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

        윤경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Abstract Tendencies and Tasks of the Researches about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Yoon, Kyung-ro Recently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made prosperously. So we could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them. Activities, leaders, ideologies, poli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became known to us.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studied during 2000s are as follow. First of all, studies about Chae Eung-eon loyal resistance troops and secret societies as Daehan Gwangbokhoe(大韓光復會), Taeeulgyo(太乙敎), and Chunglimgyo(靑林敎) have been presented. Next, researches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he Cheondogyo, and them of cultural movements for inspiring national spirit have been carried out. Finally, studies of national movements had been happened in the provinces of Korea have been carried out. In spite of many researches, we have a lot of task. In the future. First, we need to study about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and societies for Korean Lib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members of them. Third, we have necessity to study of meaning of educational activities by religion organizations and schools. Fourth, we need to study of the attitudes of Koreans abou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connection betwee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an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Finally, we need to study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and 3ㆍ1 Movement. ■국문요약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윤경로 이 글은 2000년대에 행해진 1910년대의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여 정리한 글이다. 이 시기의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대한광복회를 비롯한 비밀결사의 조직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진척되었다. 둘째 독립운동의 기저로서 교육운동과 천도교를 비롯한 민족종교단체의 역량,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문화적 활동에 대한 천착이 이루어졌고, 독립운동의 배경으로서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와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대한 연구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셋째 지방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면서 1910년대 지방의 독립운동에 관한 글이 여러 편 발표되었다. 1910년대 대표적 비밀결사인 대한광복회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 대한광복회의 정식 명칭에 대한 재고가 있었고, 대한광복회의 지부의 조직과 활동이 구명되었다. 또, 본부의 박상진과 채기중 뿐만 아니라, 지부의 이관구와 조현균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민족종교인 태을교와 청림교의 비밀결사 조직과 군자금 모집 활동이 밝혀졌다. 1910년대 독립운동의 기반, 혹은 민족운동의 역량과 관련된 연구로는 무엇보다도 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띈다. 종교단체와 자치단체의 사립학교와 강습소를 통한 교육운동에 대한 글이 다수 발표되었다. 다음으로는 민족의식의 형성과 관련하여, 개조론, 문화사학, 영웅 만들기 등에 대한 글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독립운동의 원인이 되는 일제의 지배와 관련된 연구로는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관련된 연구가 있었다. 그리하여 일제가 동화, 군사기지화, 경제예속화의 목표 하에 여러 가지 사업을 전개하였고, 근대화ㆍ문명화를 내세우며 한인들을 예속시키려 하였음이 다시금 강조되었다. 그리고 일본시찰단, 상공회의소, 문화재 조사사업, 태형령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특히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지배와 통치에 관한 글이 다수 발표된 점을 주목할 만하다. 지방의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경북에서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김희곤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안동ㆍ영덕 등 경북 출신 인물의 비밀결사활동과 교육운동을 검토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연구로서, 연구독립운동을 전개한 가문이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한 마을을 사회경제적으로 조사하여 독립운동 가문의 독립운동과 해외 이주로 인해 마을의 사회계층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첫째, 지방의 독립운동과 그 주도인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는 자치단체는 소수이고, 그 수준도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라서 대다수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한 보다 더 큰 관심과 후원이 요구된다. 둘째, 독립운동단체 구성원들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사상적 기반을 규명하기 위한 입체적 유기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즉, 그들이 그 단체에 참여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혈연과 학연, 정치적 경험의 공유 문제, 정치 이념 등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2014~2015년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조규태(Cho, Kyu-ta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3

