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의 對이어도 전략과 한국의 대응전략 고찰

        박향기 육군군사연구소 2014 군사연구 Vol.- No.138

        이어도(離於島,Ieodo)는 고대 탐라국 시대부터 제주도민들에게 피안의 세계,환상의 섬,전설의 섬으로서 제주도 노랫말 등에 전해져 내려오는 섬으로 우리민족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섬이다. 지리적으로도 우리의 최남단 섬인 마라도에서 80해리(149km)로 한 ·중 ·일3국 중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국제해양법적으로 볼 때도 한 ·중양국간 대안거리가 400해리 미만으로 최근의 중간선 원칙에 의한 국제적인 경계획정 판례에서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배타적 경제수역에 해당된다고 볼 수있다.또한 2003년에는 기상관측과 해양자원 연구를 목적으로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하였다.이처럼 우리나라는 이어도에 대한 역사적 권원과 국제법적근거를 확보하고 있고,나아가 실효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중국은 2000년대 후반,적극적 해양전략을 통해 미국의 대중 봉쇄를 돌파하기 위해 우리의 이어도에 대한 실효적 점유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배타적 경제수역의 상호중첩을 주장하며 자국의 관할권을 제기하면서 관공선등으로 정기순찰을 점차 강화하고 있다.비록 최근 중국이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 ·일간,중-미 ·일간 분쟁으로 한국과의 이어도 분쟁의 표면화를 자제하고 있지만,동아시아 영토분쟁의 전개양상에 따라서 언제든지 영유권 분쟁으로 비화될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중국이 현재 다중적 영토분쟁 양상을 회피하고자 한국과의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전략적 호기를 이용하여 조기에 배타적 경제수역경계획정을 마무리함으로써 우리의 이어도 관할권을 확정하고,한편으로는 실효적 점유를 강화하기 위한 해양력 강화와 과학기지의 국제적 기능을 제고함은 물론,역사적 권원의 확보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노력을 전개해나가야 되리라고 본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ancient kingdom of Tamna, Ieodo has been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our people as a state of enlightenment isle,fantasy isle,legendary isle in such as written in the lyrics of Je-ju Island. Geographically,Ieodo is located in 80 nautical miles south west of Marado Island, and nearest to ROK among Korea,China and Japan.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median line'(international precedents ove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eodo is obviously included into our EEZ. In 2003, our government constructed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Like this,we have historical rights,legal grounds based on international law,and effective control over Ieodo. In the late 2000's, China raised objections on our effective control over Ieodo since it required active maritime strategy to break through USA's containment policy towards China. And also China has insisted its jurisdiction on Ieodo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overlapping EEZ between Koreaand China, and increased patrols in Ieodo using naval vessels, surveillance planes,etc. Recently,although the dispute over Ieodo has not come to the surface since China does not want to provoke conflicts with adjacent countries simultaneously, the conflict over Ieodo can occur any time considering strategic condition in the East Asia. Therefore,We have to conclud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t a nearly age and secure our jurisdiction over Ieodo, by making use of the strategic chance that China is tryingto evade territorial dispute with ROK. On the other hand,We must reinforce our naval power to enhance effective occupation over Ieodo and raise the international function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Moreover, We also have to put an coordinated effort to secure historical rights at a governmental level.

      • KCI등재

        제주도내 대학생들의 이어도에 대한 인식 조사

        권순철(Soonchul Kwon),강병철(Byeongcheol Kang),양금희(Geumhee Yang)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5 No.-

