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역사·문화적인성격과 대성사 소장 『四分律』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5

        This paper attempt to diagnose a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Printing-Books that was print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analyze into the Printing-Books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A Printing-Book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ve produced at various times, these Printing-Books reflect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ies and personalities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contain within a variety of a historical & cultural personalities. the analytical index have based on bibliographic information & a paper type that included in the Printing-Book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first,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a Printing-Book that was printed the Haein- Temple’s Tripitaka-Woodblock. secondl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made during the Joseon(朝鮮)-Dynasty's King-Sejo(世祖). third, this Printing-Book is marked with the Gaebeopjang-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that represent the divinity and majesty of Buddhist scriptures. fourthly,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reflected King-Sejo's perception of the Goryeo(高麗)-Dynasty. last, this documentary heritage can restore the damaged part of the Dharmagupta-vinaya's volume 47-50 that contained in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can also diagnos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woodblock. Key Word :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the King-Sejo(世祖), the Printing-Books, the Daeseong-temple(大成寺), The Dharmagupta-vinaya(四分律) 이 글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현존 인출본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진단한 다음, 보물 제1943호로 지정된 『사분율』의 인출본을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해인사대장경판의 인출본 가운데 고려말기~조선초기의 불교기록유산이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이 시기 찍은 『사분율』의 경우에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확인되었으므로, 보물 제1943호 『사분율』에 담긴 역사․문화적 가치와 성격을 집중 분석하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새로운 이해 지표를 확보하였다. 특히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표지나 장정 등이 인출불사 당시의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객관적인 이해 지표를 확보할 수 있었다. 첫째,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형태서지학적 기본정보와 구성체계 등에서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해당 경판을 원천텍스트로 인출한 불교기록유산이다. 둘째로, 인출시기는 조선 세조 때이다. 해당 인출본은 인출상태와 간행기록의 유무, 장정형태나 개법장진언부호의 표제, 인출종이의 종류 등에서 세조가 국가․왕실불사로 해인사대장경판을 50질을 찍어 전국의 유명 사원에 나누어 준 불교기록유산으로 확인하였다. 셋째로, 해당 인출본에는 개법장진언부호의 표기로, 세조 당시 불교경전의 신성성과 장엄성을 인식하는 불교의식이 담겨져 있다. 넷째로, 해당 인출본에서는 세조 당시 高麗國의 왕조에 대한 인식태도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인출본은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사분율』 권47~50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동시에, 해당 경판의 보존상태도 진단할 수 있는 원천자료도 담고 있다.

      • KCI등재

        연산군 6년 伽耶山 鳳栖寺에서 개판된 『賢首諸乘法數』 현존 목판의 판각성격

        최영호 ( Choy Young-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Hyunsujeseungbeopsu's woodblock that the Bongseo-Temple was created in the King-Yeonsangun's 6th year of the Joseon-Dynasty. the Buddhist woodblock have engravated at the Bongseo-Temple of the Gaya-Mountain(伽耶山), is now preserv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in this process, the source information of the edition has been newly organized the surface configuration form &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imprint(刊記) that the woodblock have been existing. First, the source information can supplement the historical & cultural reality of the Hapcheon(陜川)'s community & the Bongseo-Temple during the reign of the the King-Yeonsangun. in addi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as key data that the Bongseo-Temple was created the Buddhist Heritage in Hapcheon's community. Second,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is Buddhist project have been operated as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the organization system have been included as a Buddhist-monks & secular people of the various classes. however, the working organization have only consisted by monks. the Deunggok-Hakjo(燈谷 學祖) of the Haein-Temple’s high monk has provided the source edition, the Gyeongmin(冋敏·冏敏) has oversawed the the whole of the working system. Third, the Bongseo-Temple has also planned and engraved three kinds of the Buddhist woodblocks. the Buddhist woodblocks were the Mogujasusimgyeol-eonhae(牧牛子修心訣―언해) & the Seunjongyusimgyul(禅宗唯心訣) & the Gobonghuasangsunyu(髙峰和尙禅要). the Bongseo-Temple’s Buddhist woodblocks was related to the Yenyommitatoryangchambop(禮念彌陁道塲懴法) of the Haein-Temple. In addition, the Bongseo-Temple had a network with the Haein-Temple & the Yujeom-Temple(楡岾寺) at the time. Finally, the existing Hyunsujeseungbeopsu woodblocks of the Haein-Temple are one of the three types-edition that it has been confirmed so far, were the oldest edition.

