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패러다임의 변화-눈에 보이지 않아서 눈여겨보지 않았던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김희주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2

        Across the worl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cultural heritage have gainedunprecedented attentions. Since the Industrial Evolu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Europeancities after World Wars, the conservation of heritage has been biased to tangible heritagesolely. Nonetheless, in 2003, UNESCO have ratifi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recognition to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heritage. The prevailed approaches and tools in the heritage arena, however, have struggled in applyingto the intangible heritage due to the differentiations of them. For example, it was requiredto different approaches in order to protect artisans and to maintain historic architectures. However, they applied to the similar types of approaches to the intangible heritage field too.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them, 'freezing' intangible heritage into documents and archiveshave raised incessant arguments. Indeed, UNESCO has developed to conserve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in diversedimensions, undoubtedly. Nonetheless, even in UNESCO and other renowned internationalorganizations, their perceptions imply a firm dichotomy—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While they embrace tangible heritage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whole, they demarcateintangible heritage as a different type. If they regard intangible heritage as the same status withthe tangible heritage, the dichotomy has to be modified as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under the integrated heritage arena. It means that the perceptions towards intangible heritagein Western Hemispheres have not aligned with those of Asian countries. Recently, there is a movement to reconcile the tensions between tangible and intangibleheritage while admitting their differences. UNESCO also has paid attention to the paradigmshift, and they have changed the 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 criteria to the certain listedWorld Heritage sites in giving weight to intangible values of them. The shifted approaches arepartly shown that the significance of intangible heritage and its associated values are adopted as important as tangible heritage which was prevailed in the past few decades across theworld.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angible heritage that were aroused from Korea and Japanin the 1950~60s can be alternative ways against the current tensions between tangible andintangible heritage while embracing the appreciation towards intangible values. Thus, the studyinvestigates the history and theory of intangible heritage in the globe with its evolvements andanalyzes the paradigm shift so that South Korea envisions its stature in the heritage arena inthe near future. 세계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각국의 문화유산 보존과 관리에 힘써오고 있다. 다만 과학기술의 발전과함께, 세계대전 후의 유럽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발전된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는 지금까지 철저하게 유형문화유산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무형문화유산 역시 근래에 와서 그 중요성이 점차 인정되어, 2003년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협약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기존 유형문화유산에 적용하던 틀을 무형문화유산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무형문화유산장인이나 혹은 그 장인이 가진 기술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은, 건축물의 건축 재료를 보존하는 일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또한 본질에 대한 이해 없이 무형문화유산의 기록화·문서화 작업 등을 통해 ‘동결보존’하고자 하는 서양식 접근 방법은 계속적인 갈등을 야기하였다. 유네스코의 문화유산보존에 대한 노력은 분명 큰 발전을 해왔으며, 국제적인 관심과 함께 유형문화유산과무형문화유산 모두를 보호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한국제기구에서 문화유산은 ‘문화유산(heritage)’ 그리고 ‘무형문화유산(intangible heritage)’ 두 가지로 인식한다. 문화유산 분야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하는 유네스코에서조차, 무형문화유산은 자신들이 인식하는 문화유산의 범주가 아니라, 분리된 또 하나의 종류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만약 그들이 무형문화유산을 바르게이해한다면, 위와 같은 구분이 아닌, 문화유산 범주 내에 무형문화유산 역시 속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만큼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서구사회와 아시아의 견해는 여전히 큰 차이가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으로 두 문화유산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분석해야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유네스코 역시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실제 그들이등재시킨 문화유산 중, 세계유산의 필수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기준을 등재 이후 변경하여 적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유형문화유산을 강조하던 과거의 모습과는 달리,가치의 중요성이 점차 무형문화유산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60년대부터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이론적담론은 최근 유·무형문화유산을 둘러싼 갈등을 이해하는 중요한 바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고찰하고 유형문화유산과의 비교를 통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향후 우리나라가 무형문화유산의 분야에서 세계적으로어떠한 위치에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과학기술을 융합한 무형문화유산의 활용방안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민경선(Min, Kyung sun),최영화(Choi, Young hw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본 논문은 「무형문화재법」의 신규 제정에 따른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기본원칙 변화에 주목하고, 과학기술을 융합해 어떻게 무형문화유산의 활용을 활성화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무형문화재법」은 무형문화재의 범주를 ①전통적 공연 및 예술, ②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③한의약, 농경 및 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④구전 전통 및 표현, ⑤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⑥민간신앙등 사회적 의식, ⑦전통적 놀이 · 축제 및 기예 · 무예로 정의한다. 그리고 문화재의 ‘원형 유지’를 기본원칙으로 삼았던 「문화재보호법」과 달리 「무형문화재법」은 ‘전형 유지’를 보호의 기본원칙으로 제시하면서 무형문화유산의 활용을 통한 보전과 진흥의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 무형문화유산을 둘러싼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속에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계승을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융합한 적극적인 활용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활용 증진을 위해 크게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무형문화유산 지식플랫폼 구축을 통해 지식생태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온라인 네트워킹을 이용한 메이커운동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킨다면,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계승과 현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또 무형문화유산과 가상현실 · 증강현실 기술을 융합한 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을 개설하고, 문화유산 계승을 위한 학술 및 교육자료를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과학기술을 융복합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 체험경로를 확대함으로써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재의 삶 속에서 생동하는 유산으로 보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 of basic principl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through the new enact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and discusses how to combine science and technology to promote the u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defines the categori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①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arts ②traditional techniques related to crafts and arts ③traditional knowledge on Chinese medicine, agriculture and fisheries ④oral traditions and expressions ⑤ traditional lifestyle customs such as food, clothing and housing, ⑥social ritual such as folk beliefs, ⑦ traditional play, festival, craft and martial arts. Unlike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which adopted the principle of preserving the ‘archetype’ of cultural propertie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provides the basic principle of preservation the ‘model’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conservation and promo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paradigm shif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required to search for the active utilization by combining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creativ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hree method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knowledge ecosystem by building a knowledge platform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xt, if we can improve acces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maker movement using online networking, we will be able to achieve the creative succession and modern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also proposed to open exhibi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that combin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o develop academic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By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way, the accessibility, usability and experience path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expanded, so that it can be preserved not as a past heritage but as a living heritage in the present life.