        지금까지 이어도 민요, 설화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제주도민들의 이어도 인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는 이어도 인식조사 필요성으로부터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는 제주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이어도 일반, 이어도 문학, 이어도 영토, 이어도 정책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어도 일반에서 이어도에 대해 대부분이 들어보았고, 실재한다도 생각하고 있으며 이어도 이미지는 해양과학기지, 해양분쟁지역, 이상향, 전설 속의 섬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이어도 문학에서 전설, 시, 소설 등을 학교수업, TV, 도서, 인터넷 등을 통해 접했으나 매체나 교과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어도 영토에서 과학기지 위치, 해양영도 규모, 해양갈등 정보, 자원 정보 수준 등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이어도 정책에서 이어도의 지리과학적 가체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이어도 관련 교육시기는 초o중학교 때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이어도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조명되었으며, 21세기 국제해양도시 제주에 대한 기초로서 해양문호유산인 이어도 문화를 제주도민들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급속히 변화되는 제주사회에 새로운 의식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해양문화유산으로의 계승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So far, Ieodo folk songs, tales of the debate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the study of Ieodo recognition even if there is Jeju residents were rare. This study was a research from the need of Ieodo recognition research to have been promoted. In the study, it was investigated such as Jeju collegiate students recognizes of Ieodo general, Ieodo literature, Ieodo territory, Ieodo poli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look contains almost to be even common of ieodo. they believe that Ieodo reality, Ieodo image, Marine science station, The marine areas of conflict, Utopia, the legendary they were aware of such as on the island Second, the Ieodo was to legend even in literature, the dty, such as the school of dass novels, TV, book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media and subjects in contact via the Internet or the like is low. Third, location of Ieodo science station, Ieodo territory, Ieodo ocean territory scale, Ieodo ocean conflict information, such as resource information level is lower. Fourth, the recognition of geographical scientific value also be a Policy a high, timing of related education even higher duri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rom these results, The IeocIo was recognized for even if it is new lighting, as an international marine city basis of Jeju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need to share even if the culture of Ieodo and Jeju residents be in some marine cultural heritag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ek inheritance develop marine cultural heritage which can form a new awareness community to rapidly changing Jeju society.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이어도(離於島)’관련 정책개선과제 도출

        서호준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3 국가정책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어도’와 관련된 학술논문 및 SNS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여 학술 이슈와 사회적 이슈의 경향성을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와 집중 그룹 인터뷰(FGI)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이어도’ 정책 실행과제를 선별한 다음, 계층화(AHP) 분석을 통해 실행과제 상호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이어도’ 관련 학술적 이슈는 해양법적・정치외교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의 이슈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분쟁 대응, 이어도 해양과학, 이어도 해양환경, 이어도 문학의 4개 그룹으로 유형화시킬 수 있었다. ‘이어도’ 관련 사회적 이슈는 학문분야별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방공식별구역과 같이 특정 시기에 집중 부각된 이슈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어도 대응전략, 이어도 연계문화, 이어도 지리특성, 이어도 매개 사회적 가치의 4개 그룹으로 유형화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 유형화 결과와 FGI 설문 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정책과제 등을 매칭하여 ‘이어도 지킴이 운동 추진 등 교육・홍보 강화’, ‘범정부 이어도 대응예산 확충’, ‘안전수역 설정 등 국내 법체제 정비 및 법적용 강화’, ‘비군사 전력 및 국내외 공조 강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종합발전방안 수립’, ‘이어도 청정 환경허브센터 설립’, ‘이어도 인문・과학 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및 기념공원 조성’, ‘국제융합연구지원 활성화’, ‘지방 정부 중심의 이어도 관련 사회적 가치 제고’의 10대 정책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AHP 분석 결과, ‘범정부 이어도 대응예산 확충’,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종합발전방안’, ‘비군사 전력 및 국내외 공조 강화’와 같은 과제들의 종합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책 실행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trends of academic and social issues through big data-based text network analysis by deriving key keywords from academic papers and SNS related to “Ieodo”, and selected the “Ieodo” policy implementation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survey, and then set the priorities between the implementation tasks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xt network analysis, the academic issues related to “Ieodo” have been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issues centered on maritime law and political and diplomatic approaches, and it was able to be typed into four groups: an international dispute response, a marine science, a marine environment, and literature.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Ieodo” did not show a tendency to differentiate into the academic field, and the influence of the issues focused on certain times, such as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was relatively strong, and it was able to be typed into four groups: response strategy, Ieodo-linked cultu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values related to Ieodo. In this study, ten policy improvement tasks were derived: “Strengthening education and publicity such as the promotion of the Ieodo Protector Movement,” “Expanding the Pan-government Ieodo Response Budget,” “Strengthening the domestic legal system and application of the law,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afe zones,” “Strengthening non-military forc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Ieodo Marine Science Base,” “Establishing the Ieodo Clean Environment Hub Center,” “Establishing the Ieodo Humanities, Science, and Cultural Contents Promotion Center and creating a memorial park,” “Promoting international convergence research,” and “Enhancing social values related to Ieodo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HP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importance of tasks such as “Expanding the Pan-government Ieodo Response Budget,”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Ieodo Marine Science Base,” “Strengthening non-military forc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한․중 이어도 관할권 논쟁의 함의 및 대응방안

