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옥 및 실험실내 라돈평형인자, 비 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일일 변동 특성

        이승찬,김창규,이동명,강희동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4

        일반가옥 및 실험실에서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의 농도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환기조건에 따른 평형인자, 비흡착 라돈자손 비율의 변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가옥 7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각각 30 Bq m^-3, 19.6 Bq m^-3 0.65였다. 한편, 실험실 3개 지점에서의 평균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55.0 Bq m^-3, 31.9 Bq m^-3 , 0.58였다. 실내에서의 라돈농도, 평형등가농도 및 평형인자는 새벽 및 아침시간에 높고 오후 4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낮아지는 주기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 환기상태가 좋은 경우가 환기상태가 나쁜 경우에 비해 평형인자는 낮아지는 반면, 비 흡착 라돈자손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평형인자는 기압, 습도에 비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some houses and laboratory buildings have been studied. The variation of equilibrium factor an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with ventilation condition have been also estimated. The averages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were 30 Bq m^-3, 19.6 Bq m^-3 and 0.65 in seven houses, while 55.0 Bq m^-3, 31.9 Bq m^-3 and 0.58 in three laboratory buildings, respectively. The diurnal variation of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 indoor showed a typical pattern that the radon concentration, equilibrium equivalent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factor increased at dawn and morning, while decreased at midday and evening. While the equilibrium factor rate deceased in the indoor environment which was well ventilated, the unattached fraction of radon progeny increased. The equilibrium factor was in proportion to air pressure and humidity of indoor, whereas in inverse proportion to temperature.

      • KCI등재

        건물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 식물을 통한 라돈 농도의 비교

        공유진(Yu-jin Gong),남소영(So-Yeong Nam),신민서(Min-Seo Shin),장혜림(Hey-Rim Jang),전민철(Min-Cheol Jeon),유세종(Se-Jong Yoo),김성호(Seong-Ho Kim)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 식물을 통한 라돈의 농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라돈 농도 측정을 위해 시간을 설정하고 라돈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폐쇄 했을 때와 환기, 공기정화식물을 배치했을 때의 라돈 농도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폐쇄, 환기, 공기정화식물 배치에 따라 라돈 농도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건물의 저층과 고층에서 환기와 공기정화식물 배치를 통한 라돈 농도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기와 공기정화식물을 배치 했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건물내 환기 뿐만 아니라 공기정화식물을 적절히 활용하면 라돈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changes in radon concentration due to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plants in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a building. This study measured and compared radon concentration in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the building by using a radon meter when the room was closed, it was ventilated, and air purification plants were installed at a specific tim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i.e., closure,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plants) on radon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plants significantly decreased radon concentration in the lower and upper floors of the building, but the effect of ventilation and that of air purification pla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radon concentration effectively when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plants are used appropriately.

      • 도장재 사용에 따른 실내라돈농도 변화

        김선동(Sun Dong Kim),이병희(Byung Hee Lee),전주영(Chu Young Chun)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라돈은 흡연과 더불어 두 번째로 높은 폐암 원인으로 전 세계의 폐암 사망의 3~20 %를 차지한다.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해 국토부, 환경부 등 다부처 중심의 천연 석재 기반의 라돈 관리 치침이 수립되었으나 이를 통한 실내 라돈농도 제어에 한계가 있다. 특히 이미 구축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자재의 라돈을 관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의 라돈 저감이 가능한 피막도포재, 차폐재 등을 활용하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에 도장재(페인트)를 적용하여 실내 표면에서 방출하는 라돈 방출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축자재의 라돈 방출 평가를 위해 석재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시편별 도료 도장 전, 후에 따른 라돈 방출량을 측정 하였다. 또한, 챔버 실험을 통해 라돈 저감 효과가 있는 도장재 중 비용대비 저감 효과가 우수한 도료 1종을 사용하여 목업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장재 적용 전, 실내 라돈 농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약 1,319 Bqm-3 내외에서 방사평형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장재 마감 후, 도장재 마감 전에 비해 느린 속도로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약 522 Bqm-3 내외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동주택의 높이에 따른 실내 라돈농도 특성

        김선동(Sun Dong Kim),이병희(Byung Hee Lee),전주영(Chu Young Chun)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Many European and few countrie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radon concentrations in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General type of residential buildings in many countries is low-rise housing, and the indoor radon level in ground floor tends to be higher than indoor radon level in upper floo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floor level in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So,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indoor radon concentration by floor level, the measurement generation was vertically distributed. A comparative analysis by level was performed through the average and measured value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each reg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one-way ANOVA.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each level were compared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As a result, the intergroup measurements were not significant at all site and total(p>0.05).

