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장경미(Kyungmi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디지털정보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영향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조사한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만 55세 이상 고령자 총 2,30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설문응답자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셋째,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디지털정보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디지털정보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은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디지털정보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자본이 조절 및 완충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과 디지털정보 역량을 조절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elderly's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o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is effect. Methods To this end, the second data of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surveyed by the Korea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gency were used, and the data of a total of 2,300 elderly people aged 55 or older were us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s using the IBM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Fir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as us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survey respondents. Second,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acy of using digital devices and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plays a control and buffer role in the effect of the elderly's efficacy in using digital devices o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nterest in social capital that controls the efficacy of using digital devices and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measures to strengthen them were discussed.

      • KCI등재

        Senior South Koreans’ Difficulties in Embracing the Internet: Need for Alternative Approaches

        박연민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07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22 No.1

        This study challenges the mainstream technocratic notion of the digital divide and its access-based policy solutions, which do not appreciate the different information-using capabilities, perceptions, and choices of the people concerned. This notion is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information as structured capital that requires Internet access to be complemented by people’s information-using capabilities, inclinations, needs, knowledge, and beliefs, which must also complement each other to allow the effective use of information.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with 30 senior South Koreans at a Senior Welfare Center suggest that the information capital possessed by these seniors is ill suited to responding to and taking advantage of Internet use. The social isolation of seniors provides them with neither incentives nor capabilities to restructure their information capital in the ways necessary for ongoing use. This finding suggests that digital divide policies for older people must shift their focus from technology per se toward more comprehensive approaches of dealing with the basic social needs of senior citizens.

      • KCI등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s based on Bennett's (1976) Logic Models to examine the path of Attitudes,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2018 Digital Devide Survey' was used, and 1,665 middle and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who used the Internet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tical subject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y,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of toward new technology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higher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on activity.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mobile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but PC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plan to the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by promoting information competency and activity through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especially, it proposed a practical intervention to activate mobile-based information activities rather than PC-based inform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Bennett(1976)의 논리모형(Logic Models)을 기반으로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수집한 ‘2018년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1,665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이용성과 및 삶의 만족도까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자의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정보역량과 정보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동은 디지털 이용성과를 높여 삶의 만족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PC 정보활동의 경우 디지털 이용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기술에 대한 포용력 있는 태도를 통하여 정보역량 및 활동 수준을 증진시키고, 특히 PC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보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을 활성시키는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第4次 産業革命 變化에 따른 漢文科에서의 ‘成語’ 授業 具案

        백광호,공민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3 No.-

        제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 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다. 주변에서 흔히 접하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통신기 술에 지능을 더한 기술 혁명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한문과에서 대비해야 할 하나의 수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ⅰ) 삶의 패러다임 변화와 이면의 문제들을 논의해보고, 이에 따라 달라지는 미래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고찰하고, ⅱ) 미래의 한문교육을 위한 수업을 구안・ 적용하여 인간 중심의 가치를 생각하고,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을 키우는 한문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상정한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택한 소재는 ‘성어’이다. 정보검색활용 수업, 토론학습, 문제해결학습, 팀 프로젝트, 자유 발표 등을 활용한 성어 수업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간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역 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한문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이 연구를 통해 미래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를 예측하고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한문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한 다. 또한 미래의 한문교육을 위한 수업 구안・적용을 통해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 강화를 위한 한문교육 방법을 일반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문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전문적인 기술과 정보 습득보다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깨닫게 하는 한문교육, 인간의 가치를 탐 구하는 한문교육, 이러한 요소와 관련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한문교육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terialized through combination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next-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of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echnology and life science mostly take the lead.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pose one of class ideas that Sino-Korean Dept. must prepare for according to changes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achieve the study goals like this, followings are proposed as research problems: i) change in life paradigm and consideration of fu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at and ii) Sino-Korean education helpful to increasing ability of future talent. It is necessary for future talent to increase their key capabilities able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class of information retrieval use, discussion learning, problemsolving cooperative learning, team project, free presentation, etc.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we predict change in paradigm and look for a method of Sino-Korean education which copes with such change. Sino-Korean Dept., gree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eds to pursue for Sino-Korean education enables us to voluntarily realize what the thing more important than expert technology and information obtainment is, that researches the value of human and that raises the capability related to such element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한문 교원 양성 방향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ostering teacher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literature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inese character platform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related to teacher's instructional research. Histor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greatly changed the human life. In the 1980s, a futurist Alvin Toffler predicted an information revolution called the "The third wav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s been actually realized since 2000. As getting into the 2010s,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had been predicted, and that i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lem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e blockchain, Big Data Statistical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Engineering, Quantum Encryption, Internet of Things (IoT), unmanned transportation, 3D printing, and metaverse. These new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ertainly bring great changes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es that we came to experience by the recent COVID-19 pandemic, you can feel the changes gradually in educational methods through the "video" or "zoom" class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e reflected to education field, so that classrooms,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student textbooks) will change significantly. It was predicted that teachers should become planners through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Students will be the subject of accepting and participating following to the planner's Chinese character class plan. The direc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eacher training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data from various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platforms. Second, develop the capability of projecting in various classes us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s. Third, develop an attitude that can enhance students’ ethical reflection and their value throug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lassics. This could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but it will be the most predictable direction for fostering Chinese characters and teachers at the moment. 본 논문은 제4차 산업 혁명 시대에 한문과 교원 양성의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논문은 제4차 산업 혁명 시대에 관련한 문헌과 한문 관련 한문 플랫폼 조사, 교사의 수업 연구 관련 문헌을 조사․분석 연구하였다. 역사적으로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다. 1980년대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는 ‘제3의 물결’이라는 정보혁명을 예측했다. 시간의 차이는 있지만 2000년 이후 정보혁명은 그대로 적중하였다. 2010년대 들어서서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미래가 예측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제4차 산업혁명’이다. 제4차 산업혁명의 과학과 기술의 요소는 블록체인, 빅 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Robot Engineering), 양자암호,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 3D 프린팅, 메타버스 등이다. 이러한 새로운 과학․기술은 분명히 교육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험한 ‘동영상’이나 ‘줌’ 수업 등의 비대면 수업은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교육방식의 변화를 느낄 수가 있다. 미래의 교육은 ‘과학․기술’이 반영되어 교실, 교재-교구(敎具)[교사의 교재], 그리고 교과서(학생의 교재)가 크게 변화할 것이다. 교사는 교재-교구를 통해 기획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생은 교사의 한문 교과 수업 기획을 수용하기도 하고 참여하는 주체가 될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한문과 교사 양성의 방향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다양한 한자, 한문 플랫폼의 정보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한자, 한문 관련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수업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셋째, 한자, 한문 고전을 통하여 윤리적 성찰과 가치를 고양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른다. 이러한 것도 상황에 따라 바뀌겠지만, 현재 당면한 방식으로는 가장 예측가능한 한문과 교사 양성의 방향이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