        고경민,진영찬,강병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1 평화학연구 Vol.12 No.1

        A disput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over the ownership and legal status of a submerged rock in the western East China Sea irritates their maritime relations. The dispute surfaced in 2000 because South Korea began constructing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Considering Ieodo's geo-economicㆍgeo-politicalㆍstrategic value, Ieodo issue will arise keen maritime disput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Chinese strategy towards the dispute over the Ieodo issue will be largely based on China’s diplomatic strategy and security strategy. In line of its diplomatic strategy, China will create a stable and peaceful international order. Ieodo is just submerged rock. It can not claim an EEZ based on it. However Ieodo and It's area has important value, Korean government must develop a definite Ieodo jurisdiction logic in the law of the sea. This clearly explains the assertions of Korea and China which besiege Ieodo. It suggests policy for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short-term and long-term in order to guarantee definite Ieodo jurisdiction. 한국과 중국 간의 해양관계는 동중국해의 수중암초에 대한 법적 관할권 주장으로 악화되고 있었다. 이 분쟁은 한국이 2000년에 이어도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하면서 부상되었다. 이어도가 갖는 지경학적․지정학적․안보적 가치 등을 고려할 때, 이어도 이슈는 향후 한․중 간의 첨예한 해양분쟁 이슈로 등장할 개연성이 높다. 이어도 쟁점에 대한 중국의 전략은 외교적 안보적 전략에 기초할 것이다. 외교적 노선으로 중국은 안정적이고 평화적인 전략을 추구하여 국제적 질서에 순응할 것이며 국제법을 준수하려고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도는 물속에 잠겨 있는 암초로서 해양법상의 ‘도서’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어도 및 그 주변수역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계속하여 한국의 관할 하에 두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이어도 및 주변수역의 국제법적 지위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중국의 이어도에 대한 입장, 그리고 최근까지 중국의 영토분쟁 경향 등을 근거로 중국의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어도를 둘러싸고 한․중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해양 관할권 문제를 분석․검토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이어도 근해 중·일의 활동증대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김강녕 ( Kim Kang-nyeong ) 한국군사학회 2020 군사논단 Vol.101 No.-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ROICs countermeasures to the increasing activities of China and Japan near Ieodo.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6 chapters tided introduction; overview of Ieodo: geography, history, value, rights; China’s increasing activities and threats near Ieodo; Jean’s increasing activities and threats near Ieodo; the ROICs countermeasures against Japanese and Chinese provocations near Ieodo; and conclusion. Ieodo is an underwater reef 80 nautical miles(149 kilometers) southwest of Marado, and its reef and surrounding waters have high economic and strategic value. The ROK has effectively controlled the reef by building a maritime science base on Ieodo and claims it belongs to South Korea’s jurisdiction by insisting on die equidistant principle of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while China claims it belongs to China’s jurisdiction, citing the principle of equity, and has included Ieodo as a subject of regular reconnaissance by maritime surveillance ships and aircraft since 2007, threatening Ieodo and nearby waters. In addition, the waters near Ieodo ate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o the ROK and Japan in connection with the overlapping of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s in the three countries, and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seven mining areas on the continental shelf, so Ieodo and its tm are highly likely to cause tension between the ROK, China and Japan. The ROICs countermeasures against the provocation by China and Japan near Ieodo are largely diplomatic and judicial countermeasures and military countermeasures. The former includes strengthen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China and Japan, enhancing effective control of the maritime science base, diplomatic efforts based on the strengthening of the ROK-U.S. alliance, increasing the ROIC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and role in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The latter includes continued and continuing and strengthening of ocean-going naval strategy and organic cooperation between navy and coast: guard, strengthening and expanding naval bases in Jeju, and strengthening naval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ie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is not given for nothing. For our part, we will be able to dissuade the rival(China and Japan) &om the grey area strategy only when we have a proactive countermeasure prepared for expansion and sufficient defense capability. That, too, would only be a reliable deterrent or defense-sufficient force to guarantee teal peace. A strategy is needed to establish a response plan, and the other party will be detected from making provocations.

