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권혁수 ( Hyun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 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 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 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 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권현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독일 특수교육 교사양성과정에 통합교육의 영향 분석

        남숙,곽승철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4

        After the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08, how all teachers' qualifications and certifications related to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affect the system and cont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re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did.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at five universities in five German federal states with integrated school education policy. The University of Oldenburg establish special education-related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multidisciplinary knowledge transfer in the B.A. curriculum, based on this in the master's course more focus on the deepened exper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education disability area. Through the Social Studies and Inclusion modules (9 credits) in the special education major,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and and analyze various themes and materials for inclusion in educational and social terms. The University of Bremen offers a double teacher training system for either th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qualification or the inclusive or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simultaneously. In particular, the inclusive Education Module (96 credits) is a broad curriculum from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disabilities to didactics and methods of inclusion. It is organized in both general and elementary/middle/high school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University of Halle-Wittenberg has construct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clusion in both the pedagogy, major field (Inclusion module, 20 credits) and competency specialization module for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major system. The University of Munich has designed a special education major to select one disability art to get a deep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is is because special teachers in the process of realizing ʻinclusion through providing diverse educational formsʼ in Bavaria still maintain the traditional special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is leading the tasks and roles of inclusive and special education in cooperative lessons with general teachers to be.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a ar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training system of ordinary teachers at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likewise, certification for teachers in special schools is provided. Therefore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are offered in one curriculum in elementary education major and one elective major in secondary curriculum major, and each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credits are over 100 credits. 2008년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비준 전후 학교 완전통합교육(이하 통합교육)을 위해 교사교육 변화의 필요성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주의 사회문화 및 정치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설립되어 운영되는 독일 5개 주에 소재한 5개 대학교의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통합교육 영향과 시사점은 무엇인지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으로 첫째, 특수교사 장애영역 전공을 대부분 확대 및 심화하였고 둘째, 장애뿐만 아니라 언어, 종교, 사회적 배경 등과 관련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학 영역에 편성하였으며 셋째, 통합교육과정에서 꼭 필요한 교사역량분야(협력교수를 위한 기술 및 방법: 문제해결과 의사소통능력 등)를 교직소양 영역에 배치하였고 넷째, 통합 및 특수교육을 초등교육 전공의 경우에는 교과과목으로, 일반 중등교육 전공에는 전공과목으로 개설 및 제공하고 있으며 다섯째, 초등 특수교육 전공의 교과과목을 줄이고 그 대신 통합교육 관련 이수과목을 확대 편성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독일은 각 주와 지역의 통합교육 현장에 적합하도록 특수교사 양성방식과 형태에 교직과정별(사범대와 교육대)과 자격표시별(초등과 중등교육)에 공통적으로 통합교육 관련 강좌를 개설하고 특수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두 개 이상의 전공영역 이수를 확대, 특수교육과를 폐지하고 사범대와 교육대의 모든 교직과정 의무 커리큘럼으로 특수교육 전공을 이수과목으로 제공함으로써 우리에게 통합교육을 실현하는 다양한 특수교육 교사교육 방법 및 내용을 제공한다.

      • KCI등재

        특수체육학 : 고등학교 특수학급 체육교육의 실태와 실천적 방안

        이재원(JaeWonLee)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6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uture expectation of inclusion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by the present status of high school special physical education for specialclass based on Inclusion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basic model(Lee In Kyung, 2004) and present the issues, practical plan. Inclusion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basic model is classified to three circumstances that normal physical education lesson(I) leaded b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cooperate physical education(II) by consult. cooperation teaching system and cooperate special physical education. Level first, normal physical education is understood for better alternative plan by the spot for student's various activity experiences, and make an effort to do level second, consult. Cooperative teaching system (II) is better way. Moreover, creative and multiple plans for inclusion physical education are developed by level third, separate special physical education. Inclusion is not from accept total inclusion without any reserve but start acknowledgment of educational setting for the student's level and needs in inclusion environment. Practice plan for inclusion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is that organize teaching environment, improve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 strategy, establish the community for teacher re-educate, enhance linked support service are make a harmony. Therefore, high school inclusion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for special class should prepare effective and prospective practical plans that recognize varieties of inclusion environment and considering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 교육의 방향 :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n Inclusion

