemorating the completion of national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praising king`s achievements, given that it was set up in the final stage of the tomb area, where vivid kings` achievements were exhibited. Unlike a view regarding that epic on conquering activity feats as a precondition to ensure legitimacy to grant the role of a tomb keeper, it i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poetry for feats of arms are unrelated with the royal tomb keepers. The epic on the feat of arms are judged to be a peculiar achievement. Meanwhile, SumyoInyeonHojo (守墓人烟戶條) mentions the role of a new royal tomb keeper and the erection of royal steles of many generations, and it is about a royal tomb keeping system and also about the unique content of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All in all, the SumyoInyeonHojo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is beyond the category of a stele erected to keep a royal tomb. From this, the reason why re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 keeping system, as well as the feat of arms, is recorded as king`s achievement can be found. The purpose of SumyoInyeonHojo appears to demonstrate achievements in both foreign affairs and internal affairs by addressing the external field of conquering activities and an internal achievement on royal tomb reorganization. It is also noted that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lists the number of households by region to protect royal tombs, instead of remarking royal tomb keeping system`s origin. Such a description mode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of description to stress that the keeper of King Gwanggaeto`s royal tomb is different from the formation of existing royal tomb keepers. The intention to clarify a relationship between a strange formation of combination of ShinRaeHanYe (新來韓穢) and GuMin (舊民) and the traditional royal tomb keeping system is grasped here.

      • KCI등재

        廣開土王碑의 性格과 立碑의 意義

        이성제(李 成 制 Lee Seong Je)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9 No.-

        광개토왕비는 독특한 생김새의 거대한 비석으로, 비가 서 있는 위치 역시 어느 특정 묘역에 속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특징들에 내포된 의미를 최근 발견된 集安高句麗碑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광개토왕비는 다듬지 않은 날 것에 가까운 거대한 비라는 점에서 長壽王이 처음부터 정형화된 일반적인 비를 생각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하나의 비에 담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1,775자의 내용을 담았다는 사실에서 그러하다. 광개토왕비가 서 있는 禹山墓區는 國內城 시기의 마지막 葬地라는 점에서 왕릉 조영에 짝한 立碑의 공사는 한 시기를 마감하는 役事였다. 비의 전면으로는 王陵群이 集安 분지에 펼쳐져 있어 그 자체로서 문란했던 국가적 祭禮에 질서를 부여한 광개토왕의 업적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생생한 왕의 업적이 늘어서 있는 구역에 최종 단계에 세워졌다는 점에서 비는 국가적 제례의 완성을 기념하고 왕의 업적을 찬양하는 상징적인 구조물이었다. 정복 활동의 武勳 기사는 이어지는 수묘역 부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였다고 보는 이해와는 달리, 무훈 기사의 절반 이상은 수묘인과 무관하다는 사실이 찾아진다. 이 점에서 무훈 기사 역시 독자의 훈적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묘인연호조는 새로운 수묘인의 役 부과와 역대 왕릉의 立碑를 언급하고 있어, 수묘제에 관한 내용이면서도 광개토왕비만의 독자적 내용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광개토왕비의 守墓人烟戶條는 광개토왕릉의 수묘를 위해 제작된‘수묘비’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 무훈과 함께 수묘제 정비가 왕의 훈적으로 기록된 연유를 여기에서 살필 수 있는 것이다. 정복 활동의 대외 분야와 왕릉 정비의 대내적 치적을 거론하여 외정과 내치 모두에서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주려는 의도였다고 보인다. 광개토왕비가 수묘제의 淵源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곧바로 왕릉을 수호할 지역별 연호수를 나열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러한 기술방식은 광개토왕릉의 수묘인이 기존의 수묘인 편성과는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서술방식이라고 생각된다. 新來韓穢와 舊民의 조합이라는 낯선 편성이 종래의 수묘제와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가를 분명히 해두려는 의도가 읽혀지는 것이다.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is a huge one with a unique shape and its location does not seem to belong to any specific boundaries of a grave. This paper specifically delves into the meaning of those characteristic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recently discovered Jian Koguryo Stele(集安高句麗碑).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implies that King Jangsu did not think of a standard general stele from the start, considering that it is similar to a stele not properly processed. The over-lettered epitaph (1,775 letters) contained in the stele proves such a theory. Yushan tomb area (禹山墓區), where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stands, is the last burial site during the period of Gungnae Fortress (國內城), and the erection of the stele represented the end of an era that reflects its combination with royal tomb construction. In front of the stele, a cluster of royal tombs spread across Jian basin, and thus, the stele itself exhibits the feat of King Gwanggaeto, who kept in order of disorderly national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The stele was a symbolic structure commemorating the completion of national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praising king's achievements, given that it was set up in the final stage of the tomb area, where vivid kings' achievements were exhibited. Unlike a view regarding that epic on conquering activity feats as a precondition to ensure legitimacy to grant the role of a tomb keeper, it i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poetry for feats of arms are unrelated with the royal tomb keepers. The epic on the feat of arms are judged to be a peculiar achievement. Meanwhile, SumyoInyeonHojo (守墓人烟戶條) mentions the role of a new royal tomb keeper and the erection of royal steles of many generations, and it is about a royal tomb keeping system and also about the unique content of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All in all, the SumyoInyeonHojo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is beyond the category of a stele erected to keep a royal tomb. From this, the reason why re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 keeping system, as well as the feat of arms, is recorded as king's achievement can be found. The purpose of SumyoInyeonHojo appears to demonstrate achievements in both foreign affairs and internal affairs by addressing the external field of conquering activities and an internal achievement on royal tomb reorganization. It is also noted that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lists the number of households by region to protect royal tombs, instead of remarking royal tomb keeping system's origin. Such a description mode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of description to stress that the keeper of King Gwanggaeto's royal tomb is different from the formation of existing royal tomb keepers. The intention to clarify a relationship between a strange formation of combination of ShinRaeHanYe (新來韓穢) and GuMin (舊民) and the traditional royal tomb keeping system is grasped 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