      • KCI등재

        이청준 「이어도」의 서사구조에 나타난 사실과 허구의 변증법

        주지영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0

        This study looked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Ieodo as the double frame structure combined the top frame structure and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ed Ieodo centering around the narrator-focalizer of the top frame structure and the focalizer of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decide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Ieodo is formed as an internal form to embody themes and tried to bring light on this. The subordinate frame structure embodied the context that was drawn by Seonwoo-hyoun . This context had different fourth opinions about the definition of Ieodo. Seonwoo-hyoun as stranger believed the facts and unbelieved Ieodo. Yang-juho as director of newspapers believed the truth in fiction and regarded Ieodo as rescue, dream, hope. The woman had lived in singing Ieodo’s song and had been not leaving the island in spite of Cheon-namseok’s abuse. Cheon-namseok’s denied Ieodo and resisted the fate imposed on islander. The top frame structure has played two roles. Firstly, this structure suggested the transition of Seonwoo-hyoun’s thought that the negative of Ieodo had been changed into the belief of its. Secondly, introducing the legend of Ieodo, this structure suggested Cheon-namseok’s body that denied the fate of Ieodo but returned to the island. Consequently, the top frame structure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viewing the real truth of Ieodo legend and the craving for a denial of fate. 본고는 「이어도」의 서사구조를 상위 틀서사와 하위 틀서사가 결합된 이중 틀서사로 보고, 상위 틀서사의 화자-초점화자와 하위 틀서사의 초점화자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구조가 주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하위 틀서사는 선우 현 중위의 시선으로 그려지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선우 현 중위가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서 이어도를 둘러싼 네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여준다. 선우 현 중위는 사실에 근거해서 사고하는 인물로, 이어도를 믿지 않는 외지인을 대표한다. 다음 양주호는 신문사 국장이지만 객관적 사실보다는 허구 속에 진실이 있다고 믿는 인물로, 이어도를 구원, 꿈, 희망으로 여기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섬사람들의 삶을 표상한다. 다음 여자는 천남석의 학대에도 불구하고 섬을 떠나지 않고 이어도 소리를 하며 살아간다. 마지막으로 천남석은 이어도를 부정하고 섬사람에게 지워진 운명에 저항하고자 한다. 상위 틀서사는 두 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먼저 선우 현 중위의 이어도에 대한 생각이 이어도는 없다는 사실 중심의 사고에서 이어도에 대한 믿음을 갖게 되는 사고로 변화하는 것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이어도 전설과 파랑도 소문을 소개하며, 천남석의 육신이 섬에 돌아온 것이 이어도의 운명을 거부하고 떠난 인물의 회귀라는 비범한 사건이 될 것임을 암시한다. 화자-초점화자의 시선은 이어도 전설이 갖는 비가시적인 진실의 진정성과 그 이면에 놓인 운명 거부의 현실적 갈망을 동시적으로 조망하는 효과를 낳는다.

