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이라는 이상적 장소: 한흑구의 미국흑인 번역시를 중심으로

        서주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6

        This study examines Han Heuk-gu’s translations of The New Negro and Harlem Renaissance poets, and explores how his role as a translator aligns with his broader literary and aesthetic polit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Han Heuk-gu was exposed to African American literature when he was a student in America in the late 1920s, early 1930s. Building upon the growing critical interest on Han’s literary endeavors during his stay in America, I analyze his translations of African American literature through Walter Benjamin’s “The Task of a Translator,”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Benjamin’s notion of intertextual constellations that was later interpreted as “cultural translation” by postcolonial critics such as Homi Bhabha. Benjamin argues that the “task” of the translator is to find the translatable intention in the original text and expand its meaning through the act of translation. Bhabha’s interpretation of Benjamin sheds light on how the act of translation mediates cross-cultural encounters. I argue that Han’s translations, which entail literary critique, mistranslations, and creative reconfigurations, create an ideal space for multiple registers of cross-cultural exchange and empathy between African American poets and Han Heuk-gu, both representing the dispossessed and the disenfranchised. First, I examine Han’s translations of excerpts from Alain Locke’s The New Negro to illuminate how both Locke and Han found political significance in self-expression as self-determination. Then, I delve into Han’s translations of a few poems by Langston Hughes and Claude McKay to elucidate how the translations serve as a medium through which Han expresses loss, defiance, and solidarity. In the poems written by fellow young poets, Han finds youth that symbolizes hope and endurance, and his translations reveal a steadfast faith in the power of literature which is shared by the contemporary African American writers of the Harlem Renaissance.

      • KCI등재

        유학생 서사와 미국(인)

        이경재(Lee, Kyung-jae)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한흑구는 한국문학사에서 미국과의 관련성이 가장 깊은 작가이다. 한흑구는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에 달라진 미국 표상을 살펴봄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작가이다. 일제 시기 미국을 배경으로 한 한흑구의 작품에서 조선인 유학생들은 당시 미국 사회에 널리 퍼진 인종주의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겪는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고통에 대한 자각이 다른 유색인들을 향한 관심과 연대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조선의 식민지 상황에 대한 우회적 저항의 의미도 갖는 것이다. 한흑구가 미국에 널리 퍼진 인종주의에 이토록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흑구가 유학했을 당시의 미국이 대공황이나 이민법 등의 영향으로 인종주의가 극심했던 사회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한흑구에게 큰 영향을 미쳤던 조선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휴머니즘을 들 수 있다. 이번에 발굴하여 소개하는 『젊은 예술가』는 해방 이전과는 확연하게 다른 한흑구의 미국 표상을 보여주는 것과 더불어,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에 한국사회에 널리 퍼진 이상화된 미국관을 실증하는 구체적인 사례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작품에서 미국은 인종주의의 나라라기보다는 한국인의 은인일 뿐만 아니라 문명의 선도자라는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이것은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한국 사회에 널리 퍼진 긍정적인 미국관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미국은 문명화의 모범이며, 한국인은 미국을 잘 따르면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젊은 예술가』에서 안익태의 성공담을 통해 선명하게 드러난다. Han Heuk-gu is the most related writer to the United Stat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regarding the novel noted in this article, Han Heuk-gu is a very meaningful writer in looking at the changes in American representa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he work of Han Heuk-gu, written in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students suffer severely from racism that spread in American society at that time. Notably, this perception of pain is linked to interest and solidarity in other people of color. This also means indirect resistance to Joseon"s colonial situation. There are two reasons why Han was so sensitive to the widespread racism in the United States. The first is that when Han Black-gu studied abroad, the U.S. was a society with extreme racism due to the effects of the Great Depression and immigration law. The second is the humanism of the Protestant Church of Joseon,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Han Heuk-gu. The young artist, that was discovered and introduced this time,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idealized American view that spread throughout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s well as showing a distinctly different image of the U.S. In The young artist, the U.S. is not only a benefactor of Koreans but also a leader in civilization, rather than a country of racism. This is the result of a positive view of the U.S., which has spread widely in Korean society, through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Many people believed that the United States was an example of civilization, and that Koreans could develop if they followed the United States well. This idea is clearly revealed through Ahn Ik-tae"s success story in The young artist.

