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수도권 사람통행과 화물유동의 지역연결체계 특성 비교

        김가은 ( Ga Eun Kim ),홍현철 ( Hyun Cheoi Ho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통행과 화물유동을 분석지표로 사용하여 수도권의 지역연결체계를 도출하고 두 지역연결체계의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계층성과 연계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사람통행과 화물유동은 서로 다른 지역연결체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 ‘지역의 중심성’과 ‘물류관련시설의 산업배치’에 따라 두 지역연결체계의 계층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두 지역연결체계의 방향성과 공간적 연계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화물유동이 사람통행보다 장거리 유동성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거리 저항에 따른 ‘사람통행의 인접지역 간 공간연계’와 ‘화물유동의 비지적 공간연계’가 뚜렷하게 구분된다. 특히 사람통행 지역연결체계의 경우 방사선형의 5개축을 형성하는 반면, 화물유동 지역연결체계는 일정한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하위 지역연결체계에 대한 공간범위가 교차되는 패턴, 즉 공간적 중복성을 나타낸다. 각 지역연결체계를 네트워크로 환원하였을 때, 중심화 경향 네트워크는 약하게 나타났으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사람통행 네트워크를 ‘방사수지상 분산형’구조, 화물유동 네트워크를 ‘부분집중적 분산형’구조로 명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characteristics by person trips and freight flows in the capital region. Aspects of hierarchy and linkage analysis, person trips and freight flows are composed of different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each other. Also,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shows differences in the directiv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Spatial linkage between adjacent regions of person trips’ according to distance resistance and ‘non-predictive spatial linkage of freight flows’ are clearly divided. Especially, in case of person trips, it composes 5 axes shown like a radial form. On the other hand, the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of freight flows shows differences with the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of person trips in that it displays spatial scope`s crossed patterns on lower layer while not reveling regular direction. As the result of restoring each inter-regional linkage system to topological network, central tendency is displayed low all together. The person trip network is labelled to ‘distributed structure in radial dendrite’ and the freight flow network to ‘distributed structure with partial intensity.’

      • KCI등재후보

        강원도 특성을 반영한 평화ㆍ통일교육 프로그램 발전방안

        하상섭 한국통일교육학회 2022 통일교육연구 Vol.19 No.1

        Since the 2010s, local governments including Gangwon Province have tried to develop peaceㆍ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Gangwon Province needs to develop more specialized peaceㆍ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o lead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actively prepare for the era of peace and unification. To this end, It should consider nurturing regional experts on peace and unification, expanding field trips to the DMZ and the areas where barbed wires are removed on the East Coast, and running courses for Inter-Korean Exchange Cooperation in life and health industry and social economy. 2010년대 이후 강원도를 포함한 지방정부 차원에서 차별화된 평화ㆍ통일교육 프 로그램을 선보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었다. 향후 강원도가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시대를 선도하고 평화ㆍ통일시대를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보 다 특화된 평화ㆍ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에 거주하는 평화ㆍ통일교육 지역 전문가를 육성하고 북한과 접경지역을 맞대고 있는 지역적 이 점을 활용해 DMZ와 동해안 철조망 제거지역에 대한 체험학습을 확대해야 한다. 또 한 도가 보유한 생명ㆍ건강산업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기반을 토대로 생명ㆍ건강산 업 남북교류협력 전문가 및 사회적경제 남북교류협력 전문가 양성과정 운영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의 변화와 직-주의 공간적 분리

        손승호 ( Seung Ho S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1

        This paper analyzed the spatial separation of job-housing through the concept of average commuting distance and the change of commuting fields gener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patial range of individual commuting field formed in 2010 has expanded further than that of 2002. Incheon field formed throughout the overall city of Incheon had no change in the spatial range. But In north-western Seoul field, southern Gyeonggi field, and northern Gyeonggi field, the spatial extension of commuting field appeared. The average distance of commuting trip gener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s increased to 17.7km from 16.2km. In other words, the spatial separation between residences and workplaces has been intensified. Origin-based job-housing separation was prominent in the recently urbanized cities such as Namyangju-si, Paju-si, and Hwaseong-si. Destination-based job-housing separation was eased in the center of employment; Jung-gu (Seoul), Gangnam-gu, Yeongdeungpo-gu, Jung-gu (Incheon), and Suwon-si etc. Job-housing separation of commuters who moved into residential area such as Dobong-gu, Nowon-gu, Yeonsu-gu, and Gyeyang-gu was intensified. As the average commuting distance from housing to job has increased, the spatial separation of job-housing has been intensifie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location theory to the overall Seoul metropolitan area. Co-location theory can be applied to some cities of Gyeonggido located in the suburb.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