      • KCI등재

        이어도라는 유토피아와 여성동성사회에 대한 상상력

        허윤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여자들만 사는 섬 이어도는 바다와 맞서 가혹한 노동에 직면했던 제주도민들에게 위로와 위안을 제공하는 유토피아적 공간이다. 남성들에게는 아름다운 여성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으로, 여성들에게는 모든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낙원으로 표상된다. 이처럼 이어도라는 유토피아는 다양한 형태의 신화와 민담으로 전승되었으며, 이청준의 소설 「이어도」(1974), 김기영의 영화 <이어도>(1977)를 비롯하여 <전설의 고향>까지 소설, 영화, 드라마 등으로 확장되었다. 본고는 다양한 이어도 표상이 여성동성사회를 해석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소설에서 이어도가 거부할 수 없는 어머니의 노래로 재현되어 남성 주체의실존적 불안을 추동한다면, 영화에서 이어도는 아버지 없이 아이를 낳고 기르는 모계사회로 형상화되고, TV 드라마 <전설의 고향>에서는 퀴어한 레즈비언 섹슈얼리티의 장소가 된다. 이는 이어도가 이별과 정한의 슬픔에 그치지 않고, 전복적 상상력을 펼쳐내는 장소이기도 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1970년대 만들어진이어도 담론은 산업화·근대화에서 소외된 자들의 유토피아로 남자 없는 세계를 제시한다. 이어도의 여성동성사회는 박정희 체제의 초남성적이고 이성애중심적통치성에 대항하는 해방적 지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Ieodo, an island inhabited by women only, is a utopian space thatprovides comfort to Jeju residents who faced harsh labor against the sea. For men, it is a place where they can spend some quality with beautifulwomen, and for women, it is a paradise free from labor. As such, theutopia of Ieodo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various myths and folktales, and has extended to novels, movies, and dramas, including LeeChung-joon’s novel Ieodo (1974) and Kim Ki-young’s film Ieodo(1977). This study examines various Ieodo representations of femalehomosociality. Ieodo is reproduced in the novel as a mother’s song thatcannot be resisted and drives the existential anxiety of the male subject. In the film Ieodo is a matriarchal society where children are born andraised without a father, and TV drama “Hometown of Legends” becamea space of queer lesbian sexuality. Thus Ieodo is not only a place ofseparation and sadness, but also a place to unfold women’s liberatedimagination. Ieodo Discourses created in the 1970s, presents a world as autopia without men who marginalized from industrialization andmodernization He does. Ieodo's feminine and homosexual governanceshows a counter discourses against the Park Chung-hee regime.

