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화점 수퍼마켓의 머천다이징을 고려한 실내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박성준(Park, Seoung-Zun),최상헌(Choi, Sang-H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ails of the overall interior design of the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retail space, interior design and development seeks to help change. In this study, a range of research the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located in the major department store. Since 2012, new construction or renewal has been done in a department stor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a total of five locations of two places in the premium supermarket.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 First, In-store merchandising strategies, store configuration strategy, product mix strategies, and the layout plan considering the advanced strategies. Secondly, the interior guidelines are, ①VP should be planned as an expression of a company or brand management strategies to visualize a concept image of product planning stages of merchandising to entering the store to induce curiosity to customers. ②PP is by planning purposes, the use of lighting, directing structure, color harmony, by utilizing such as props and small parts must be able to attract attention. ③IP is the customer to organize displa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items to facilitate fraud, and the fixture plan in association with it, the customer selects a product must induced to purchase.

      • KCI등재

        소비자 조사를 통한 아파트 공간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

        조재경(Jae Kyung Cho),김효정(Hyo J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3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of apartment by analyzing the consumers` needs of the domestic market. To achieve this,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design and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brand identity and design strateg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Also, we established `Plans for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by conducting a survey on brands and conducting a questionnaire on design to customers. This study compared exterior design of apartment with interior design of apartment. Also, it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taste of design of apartment. We proposed materials, colors, style, and brand identities as design strategies to resuscitate ordinary brand design into premium brand. The data were obtained via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married women 30, 40, 50 years of age(N=102) and property experts(N=50).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lies in analyzing the environmental design of apartment from exterior design and interior design of apartment towards apartment design strategy.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overall trend of apartment brand market,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brands. Through the research we extracted the design strategy and brand image of a brand B from Company, and we proposed a design application plan.

      • KCI등재

        인테리어 브랜드의 역동적 시장세분화 전략 : LX하우시스(LXH)의 시장세분화 전략 사례

        이재진,이성준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2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LX Hausys, a leading manufacturer of building materials in South Korea is engaging in the interior business where it is critical to balance between the needs of end-users (B2C) and the needs of corporate consumers (B2B) in an effective manner. Therefore, it is utmost important for the company to ensure that customer communication takes place in two directions based on correct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which in turn require a deep understanding of current as well as potential consumers. To accomplish this, LX Hausys conduc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to establish a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hich is genuinely different from “general” consumer goods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As a result, especially since 2018, its brand (LX Z:IN) began to move up to 1st or 2nd place in a variety of brand rankings. This paper aims to look closely into various characteristic aspects of LXH's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and also shows how it is implemented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구자진(Koo, Ja-Jin)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7 No.-

        옥천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통해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장방형)의 구조 및 생계방식, 생활상에 대한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 내부에서는 화덕자리와 저장구덩을 비롯하여 많은 기둥구멍이 조사되었으며, 이들 기둥구멍과 내부시설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계획된 설계와 측량을 통해 집을 지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집자리는 맞배지붕의 세마루(3량)구조에 해당하는 지붕형태로 복원하였으며, 벽체와 지붕이 분리된 구조를 띤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내부를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발전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천리 집자리와 동일한 구조를 띠고 있는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대전 관평동 유적을 비롯하여 청원 쌍청리, 보령 관창리 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이러한 집자리를 「대천리식 집자리」로 그 성격을 설정하였다. 대천리 집자리의 구조를 통해 내부공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각 공간의 규모와 내부시설 및 출토유물을 통해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나뉘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은 칸막이기둥으로 나뉘어지며, 생활공간은 다시 취사·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작업공간)과 휴식이나 잠자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거실공간)으로 세분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속공간은 저장구덩과 출토유물(갈판, 갈돌, 숫돌, 뒤지개류, 대형의 민패토기)으로 판단할 때, 곡물을 가공하거나 갈무리하는 장소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 중에는 내부시설과 기둥구멍 배치의 정형성으로 보아 집자리 내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공간의 활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기능이 분담되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국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는 대부분 기원전 3,5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신석기시대 후기를 거쳐 청동기시대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었던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clarifying the dwelling site's function analysing the structure and the excavated remains from the Daechon-ri Neolithic dwelling site. We found that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the living condition can be restored since interior facilities and post-holes of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have been well preserved. The dwelling site has become restored as having a rectangle plan with gabled roof. The wall is known as being exposed on the earth and the roof distanced from the earth, also. And the living space and the attached space are seen to have been separated in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dwelling site. Moreover, the living place seems to have been divided as two spaces;the working spa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 the living space for resting and sleeping. Another example excavated at Gwanpyeong-dong(官坪洞), Daejeon(大田) showed the same style of dwelling, so those sites of the same style were named as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大川里式 住居址), which is marked by the distinctive interior division structure and the popped out oval pit. In addition to the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structure and the remains of a number of Neolithic dwelling sites excavated in inland and souther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it is ascertain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a dwelling site was divid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difference, and accordingly the remains from a dwelling site showed difference in subsistence strategy. The Neolithic rectangular dwelling site had begun to appear after 3,500 B.C., and lasted throughout Neolithic period, and succeeded into the long-rectangular dwelling site of Bronze Ag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solving the conversion process from the Neolithic to the Bronze Ages..

