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권영화 관람이 인권의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이정기,전범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7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 O_1-S-O_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_1-S-O_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 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 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권영화 관람이 인권의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이정기,전범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1-S-O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O1-S-O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Chronological/Thematic Groupings of South Korean Buddhist Films

        Ven. Seongwon, Chanju Mun(성원스님,문찬주)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6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에서 1927년에서 2013년까지 만들어진 불교장편영화와 다큐멘터리 105편을 여덟 시기로 분류하였고, 그 기간 동안 만들어진 불교단편영화와 TV 드라마들 은 본 논문에서 다루어지 않았다. 필자는 3편의 필름들을 일제 강점기인 첫째 시기에, 7편의 필름들을 해방 이후 4.19 혁명 이전인 둘째 시기에, 17편 필름들을 박정희 군사 독재 정권 전반부 (1960년대)인 세째 시기에, 18편의 필름들을 동일한 정권의 후반부 (1970년대)인 네째 시기에, 6편 필름 들을 전두환 군사 독재정권 (1980-88) 인 다섯째 시기에, 13편 필름들을 반독재 반민주 정권의 성격을 지닌 노태우 정권 (198893) 인 여섯째 시기에, 10편 필름들을 민주정권 (1993-99) 기간인 일곱번째 시기에, 그리고 31편 필름들을 가장 최근(2000-13)인 여덟번째 시기에 분류하였다. 필자는 또한 본 논문에서 영화학자 또는 불교(종교)학자들인 박종천, 신광철, 최원섭와 존 왈렌-브리쥐를 포함한 여섯명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한국불교 필름들을 11개 주제로 분류하였고, 필요할 경우 하나의 필름을 한개 주제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필자는 호국불교를 주제로 만들어진16편 필름들을 첫번째 주제로, 효도를 주제로 만들어진 5편 필름들을 두번째 주제로, 불교수행을 주제로 만들어진 15편 필름들을 세번째 주제로, 전설과 설화를 주제로 만들어진 13편 필름들을 네번째 주제로, 코메디와 무술영화 를 혼합한 3편 필름들을 다섯번째 주제로, 역사적 인물을 주제로 만들어진 10편 필름들을 여섯번째 주제로, 불교 텍스트 내용을 많이 포함하는 38편 필름들을 일곱번째 주제로, 근대 소설에 근거한 31편 필름들을 여덟번째 주제로, 업, 윤회 그리고 환생을 주제로 만들어진 14편 필름들을 아홉번째 주제로, 5편 공상과학영화들을 열번째 주제로, 그리고 각종 사회 이슈를 주제로 다룬 6편 필름들을 열한번째 주제로 분류하였다. This article categorizes 105 Buddhist feature movie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Buddhist short films and TV dramas, from 1927 to 2013 in the eight periods, (1) 3 films in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2) 7 films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3) 17 films in the earlier part of Park Chung-hee’s (Bak Jeonghui) (1917-1979) military dictatorship (1961-1979), (4) 18 films in the later period of his regime in the 1970s, (5) 6 films during Chun Doo-hwan’s (Jeon Duhwan) (b. 1931) military dictatorial regime (1980-1988), (6) 13 films for Roh Tae-woo’s (No Tae’u) (b. 1932) semi-democratic and semi-dictatorial regime (1988-1993), (7) 10 films from 1993 to 1999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s, and (8) 31 films from the year 2000 and so on. It examines thematic groupings of Buddhist films by Buddhist (religious) scholars and film critics, and attempts to define themes in films. By incorporating thematic classifications by six specialists in religion and film including Park Jongcheon, Sin Gwangcheol, Choe Wonseop and John Whalen-Bridge, it groups 105 films sometimes interchangeably in eleven themes, (1) 16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state protectionism, (2) 5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filial piety, (3) 15 films that include themes related with Buddhist practices, (4) 13 films that include legends and fables, (5) 3 martial arts/comedy films, (6) 10 films that introduce historical figures, (7) 38 films that heavily contain the contents of Buddhist texts, (8) 31 films based on modern novels, (9) 14 films that include themes such as karma, retribution and reincarnation, (10) 5 science fiction fantasy films, and (11) 6 films that discuss social issues such as interfaith cooperation, class discrimination, reunificatio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Chronological/Thematic Groupings of South Korean Buddhist Films