      • 도장재 사용에 따른 실내라돈농도 변화

        김선동(Sun Dong Kim),이병희(Byung Hee Lee),전주영(Chu Young Chun)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라돈은 흡연과 더불어 두 번째로 높은 폐암 원인으로 전 세계의 폐암 사망의 3~20 %를 차지한다.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해 국토부, 환경부 등 다부처 중심의 천연 석재 기반의 라돈 관리 치침이 수립되었으나 이를 통한 실내 라돈농도 제어에 한계가 있다. 특히 이미 구축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자재의 라돈을 관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의 라돈 저감이 가능한 피막도포재, 차폐재 등을 활용하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에 도장재(페인트)를 적용하여 실내 표면에서 방출하는 라돈 방출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축자재의 라돈 방출 평가를 위해 석재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시편별 도료 도장 전, 후에 따른 라돈 방출량을 측정 하였다. 또한, 챔버 실험을 통해 라돈 저감 효과가 있는 도장재 중 비용대비 저감 효과가 우수한 도료 1종을 사용하여 목업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장재 적용 전, 실내 라돈 농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약 1,319 Bqm-3 내외에서 방사평형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장재 마감 후, 도장재 마감 전에 비해 느린 속도로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약 522 Bqm-3 내외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라돈 농도 분포도 작성을 위한 단변량 크리깅 기법의 정량적 비교

        곽근호 ( Geun-ho Kwak ),김용재 ( Yong-jae Kim ),장병욱 ( Byung-uck Chang ),박노욱 ( No-wook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1

        토양, 암석, 지하수로부터 실내에 유입되는 라돈은 인간에게 큰 위해를 끼치는 방사능 가스이다. 라돈 가스의 위해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 라돈 농도를 측정해 오고 있는데, 추가적인 분석 수행을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분포도 작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분포를 나타내는 라돈 농도의 공간 분포도 작성을 위해 단변량 크리깅 기법들의 비교를 목적으로 정규 크리깅, 비선형 자료 변환 기반의 로그 정규 크리깅, 다중 가우시안 크리깅과 지시자 크리깅의 예측 능력을 비교하였다. 예측 능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잭나이프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자료 구간별 오차와 샘플링 밀도의 차이에 따른 오차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남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정규 크리깅에 비해 비선형 자료 변환 기반 크리깅 기법들이 좋은 예측 능력을 보였으며, 비선형 자료 변환 기반 크리깅은 로그 정규 크리깅, 다중 가우시안크리깅 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 패턴과 높은 값의 재생산을 고려할 때, 높은 값의 예측능력은 정규 크리깅이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대칭 분포 자료의 공간 예측을 위한 크리깅 기법의 선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adon, which enters the interior environment from soil, rocks, and groundwater, is a radioactive gas that poses a serious risk to human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radon gas exposure and reliable radon concentration mapping is then performed for further analysi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various univariate kriging algorithms, including ordinary kriging and three nonlinear transform-based kriging algorithms (log-normal, multi-Gaussian, and indicator kriging), for mapping radon concentrations with an asymmetric distribution.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dictive performance, we carried out jackknife-based validation and analyzed the err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data intervals and sampling densities. From a case study in South Korea, the overall nonlinear transform-based kriging algorithms showed better predictive performance than ordinary kriging. Among the nonlinear transform -based kriging algorithms, log-normal kriging had the best performance, followed by multi-Gaussian kriging. Ordinary kriging was the best for predicting high values within the spatial patter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selection of kriging algorithms for the spatial prediction of data with an asymmetric distribution.

      • 도장재 사용에 따른 실내라돈농도 변화

        김선동(Sun Dong Kim),이병희(Byung Hee Lee),전주영(Chu Young Chun)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라돈은 흡연과 더불어 두 번째로 높은 폐암 원인으로 전 세계의 폐암 사망의 3~20 %를 차지한다.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해 국토부, 환경부 등 다부처 중심의 천연 석재 기반의 라돈 관리 치침이 수립되었으나 이를 통한 실내 라돈농도 제어에 한계가 있다. 특히 이미 구축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축자재의 라돈을 관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의 라돈 저감이 가능한 피막도포재, 차폐재 등을 활용하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에 도장재(페인트)를 적용하여 실내 표면에서 방출하는 라돈 방출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축자재의 라돈 방출 평가를 위해 석재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시편별 도료 도장 전, 후에 따른 라돈 방출량을 측정 하였다. 또한, 챔버 실험을 통해 라돈 저감 효과가 있는 도장재 중 비용대비 저감 효과가 우수한 도료 1종을 사용하여 목업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장재 적용 전, 실내 라돈 농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약 1,319 Bqm-3 내외에서 방사평형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장재 마감 후, 도장재 마감 전에 비해 느린 속도로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약 522 Bqm-3 내외에서 실내 라돈 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동주택의 환기시 실내 라돈농도 사례조사

        김선동(Sun Dong Kim),이병희(Byung Hee Lee),전주영(Chu Young Chun) 대한설비공학회 202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0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floor level in residential buildings. There was used an electret ion chamber in middle point of living room for indoor radon level. It was measured indoor radon concentration for 2 days for each floor level (low, middle and high) in 19-story building and 21-story building. I And it was estimated averag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all units and compared between floor levels and indoor radon levels by using one-way ANOVA. As a results, The averag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of each floor level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