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고려 궁예와 고려 왕건의 계승관계와 강진불교계의 동향

        조경철(Jo, Gyungcheol)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6 다산과현대 Vol.9 No.-

        Hu-Coryo[後高麗] is a country which Gungye[弓裔] established. In fact the name of country Gungye[弓裔] established is Coryo[高麗].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Coryo of Gungye and Coryo of Jumong[朱蒙] we call Hu-Coryo. Coguro[高句麗] change its name of country to Coryo in 4~5c. Later Gungye[弓裔] change its name of country to Majin[摩震] and Taebong[泰封]. We often regarded relationship between Gungye and Wanggun as a hostile relationship because Wanggun killed King Gungye. However on the other hand Wanggun succeed Wanggun. Wanggun reuse the name of country, Coryo of Gungye. Succession between Gungye and Wanggun appears in Hyeongmi" stele in Muwe Temple, Gangjin, Jeonnam. Hyeongmi[逈微] was killed by Gungye in 917. Gungye was killed by Wanggun in 918. By the way Hyeongmi" stele kept silent about Gungye"s despotism. Additionally Hyeongmi" stele and Gyungyu[慶猷]"s stele called Gungye Great King[大王] or Pre-Master[前主]. Judging from these steles Wanggun succeed Gungye. Wanggun denied Taebog of Gungye.

      • KCI등재

        後高句麗불교의 재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지금까지 후고구려(태봉)의 불교에 대해서는 창건자 궁예의 미륵신앙만이 강조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국왕 弓裔의 존숭과 후원하에 선종이 발전하고 있었고, 신라 의상계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대승기신론과 밀교의 사상을 융합한 독자적인 화엄학 문헌이 찬술되기도 하였다. 무위사 선각대사비와 오룡사 법경대사비에는 궁예가 선승들을 중시하고 적극적으로 후원한 모습이 보이고 있다. 궁예는 912년 8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라도 남부지역을 공략하던 중 선각대사를 만나 그의 가르침을 받들게 되었고, 이후 그와 함께 철원으로 귀환하였다. 선각대사와 함께 함께 雲居道膺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던 법경대사도 같은 시기에 궁예를 따라 태봉의 수도로 이주하였다. 전라도 원정에서 이 지역에 성행하고 있던 선종을 접한 궁예는 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태조 왕건의 종교정책의 특징이라고 생각된 선종 승려에 대한 적극적인 포섭 정책도 실제로는 전임자인 궁예의 정책을 계승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중국 房山에 있는 金나라 때의 大藏石經에 들어있는 『健拏標訶一乘修行者秘密義記』는 중국 화엄종 조사인 法藏의 저술임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는 10세기 前半에 후고구려 지역에서 찬술된 화엄학문헌이다. 이 책은 사용되고 있는 이론과 용어들로 볼 때 화엄교학 그 중에서도 의상계 화엄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으며, 특히 책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7언 96구로 구성된 <法界圖印>은 의상의 <法界圖>를 모델로 하고 있다. 이 책에는 화엄사상 외에 모든 존재의 본질적 동일성을 강조하는 大乘起信論의 영향이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密敎的요소와 《周易》이나 五行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 신비적, 주술적 요소들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신라 중심지역과는 구별되는 후고구려 지역의 화엄학 모습으로 이해된다. 후고구려에서 당시의 주요한 불교 사상인 화엄학과 선종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종래 토착적, 신비적 신앙으로 생각되었던 궁예의 미륵신앙 역시 당시 불교계의 주요한 흐름이었던 진표계 미륵신앙을 수용한 것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 경우 후고구려에는 신라 하대의 주요한 불교사상인 의상계 화엄학과 진표계 미륵신앙, 선종 등이 모두 수용되어 발전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고려 건국 직후 이들 세 가지 흐름은 고려 불교계의 주류적 흐름으로 확립되는데, 그 배경에는 이미 후고구려(태봉) 시대부터의 발전이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Up to now only the Maitreya belief of Gungye, the founder of the kingdom, has been emphasized about the Buddhism of Later Goguryeo(=Taebong). But the Seon(Zen) Buddhism also prospered with the support of Gungye who had close relations with several eminent Seon(Zen) masters. There was written an interesting book which synthesized the Hwa'eom(Huayan) philosophy and esoteric Buddhism. In the steles of Seon'gak Master Hyeongmi and Beopgyeong Master Gyeongyu the devotion of Gungye to the Seon Masters was well found. On his expedition to South-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in August 912 Gungye had the chance to contact the Seon Buddism by meeting Hyeongmi and Gyeongyu who had been practising the Seon Buddhism in the area. He soon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teaching and paid respects to them. He even asked them to accompany him to Cheolwon, the capital of Later Goguryeo. His esttem and supports to the masters continued in the capital just before his downfall. The supporting and gaining the favours of Seon masters policy, one of the peculiar policies of Wang Geon, the founder of Goryeo dynasty, might have modelled after Gungye's. The Secret Teaching of Gandhavyuha One Vehicle Practicer preserved among the stone tripitaka in Fangshan China is a rare Buddhist work written in Later Goguryeo. Though it holds the author being Fazang, the famous Chinese Huayan patriarch, the place names shown in the book are found in the territory of Later Goguryeo. The theories and terms of the work are greatly influenced by Korean Hwa'eom philosophy, especially that of Uisang's. Even the diagramed poem of Seal of Dharma attached to the book modelled after the Seal of Uisang. In this book we can also find the influence of the Dasheng qishin lun, esoteric Buddhism and the East Asian mysticism such as the I-ching and the Five Elements. The contents of the book might have reflected the Hwa'eom philosophy of the Later Goguryeo. The main trends of the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Buddhism consisted of newly imported Seon Buddhism, the traditional Hwa'eom following the Uisang's philosophy and Maitreya belief emphasized by Jinpyo and his disciples. Among them we can find the Seon Buddhism and Hwa'eom prospered in Later Goguryeo. So we can also infer that the Maitreya belief of Gungye, 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distorted belief influenced by mystical indigenous religion, might have followed that of Jinpyo. Then, the Buddhism of Later Goguryeo can be re-appraised as the mediator between late Shilla and Goryeo Buddhism.