        문찬주 보조사상연구원 2016 보조사상 Vol.46 No.-

        This article categorizes 105 Buddhist feature movie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Buddhist short films and TV dramas, from 1927 to 2013 in the eight periods, (1) 3 films in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2) 7 films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3) 17 films in the earlier part of Park Chung-hee’s (Bak Jeonghui) (1917-1979) military dictatorship (1961-1979), (4) 18 films in the later period of his regime in the 1970s, (5) 6 films during Chun Doo-hwan’s (Jeon Duhwan) (b. 1931) military dictatorial regime (1980-1988), (6) 13 films for Roh Tae-woo’s (No Tae’u) (b. 1932) semi-democratic and semi-dictatorial regime (1988-1993), (7) 10 films from 1993 to 1999 under the democratic governments, and (8) 31 films from the year 2000 and so on. It examines thematic groupings of Buddhist films by Buddhist (religious) scholars and film critics, and attempts to define themes in films. By incorporating thematic classifications by six specialists in religion and film including Park Jongcheon, Sin Gwangcheol, Choe Wonseop and John Whalen-Bridge, it groups 105 films sometimes interchangeably in eleven themes, (1) 16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state protectionism, (2) 5 films that include the theme of filial piety, (3) 15 films that include themes related with Buddhist practices, (4) 13 films that include legends and fables, (5) 3 martial arts/comedy films, (6) 10 films that introduce historical figures, (7) 38 films that heavily contain the contents of Buddhist texts, (8) 31 films based on modern novels, (9) 14 films that include themes such as karma, retribution and reincarnation, (10) 5 science fiction fantasy films, and (11) 6 films that discuss social issues such as interfaith cooperation, class discrimination, reunificatio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동아시아 영화의 다양한 양상들 영화가 탈북자를 다루는 시선들

        강성률 ( Sung Ryool Ka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현대영화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outh Korean films since 2000`s that have deal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ssue. To examine this, I will classify them as the following: South Korean popular films; South Korean independent films; and the films made by overseas Koreans or foreigners. First, South Korean popular films intend not so much to pay attention to realit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tragic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to be a box office success by showing those circumstances. Thus, those films don`t cover their painful resettlement process or the aspects of national division. However, low-budget independent films, though starring those who escaped North Korea, give more attention to a harsh capitalist society in South Korea, which results in their suffering. These movies describes their lives in South Korea. Zhang Lu, as a Chinese of Korean descent, describes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atience in his films. He sticks to a warm point of view as if he represented his life as diaspora. On the other hand, A American director N.C. Heikin exposes cool-headedly human rights in North Korea.

      • KCI등재

        분단과 영화

        김충국(Kim, Choong-K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3 No.-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98년 한국 금융위기사태 이후의 분단영화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분단영화는 분단의 현실과 그 영향을 주요 소재로 삼으면서 동시에 분단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인식과 정서가 영화의 내러티브와 표현에 한국영화만의 고유한 특이점을 부여하는 영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최근의 분단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로 간첩 캐릭터의 변화이다. 간첩은 공포의 대상에서 ‘생계에 허덕이는 모습’으로 바뀌어 재현된다. 이것은 대중이 자신의 처지를 간첩과 동일시하려는 의도에서 발생하는바 역사적으로도 간첩은 관객이 주체와 이데올로기를 봉합하는 매개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둘째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한 한국사회에서 탈북자가 영화의 소재도 등장하였다. 그 재현의 양상은 타자화되는 경향을 띠는데 현재는 이주 동포 간의 위계가 발생하고 있다. 조선족은 열등하고 범죄적인 이미지로 전락한 반면 탈북이주민은 여전히 중립적이거나 호의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지속된다. 셋째는 최근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소위 ‘북한 인권 영화’의 등장이다. 이것은 남북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결국 분단영화는 관객 또는 영화제작자가 주체의 불완전성을 보상받으려는 봉합 욕망의 작용이 투영된다. 그러므로 분단을 극복하는 영화는 봉합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시민의식을 회복하는 데 일조하는 영화가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change pattern of the ‘division film’ in South Korea since 1998 financial crisis, also known as neo-liberalism era. The concept of ‘division film’ is the unique singularity film in the narrative and representation under the social perception and personal judgment about division. Notable changes in the division are three kinds recently. The first is a change in the character of spy. The spy character changes to "struggling to living". This occurs in the intention to equate spy and spectator’s plight. Historically spy is parameter to suture subject and ideology. Second, In Korea has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hierarchy occurs in the North Korean migrants and Korean Chinese. The image of Korean Chinese are inferior and criminal. but the North Korean migrants are represented in neutral or favorable. Third is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North Korean human rights films". It can act unfortunately as a spark of division conflict. Eventually the division film project sutural desire of to compensation of subject’s completeness. Therefore, the division film should be overcome sutural fantasy and helped to regain citizenship in a multicultural society beyond suture.