      • KCI등재

        브랜드 개성에 의한 칠성포차 매장의 인테리어 전략안 연구

        신재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The cart bar industry is experiencing severe competition in the saturated bar market due to a short life cycle and a rapid change of trend. Chilseong Pocha, which is a cart bar franchisor, is a brand combining the concept of a cooking bar with delicious drinks specialized in chicken dishes most preferred by the public, currently having 113 franchisees. However, currently, it seems that Chilseong Pocha has no differentiation for cart bar brand because consumers consider it as a second move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ior concepts for the existing cart bar brands show the retro-style feeling and indicates the market with same images but different brands. Therefore, it is the best strategy to make a visual space recognized with a strong point of symbolism for overcoming the limit of its being recognized as the common cart bar brand and becoming a unique brand.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store interior of ‘Chilseong Pocha’, a franchise cart bar brand, by developing a design system as the subject of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brand personality is researched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nd a strategic situation analysis is based for developing a brand strategy process and interior system. This study derived an interior draft after analyzing consumers’ needs based on the pre-investigation.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visit a cart bar once or twice per month for promoting friendship with their friends. In addition, the time slot for use is 8:00 PM ~ 10: 00 PM,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art bars, except for HANSHIN POCHA, as a preferred cart bar. As to a consideration for choice, taste is considered with top priority and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among brand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strategy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brand personality for each item and to obtain results through such strategy plans. This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a sense of awareness to consumers beyond the trend or taste, through the constant analysis on interior design of cart bars and making it as a firm brand to consumers by properly coping with the changing marker. 포차업계는 짧은 수명주기와 빠른 트렌드의 변화로 포화된 주점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포차 프랜차이즈 가맹점인 칠성포차는 대중들이 가장 선호하는 닭요리를 특화시켜 술맛나는 요리주점을 접목한 브랜드로 현재 113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칠성포차는 소비자들에게 후발주자 이미지로 주점 브랜드의 별다른 차별성이 없게 느껴진다. 기존의 포차 프랜차이즈들의 인테리어 컨셉도 복고풍의 분위기를 연출하며 같은 이미지에 브랜드만 다른 시장 현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한 주점 브랜드로 인식되는 한계를 독자적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상징성이 강한 포인트로 시각적 공간을 인식 시키는 것이 최상의 전략이다. 이번 연구는 소상공인진흥원의 과제로서 디자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프랜차이즈 주점 브랜드 ‘칠성포차’의 매장 인테리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브랜드 개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브랜드의 전략적 프로세스와 인테리어 시스템 개발을 위해 전략적 상황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먼저 사전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한 후 인테리어 초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친구와 친목 도모를 위해서 월 1회~2회 포차를 방문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이용 시간대는 저녁 8시~10시로 선호하는 포차로 한신포차를 제외하곤 나머지 포차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택시 고려사항은 맛을 가장 우선으로 선택 하였으며 포차 브랜드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걸 조사 결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개발 항목별 브랜드 개성 적용과정을 거쳐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안을 통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로 지속적인 포차 프랜차이즈 매장의 인테리어 전략안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 트렌드나 맛을 넘어서 소비자에게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향후 변화하는 시장에 적절히 대응하여 소비자에게 확고한 브랜드로 인식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부실기업의 회생성과에 실패-기인전략 및 위협-경색전략의 영향

