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리핀의 한류수용 특징

        허윤정(Yoon Jung Hur),송정은(Jung Eun Song),장원호(Wonh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필리핀 한류 조사를 바탕으로, 필리핀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국문화수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필리핀의 한류수용의 특징과 배경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FGI 조사, 문헌연구 및 통계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은 한류를 매개로 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있지만, 한편 코피노 및 한국인 상대 범죄 등 갈등요소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한 한류연구는 향후 양국간 사회문화적 관계를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된다. 본 연구는 필리핀 현지 대학생과 한국 거주 필리핀인의 한류 문화소비의 인식, 태도,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한국인과의 접촉경험’이 한국과 한국문화를 인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내었다. FGI 조사 참여자들은 한국드라마 관람, 한국어 공부, 그리고 주변 한국인과의 관계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필리핀과 한국의 관계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한류가 한국문화의 특징뿐만 아니라 보편적 문화로서의 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필리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한국문화의 전반을 아우르는 한류 3.0이 현지의 일상문화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receiving Hallyu based on the cognitions and attitudes toward Korea and Korean culture in the Philippines. With the background of Business Hallyu and Cultural Hallyu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Discussion(FGI)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the statistical resources. Th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have been increased by the effect of Hallyu, but the socio-cultural conflicts, such as Kopino issue, crimes related to Koreans have been also grown. Thus, the Hallyu research focused on the Philippines is necessary, and it will be a cruical variable to forecast the socio-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The FGI research recruited participants in both undergraduates in the Phillippines and the Filippino migrants in Korea. The FGI participants of each group shows the differences of cognitions, attitudes, and actions to consume Hallyu, and the participants of both groups agrees that experiences of contacting Koreans influence on understanding Korea and its culture. The FGI participants have tried to watching Korean dramas, learning Korean languages, and building relationships with Koreans in order to adjust Korean culture.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Philipines, Hallyu needs to promote its values as the unique culture and also universal culture in the world. Korea should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Filippino culture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and make efforts on localize the Hallyu 3.0 in the Phillippines.

      • KCI등재

        한국문화원을 통한 한류의 발전 방안 - 주미 한국문화원과 주한 미국문화원의 비교 분석에 기초하여 -

        JOO DONG WAN,임영상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4

        Hallyu 3.0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since the 2010s. For the long-te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llyu,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are important. This paper examined the location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ree Korean Cultural Centers in the U.S.A., such as Washington, D.C., and New York. In conclusion, the locations of three K.C.C. are not sufficient for accessing by the patrons and the operating systems are neither effective nor efficient. Specifically, the websites of each K.C.C. have lots of problems with introducing Hallyu-relat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websites are not standardized and don’t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e US Cultural Centers in Korea are American Center in Yongsan and Seoul and the American Corners in Busan, Daegu, and Gwangju. Besides the American Center, the American Corners are located in the Central Library of the region. Thus it is fairly effective in the surface accessibility and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Additionally, by leveraging its surrounding facilities for events, it can significantly reduce maintenance costs. Much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and the unified form of the websites are a huge advantage in terms of utilization of the center and the corners. In addition, it is very effective for the center and the corners to operate and maintain the good relationship with the local people by hiring Korean directors for the center and the corners.For the development of Hallyu 3.0,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ase of U.S. Cultural Center and Corners in Korea. 한류는 2010년대 이후 한국의 전통문화에 기반을 둔 한류3.0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장기 지속적인 한류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에 있는 한국문화원들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워싱턴 D.C., 뉴욕, LA 등지에 소재한 한국문화원들을 예로 들어 해외 한국문화원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국의 한국문화원들은 그 위치하고 있는 장소부터가 문제시 된다. 그리고 독립적인 공간을 보유하는데 따른 비용도 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문화원들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분석해 본 문화원의 프로그램 운영시스템에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반면 주한 미국문화원들은 서울의 아메리칸 센터와 부산, 대구, 광주 등지의 아메리칸 코너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울의 아메리칸 센터를 제외한 아메리칸 코너들은 각 지역들의 중앙도서관 내에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접근성과 이용 면에 있어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그리고 행사개최 시 행사내용과 규모에 적합한 주변의 시설물들을 활용하여 유지비를 크게 절감하고 있다. 또 통일되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웹사이트는 미국문화원의 프로그램 운용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이 되고 있다. 아울러 아메리칸 센터와 코너의 책임자로 현지 한국인을 고용한 점 등은 문화원 운영에서 보다 현지 국민들과의 친화적인 면에서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류3.0 시대에 해외 한국문화원들을 활용하여 한류의 장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주한 미국문화원의 경우를 참고하여 해외 한국문화원들의 운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류인문학’을 제창한다