      • KCI등재

        인류세의 섬 무형문화유산과 뉴노멀 탐색

        이경엽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2 해양문화재 Vol.16 No.-

        The latest outbreak of pandemic diseases has shown u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our environment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Regarding this situation, academicians across the world have begun to use the term “Anthropocene” to refer to “the era of humanities” in which human activ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intensive and widespread, causing a fissure in the functioning of the entire earth system.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and extent of humans’ impact on the planet’s climate and ecosystems, it is necessary for academicians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s their researches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nati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splays a process by which it interacts with nature, negotiates with the supernatural, and forms solidarity with society, contrary to capitalist approaches which tend to promote excessive exploitation of nature and an endless quest for gain. Furthermore, at its foundation lie the adjustment mechanisms of the ecosystem, social cooperation, and autonomy in communal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help us to reflect on the Anthropocene and create discourses on its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 normal of the Anthropocene based on the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the Korea’s islands.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eritage of the islands because they currently stand at the forefront of climate change and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The heritage of Korea’s islands provides valuable sources to deal with the subject discussed in this study,as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nature, agriculture, fisheries, and variou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t will also help to refocus our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and cultural diversity. It emphasizes a perspective that covers the restor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diversity, which have become urgent tasks in dealing with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the eco-focused ideas contained in ou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in Korea has been playing a crucial role in activities designed to protect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the last sixty years. However, these activities have largely been conducted based on discourses proposed by the government, thereby diminishing the role of the heritage transmitters as active agent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postmodern approach so a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tradition of "small stories", rather than the “big discourses” in which the government plays a key role, as told by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e expression favored by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s "living intangible assets". This expression suggests that for ou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remain alive, it must reflect the aspects of human life created by the community of heritage transmitters, rather than macro discourses and system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new normal” should consist in paying much closer attention to it. In this paper, the main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ical and cultural diversity, understanding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rom ecological and cultural viewpoints, the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restoration of story-telling communities.