        이대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 같이 교육 시켜야 한다는 통합교육에 대한 주장과, 통합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특수아동이 통합된 학급을 담당할 예비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준비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비한 일반교사 양성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문헌 종합과 내용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선정 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선행 조사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조사 대상 교사들은 특수아 통합교육의 필요성, 긍정적인 효과 등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자신들의 통합교육 준비는 매우 미흡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또한 특수아 통합교육의 성공 요인으로 근무여건 개선이나 학급 규모 감소 등과 함께 특수교육에 대한 기본 교육과 특수아 체험을 통한 인식 변화를 지적하였다. 특히,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간 협력, 특수교육 및 특수아동에 대한 체험 등이 강조되었다. 끝으로 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특수아 통합교육에 대비한 예비 일반교사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direc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for successful inclusion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n inclusion. Two study questions guided the study: (a) how did teachers perceive current inclusion practice? and (b)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perception o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general,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current inclusion practices. They also indica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key factor of successful inclusion. For teacher preparation training for inclusion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everal guidelines were suggested. First, teachers need to be trained focused on practice in real settings and skills and knowledge in develop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n each phase of inclusion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Second, principals and senior teachers must be trained to show leadership by facilitating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groups. Third, general education teachers must have opportunities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inclusion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ies and individual education needs.

      • KCI등재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승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in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4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3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5%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 40 schools a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do not have a teaching certificate for special education. 2) 60% of the 40 schools surveyed are supported by assistant teachers with or without assistants, 32.5% are supported by assistants only and 7.5% are supported by neither teachers nor assistants. 3) 100%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use general curriculum/text books, and 54.6%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s nee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findings regarding special/general education teacher opinions are as follows: 1)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se two teacher groups should be narrowed. 2) The education require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forced for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3) 30%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f undergraduate schools should be expanded and increased for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teaching practices. 4) Many teachers think that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easy targets for inclusion; however, the inclusive teaching program and class designs for these classes were not actually stud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se classes should be studied.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통합교육의 진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태 조사 결과, 1) 연구에 참여한 40개 학교의 5%는 특수교육 자격이 없는 일반교사가 특수학급을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 보조 교사와 보조 인력의 지원을 모두 받는 학교와 보조 교사의 지원만을 받는 학교는 각각 12개(30%), 보조 인력의 지원만을 받고 있는 학교는 13개(32.5%), 지원이 전혀 없는 학교가 3개(7.5%)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3) 통합학급의 교재는 일반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사용하며 통합학급 교재의 개발에 대해서는 54.6%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결과, 1) 통합학급 운영의 가장 큰 단점을 통합학급 교사의 무관심이나 장애학생이 방치되는 것이라고 37.5%의 특수교사들이 응답한 반면, 장애학생의 수업 방해로 일반학생이 피해를 보는 것이라고 36.4%의 일반교사들이 응답하는 등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2) 장애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이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도록 건강한 인간관계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3) 응답자의 30%에 해당하는 특수교사들이 학부 교육과정에 특수/통합 교육의 시수 및 실습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등 교육적 통합을 위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4) 통합교육이 수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와 수업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예술, 체육교과의 전문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 등이 논의되었다.

      • 통합교육의 태도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박영옥(Young Ok Park),장진희(Jin Hee Ja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into environmental support attitude, social support attitude, and academic support attitu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inclusiv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and analysis on 550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al·public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around the nation.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was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towards inclusive attitude according to their variable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responsible class, career in inclusiv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towards inclusive education(environmental support attitude, social support attitude, academic support attitude) affected the service agency, teaching experience, career in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as a major factor becaus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responsible class(general class, inclusive class special class)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lusions: To raise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responsibility for securing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expan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inclusive education to cope with actual situation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raining program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의 법적 역할 보완 탐색