        송신근(Song, Sin Ge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5

        본 연구에서는 부실기업이 회생을 통한 지속적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실패-기인전략과 위협-경색전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부실기업이 처한 상황이 이들 전략과 회생성과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분석을 위한 독립변수로 실패-기인전략과 위협-경색전략을, 상황변수로 경쟁강도, 외부환경 부적응, 내부운영 미숙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회생성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상황변수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매출액증가율에 실패-기인전략만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변수를 고려하였을 경우, 경쟁강도가 높을 경우 두 전략 모두 총부채비율감소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나, 경쟁강도가 낮을 경우 실패-기인전략만 매출액증가율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환경 부적응의 정도가 높을 경우 실패-기인전략만 매출액증가율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을 경우 실패-기인전략만 총부채비율감소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운영 미숙의 정도가 높을 경우 두 전략 모두 매출액증가율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낮을 경우 실패-기인전략만 총부채비율감소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실기업의 회생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는데 있어 기업의 부실원인이 무엇인지을 먼저 분석하여 부실원인의 상황에 따라 상이한 전략이 추진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ilure-induced and threat-rigidity strategy on the turnaround performance of firms which were under legal management or composition but currently successfully graduated. And also it analyze the moderate effects of competition, external environment maladjustment, and poor interior operation on the relationship two strategy and turnaround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ly failure-induced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sales growth for the group of full firms. Two strategy all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ecrease of total debt ratio for the group of firms with higher competition situation and only failure-induced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sales growth for the group of firms with lower competition situation. Only failure-induced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sales growth for the group of firms with higher external environment maladjustment situation and only failure-induced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ecrease of total debt ratio for the group of firms with lower external environment maladjustment situation. Two strategy all had a significant impact in sales growth for the group of firms with higher poor interior operation situation and only failure-induced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decrease of total debt ratio for the group of firms with lower poor interior operation situation.

      • KCI등재

        전략실행 프리미엄: 한샘 사례

        정형록,김미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8 專門經營人硏究 Vol.21 No.2

        This study analyzed case of HANSSEM based on 'the execution premium' of Kaplan and Norton(2009). To ensure the success of a corporate strategy,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al execution must be linked together. Hanssem's best practices and winning strategies in Korea and abroad are classified as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of execution premiums. Hanssem, the representative of domestic kitchen and interior furniture industry, went through a rapid growth trend until 2002 and then underwent a transition period of growth stagnation for about seven years. In the process, Hanssem identified core competencies and broadened its business scope. After the transition, Hanssem created a core niche market by developing and planning strategies focused on customers and markets Hanssem's success stories are divided into process innovation, lifestyle strategy, and consumer culture strategy in China. First, Hanssem escaped the dichotomy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mproving business processes across product production-distribution-customer service. Second, They set up a lifestyle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life cycle of the house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Finally, They create a consumer culture strategy in Chin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group of the actual Chinese furniture market and the residential culture of each city in China.