      • 무형문화유산과 인류 보편의 공공성 :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이수나 ( Suna Lee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문명(文明)이란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노동으로 창출된 결과물의 총체이며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으로 대별된다. 인류문명의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무형문화유산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대문명과 진보는 세계의 문화전통과 창조력, 사회 경제적 발전에 의한 것이라고 정의 내린다. 또한 세계문명은 산업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며 발전과 정신적·민족적 완수에 담당하는 역할을 인식하여 인류문화유산의 보호 및 보존의 확보를 제안함으로써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서로를 지탱해주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문화적 편견을 허물고 보편과 특수의 균형을 회복하는 일은 중요하다. ‘우리 안의 세계’의 당위성을 형성하는 것은 외부로 향했던 시선에서 넘어서 균형있는 해석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배타적인 민족주의와 자국의 고유성, 극단적인 문화 절대주의 관점으로 해석한 국사형 미술사 연구방법론에 문제제기를 하는 바이며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연구방법론으로써 다문화주의 관점으로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자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이 보호되어야 할 규범적 근거인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고 민족적 정체성과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소수집단과 비(非) 서구 사회의 특수성을 수용하되 나아가 인류 전체의 보편적 성질인 공공성 관점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논의하였다.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후대계승과 재창조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 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흐름은 보편적 과학기술문화적 특질과 그 기술의 진보가 드러나며, 사회적 응집력과 정체성이 무형유산의 공적 성질로 특징지울 수 있겠다. 나아가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이 개인, 장인을 중심에 두고 정책을 펼치는데 반해서, 유네스코의 주요 정책 핵심은 커뮤니티인 점을 통해서도 인류 보편의 공공성과 그 가치를 향해 자국의 고유성을 넘어 시야를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의 삶의 여정은 무형문화유산과 자연스럽게 융합되고 사람이 실제로 무형유산을 향유하는 수행주체가 되어 지속적으로 쓰여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이 후대에 전해지기 위해서는 당대의 선택은 물론 달라진 시대의 취향을 이겨내고 시공간을 거듭 넘어 제 소임을 다할 때라야 비로소 유물로 남게 되는 법이다. 이것이 무형문화유산의 본질이다.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한 무형문화유산의 공공성과 나아가야 할 방향, 비전을 모색하는데 일부분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Civilization(文明) is the wholeness of outcomes created by humane spirit and physical labors and is classified by spiritual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What is the reason why we concentrat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n alternative to embodying a better world of human civilization? According to UNESCO, it defines that modern civilization and progress result from global cultural tradition, creativity, an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world civilization headed toward industrialization, recognized the roles of development and spiritual·ethnic accomplishment, and suggested securement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human cultural heritage, so raised an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for humane public goodness. For culture,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re indispensible factors supporting each other. It’s important to pull down cultural prejudice and recover the balance between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The formation of appropriateness of ‘our inner world’ means an improvement of the necessity of balanced interpretation beyond the sight heading the outside. This researcher brings up a problem to research methodology of national history typed art history, interpreted from angles of exclusive nationalism, native land’s peculiarity, and extreme cultural absolutism and raises a necessity to aim for humane universal value from an angle of multiculturalism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li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iscussed from an angle of public concern that is a property appeared universally in humanity as considering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diversity, a normative ground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accepting distinctiveness of ethnic identity as well as minority and non(非)-western society who intend to preserve it. It’s to make the history of future generation succession and recreation for humane public goodness. The historic strea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ws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e and progress of the technology and social cohesiveness and identity may be characterized by public property of intangible heritage. Furthermore, as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splays policies by focusing on individuals and master craftsmen, the point of UNESCO policies is communi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expand our visions for humane universal public concern and the value beyond native land’s peculiarity. The journey of our lives must be naturally combin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eople must be the subject who enjoys intangible heritage actually for continual use. To transf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next generations, it’s necessary to endure not only selection of the period but also the changed preference and fulfill one’s duties across time and space so as to leave relics. It’s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research should be helpful even a little to seek public concer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irection to proceed, and the vision by focusing on craft skills.