        김기덕(Kim, Kiduk),배상준(Bae, Sangjo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본 글은 한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한류는 말 그대로 ‘한국 흐름(Korean Wave)’이지만, 한류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문화적인 현상’과 ‘경제적인 현상’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그 결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한류를 ‘문화한류’로 칭하고, 전자산업 및 휴대폰산업 등을 통해 한국의 이미지가 높아지는 현상을 ‘경제한류’로 정의하기도 한다. 한편 KOTRA는 문화한류에서 경제한류로의 도약을 위해 ‘비즈니스한류“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최근 조사된 한류산업의 지역별 총 수출액은 54억 6천만 달러이다. 이처럼 한국에서 만들어진 대중문화상품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드라마, 영화, K-pop을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그 범위가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생활문화에 까지 확대되었다. 물론 한류의 전파가 과연 전 세계적인 현상인가, 또한 한류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근현대 세계사적 문화교류의 차원에서 이름없는 문화변방에 머물러 있었던 한국의 대중문화가 최근 20년 동안 이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은 연구자들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류에 대한 연구자들의 분석논문은 한류의 시작에 비해서는 많이 늦었지만, 2013년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주요 전문학술지에 526편이 검색된다. 본 글의 작성을 위해 2017년 5월 현재 RISS 한 군데에서만 ‘한류’를 검색해 보면 학위논문 2390편, 국내학술지논문 4686편, 단행본 2638편, 연구보고서 103편이 나온다. 한류 관련 영문 학술지 논문도 45편, 영문 단행본도 23권이 검색된다. 본 글은 이러한 한류 연구상황에서 인문학 차원의 한류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엇보다 그 역할을 인문콘텐츠학회가 주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한 것이다. 아울러 학술연구와 연동되는 국가기관의 정책연구 측면에서도 한류인문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류인문학의 최종 지향점은 한류산업의 활성화나, 인문학 역할의 증대라는 현실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그것은 필자가 일찍이 인문콘텐츠의 목표로 제시했던 인류의 共同善, 인간화․인간해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류인문학은 결국 한류라는 것을 한국이라는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인의 마음을 치유하는 인류자산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만들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mphasize the need for humanistic investigation of the Korean Wave, or "Hallyu". The Korean Wave literally meaning the "flow of Korea" is broadly divided into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economic phenomenon" from a perspective of taking a look at it. In consequence, the traditional Korean Wave revolving around the popular culture is referred to as the "cultural Korean Wave" and the phenomenon of getting the image of Korean enhanced through electronic industry and smartphone industry is defined as the "economic Korean Wave". On the one hand, KOTRA has presented the concept of the "business Korean Wave" for the purpose of take-off from the economic Korean Wave to the "business Korean Wave". The total amount of exports of industries related to the Korean Wave recently surveyed by region accounts for USD 5,460,000,000. Like this, the Korean Wave of popular culture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is sweeping over the whole world beyond Asia. It has revolved around dramas, films, K-pop and then extended to the living culture focused on food culture. Naturally, the question could exist as to whether or not the diffusion of the Korean Wave is the global phenomenon or whether or not the Korean Wave can continue to last in the future. But the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had long belonged to the unknown cultural backwater from the dimension of cultural ex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world history, has exercised this influence over the world for the recent 20 years, which would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for researchers. Analytic articles of this Korean Wave have been presented la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ve, but 526 articles are found to have been presented in important academic journals up to 2013. For the purpose of writing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search the Korean Wave only in one site of RISS as of May, 2017. As a result, it brought about 2390 theses and dissertations, 4686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2638 books and 103 research reports. In addition, it brought 45 articles in English and 23 books in English about the Korean Wave. It indicates that with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researchers have poured out their research products. This study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research on the Korean Wave in this situation and presents that the Association of Human Contents needs to take the lead in performing its role among other things. In addition, it presents the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in terms of the policy research of national agencie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The final goal of the humanities of the Korean Wave can not be a realistic goal of revitalizing the Korean Wave industry or increasing the role of the humanities. It will be the common goodness of mankind, humanization and human liberation as the researchers have set as the goal of humanity contents. Therefore, the humanities of Korean Wave will ultimately turn the Korean Wave into one of the human assets that heals the minds of the world people beyond the national dimension of Korea.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 중국 문화산업 ISSUE조사와 전문가 면접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정광철 ( Kwang Chul Jung ),조성룡 ( Seong Ryong Cho ),노형신 ( Hyung Shin Roh ),김경훈 ( Kyung Hoon Kim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 (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정광철(Jung, Kwang Chul),조성룡(Cho, Seong Ryong),노형신(Roh, Hyung Shi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잠재적 외래 관광객을 위한 한류 관광 정보화 정책 - 어권별 니즈와 이슈 분석 -

        이선영,이지민,전유희,정남호,구철모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ived recognition of the potential foreign tourists from seven different language groups regarding the Korean wave to find their distinctive different issues and needs. In order to find such traits, a survey was conducted on 4,245 international tourists from 7 different linguistic groups who visited the Korea Tourism Organization(KTO)’s website VisitKorea which hosted for the promotion of the Korean Wave. A total of 90 Korean Wave keywords was retrieved from the collected survey data and sorted them into 8 categories using content analysis: Celebrity, ICT, Contents, Culture & Heritage, Shopping, Destinations & Tourism, Korean studies and Event & Festivals. In this research, the differences in issues and the needs of among the tourists from the seven language groups in the 8 categories were studied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CLT) and Psychological Distance Theory. Finally,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Decay Theory(DDT), several implications of tourism information strategies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Wave(Hallyu) tourism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7개 어권별 잠재적 외래 관광객들의 한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각 어권별 이슈와 니즈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관광공사에서 한류를 홍보 웹사이트, VisitKorea에 방문한 7개 어권별 잠재적 외래 관광객 4,245명에게 한류관광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90개의 한류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키워드를 8개 유목(한류스타, ICT, 콘텐츠, 문화 & 유산, 쇼핑, 관광목적지 & 관광, 한국어 교육, 이벤트 & 축제)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8개의 유목을 기준으로 한류관광 정보에 대한 어권별 이슈와 니즈를 해석수준과 심리적 거리 이론을 바탕으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리붕괴이론을 근거로 한류관광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관광정보화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