      • KCI등재

        海印寺大藏經板의 구성체계와 범위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8

        이 글은 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진단할 수 있는 해인사대장경판의 구성체계․범위를 분석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현재 大藏과 補遺板에 편입된 개별경판의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차별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묶어 분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해방식은 해인사대장경판이 조성된 13세기 중엽 당시와 차이를 보이며, 조선 고종 2년(1865) 『補遺目錄』이 조성되면서 단초가 제공되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의 대장에 포함된 1,498종의 경전은 13세기 중엽 당시부터 보유판 16종의 경전과 별도의 구성체계로 분류․기획되었다. 이러한 구성체계의 인식적 틀은 14세기 말 우왕 때와 15세기 중엽 세조 때를 이어 18~19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다가 조선 고종 2년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직후 『보유목록』이 조성되면서 보유판이 대장과 함께 착종되어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14~5년 조선총독부의 인출불사 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915년 이후에는 우리나라 승려․불교지식인들과 함께 일제식민주의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그 구성범위를 보유판까지 포함하여 이해하였으며, 1934년 조선총독부의 보물 지정과 1962년 국보 제32호로 지정될 때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그러면서 1990년대 이래 다양한 연구성과가 새롭게 도출되고 있으므로 객관적이고 다양한 분석지표를 근거로 재조정의 여지도 가진다. 대장 및 보유판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간행기록(刊記)․각수를 비롯하여 형태서지학적 기본정보 및 경판의 외형적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석지표로 진단․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분석지표는 복합적이고 교차적으로 활용할 때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면서 필요충분조건을 충족하는 개별지표로 제한적인 측면도 발견된다. 이에 비해 필요충분조건의 분석지표로는 13세기 중엽 당시나 그 이후 인출된 인경본의 구성범위와 함께 당대 高麗國大藏都監에서 조성된 『大藏目錄』과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에 편입된 개별경전의 종류가 핵심적인 원천자료로 주목된다. 이들 분석지표를 근거로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입된 대장의 구성체계와 범위는 『대장목록』에 입장된 1,498종류 경전의 개별경판에 해당하는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天함)부터 『일체경음의』 권100(洞함)까지 별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체계와 범위는 13세기 중엽 당시 이미 하나의 독립적인 구성체계로 기획․분류되었던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때문에 그 집합체의 명칭도 ‘대장(또는 대장경․장경)’, ‘고려국신조대장’으로 명명하는 것이 객관적일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the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source material utilized a various analysis-indexes such as the publishing- records & sculpturers(刻手) of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outside form of an individual Printing-Blocks, a printing bounds of the printed Books, and the catalogue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Koryo- Dynasty's Tripitaka-catalogue(大藏目錄) & the Koryokukshinjodae- changkyochongbyollock(高麗國新雕大藏挍正別録) etc. At present, the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 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is grouped together with the Daejang(大藏) & Boyu-woodblock(補遺板). therefore, we are not discriminately against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individual Buddhist Printing-Block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Daejang & Boyu-woodblock. this system of classification was provided by the 2nd year(1865) of Year 2 of the Joseon Dynasty's King Gojong,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14~5 year when the Joseon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has printed the Haein- 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However, this system of classification differs from the mid-century of the 13th century when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has been made up. in particular, the Koryo- Dynasty's Tripitaka-catalogue is included among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that have been listed from 1 volume of the Prajnaparamita-Sutra(大般若波羅蜜多經) to 100 volume of the Ilcheongeum-Sutra(一切經音義). the Koryo-Dynasty's Tripitaka -catalogue was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is included among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soon, 1,498 kinds of the individual Buddhist-scriptures are included in the Daejang. therefore, the Daejang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Boyu- woodblock, should be classified as a separate composition system. this composition system & bound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reflects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mid-13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title of the Daejang can also be called the Tripitaka(大藏經) & the Changkyung(藏經) & the Koryo-Dynasty‘s Shinjo-Daejang(高麗國新雕大藏).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의 역사·문화적 공유의식