        이 글은 2014~2015년 독립운동사연구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고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의 과제를 제시한 글이다. 먼저 국내외의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시군별 · 부문별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을 위한 여섯 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국내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의병, 애국계몽운동, 헤이그특사와 순국투쟁, 비밀결사, 3 · 1운동, 의열투쟁, 사회주의계 독립운동, 신간회, 민족문화수호운동과 강제동원에 대한 투쟁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에서 특히, 의병, 유림계의 3 · 1운동인 파리장서운동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국외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중국 관내지역, 만주지역, 노령지역, 미주 · 일본 등지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다. 이 지역 중에서 중국 관내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국 관내지역의 독립운동 중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위생 · 의료 및 기념식과 같은 사회문화사적 검토가 시도되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진보적 인물을 비롯한 미주지역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연구의 성과가 컸다. 이에 비해 무장투쟁의 현장인 만주지역과 노령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도 · 시 · 군별 독립운동사 연구는 경북지역, 안동시의 독립운동사 연구가 가장 왕성하게 행해졌다. 그리고 부문별로는 여성독립운동, 아나키즘계 독립운동, 교과서의 독립운동 서술 등의 주제가 다루어졌다. 이처럼 적지 않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2014~2015년의 독립운동사 연구는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비해서 그 수효가 적다. 이는 독립운동사 연구자의 은퇴와 노령화, 그리고 연구자들이 사회 · 문화사 분야로 연구의 주제를 변경한 탓이다. 앞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첫째 무장독립운동의 현장이었고, 희생이 많았던 만주 · 노령지역의 독립운동가와 독립운동단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둘째 일치된 결론에 도달하지 않은 주제와 사건에 대해서는 콜로키움이나 학술회의를 통해 명확한 결론을 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주의계 독립운동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독립운동을 진압한 일제의 기관과 조직과 직원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신문이나 일제의 정보문서와 행형자료 외에 독립운동가가 생성한 회고록과 문집과 문서 등을 디지털화 해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사진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 관리하고 서지학적 연구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is is a paper to review the trend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researches and to look into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In this paper, I intend to review the researche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one in internal and external places, and check out the searches by regional group and theme. Themes of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done in 2014~2015 were righteous army, national enlightenment movement, Hague envoy and suicide struggle, secret society, the first of March movement, patriotic struggle,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Shin-gan-hoe, national culture protection movement and resistance against compulsory mobilization, and etc. Especially, righteous army, letter to Paris movement of the first of March movement by Confucian scholars were studied much more than others. Themes of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had differences in places, which were main land of China, Manchuria, Russia, America and Japan, etc. Among these, there were plenty of researche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researches of the Korean 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in America were the second in number. And the social and cultural history researches like medical treatment and ceremony have been done. But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nd Russia were unsatisfactory in number. Among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province,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Kyung-book were most frequent. And among them in cities, those of Andong were most frequent. In researches by theme, the researches of Anarchist movement and women movement were enacted. But the researches of independence movement have been reduced in 2014~2015 than 1990’s and 2000’s. These are down to retirement and aging phenomenon of researchers, and to changing of research theme. From now on,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s, we must fulfill several tasks as follows. First we must make a study ab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nchuria and Russia, where were typical sites of armed struggle. Second we must make a conference and homogenize different views. Third we must increase the researches of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Fourth the researches of the organization, agency, and offic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t be fulfilled. Fifth biographies, and memoirs, and documents of patriots must be collected and digitalized to be used easily. Sixth we must collect and organize photographies, and do bibliographic study about them.