      • KCI등재

        한흑구 소설에 나타난 1930년대 조선인 미국 유학생과 모빌리티

        박수정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81

        이 글은 1930년대 조선인 미국 유학생을 형상화한 한흑구 소설에 주목하여 이들 소설에 나타난 모빌리티와 한흑구의 인식 변화를 점검해 보고자 했다. 모빌리티 능력은 계급, 인종, 젠더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모빌리티 관리는 시민과 비시민을 구분하는 주체 형성과 결부되어 있다. 국가의 비호 아래에 있는 시민은 자유로운 이동의 권리를 보장받고 있는 데 반해, 비시민은 추방과 격리와 감금 등 비자발적 이동을 경험한다. 이동 능력은 권력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있으며 이는 타자와 주체를 구분하는 하나의 준거로 인식할 수 있다. 「황혼의 비가」는 1930년대의 미국 사회의 비시민인 조선인의 모빌리티가 인종주의에 의해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조선인 유학생이 가지고 있던 일단의 이동성은 조선인 유학생과 흑인 여성 사이의 염문설이 제기되었을 때, 즉 백인 사회의 지배 규범을 침범할 가능성이 가시화되었을 때 박탈당하게 된다. 자동차를 운전해 도시와 농장을 오갈 수 있었던 조선인은 이제 차에서 내려 자동차 사고의 위험에 노출된 채 고속도로를 걷게 된다. 그러나 「황혼의 비가」는 인종주의에 포섭되는 무기력한 조선인을 그리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데, 「황혼의 비가」는 조선인 유학생의 실제 연애가 흑인 여성이 아닌 백인 여성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부조하여, 순수한 백인종을 존속시키고자 하는 인종주의의 허상을 폭로한다. 한편 한흑구는 1930년대에 발표한 「어떤 젊은 예술가」를 1960년대에 젊은 예술가 로 개작했는데, 두 작품의 유학생이 경험하는 모빌리티는 큰 간극을 보인다. 「어떤 젊은 예술가」의 조선인 유학생들이 미국 사회의 비시민으로서 제한적인 이동 능력을 보인다면, 젊은 예술가 의 유학생들은 도시의 모빌리티 인프라에 자유롭게 접근하며 자신을 세계의 보편인 뉴욕에서 인류 행진의 대열에 참여하는 이들로 인식한다. 이는 한국전쟁을 경험하며 남한이 정립한 국민국가와 연결된 것으로, 한국전쟁 이후 한국인들이 한국을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대등한 국민국가로 인식하게 되었을 때,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조선인이었던 1930년대의 유학생들은 1960년대에 이르러 인류 행진의 대열에 참여하는 이들로 새롭게 세공된다. This article focuses on Han Heuk-Gu's novels depicting Korean American students in the 1930s and examines the ways in which mobility changes in these novels are intertwined with Han's perceptions of the Korean diaspora. The ability to move varies based on factors such as class, race, and gender, with mobility management serving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citizens and non-citizens. While citizens under the aegis of the state are guaranteed the right to free movement, non-citizens are deprived of this right through deportation, isolation, and imprisonment. The ability to move is closely tied to power and functions as one of the criteria that distinguishes the subject from the other. <Twilight Rain>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the mobility of non-citizens in 1930s American society, the Koreans, is transformed by racism. The mobility of a Korean college student is stripped away when he violates the salt of the earth between him and blacks, the dominant racist norms of white society. Once able to drive a car to get between the city and the farm, he is now forced to get out of the car and walk on the highway, where he is not free from the risk of car accidents. However, <Twilight Rain> does not stop at depicting the helpless Koreans who are controlled by racism; it exposes the fact that Han's real-life romance with an international Korean student was with a white woman, not a black woman, exposing the falsity of American society's racism to protect the pure white race. Meanwhile, Han Heuk-Gu attempted to adapt <Young artist> in the 1960s from <Some Young artist>, published in the 1930s, and the mobility experienced by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two works shows a huge gap. Whereas the Korean students in <Some Young artist> are non-citizens of American society with limited mobility, the Korean students in <Young artist> have free access to the city's mobility infrastructure and see themselves as part of the human march in New York, the universal city of the world. This change is connected to the change in self-perception that led to the South's establishment as an independent nation-state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mobility represented in Han's novels is connected to the possibility of a modern nation-state, and becomes one of the main frameworks for interpreting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colonial Korea and liberation.

      • KCI등재

        미국의 인종차별 문제를 다룬 1930년대 한흑구의 단편소설 연구

        김미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ovels of the 1930s that dealt with the issue of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Han's short stories from the 1930s show the existence of a sense of victimhood or inferiority related to racism within Asian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The misguided perception of Asians as victi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hites and perpetrators of discrimination against blacks is revealed. At that time,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overlapped with class discrimination and overlapped with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For exampl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o not want to live in poor black neighborhoods, describe hotel employees as "servants," and sexually objectify exotic unmarried black and white women. In addition, Asian immigrant men assume only white women as their marriage partners, but they show the duality of viewing them negatively by saying that an Asian immigrant woman who chose to pass married an American became a "Yankee girl." The confused perceptions and duplicity related to class/race/nationality/gender that emerged from them were also the things of the Han Black District at the time. It is also the case that most of the Korean Americans at the time were confused and wealthy in a time and space so different from their homeland, sometimes as victims, sometimes as perpetrator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that they did not realize that the dichotomous cognitive framework of the modern era that was dominated by such indicators was a fallacy.

      • KCI등재

        1930년대 한흑구 문학 연구 -미국 유학체험과 ‘근대농민’ 인식을 중심으로-

        전영주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한흑구는 1928년부터 1934년까지 6년간 미국에서 유학생 신분으로 영미문학과 신문학을 전공했다. 이후 고향인 평양으로 돌아와 『대평양(大平壤)』, 『백광(白光)』 등의 잡지발간에 참여했으며, 농민잡지인 『농민생활(農民生活)』 등에 시와 소설을 게재하면서 근대농민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에 특히 기독교계 농민잡지인 『농민생활』에 게재된 한흑구의 시 「허믜(鍬)」, 「춘일정사(春日靜思)」, 연재소설 「사형제(四兄弟)」를 분석하여 1930년대 한흑구 문학에서 엿볼 수 있는 ‘근대농민’ 인식을 고찰하고자 했다. 한흑구는 1930년대에 ‘근대농민’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농촌계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두었던 사실을 엿볼 수 있으며, 미국 유학체험을 바탕으로 영시(英詩)번역에도 관여하여 세계문학 속의 조선문학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1930년대 한흑구의 시와 소설에 등장하는 ‘근대농민’은 넓게는 고학생(苦學生), 이주노동자, 농민(農民) 등으로 확대되면서 식민지시기 약소국 이민자를 경험한 자신(自身)이 ‘조선’으로 돌아와 ‘조선농민’에 대해 각성하면서 유학 시기 겪었던 서구문명, 자유, 개척정신, 청교도적인 기독교 정신을 통해 깨우친 근대농촌계몽운동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한흑구의 1930년대 문학은 근대농민의 탄생을 근대화의 중요한 본질로 인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국청년과 대비되는 조선의 농촌노동자를 ‘근대농민’으로 개조하려 한 그의 의지가 문학작품을 통해서 표출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