        崔永好 ( Choy Young-h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UNESCO)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을 진단하였다.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 당시 고려 사람들이 품고 있었던 당대의 공유의식을 정리한 다음,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담겨진 공유의식을 진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성사업 이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공유의식의 확장현상도 살펴보았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이 이루어지던 13세기 중엽 고려사회는 잔혹한 몽골 군사들의 침략에 따라 경제적 궁핍과 살상·포로·약탈의 대상으로 극한적인 공포와 위기 상태에 내몰려져 있었으며, 현실적 삶도 더욱 열악한 상태로 치닫고 있는 등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 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 특히 당시에는 고려사회의 핵심적인 전통가치와 상징으로 기능·인식된 불교문화유산과 불교기록유산들도 파괴·훼손되면서 불교계의 위기도 노출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당대 고려 사람들은 민족적 모순과 현실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대책들 가운데 핵심적인 하나의 통로를 불교와 불교유산의 조성사업에서 모색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함께 실천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불교와 조성불사가 몽골침략과 함께 현실적 삶을 극복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실천하였다. 13세기 중엽 조성된 해인사대장경판에는 몽골침략 등으로, 모든 고려 사람들이 겪던 민족적 위기와 현실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불교적 기원의식과 신념이 담겨져 있었다. 국가 및 국왕·왕실의 안녕, 전쟁종식·외적 격퇴 등의 기원은 13세기 중엽 당대 모든 고려 사람들이 함께 바라던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에는 이러한 공유의식을 담고 있었으므로, 당대 고려 사람들과 불교계가 조성사업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조성사업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은 조성사업 이후에도 현재까지 거의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성사업의 당시나 이후에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이 지속적이고 확장적인 생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가능하였다. 고려사회에서뿐 아니라 특히 성리학적인 지배이념이 확산되고 불교사상이 억제되었던 조선시대에도 국가로부터 나라의 보물이라는 공유의식과 위상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보존 대책도 마련되는 등 우리 민족의 기록유산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의 남북한에서도 국가적인 보물로서의 위상과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더구나 일본사회에서도 중세 이래 근대까지도 불교나 세계적인 보물로 인식되는 공유의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UNESCO) 기록 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인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sharing―consciousnes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at UNESCO has listed as Memory of the World in 2007.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d been carv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mid―13th century. at this time, the Goryeo(高麗)-Dynasty was undergoing a brutal invasion of Mongolia. In the process, the whole of Goryeo-people were feeling life threat, were suffering enormous material damage. In addition, Goryeo-society was experiencing destruction of the Buddhist heritage. Goryeo-Dynasty has been experienc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and realistic contradictions since its founding. in this realistic environment, the Goryeo-people responded by force to the Mongol invasion. on one hand, they relied on Buddhist beliefs. Goryeo-people carried out Buddhist events and sculptures with Buddhist beliefs. and they wished the stabil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earnestly prayed for an end of the war(repulsion of Mongolian Invasion) and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is origin is inscribed in the Buddhist sculptures that had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refore, this origin was a shared consciousness of the Goryeo-people in the mid-13th century. A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also included in such shared consciousness. therefore, the Goryeo-people of the mid-13th century actively &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ey participated actively and voluntarily with all their heart. the participated people of this creation project included from the king to the common people, were also included all Buddhist sects of the time.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is almost completely preserved to dat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this was because the shared consciousness of the time had historical and cultural vitality even after the creation project.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 cultural value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nationally & continuously shared the Joseon(朝鮮)-Dynasty that the Buddhist faith was suppress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bo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also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Japanese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has list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07, is now established a universal heritage of world humanity.