      • KCI등재

        重慶 臨政 시기 金星淑의 활동과 정치사상

        한상도 한국근현대사학회 200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44 No.-

        Kim, Seong-suk’s joined forces with the Korean PG in Chongqing in the 2nd half of the 1941. Kim insisted the necessity of unity among Koreans, centering around the PG, despite cold treatment since he was a communist. He evaluated the PG as the guidance authority for independence movement and as the government with the national authority bestowed by all the korean people. He had a keen knowled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n the Pacific war. During the war, the world powers was discussing the rearrangement of the international order.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allied nations were watching, in the aspect of countering Japan, how the PG and Koreans were going. In this situation, he thought that each power should foster political influences together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rom within a coalition government, as well as maintaining its own identity. His main concern was to establish the PG centered korean powers firm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anti-fascism front and international alliances against Japan. He presented the realistic proposal for the korean powers to choose, while the international political powers was going to decide the destiny of korean peninsula after the 2nd world war, with proper understanding on anti-fascist international unification front for korea’s own benefit. He considered himself as an independent Korean communist out of the Chinese communists party, censuring Korean communists who moved to the jurisdiction of Chinese communists party as ‘opportunists’ or ‘sectarianists’. In addition, he thought Korean communism movement to be unique, not just the pa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m movement. Kim, Seong-suk’s joined forces with the Korean PG in Chongqing in the 2nd half of the 1941. Kim insisted the necessity of unity among Koreans, centering around the PG, despite cold treatment since he was a communist. He evaluated the PG as the guidance authority for independence movement and as the government with the national authority bestowed by all the korean people. He had a keen knowled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n the Pacific war. During the war, the world powers was discussing the rearrangement of the international order.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allied nations were watching, in the aspect of countering Japan, how the PG and Koreans were going. In this situation, he thought that each power should foster political influences together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rom within a coalition government, as well as maintaining its own identity. His main concern was to establish the PG centered korean powers firm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ternational anti-fascism front and international alliances against Japan. He presented the realistic proposal for the korean powers to choose, while the international political powers was going to decide the destiny of korean peninsula after the 2nd world war, with proper understanding on anti-fascist international unification front for korea’s own benefit. He considered himself as an independent Korean communist out of the Chinese communists party, censuring Korean communists who moved to the jurisdiction of Chinese communists party as ‘opportunists’ or ‘sectarianists’. In addition, he thought Korean communism movement to be unique, not just the par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m movement.

      • KCI등재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 ―민족 정신사 수립의 길―

        조형열 ( Cho Hyong-yer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자신의 학문을 민족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이해했던 조지훈은 신칸트학파의 영향 아래 한국학과 한국사 연구에 들어섰다. 한국사는 한국학을 구성하는 핵심이었으며 그의 실천의 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조지훈은 전통을 계승의 대상이자 가치 창조의 주체로 삼아 민족주체성을 바로 잡고자 했고, 한국사의 체계화를 모색했다. 또한 한국사의 독자성을 찾고 세계사와 견주기를 시도하는가 하면, 자연적·외적 조건에 인한 영향을 조화·융합하면서 한국사가 발전한다고 보았다. 원효의 철학과 동학사상을 이와 같은 전범으로 내세웠으며 한국사를 보는 주체적·개성적 시선을 갖는 것이 ‘한국적’ 방법이라고 집약했다.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 영역은 문화사, 그 가운데 정신사(精神史)에 해당했다. 그는 민족이 조선 세종대에, 민족의식은 왜란·호란을 거치며 형성된다는 것을 시작으로, 실학운동-홍경래의 난-삼정 소요-갑신정변-동학혁명-갑오경장을 통한 민족의식 발달사를 체계화했다. 또한 독립운동도 정신사의 범위로 끌어들여 3·1운동-6·10만세운동-광주학생운동 등 민중의 독립투쟁을 높게 평가했고, 사회주의도 민족의식의 범위 안에서 수용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조지훈의 한국사 서술은 민족의식에 절대성을 부여하는 규범적·윤리적 성격이 강했으며, 이는 사회 모순으로 인한 역사발전을 강조한 당시 소장 연구자의 내재적 발전론과 차이가 있었다. 조지훈은 한국학이 처음으로 공론화되던 1960년대 초에 한국사 연구를 통해 한국학의 역사적 흐름을 확인하고, 정신사 연구의 경험을 통해 한국학의 방향을 모색했다. 따라서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는 민족 중심 한국학과 민족문화운동의 설계도로서 의미가 있었다. Cho Ji-hoon, who understood his scholarship as part of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 began to study Korean history under the influence of neo-Kantians. Korean history was the core of Korean studies, and an important means of revealing his practical consciousness. Cho Ji-hoon wanted to make tradition the target of succession and the subject of value creation, and rectify the national identity, and sought to systematize Korean history. He also attempted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history and compare it with the world history, and believed that Korean history would develop through harmonization and convergence with natural and external conditions. He thought of Wonhyo’s philosophy and the thought of Donghak as examples thereof, and said in summary that having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istic viewpoint of Korean history is the ‘Korean’ method. The research area of Cho Ji-hoon’s Korean history corresponded to cultural history, and particularly, intellectual history. Having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ity under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 he systematize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Silhak Movement, Hong Gyeong-rae’s Rebellion, the Samjeong Riot, the Gapsin Coup, the Donghak Revolution, and the Gabo Reformation. He also inclu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rang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nd thought highly of people’s struggle for independence, e.g. the March 1st Movement, the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tried to accommodate socialism within the scope of national consciousness. Cho Ji-hoon’s descrip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had a strong normative and ethical personality that gives absoluteness to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of the young researchers of those days wh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history due to the contradictions in our society. Cho Ji-hoon verified the historical genealogy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in the early 1960’s when Korean studies came under the spotlight for the first time, and sought for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tellectual history. As a result, Cho Ji-hoon’s study of Korean history became the blueprint of the nation-centric Korean studies and national cultural movement.