      • KCI등재

        초등학교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현황과 방향 모색

        조경숙 국립무형유산원 2023 무형유산 Vol.- No.15

        본 연구는 현장의 초등교사들이 무형문화유산 교육을 실행하며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무형문화유산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사례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의미와 방향이 정립되어야 하고, 교육의 내용 요소도 구체화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소재가 되는 무형문화재의 종류와 세부 특성에 따라 유형하고 유형별로 교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내용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로 구체화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정 문화재 중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교육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지정 문화재로 교육 대상을 한정할 때, 지정 문화재가 없거나 여러 유형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무형문화유산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유형의 문화유산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다. 셋째, 무형문화재 보존회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학교 교사와 협업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학습자 특성 이해, 교수법 활용 부분 등에서 우수한 현장 교사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실행 능력이 우수한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두 그룹의 협업이 이루어질 때 학교 무형문화유산 교육은 질적으로발전할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icult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face while implemen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 also looked at the cases of teachers who are working hard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Based on this, we propose three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irs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 content elements of education should also be embodied. To this e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and classified accordingly. By classifying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for each classified type, the following content elements should b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value and attitude and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subject of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the center of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f the subject of education is limited to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education in areas where there are no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r do not have various types of cultural properties. It will also be biased toward 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Socie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you should have many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school teachers. Teachers are excellent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using teaching methods. The transcend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excellent understanding and execution ability of cultural heritage. If the two groups of teachers and transfere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llaborate, the school'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ill develop greatly in quality.

      • KCI등재후보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수교육에 대한 고찰-복식 관련 전통기술을 중심으로-

        이민주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items which has been listed as 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The study thoroughly reviewed the titl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ied to suggested how the transmission training should be headed.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field of clothing,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the beginning to discuss the future valu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son who hold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 which is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categorized as 2 group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ing making the gat, there are 17 listed items o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ead, there are 35 listed items in the 18 field of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named in 3 ways. The titles were granted on the people who hold the tradition artistic craft as a Chimseonjang or a Nubijang, or on the craft skill itself as Hansan Mosi Jjagi or Gokseong Dolsillai, or on the process that makes the traditional artcraft as Gannil and Guanmo-gongye. With regar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heritage the title could be named follow either the person or the skill itself. However, there are some titles that need sensibility of time. For example, If the the title ‘Lai’ of the Dolsillai would change into ‘Jjagi’, which is universally used as the title of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would be helpful to grow the understanding of heritages. Thirdly, It seems that the local goverments support is not enough for the people who hold and try to succes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regard 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re are honor heritage retainer, retainer and training assistant and they are all on the list managed by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s hard to find people who hold the skills besides official retainers and honor retainers.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register skill holders’ name to inspire their self-confidence who protect and develop traditional artcraft skills. At last,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are 15 training centers nationally. The centers usually operate the training course in 2ways –transmission education and hands-on education and most of their courses were focused on hands-on training aimed at general public. Devol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n retainer’s private training seems impossible to conserve and transmit traditional heritages. As such, this study recommend administration establish the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 with systematic training course.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종목에 대해 조사하고, 각각의 명칭이 올바른지 살펴본 후 전승관계를 통해 전수교육의 나아갈 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지금까지 복식 관련 무형문 화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무형문화재의 미래가치를 새겨볼 수 있는 논 의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복식 관련 무형문화재의 종목, 명칭, 전승현황 및 전수교육에 대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 관련 공예기술을 보유한 무형문화재는 크게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구분한다. 먼저 국가무형문화재는 갓일을 비롯해 17종목에 17건이 지정되었으며, 시·도무형문화재는 18종목에 36건이 지정되었다. 이는 각 시·도별 특성을 반영하여 보유자를 지정한 결과이다. 둘째, 무형문화재의 명칭은 침선장, 누비장 등과 같이 기술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여하는 방법, 한산모시 짜기, 곡성의 돌실나이 등과 같이 기술 자체에 부여하는 방법, 갓일이나 관모공예와 같이 공예품 자체를 만 드는 과정에 부여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을 살려 장인에게도 기술에도 명칭을 부여할 수 있 으나 현재성이 결여된 명칭에 대해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즉 ‘나이’는 피륙을 짜는 일이므로 시·도무형문화 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짜기’로 통일함으로써 종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셋째, 무형문화재의 전승현황을 보면, 국가무형문화재는 명예보유자, 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전 승체계를 이루고 있고, 문화재청에 전승자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에게는 국가 차원의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는 보유자나 명예보유자 외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전수자를 찾을 수 없다. 이 는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의 관리주체가 지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도무형문화재 전수자 역시 전통 기술을 배우고 전수한다는 자긍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므로, 각 시·도 지자체 홈페이지나 전수교육기관에 그들의 이름을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현재 전국에 분포된 복식 관련 전수교육관은 2019년 현재 15곳이다. 이곳에서는 전수교육과 체험교 육의 두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체로 체험교육에 머물러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를 문화제 속 축제로만 활용한다든지, 무형문화재 보유자 개인의 전수교육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무형문화재 보전 및 전승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문 전수교육관을 설립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 고, 공교육을 통한 전수자를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Intangible Heritage as a Bureaucratic Project and Governmental Tool : Critical Reflections