      • KCI등재

        브랜드 동일시에 의한 피자헤븐 매장의 인테리어 전략안 연구

        신재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1

        As many brands have been launched in the market, the pizza industry’s competition becomes severe. New brands present differentiated menus and fresh images, and the well-established and highly reliable brands are ensuring internal stability with lots of franchises. With respect to pizza franchise, Pizza School has the highest number of stores (1,107 stores). In order to cope with it, Pizza Heaven constantly develops big size pizza and new taste, and attracts consumers at much cheaper price. However, because ‘Pizza Heaven’ currently has only 48 franchise stores, the development of new menu is not sufficient. The best strategy is to make customers to remember the brand when they visit a store.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for interior of ‘Pizza Heaven’ stores as a design system development subject of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Agency. First of all, this study establish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an advance research for brand identity, and then developed a strategic process and interior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brand strategic situ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consumers’ needs through an advance survey before an interior draft is cre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20s are the main age group of purchase, and,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20s frequently visit a store even though it is general to enjoy pizza alone at home rather than visiting a store.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a time zone for use is mainly 6:00 through 8:00 PM. In the survey, the most noticeable thing is that a pizza brand, rather than pizza menu, comes across to consumers’ mind first.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could establish a strategy and obtain outcome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brand identity by individual item. For being helpful in establishing a strategy, this study proposes that a strategic plan for interior with respect to pizza franchise stores will be constantly analyzed and the brand will be firmly recognized by consumers beyond the taste and trend and further will be established in the mind of consumers. 피자업계는 수많은 브랜드가 생겨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다. 신규브랜드는 차별화된 메뉴와 신선한 이미지를 선보이고, 기존의 오래되고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는 많은 가맹점을 앞세워 내실을 다지고 있다. 피자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피자스쿨이 1,107개로 가장 많은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고자 피자헤븐은 빅사이즈 크기와 새로운 맛을 개발하고 더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피자헤븐'은 48개의 가맹점 밖에 없기 때문에 메뉴 개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매장에 한번 방문했을 때 브랜드가 기억에 남도록 하는 것이 최상의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상공인진흥원의 디자인 시스템 개발 과제로 프랜차이즈 피자 브랜드 '피자헤븐' 매장 인테리어 전략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브랜드 동일시에 대해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하였고, 그 후 브랜드 전략적 상황분석을 통한 전략프로세스와 인테리어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인테리어 초안이 나오기 전에 사전조사를 통해서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매연령층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일반적으로 피자를 매장에서 보다는 혼자 집에서 즐길 때가 많지만 20대는 매장 방문이 많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용시간대는 저녁 6~8시 사이가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주목할 점은 피자의 메뉴보다는 브랜드가 먼저 떠오른다는 점을 조사 결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개발항목별 브랜드 동일시 적용과정을 거쳐서 전략을 수립하고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피자 프랜차이즈 매장에 인테리어 전략안에 대한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맛이나 트렌드를 넘어서서 소비자에게 확고하게 인식되고, 향후 시장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서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인식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한국 건축 및 실내디자인 분야의 미래적 전망과 전략에 관한 연구

        최상헌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1

        In the future,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will be interrelated and form the quality of human life based on their own academic characteristics. I tried to find out the present problems which affect the qualitie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As a conclusion, I suggest 3 categories of 7 issues to have the international power of competition for the visions and strategies of th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ose are as follows ; put an emphasize on the humanity and scientific personality, put an emphasize on the natural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personality, and put an emphasize on the local personality, international personal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건설사 웰빙트랜드 상품개발을 위한 실내조경 타입 비교분석

        김수연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3 No.4

        웰빙 트랜드에 맞는 실내조경 상품을 개발할 때 중요시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우선, 문헌조사를 통하여 웰빙 개념을 정의하고 웰빙 디자인 변수를 도출하였다. 다음, 도출된 웰빙 요소에 대한 실내조경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디자인형태, 공기 정화능, 에너지 효율성, 심리적 아늑함, 적정한 식재, 공간 효율성, 재활용성, 관리의 자동화 등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친환경적 활동에 대하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형태별 차이는 대부분의 웰빙 요소와 관련이 되지만 지속가능성이나 친환경적 활동과 같은 환경기술적 요소와 프로그램과는 관련이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소비자가 웰빙 상품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디자인 형태라고 밝혀졌으므로 실내조경 디자인형태 개발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 소비자의 디자인 유형별 선호도 분석에서 소품형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므로 경제적이고 부담이 적은 형태를 소비자들이 선호함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으며 이동과 공간 활용이 자유롭고 범용적인 디자인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한 소품형의 실내조경 상품개발이 건설사 웰빙 전략으로 적합함을 분석해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mmarize the concept of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factor of interior landscape design for well-being product. Primarily, literature research were to summarize the concept of well-being and well-being interior landscape design factor. We find out wellbeing trend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 items.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D&C interior landscape plaza to investigate the consumer preferences. As a result, Type of the design were analyz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wellbeing product. W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wellbeing factor according to design type, 8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actors consist of that design type, green ratio, amenity, reduce pollution, consumer's interest, lower energy, recycling materials and movable convenience. But sustainable desig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a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t is a design type that consumers consider important when they purchase well-being products.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developing design type of interior landscape. Wellbeing strategy which is suitable for construction enterprise is the small garden design that is economical to consumer, free to use space and univers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