      • KCI등재

        이익상(李益相) 미발굴 데뷔작 「삼호실의 반신상(三號室の半身像)」에 나타난 민족주의적 단면들

        이은지(Eun-ji Lee)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본고는 이익상의 회고에서 ‘처녀작’으로 언급되었을 뿐 지금까지 그 실체가 알려지지 않았던 일본어 소설 「삼호실의 반신상(三號室の半身像)」(『東洋』, 1923.8)의 발굴 소식을 알리고, 이 작품과 관련한 실증적인 정보 및 연구대상으로서 이 작품이 지닌 특징적인 부분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익상은 도쿄 지역 만세운동으로 형무소에 수감된 동료를 면회하러 간 실제 경험으로부터 이 소설을 구상했다고 진술했는데, 이를 토대로 이익상에게서 사회주의자로서의 관점 이외에 민족주의적 면모 또한 발견되지는 않는지, 그 가능성을 엿보고자 했다. 추적 결과 소설의 모델이 된 실제 사건은,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가 2.8 학생운동 이후 워싱턴회의에 즈음하여 제2차로 일으킨 1921년 11월 5일의 독립선언운동이었다. 이 사건의 선언서나 주동자 명단 등에서 이익상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발견되지는 않지만, 소설을 통해 이익상이 이 운동 현장에 참석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이익상이 학우회 회원으로서 『학지광(學之光)』의 편집진으로 활약했고, 김준연(金俊淵), 박석윤(朴錫胤) 등 이익상과 가까운 인물들이 2.8 학생운동 이후 시기 학우회의 주요 임원이었음을 고려하면, 이익상은 학우회의 독립운동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소설의 후반부는 서술자 ‘나’가 동료를 면회하기 위해 도쿄 감옥의 입구에서부터 면회실까지 천천히 이동하는 과정과 주변 관찰을 담고 있다. 이 부분은 ‘외국인이 체류국 현지의 감옥 내부로 들어간다는 점’과 ‘불령선인(不逞鮮人)으로서의 조선인을 주요인물로 등장시킨다는 점’, 그리고 발표시기가 인접하다는 점과 작자들 간에 실제 교류 내역이 많다는 점에서 여러 모로 나카니시 이노스케[中西伊之助]의 조선 3부작을 떠올리게 하는 면이 있다. 다만 나카니시의 소설들이 당시 ‘불령선인’을 향한 동정적 시선과 연대감을 드러내고자 했음에도 일본인이 조선을 관찰한다는 데서 근본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시야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했다면, 「삼호실의 반신상」은 ‘불령선인’ 당사자가 관찰하는 일본의 공간과 인물들을 서술함으로써 조선인을 시선의 주체로 삼았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다. This paper reports the excavation of Lee Ik-sang’s Japanese novel “The Half-length Figure of Room 3,” which was mentioned as ‘the debut work’ in Lee Ik-sang’s retrospective but has not been discovered so far. Providing empir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is novel, this paper also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as a research object. Particularly, it seems rich in research potential to examine Lee Ik-sang’s nationalist aspects rather than much-discussed socialist aspects, considering his statement that he wrote “The Half-length Figure of Room 3” based on his real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okyo and visiting the independence activist fellow in a Japanese pris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actual event that became the model for the novel was the second independence movement on November 5, 1921 after the 2.8 student movement in 1919, which was initiated by the Association of Choseon Students in Tokyo to petition the Washington Conference for Choseon’s independence. Although the name of Lee Ik-sang is not found in the declaration or the list of instigators, it became more likely through the novel that Lee Ik-sang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Lee Ik-sang worked as an editor of Hakjigwang, and that people close to Lee Ik-sang, such as Kim Jun-yeon and Park Seok-yoon, were major executives of the association, Lee Ik-sang is believed to have been well aware of the association’s prepara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latter half of “The Half-length Figure of Room 3” contains the process of the narrator’s moving from the entrance of the Tokyo prison to the meeting room to visit his colleague and observation of the surroundings. This part of the novel has side that reminds of Nakanishi Inosuke’s novels set in Choseon, because both of Lee and Nakanishi wrote a story about a foreigner entering prison in the country of residence, presented Koreans as “futei-senjin(disturbing Korean)” as the main characters, published their works around the same time, and even have a lot of history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However, while Nakanishi’s novels exposed the inevitable limit of Japanese’s vision observing Choseon, even though the writer tried to express a sympathetic gaze and a sense o f solidarity towards “futei-senjin,” Lee Ik-sang’s novel is noteworthy that it made “futei-senjin” himself the subject of gaze by describing the Japanese space and characters observed by Korean.