        마커스 타우첵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2

        This paper understan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effect of bureaucratic, legal and political interventi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es not simply exist-it is the result of valorization and valuation processes. Certain professional actors define w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Consequently, this excludes other forms of traditional or popular culture which are not marked, labelled and valorized as authoriz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most powerful globally acting institution is UNESCO. And on national levels, nation states defin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in national frames of reference. Henc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lways linked to power, to logics of the market and to legal and political frames. Arguing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heritage studies, the paper understan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powerful political and bureaucratic resource. But what are the effects of globally acting heritage regimes which transform traditional or popular culture into a manageable good, a resource or cultural property? From a cultur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ll cultural expressions which are labelled as authoriz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the nation state or UNESCO are dynamic and in constant change. However, heritage interventions often tend to freeze these cultural expressions, for example by installing national heritage inventories and lists. How can one discuss the tension between constant change(e.g. of performative practices like local customs or oral traditions) and the ways intangible heritage is safeguarded? In accordance to UNESCO’s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aper conceptualizes heritage as an important tool to raise awareness for the value of popular and traditional culture, its diversity and its role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 dialogue. On the other hand, it discusses challenges that come with the instrument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g. to manage and control ethnic minorities or vernacular culture in general.

      • KCI등재

        무형문화재 관련 법률의 제 문제

        임장혁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2015년 3월 27일 발효되면서 민속학계에서 관심을 갖고 몇 차례 문제점을 논의한 바 있다. 이 법은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에서 무형문화재 관련 규정과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2003, 이하 무형유산협약이라 한다)을 반영하여 제정되었다. 본 논문은 새로 제정된 무형문화재에 관한 법률의 부적절한 규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새로 제정된 법률의 명칭은 ‘보호’ 대신에 ‘보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문화재보호법에 ‘보전’의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있고 오직 새로운 법률 명칭에서만 등장한다. 유네스코의 문화재관련 협약에서 ‘보전’(conservation)은 <세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서 자연유산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또한 기존의 문화재보호법은 ‘보호’(protection, safeguarding)는 ‘보전’(preservation)과 ‘활용’을 포괄한 개념이기에 ‘진흥’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법명은 무형문화재보호법이 적절하다. 문화재보호법에서 원형은 보유자의 인정기준으로 적용한 개념이며 종목의 원형을 규정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원형의 개념은 학계에서 논란이 되었고 유네스코에서 무형문화재를 변하여가는 개념을 정립하여 전형의 개념으로 개정하였다. 전형은 동일한 유형에서 본질적인 요소가 잘 실현되는 것을 선별하는 기준이 되기에 민속 관련 무형문화재의 지정의 기준으로 유효하나 보유자인정에 적용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 지정대상은 긴급히 지정하여 보호해야 할 국가무형문화재이다. 기 지정된 국가무형문화재를 국가긴급보호무형문화재로 지정은 기지정한 무형문화재를 잘못 관리하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긴급지정에 따른 효력발효 기간이나 해제절차에 관한 규정이 없어 이와 관련하여 법적보완이 시급하다. 무형문화재는 전승자가 행동으로 체현을 할 때에 가시적으로 예술성이 인정된다. 당해 문화재에 지식이 많다고 지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기자에 한하여 전승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의 지정대상 관련 규정에 있어 유네스코의 무형유산협약에 지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지식’이란 용어는 부적절하다. 또한 미술은 무형문화재가 될 수 없기에 미술에 관한 전통기술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me into effect on 27 March 2015, I have discussed several issues in the field of folklore. This Act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of Korea and the UNESCO 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inadequate regulations of the newly enact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w from. The name of the newly enacted law used the term conservation instead of protection. The term conservation is not used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but only in new legal documents. Among UNESCO’s conventions concerni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s a term used only for natural heritage in th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The existing law in Korea also includes the promotion as a component of protection (safeguarding) that also include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o name the law as Act o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intangible heritage skill-holders are recognized only when their knowledge or skill is determined as “prototype”. However, this concept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academia, much so that the concept of chang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UNESCO has been revised into the concept of archetype. The concept of archetype can be effective as a standard for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s because it is a criterion for select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same type to be well realized. Nevertheless, there is a limit to its application when it concerns the recognition of the holder. Designat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is to carry out prompt action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f one element on the national list is designated in the urgent safeguarding list, this means the element is being mismanaged. In light of this urgent safeguarding list,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period of effect validity or cancellation in case of urgent design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visually acknowledged as artifacts when a practitioner embodies it in action. It is not specified that there is a lot of knowledge in the cultural heritage concerned, and it can be said that only the practitioner is the transmitter. Therefore, knowledge can hardly be a crucial criterion in relation to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heritage. Also, fine arts cannot be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refore, it should be categorized as traditional technique concerning traditional expression.