      • KCI등재

        영화읽기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 향상

        김영신,박가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film literac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human rights sensitivity. To attain the goal,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received the movie read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a year, and then the effect was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is a special activity class named as “The Stories of Human Rights Seen from Movies”, and it was conducted for 4 hours, once a month. It consisted of before watching activity, movie watching, analysis after the appreciation, and debate activ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study employe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diagnosis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Mun, et al. (2002)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ttee in order to measur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averages of the control class (26 students) and the experimental class (27 students) were compared,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tories, and also sex.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and the control class; however, the chang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eanwhile, there existed partial effect with regard to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pisodes, or sex. Like this, there was difference of effect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ex, and episodes; however, in the point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did improve in general after the human rights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human rights film literacy dealt with in this paper is helpful in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 학생들에게 1년간 영화읽기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권이야기”라는 특별활동반으로 월1회 4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영화 전 활동, 영화 보기, 감상 후 분석과 토론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영화읽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문용린 등(2002)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개발한 중학생용 인권감수성 진단 검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인권감수성을 측정하였으며 통제반(26명)과 실험반(27명)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고 인권영화반의 변화 정도를 인권감수성 하위요소, 이야기별, 성별에 따라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우선, 인권영화반과 통제반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권영화반의 인권감수성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한편, 인권감수성 하위구성요소나 에피소드, 성별로는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소별, 성별, 이야기별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 이후 인권감수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주목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스웨덴 여성영화종사자의 인권제도에 관한 연구

        홍세영 ( Hong Sae-young )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2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권력자원론과 젠더주류화 관점에서 스웨덴 여성영화종사자 인권제도를 분석하였다. 2014년부터 스웨덴은 세계 최초 페미니스트 정부로 명명하면서 적극적으로 젠더주류화 전략을 모든 공적 영역에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17년부터 활발하게 전개된 스웨덴 미투운동은 스웨덴 여성조직을 다시 하나로 묶어주면서 여성의 권력을 세력화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미투운동은 영화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스웨덴 여성 인권을 제도화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미투운동 이후 스웨덴 영화산업계에서는 젠더주류화 전략을 더욱 강화시켰다. 젠더주류화 전략을 통해 많은 여성들이 영화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의 권리가 반영된 영화를 제작하고 이 분 야에 양성평등 수준을 높이고 있다. 우리사회가 여성영화종사자들의 인권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웨덴처럼 성차별의 원인을 권력으로 인식하고 남녀의 권력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권력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영화종사자들은 연대를 통해 정치세력화를 이루고 다른 여성조직과도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에서 여성의 정치세력화가 제도화될 수 있도록 정부는 효과적인 젠더주류화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human rights system of women film workers in Sweden. Since the Metoo movement in 2017, it has had a huge impact on Sweden and Korea. However, while Sweden has led to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laws and policy related to women’s rights, Korea has not. So, the Swedish case needs to be analyzed. For the framework of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power resource theory and gender mainstreaming. Power resources theory can explain the inequal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man. The gender mainstreaming is a strategy and key paradigm affecting the women’s human rights system. Since 2014 the world’s first feminist government has established in Sweden, as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be carried out in all levels in all areas more actively.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Metoo to bring the Swedish women’s organization back together and become a force. Especially in the film industry, actress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wedish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Sweden’s film industry produces films with women’s perspectives through the Bechdel Test, Gender disaggregated statistic and gender responsible budget with the power of gender mainstreaming, and many women are leading the film industry. However, despite the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in Korea, it has yet not to be applied in the film industry. Therefore, Korea needs to strengthen women’s human rights learning from Swedish Case.

      • 자기 방어적 소외와 공포

        류아진(Ryu A-jin)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 No.4

        본 논문은 2005년 류승완 감독이 제작한 인권영화 <남자니까 아시잖아요>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 성역할의 이중성에 대해 소외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목표를 둔다. 이 영화에서 전형적인 가부장적 사상을 가진 주인공 우식은 사회로부터 부여된 ‘남성성’이란 성역할의 압박을 극복하지 못한 인물이며, 사회의 다양성을 내포한 인간 군상인 ‘포장마차’ 속 등장인물들과 여러 방면의 외적 갈등을 겪는다. 그로 인해 성역할 기대 충족을 위한 그의 투쟁, 우위 계층 선점의 명분이 무가치성으로 추락할 위기가 대두되자 그 불안은 곧 공포로 치환되고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으로 타인에게서 자신을 분리시켜 의도적인 소외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소외의 표현은 우식의 타인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의 형식으로 나타나며, 그 반동으로 타인과 자신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재차 확인?강조한다. 본고에서는 주인공을 통해 사회가 부여하는 성역할의 개념이 과연 무엇인지, 편견의 딜레마와 결말이 시사하는 한계가 무엇인지 현대 한국이라는 특정한 시간적·공간적 배경을 토대로 이를 고찰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cusing on alienation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and duality of gender roles through Human Rights Film <Hey Man> directed by Seung-wan Ryu. In the movie, The main character ‘Woo-sik’ who has typical patriarchal ideology is unable to overcome the pressure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and in conflict with various people in ‘street vendor’ signifying a different human character in the society of Korea. When his struggle for gender role expectations met and justification of the upper hierarchy preemption was facing with crisis of worthlessness, that anxiety turned into the fear. To protect his ego, he separated from others defensively, is lead to the intentional alienation phenomenon.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alienation for others appeared in the form of a one-sided condemnation, he reaffirmed and emphasized his existence value taking advantage of the truth different from other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concept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through the main character and what is the suggested limit about movie ending and dilemma of prejudice. This is based on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 KCI등재