      • KCI등재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碑를 통해 본 弓裔 행적의 재검토

        최연식(Choe Yeon-shik) 한국목간학회 2011 목간과 문자 Vol.7 No.-

        이 논문에서는 康津無爲寺에 있는 先覺大師碑의 내용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弓裔의 행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선각대사비에 전라도 지역을 원정한 후 선각대사를 泰封으로 모셔간 인물로 나오고 있는 大王은 지금까지 고려태조 王建으로 생각되었지만 비문의 전후 맥락을 고려할 때 태봉의 국왕이었던 弓裔로 확인된다. 후에 선각대사를 처형하는 大王과 동일 인물로 봐야하기 때문이다. 선각대사비에 의하면 大王 즉 궁예는 912년 8월 직접 군대를 이끌고 羅州와 武府(광주) 등 전라도 남부지역을 공략하였으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궁예의 親征사실은 형미 와 함께 雲居道膺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던 慶猷의 행적을 기록한 法鏡大師碑의 내용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 전라도 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던 경유 역시 이 지역에 원정 온 궁예를 따라 태봉의 수도로 이주하였던 것이다. 이들 자료로 볼 때 현재 『삼국사기』와 『고려사』등에서 왕건의 업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태봉의 전라도 남부지역 경략은 실제로는 궁예의 직접 지휘 하에 행해졌던 작전이었음을 알 수 있다. 후대에 태조 왕건의 업적을 선양하고 고려왕조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궁예의 역할이 지워졌던 것이다. 선각대사비와 법경대사비에 보이는 궁예의 선종 승려에 대한 우대 조치는 궁예의 불교정책에 대해서도 재검토하게 한다. 지금까지 궁예의 불교정책은 주로 미륵신앙이나 토착신앙 등의 신비적 신앙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왔지만 두 비문의 내용으로 볼 때 궁예는 선종에 대하여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종교 정책의 특징이라고 생각된 선종 승려에 대한 적극적인 포섭 정책도 실제로는 전임자인 궁예의 정책을 계승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선각대사비는 나말여초 시기의 불교사는 물론 정치적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이미 많은 연구들에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해석상의 작은 착각으로 인해서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가 온전히 파악되지 못하였다. 이 자료는 후대의 사서에 말살되어 버린 궁예의 행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면밀히 새롭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ele of Master Seon'gak(864-917) located at Muwisa temple in Gangjin County have been regarded as a valuable material which tells much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s in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dynasty as well as about the Buddhist history. But some mis-understanding on one importantterm have prevented us from full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stele. In this article we tried to re-discover the unknown activities of King Gungye of Taebong dynasty through the re-understandings on the term. The “Great King(大王)” who was described in the Stele to have payed great reverence to Master Seon'gak in his military expedition to South 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r and escorted him to the Capital is Gungye, the king of Taebong, contrary to the general thought that the activities were done by Wang Geon, the founder of Goryeo Dynasty. In the stele Wang Geon appears as the “Present King(今上)" who rehabilitated the Master's honor and had the stele made and he cannot be the same person to the Great King who had a strong suspicion of the Master's loyalty and eventually executed him. As the Great King identifies with Gungye, we can get some new informations on his activities from the Stele. Firstly, it was not Wang Geon as the Goryeosa and Samgugsagi says but Gungye himself who led an expedition to the South Western region in 912 It can be also proved by a paragraph from Master Beopgyeong's stele where Gungye was described to have met and respected the Master on his expedition to the South (the year was unknown in the stel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role of Gungye in the expedition might have been erased and the achievement wholly belonged to Wang Geon. Secondly, Gungye had much interest in Seon (Zen) Buddhism and sponsored the Seon Masters. In the historical records he was described to have indulged in superstitious Buddhism and hald little interest in major Buddhist thoughts. Wang Geons's effort to make close relations with the famous Seon Masters might have modelled after the Gungye's religious policy. Gungye's religious policy should have been re-examined closely. Through this examination we came to know that the stele of Master Seon'ga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King Gungye's activities and re-evaluation on his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