      • KCI등재

        논문 : 조선시대 『고려대장경』의 인경(印經)과 해인사(海印寺)

        최연주 ( Yeon Joo Cho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 순응(順應)에 의해 창건된 후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였다.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 승려 희랑이 후백제 견훤을 뿌리치고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국찰(國刹)로 삼았다. 13세기 중엽 몽고 침입 때 조성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각성사업에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은 물론 조성(彫成) 공간(空間)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조선 건국 직후 해인사의 寺格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는데, 태조는 강화도 선원사에 보관 중이던 고려대장경판을 한양 지천사(支天寺)를 거쳐 이곳으로 移運 보관케 하였다. 인조때 대장경을 보관하였기 때문에 조정(朝廷)으로부터 중요 사찰이라 하여 주지도 총섭(總攝)이라 불렀고, 법보종찰(法寶宗刹)로서 삼보사찰(三寶寺刹)이 되었다. 한편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표방하게 됨에 따라 대장경을 비롯한 불교 전적의 간행은 고려에 비해 크게 위축되었으나, 태조·세종·세조의 호불 시책으로 일정하게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왕실에서 개인적 동기에 의해 불교 신앙에 대한 개인적 의지로 호불 시책을 수시로 시행되어 여러 불사(佛事)가 수시로 이루어졌다. 불사에는 사찰의 중창, 반승(飯僧)은 물론 대장경 인경을 비롯하여 각종 불전(佛典)이 지속적 간행되었다. 해인사는 『고려대장경』이 봉안된 사찰로서 중창(重創)되기도 하였다. 15∼16세기 해인사는 판각 활동이 부진하였는데, 그것은 대대적인 중창과 고려대장경 인경사업으로 인해 불전(佛典)을 간행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인경사업은 절차가 번거롭고, 대규모 물자가 소요되므로 왕실이나 개인적 차원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국가 차원에서 행정적 지원과 물자 등을 적극 지원받아 추진하였다. 따라서 15∼16세기 해인사는 고려대장경 인경사업(印經事業)에 집중하였고, 17세기 이후 국가 주도의 인경사업이 없게 되자 그 동안 축적한 간행 기술을 활용하여 일반 서적을 간행하였다. 해인사는 『고려대장경』을 奉安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 전기 억불 시책 속에서도 국가적으로 많은 지원을 받아 중수(重修)를 거듭해 왔으며, 국가 주도의 인경사업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해인사가 주도한 인경사업은 조선 전기 불교 전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여러 인경본(印經本)을 전국 주요 사찰에 나누어 안치한 점은 불교 경전의 대량 보급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주요 사찰에 소장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일본과 유구(琉球) 등 외국에서 청구해 올 경우 수시로 분사(分賜)되어 우리 불교문화를 일본 등지로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Haein-sa Temple has concentrated on Buddhist practice and doctrinal study based on the Hwa`eom(華嚴) philosophy since its establishment by Suneung(順應) in 802 in the 3rd year of King Aejang-Wang`s reign during the Silla Kingdom. Haein-sa Temple become one of the ten prominent Hwa`eom Temples(華嚴十刹), When King Taejo, the founding king of the Goryeo Dynasty, tried to unify Korea`s Later Three Kingdom. When the Ganghwagyeong-Edition Tripitaka Koreana was produce in the mid-thirteenth century during the Mongol invasion, Haein-sa provided not only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for its production, but also workshop space within its compound. Short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founding King Taejo ordered the relocation of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hich up till then had been kept at Seonwon-sa Temple on Ganghwa-do Island. And Haein-sa has performed various roles and functions as the Dharma Jewel Temple(法寶宗刹). Meanwhile, even though buddhism was suppressed offcially, many kings and royal families actively supported Buddhist works by the frequent publication of Buddhist sutras and the provision of resources. in particular, King Sejong`s and King sejo`s policy of upholding buddhism produced some korean translations of sutras and established the sutra publication agency, publishing many buddhist books.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aein-sa was so busy printing the Tripitak Koreana that the work of engraving sutras on woodblocks was in decline. Extensive restoration of Haein-sa and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Koreana did not leave any room to produce new sutra printing woodblocks. When state-hosted sutra printing dwindled after the 17th century, Haein-sa extended its publishing horizons beyond Buddhism. So Haein-sa`s printing of sutras was significant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era. The massive dissemination of buddhist sutras was highly probable considering that several complete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were distributed to be enshrined at major Joseon temples, Parts of these printed copies kept at major temples were given to meet foreign demand, including requests from Japan and the Ryukyu kingdom, this helped to transmit Korean Buddhism abroad. By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nastic economic situation declined further, and thus many of Haein-sa`s engraver monks probably ha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ation of literary works sponsored by family clans and Confucian academies in order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temples.