      • KCI등재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신찬호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4

        China is one of the richest countries in the world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types and contents are diverse and complex, so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complexity and diversity in the protection,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important in many ways, including transmitting the traditions of excellent culture of the nation, community, and region, preserving the diversity of human culture, externally demonstrating the creativity of the people,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promoting human communica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unity.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continuity of national civilization only with 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civilization must be handed down jointly with 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particula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handed down without a certain shape, so it is easy to damage, deteriorate, and deform because it is protected and transmitted by human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ystem for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essential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rational, and sustainable transmiss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f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wrong, preciou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likely to gradually weaken and disappear. Although China's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achieved to some extent, problems exist throughout the process, and suc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rotecte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achieved.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ystem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중국은 세계에서 무형문화유산이 가장 풍부한 나라중 하나이며 그 종류가 다양하고 내용이 복잡하여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전승, 활용에 있어서 복잡성과 다양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는 것은 내부적으로는 민족 및 공동체, 지역의 우수한 문화의 전통을 전승시키고, 인류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외부적으로는 각국 국민의 창조력을 발휘시키고, 인류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인류의 상호 소통, 상호 이해, 상호 단결을 추진하는 등 여러 면에서 중요하다. 유형문화유산만으로는 민족의 문명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전통문명의 연속은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이 공동으로 전승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무형문화유산은 일정한 형체가 없이 전승되어 온 것이므로 인간에 의해 보호, 전승되기 때문에 원형이 훼손되거나 변질·변형되기가 쉽다. 무형문화유산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지속 가능한 전승과 보호 및 활용을 위해서는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잘못하면 귀중한 무형문화유산은 점차 약화되고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그 과정 전반에 걸쳐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무형문화유산의 개념 및 특징,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제도,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

        이재수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6

        This discussion proposes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for the complex us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discusses task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it.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the public goods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is a process of social integrati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B should also be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spreading its value as a product of industry. The success or failure of a project that systematically classifies and organizes data that has undergone research on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rves many people depends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big data produced as a result of the project. Plans and system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data should be designed at the project planning stage. n order to establish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B, the value contained in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t first be realized in three dimensions. The digital DB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be data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preparation for various situations.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sider standardized DB construction plans and strategies for each step. Based on this, we intend to derive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in the future. First,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DB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lational database. Second, the complex original information of the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should be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as linked -open-data. Third,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s must provide an open API to provide open data. In this discussion, the task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 which contain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presented.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will spread the value of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transmission and complex use of intangible heritage. 본 논의는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복합적인 활용을 위해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를 제안하고, 이를 구축하는데 관련한 과제를 논의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은 불교라는 종교적 특징과 전통문화라는 공공재적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불교문화는 사회통합의 과정이다. 불교무형문화유산 DB구축의과정 또한 공업(共業)의 산물로 그 가치를 확산하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조사 작업을 거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하는 사업의 성패는 사업의 결과물로 생산된 빅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에 달려있다.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방안과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 DB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불교무형문화유산에 담긴 가치를입체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불교무형문화유산의 디지털 DB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 보존과 활용을 위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논의를 통해 표준화된 DB 구축 방안과각 단계별 전략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불교무형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로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의 복합적인 원형정보를 표준화 하여 개방형 연결데이터[Linked Open Data]로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는 개방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오픈 API를제공해야 한다. 본 논의에서 불교무형문화유산 조사작업의 성과를 담은 <불교무형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의가 불교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하고 무형유산 전승과 복합적 활용에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