      • KCI등재

        이어도의 법적 지위 및 관련 문제에 관한 고찰

        윤영민(Young-Min Youn),박성호(Sung-Ho Park) 한국해사법학회 2014 해사법연구 Vol.26 No.3

        이어도는 제주 마라도 서남쪽 149㎞에 위치한 수중암초이다. 우리나라는 2003년 이어도에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하였다. 중국은 이어도에 대해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이 수중암초는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해양경계획정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어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지속적인 도발은 향후 해양경계획정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과의 해양경계획정에 이어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제Ⅱ장에서는 이어도의 국제법적 지위를 먼저 확인해 본다. 유엔해양법협약 제121조는 섬의 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협약 제13조(간출지), 제7조(직선기선) 제4항, 제47조(군도기선) 제4항, 제60조(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인공섬, 시설 및 구조물) 등의 조항을 분석하여 이어도의 법적 지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제Ⅲ장에서는 이어도와 관련된 문제의 발단과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 중국의 의도에 관해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이어도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해양경계획정의 원칙, 한중어업협정 문제, 한일해양경계획정 문제 및 한일공동개발구역 문제, 유엔대륙붕한계위원회 및 방공식별구역 문제 등 이어도 및 해양경계획정과 관련된 제반문제들을 검토한 후 각각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어도와 관련된 문제들은 결국 중국과의 해양경계획정 문제로 귀결된다. 향후 주변국과의 해양경계획정에서 이어도를 포함한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Ieodo is a submerged rock located 149㎞ southwest of Marado.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as constructed by Korean government in 2003. China claims the Ieodo issues constantly. This submerged rock related to the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China, so the China's constant provocations for Ieodo are considered as the strategy to get a hegemony in the negotiations o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In the paper, the writer analyzes the impact of Ieodo on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e analysis, the writer look at the international legal status of Ieodo. The regime of islands is prescribed by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article 121. Along with this, UNCLOS article 13(Low-tide elevation), article 7(Straight baselines) paragraph 4, article 47(Archipelagic baselines) paragraph 4 and article 60(Artificial islands, installations and structur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were analyzed for the definition of the legal status of Ieodo in the Chapter Ⅱ. In the Chapter Ⅲ, the origin and phases of Ieodo issues were researched, and the intentions of China were analyzed. The Korea's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in the Chapter Ⅳ. The various issues such as the Korea's principle of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the fisheries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 Joint Development Zone(JDZ),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UNCLCS) and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ADIZ) were analyzed and each countermeasure was suggested in the Chapter. The Ieodo issues come down to the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t is necessary to take more comprehensive measures that considering variables including Ieodo to negotiate with neighboring countries for the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 KCI등재

        이어도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 :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경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4 국가안보와 전략 Vol.14 No.2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increasingly threaten the peace and stability of East Asia. China is aggressive in dealing with maritime territorial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 China Sea. This means that the Ieodo problem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may be increasingly conflict issue. When considering the dynamic environment of East Asian nationalism, it cannot be too much stressed that scholars have to study the probable conflict escalation of Ieodo issue under the tension of nationalism. When Ieodo becomes an object of sharp nationalistic confrontation, how does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crisis?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a logical base of active and positive responses against the Chinese aggressive movement to Ieodo. And This paper will suggest a direction how South Korea responds to Chinese nationalistic approach to Ieodo. 최근 동아시아 정세의 불안정을 추동하는 대표적 요인으로 해양분쟁을 들 수 있다. 중국은 해양 이슈 전반에서 적극적이고 공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는 한․중간 잠재적인 분쟁 이슈로 남아 있는 이어도 문제의 분쟁 이슈화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 글의 목적은 중국의 해양 관련 대외정책에 민족주의가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각에서 한․중간 잠재적 갈등 이슈라고 할 수 있는 이어도를 둘러싼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왜 이어도 문제가 민족주의 이슈가 될 수 있는지에 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중국이 이어도 이슈에 민족주의적으로 접근할 가능성과 함께 이어도 관할권을 주장하는 민족주의적 접근시 그에 대한 대응 방안과 함께 필수적인 조치 사항을 제언한다.

      • KCI등재

        이어도 해양경계획정과 해양주권 국민인식 확산 방안:2016년과 2020년 국민인식조사 비교 분석

        강은정,고경민,김형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Korea has been continuing negotiations with China to delimitate maritime boundaries in the sea around Ieo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increase public perception of Ieodo and maritime sovereignty through a survey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Ieodo and Ieodo marine science bases, participation in the protection of marine sovereignty, education, and publ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level of perception of Iedo and maritime sovereignty is objectively presented, and based on this, the people's perception of Iedo and Ieodo maritime science bases are raised under competition for jurisdiction with China, and the protection of maritime territories and awareness of maritime sovereignty is strengthen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publicity will be derived. 우리나라는 중국과 이어도 주변해역의 해양경계를 획정하기 위한 협상을 지속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국민들의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참여 및 교육・홍보 등에 대한 인식조사 통해 이어도와 해양주권에 대한 국민인식 증진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어도와 해양주권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의 이어도 관할권 경쟁 하에서 국민들의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고, 해양영토 수호 및 해양주권 인식 강화를 위한 교육・홍보 방향을 도출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