      • KCI등재

        봉암 월주와 해인사

        한상길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30 No.-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ngam and the Haein-sa. Since the Haein-sa was the headquarters of the master Baek Yong-seong, Bongam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is temple early on. In his lifetime, the Haein-sa was the most important temple for training, propaganda, and edification.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whole life of Bongam and examined how the activities in the Haein-sa in Yongseong and the execution and propagation of Bongam in this temple. During the search process, I was able to find some new materials, such as made of stone Hogye-cheop, Bongam's postcard and his photo. Finally, I understood the status of Bongam by the testimony of several monks who were taught by him in the Haein-sa. Bongam was a lecturer in the School of Beopbo 30 years old(1938), taught the Buddhist scriptures. He served as a lecturer for 18 years until 1955, teaching monks great achievements in Buddhist education. At the time he taught, such as the Diamond Sutra, Shurangama Sutra. In 1944, he became a propagator of Sanchung temple, and in 1948, he was also an executive of the public corporation of Younglim and adhered to administrative affairs. Many monks learned from him became a big figure in Korean Buddhism today. They consistently evaluated him as a famous scripture professor. Since 1955, Bongam has started a new life as a professor at Haein University. Since then, as a university professor for 15 years until 1970, Bongam still teaches Buddhism and preaches as in Haeinsa. 이 글은 봉암과 해인사와의 인연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해인사는 스승 용성의 본사였으므로 봉암은 일찍부터 이곳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그의 생애에서 해인사는 수행과 전법, 그리고 교화를 펼친 가장 중요한 사찰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봉암의 전 생애를 일별하고, 용성의 해인사에서의 활동과 봉암의 수행과 포교가 해인사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자료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용성이 직접 제작한 옥석 호계첩, 봉암의 친필 엽서, 해인사 시절 사진 등의 몇몇 자료를 새롭게 찾을 수 있었다. 끝으로 해인사에서 봉암에게 가르침을 받은 여러 인물들의 증언을 통해 봉암의 위상을 이해하였다. 봉암은 스승 용성의 뜻을 이어 해인사에서 전법에 매진하였다. 1938년 서른의 나이에 법보학원의 강사가 되어 교학을 펼쳤다. 해인사는 20세기 들어 보통학교 등의 근대교육을 활발하게 추진하였고, 전통 강원 또한 가장 많이 운영하는 등의 교육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봉암은 1955년까지 18년 동안 강사로서 후학양성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강원의 강사가 본사 주지보다 더 존경받았던 시절 봉암은 『초발심자경문』, 『금강경』, 『능엄경』에 이르는 다양한 교학을 전수하였다. 1944년에는 산청포교소의 주지, 1948년에는 영림공사의 상무를 맡는 등 사판의 소임에도 충실하였다. 봉암에게서 교학을 배운 여러 수행자들은 오늘날 한국불교의 커다란 동량이 되었다. 이들은 한결같이 그를 ‘유명한 강백’으로 평가하였다. 1955년 정화운동의 와중에서 봉암은 해인대학의 교수로 새로운 삶을 시작하였다. 이후 1970년까지 15년간의 해인대학 교수 시절 봉암은 해인사에서처럼 여전히 교학을 전수하고, 포교에 매진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왕실 후원 사찰의 조형성 -고종년간을 중심으로-