        유재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3 통합교육연구 Vol.8 No.1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by establishing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Korea. According to the many studies the concept of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relatively high level. However, the practices of inclusive education by laws are relatively low level. Historically, special education class began to be established by education act in 1949. The content of this law was very progressive from the today’s point of view. The special education improvement act allow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 to high school in 1977.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law. The regul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law began in 1994.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improvement act in 1994 the purpose of inclusive education is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skill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e purpose of inclusive education changed in 2007 by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etc. This law regulates three article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That was 1) special need students never treat discriminatory, 2) they have to study with their friend of the same age, 3) they were educated by their special needs. Upon the articles, special education classes that was establishing for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run to achieve these three conditions.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특수학급 설치를 중심으로 발전하여왔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법에 근거한 실천 방안에 대해서는 열악한 편이다. 따라서 특수학급 설치를 중심으로 발달한 통합교육의 성격을 법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 특수학급 설치에 대한 최초의 법 규정은 1949년에 제정된 「교육법」제 145조에서 비롯된다. 이 법에서는 ‘공회당’ 등에도 특수학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당시의 사회적 인식을 고려할 때 매우 진보적인 특수교육 법안이라고 할 수 있다. 1977년의 「특수교육진흥」은 특수학급 설치를 고등학교까지 확장하였지만 특수학급이 통합교육을 목적으로 한다는 법적 규정을 명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1994년의 「특수교육진흥법」에는 특수학급이 통합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규정되었다. 1994년의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한 통합교육의 목적은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2007년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규정한 통합교육의 목적은 1) 대상학생이 차별을 받지 않고, 2) 또래와 함께, 3) 개인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법 규정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특수학급은 차별금지나 또래와 함께 교육시키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나 평가가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법에서 개별화교육계획과 마찬가지로, 차별금지와 또래와 함께 교육을 받도록 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수학급은 이를 구체적으로 충족시킬 법적 책무에 따라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교육시켜야 한다.

      •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이대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07 통합교육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ent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based on previous research, presentations, and author's experiences with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esent key issues and tasks of Korean inclusive education mainly from the view of general education.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 possible outcomes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Even though inclusive education has contributed much to Korean education by enhancing the educatio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has been dealt mainly by special educators only, being failed to be a true part of general education practices. Instead,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totally left at gener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who have not being provided with necessary supports or any reward for their efforts. In addition, research topics and methods were rather monotonous. The key issues of inclusive education should include a) whether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particularly from the view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b) whether general education is able to do inclusive education. From the both aspects, it seems too early to be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because the structure, rather than individual teacher's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general education appears not to be ap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For the future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four tasks were suggested: a) providing high quality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o at and above mid-career school administrators, b) improving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 establishing teacher support systems and reward systems, and d) supporting classroom teachers with ready-to-use material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bove all, general education must be innovated toward accepting and encouraging diversity, considering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and building communities and collaborative systems, therefore creating new school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국내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발표 및 통합교육 관련 현장에 대한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통합교육 현황을 개관해보고, 주로 일반교육 측면에서 핵심적인 쟁점과 향후 추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동안 우리나라 통합교육은 적으로 크게 성장해왔다. 국가의 통합교육 중시 정책이나 일반 사회의 장애인 교육권에 대한 높아진 인식 등도 중요한 성과 중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 특수교육 관련 정책 보고서나 실태 보고서에는 몇 명의 특수교육대상자가 어디에서 어느 정도로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계량적 데이터는 제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통합교육의 결과로 어떤 성과를 어느 정도 얻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런 와중에 통합교육은 일반교육의 한 영역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주로 특수교육자들에 의해서만 논의되어 온 측면이 강했다. 또한 별 지원이나 보상 없이 통합교육은 전적으로 일반학급 담임교사에게 일임되어왔다. 학계에서도 연구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단조로움과 편협성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논의의 핵심은 과연 통합교육은 효과적인가, 일반교육은 통합교육을 담당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가 등이 되어야 한다.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학교의 중간관리자 이상의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두고,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과 연수를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아울러, 통합교육 담당자와 시스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 통합학급 교사들에게는 교육과정과 수업자료 측면에서 대폭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다양성이 인정되고 권장되며 공동체 형성과 협력 체제구축이 중시되는 교육문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일반교육계가 개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안도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준비도와 통합교육을 위한 현 교사양성과정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서울․경기에 위치한 장애통합유치원 중 50 곳을 선정하여 원장과 교사들을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개인적 내용과 통합교육 준비도,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현 교사양성과정의 개선점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총 178부(원장 43부, 교사 135)의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통합교육 준비도가 낮았으며 경력과 교사 양성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 실습지 유형이 준비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교사 양성과정이 통합교육에 부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교육내용과 교육 실습 방법의 수정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Inclusive education is one of the more attention-getting issues on the current education. So teachers prepare to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ncipals and teachers by the preparation and recognition for inclusive education. A sample of 178 participants(Principals=43, teachers=135) a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 of Korea. The study was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e principals and teachers don't know to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nd hope to change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