      • KCI등재

        중국 제1차 국공합작 및 국민혁명에 대한 한국인의 반향

        한상도(Han Sang-Do)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5

        일제 침략기 한인들은 중국 제1차 국공합작과 국민혁명의 성공을 한국의 독립과 해방을 위한 선행단계로 인식하였다. 국공합작과 국민혁명의 이념이었던 三民主義에 대한 해석은 대체로 좌경적인 경향을 띠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삼민주의이론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친공산주의적인 성향과, 1920년대 식민지 한국사회 지식인그룹의 진보적인 역사관이 어우러진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國共合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공산당원의 개별적인 국민당 입당 사실이 國民革命의 성취를 위한 것이요, 공산혁명의 ‘즉각 실현’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함으로써, 공산주의운동을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테두리 안에서 파악하였다. 한인들의 국민혁명 참여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을 띠었으며, 북벌전 참전으로 실천에 옮겨졌다. 적지않은 한인이 희생된 北伐戰場에서의 체험은 한인독립운동의 역량 강화와 항일진로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으로 이어졌으며, 그 같은 고민은 항일민족운동전선을 재정비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었다. 한인들은 국공합작 결렬의 일차적인 책임을 국민당 우파에게 묻는 등, 친공적인 경향을 띠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다음의 사실과 인과관계에 있을 것이다. 일차적으로 ‘先安內後攘外’를 포함한 국민당정부의 정치노선에 대한 저항감을 꼽을 수 있겠다. 제국주의세력의 침략을 물리치는 일이 일차적 목표인 민족해방운동의 입장에서 볼 때, 제국주의 침략 세력과 타협적이고 때로는 굴종적인 모습마저 보이기도 하는 국민당정부의 입장은 쉽게 용납되지 않았을 것이다. 반면에 반외세반제국주의 투쟁이라는 선명한 기치를 내건 중국공산당의 모습은 젊은 한인혁명가들의 기대와 동경을 채워줄 수 있었을 것이다. 국공합작의 붕괴를 분기점으로 하여, 중국국민당정부 관할구역에서 활동하던 한인공산주의그룹은 활동기반을 상실하였고, 중국공산당의 구심력 안으로 흡인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1920년대 후반이후 중국관내지역에서 전개된 한인독립운동의 양상은 기본적으로 중국국민당정부와의 연대ㆍ우호관계를 대전제로 한 민족주의 우파세력과 좌파세력의 공존 및 대립 구도를 밑그림으로 삼기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한인독립운동이 國共合作과 國民革命이라고 하는 중국근대사의 흐름에까지 그 외연을 확대함으로써, 동북아시아 피압박민족의 반제국주의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이라는 성격을 띠기에 이르렀고, 이어지는 1930년대 ‘파시즘과 반파시즘체제의 대결’이라는 세계사 흐름에도 조응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운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이다.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Koreans conceived the First Coalition of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and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as a preliminary stage for their independence and liberation from Japan. There was a tendency that Koreans' understanding of these political movements was tinged with communism Pro-communist elements inherent within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and the revolutionary idea of history prevalent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20s are combined together and produced such a communist interpretation of Chinese politics. Communism at the time was accepted as almost identical with anti-imperialism and nationalism. Koreans' participation in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was voluntary and active. They even took part in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in which not a few Koreans died in action. Such an experience served to awaken Koreans a strong spirit of independence and reinforce their campaign for independence. Koreans had a pro-communist tendencies. That explained why they attributed the failure of coalition to the right wing of the National Party. To Koreans whose primary concern was to stop the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the government of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appeared to be too reconciliatory toward and too submissive to Japan.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Chinese communist party was inflexibly anti-imperialistic, and thus seen favorably by young revolutionary Koreans. But with the collapse of the coalition, the group of Korean communists lost its base of revolutionary activities in China, since it was located within the confines of the government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And they were forced to be assimilated into Chinese Communist Party. The importanc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cannot be overestimate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associated with, and became part of the turbulent history of modern China, sharing its lot with the First Coalition of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and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An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Korean resistance to Japan's imperialism was made not only for Koreans themselves but for all the oppressed in the northeast Asia: the caus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ecame more and more universal, transcending its regional character. Thus the experience of such an resistance activity matured into an autogenous force to deal with an international situation such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fascism and anti-fascism in 1930s.