        탈북자 예술과 한류의 가능지평

        허혜정 국제비교한국학회 202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1 No.3

        본 연구는 그간 학계에서 잘 연구되지 않았던 탈북자들의 영상콘텐츠를 대상으 로 탈북자 예술의 특징적인 단면들을 드러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검토의 대상 은 탈북자가 직접 창작하거나 제작팀에 참여해 공동창작한 드라마와 영화, 웹툰, 애니메이션, 방송 콘텐츠이다. 탈북자의 증언이나 원작 기반으로 제작된 국내외 탈북자 소재의 작품도 필요한 경우 검토의 대상으로 다루고 있다. 이천년대 초반만 해도 탈북자들의 창작물은 자서전과 수기류의 문학저작물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 다양한 장르의 영상큰텐츠가 창작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다. 탈북자들의 작품은 ‘문화상품’으로서 상업적 성공을 목표로 기획되고 제작 되는 한류 콘텐츠와는 창작의 동기와 목적을 달리하는 경향이 있다. 북한에서 한번쯤 한류에 빠져든 경험 있었던 탈북자들은, 콘텐츠의 전파력을 활용해, 자신을 탈북자로 내몰았던 북한의 폭압적인 체재와 주민들의 참상을 폭로하고 왜 탈북을 선택해야 했는지에 대한 체험적 서사를 널리 알리고픈 창작동기를 가진 경우가 적 지 않다. 비록 북한에서 예술가동맹이나 작가동맹의 일원으로서 잘 훈련된 작가들 이라 해도, 당의 유일사상체계인 주제사상의 교시에 따라 수령독재체재와 노예인 민들의 절대충성을 강화하기 위한 선전예술과 달리, 대중들의 감각에 호소하고 선 택을 받아야만 하는 자본주의 예술의 속성과 문법을 탐구하며 창작을 시도하는 경 우가 많다. 비전문가인 탈북자들도 유튜브 콘텐츠나 그림, 힙합 등 그들이 선호하 는 콘텐츠에 적극 도전하지만 질적 편차가 텍스트들은 얼마간 프로츄어 콘텐츠의 속성을 가진다. 탈북자들의 예술은 일단 거대한 대중문화콘텐츠의 생태계에서 양 적 우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매우 협소한 자리를 차지하고 비주류적 속성을 가지지만, 북한의 인권문제와 관련해 국제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인권레 짐이 보편화된 국제사회에서 탈북자들의 예술은 매우 특별한 의제로 다루어지기 도 하고 문제작들도 적지 않다. 탈북자들의 작품 자체가 분단조건에서 탄생했고, 아직도 신냉전의 암운이 드리 워진 한반도의 역사와 한국인의 내상까지 상기시키기에, 누군가 탈북자의 텍스트 에 초점을 맞춘다면, 글로벌 챠트를 질주하는 그 어떤 한류콘텐츠보다 ‘한국적’이 라고 느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류의 특별한 지류라 할 수 있는 탈북자들의 예술에 학자들이 더 진지한 학문적 천착을 해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North Korean defector art targeting the video cont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ich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e aca- demic world. The subjects of review are dramas and movies, webtoons, animations, and broadcasting contents created by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or co-created by par- ticipating in the production team. The testimony of North Korean defectors or works on North Korean defectors at home and abroad produced based on the original work are also subject to review if necessary. In the early 2000s, the cre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mainly autobiographies and literary works of handwriting, but recently,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large video content of various genres is being created is increasing rapidly. North Korean defectors' works tend to have different motives and purposes of creation from Korean Wave content, which is planned and produced with the aim of commercial success as "cultural products."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once fallen into the Korean Wave in North Korea are of- ten motivated to use the propagation of content to expose the tyrannical status of North Korea and the horrors of the people who drove them to defect, and to publicize the empirical narrative of why they had to choose to defect. Even well-trained writers in North Korea as part of the Artists' Alliance or the Writers' Alliance are often attempting to create by explor- ing the attributes and grammar of capitalist art, which must appeal to the public's senses and be chosen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party's only ideological system, the thematic ideology. Non-professional North Korean defectors also actively challenge their preferred content, such as YouTube content, paintings, and hip-hop, but the texts have some qual- itative variations. Since the art of North Korean defectors cannot secure a quantitative advantage in theecosystem of huge pop culture contents, it occupies a very narrow place and has non-main- stream properties, bu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 lation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ere human rights regimes have become commonplace, the art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sometimes treated as a very special agenda and there are not a few problematic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