      • KCI등재후보

        도산 안창호의 국제관에 관한 연구

        박병철,박동국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4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Dosan An Chang-ho's viewpoint of international state of affairs during hi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national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He believed that the national independence could be won through Koreans' own 'power' and 'modernization', and this consistent thoughts were actually connected with his resistant activitie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nation with a newly educated people, he tried to raise capable people and modernize the nation throughout his lifetime struggle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n Chang-ho tried to find out a practical alternativ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his recognition that national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could be supported by national integrity. The international conditions imbued him with a sense of reality and he suggested a compromise measure for the nation even though that is not the best but the second best. And it is well revealed in his independence movement strategies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World War Ⅰ.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free state could be achieved on the basis of both practical preparation of the whole nation and diplomacy, he thought. He struggled persistently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with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ies and belief in national 'power' and 'modernaization.' 본 연구는 도산 안창호의 민족운동에서 보여준 국제정세에 관한 인식이 일제 저항적 민족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에 있어 민족독립은 민족 자립의 ‘힘’과 ‘근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일관된 정향이 그의 투쟁적 활동과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힘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근대화 그리고 신민과 신국을 구축하는 활동을 일생의 민족을 위한 독립투쟁 과정에서 보여주고 있다. 안창호는 민족의 자립과 독립은 민족적 통합의 힘에서 얻을 수 있다는 인식이 국제관계 속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찾게 된다. 여기서 국제정세는 그에게 현실적 감각을 불어넣고, 최선이 안 되면 차선이라도 민족을 위한 타협적 방법론을 계속적으로 제기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과 3·1운동 이후 드러난 그의 독립운동 방략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그에 있어 민족의 독립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민족의 준비와 외교를 통해 기회를 잡아야 하며, 이를 통해 민족의 근대 자유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다. 이렇듯 지속적인 독립운동에 진실하게 매진한 배경에는 국제사회변화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민족의 ‘힘’과 ‘근대화’에 대한 믿음이 전제되어 있었다고 보인다.

      • KCI등재후보

        화북조선독립동맹과 중국공산당

        韓相禱(Ham Dong-Ju) 역사학회 2002 역사학보 Vol.174 No.-

        Chosun Independence Alliance was on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 based in northern China area that developed its anti-Japanese movement jointly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efined World War Ⅱ as a confrontation between fascists and anti-fascists and considered itself as the leader of the anti-Japanese and anti-fascists movement of the oppressed people in East Asia. Therefore, the anti-Japanes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Taiwanese, and Vietnamese people and also along with the Japanese anti-war movement groups in the jurisdic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formed an international solidarit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hosun Youth Federation in northern China a predecessor of Chosun Independence Alliance, announced its platform at the inaugural ceremony held in January 10, 1941, as follows: "We protest the Japanese invasion to China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nti-Japanese war of China. We support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people and praise the anti-war movement of the Japanese people's revolution, and will organize the anti-Japanese united front of Korean, Taiwanese, and Japanese people." The organization of Chosun Youth Federation in northern China organization was being evaluated as part of the framework of unified international unification front of oppressed people of East Asia. Also, the outbreak of war between the US and Japan amplified the expectations for Japanese defeat, and the Chinese Guornindang government and the Chinese Cornmunist Party were inter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war China and northeast Asia,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existence of Chosun Independence Alliance was regarded as of great importance as a power group comparable to the alliance between the Chinese Guornindang government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all, activities of Chosun Independence Alliance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other anti-Japanese movements throughout of united people of East Asia. However, the comradeship with the Chinese Cornmunist Party that was formed to defeat Japanese imperialism was gradually changed to a vertical relationship. This was the shackles of international dynamics impose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a small and weak country that tried to regain its nation while in another country, power of the small and weak nation, which tried to regain its nation while in the other country. The struggle of an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 power that tried not to lose its identity despite the harsh in the tightness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makes us to look back ourselves who are now struggling again in the middle of the international trend of globaliz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제정치사적 쟁점: 1897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김명섭,김석원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7 No.2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eight government-endorsed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issues pertaining to international history and Korean modern history from 1897 to 1945. The eight government-endorsed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used in 2014, compared to the single textbook approved by the state used in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have progressed in terms of dealing with Korean histor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history. However, international history is only described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Korean history rather than international history per se. Thus, the interplay between international events and figures and Korean events and figures tends to be vague, and the overwhelming influences of international politics tend to be underrepresented. 이 논문은 1897년 대한제국 수립 이후부터 1945년 광복까지의 시기에관한 8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들을 국제정치사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한다. 2014년에 사용된고등학교 한국사 검인정 교과서 8종은 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국정국사 교과서에 비해 국제정치사적 맥락과 한국사적 특수성을 조화시키기위해 상당한 양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한국사 연구에서 생성된 일국사적 관점이 국제정치사적 배경 설명에 투영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압도적 영향력을 발휘했던 국제정치에 대한 분석에기초한 한국사 서술은 미흡하다. 국제정치사의 사건/인물들과 한국사의 사건/인물들 간의 상호작용이 명료하게 서술되지 못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신간회운동의 정치적 성격에 관한 일고

        정윤재(Jeong Yoon-Ja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이 글은 3.1독립만세운동 이후 자주독립을 향한 가장 대표적인 전국차원의 민족운동이었던 신간회운동을 다시 돌아보며, 그 정치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첫째, 신간회운동은 당대의 대표적인 민족지도자들에 의한 항일독립운동으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대해 각 지역과 계층이 골고루 단합하여 참여했던 내셔날 이니셔티브였다. 둘째, 신간회운동은 일제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식민정책에 저항하여 비타협적이고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대처했던 독립운동이었다. 셋째, 이 신간회운동이 비록 좌파국제주의에 의해 좌절되었지만, 한국근현대사상 3.1독립만세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독립운동이었다. 이 신간회운동은 일제시대라는 암흑기에 민족구성원간 좌우협동과 문화적 수월성으로 자존과 지주의 가능성을 잘 보여 주었던 사례로서 한국 현대정치의 발전방향에 중요한 시사를 하고 있다. This essay reviews the Sin’ganhoe movement, the most typical nationalist initiative against the imperial Japan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summarizes its political characteristics into three points. Sin’ganhoe movement had been attempted as a nationalist initiative to resist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o destroy the Korean identity, and it had also been national in its social and geographical scope of participation. The Sin’ganhoe movement had been a nonviolent and uncompromising action against the Japanese violent oppresssion of the Korean people. Lastly, it was a national unity movement by social, intellectual, and cultural leaders to sustain the Korean hope for political independence, but it was eventually dissolved due to the leftist internationalism through which the Soviet Union would had controlled the Korean socialists. The Sin’ganhoe movemen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ional solidarity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in the global age of intensive competition and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