        손신영 ( Shin Young S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19 세기 들어 왕실의 불사 후원은 대폭 증가하였는데, 특히 고종년간에 가장 빈번하였다. 전국의 사찰에 전하는 기록 자료들과 사지(寺誌)에 전하는 記文을 살펴 본 결과, 사찰이 명맥만 유지하던 근기지역에는 창건(創建)에 가까운 대규모 불사가 흥선대원군과 고종에 의해 이루어진 반면, 근기이외의 지역에서는 태조와 관계된 곳이거나 금강산지역의 유서 깊은 대찰(大刹)·사고사찰(史庫寺刹)·조포사찰(造泡寺刹) 등에 공식후원 한 사실을 파악하였다. 비공식적 후원은 민비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는데 세자를 기원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관계기록을 통해 왕실불사에 3 회 이상 참여한 승장(僧匠)·선승(禪僧)·화주승(化主僧)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계민열(枕溪敏悅)은 선승(禪僧)이면서도 승장(僧匠)으로 실력을 인정받아 봉은사 판전·철원 석대암·화계사·김룡사·건봉사에 이르는 왕실후원 불사에 모두 장인(匠人) 혹은 도감(都監)으로 활동한 바를 확인하였다. 경운이지(景雲以祉)는 사불산(四佛山)에서 주로 활동한 김룡사의 고승(高僧)이지만, 1827 년부터 서울의 왕실관계 사찰의 기문(記文)을 썼다는 점과 침계민열과 동참한 불사가 많다는 점에서 주목하였다. 범운취견(梵雲就堅)은 화계사소속이지만 전국적으로 행해진 왕실불사에 화주승(化主僧)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살펴 본 독경정례(讀經定例)를 통해 궁궐에서 불교와 무속 등의 의례행위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종년간 왕실후원으로 조성되어 현존하는 묘향산 축성전·해인사 경홍전·송광사 성수전·고운사연수전의 조형요소를 살피 결과, 19 세기말~20 세기 초 불교건축의 조형요소가 잘 드러나 있었나 왕실전용 기도 건물의 조형규범은 없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기로소원당으로 세워진 송광사 성수전과 고운사 연수전은 왕과 국가를 상징하는 요소인 日月과 태극(太極)무늬로 장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묘향산 보현사 축성전이 근기지역 대방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통해 대방의 건축요소가 왕실후원 사찰의 한 형식이 된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e financial supports for Buddhist temples by the royal family have sharply increased. These supports were carried out very frequently during King Gojong`s reign. According to various records of temples nationwide and literature cited from the Buddhist temple history-record, for the nominal local temples around capital area, large-scale supports as near as reconstruction were made by Regent Heungseon Daewongun and King Gojong while Buddhist painting development was supported mainly by the queens and the royal concubines. Beside the temples around capital area, This study examined the royal family`s sponsorships for the temples related to the first king (Yi Seong-gye) of the Joseon Dynasty, large historic temples in Mt. Geumgang, Sago(史庫) temples (that functioned as historical libraries), Joposa(造泡寺) temple(that were usually located by the tombs of king, prince and princess and delivered tofu and commodities for ancestral rites). Among them, the large historic temples in Mt. Geumgang were supported in large-scale for the longest periods of the time. These temples received gongmyeongcheop(空名帖: blank office warrants) as an official support of the royal family and Neatanggeum (內帑金: privy purse of king) as an unofficial support when destroyed by fire so they could be promptly restored to their former state. Other temples were also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when damaged by fire but the amount of supports depended on the importance of each temple. In this regard, a link with royal family wielded strong influence. Meanwhile, through the relation reco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ungjang (monk carpenters) and seonseung (Zen monks) and hwajuseung (monks who preach Buddhism sermons to the public and encourage people to donate). Chimgye-minyeol (枕溪敏悅) was a Zen monk and a competent carpenter at the same time who participated in the Buddhism affairs of royal family more than three times. Therefore, he participated in the affairs of royal family-sponsored temples such as building of Bongeun-sa temple, Cheolwon Seokdaeam temple, Hwagye-sa temple, Gimryong-sa temple and Geonbong-sa temple as a dopyeonsu (都片手, master carpenter) or a dogam(都監, project supervisor). Gyeongun-yiji (景雲以祉) was a venerable monk of Gimlyong-sa temple who mainly worked in Mt. Sabul (四佛山, located in Sanbuk-myeon, Mungyeong-si, Gyeongsangbuk-do), but he is also noted for having written the records of the temples related to the royal houehold in Seoul since 1827.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many Buddhism affairs together with Chimgyeminyeol. Beomun-chuigyeon(梵雲就堅) belonged to Hwagye-sa temple but he appeared to display his ability in the Buddhism affairs carried out on a national scale as a hwajuseung(化主僧) monk. His memorial stones stand in Hwagye-sa temple and Haein-sa temple. Especially, there is a portrait of him enshrined in Haein-sa temple appreciating his remarkable achievement in fund raising including securing the sponsorship by the royal family which was the key part of performing the Buddhism affairs. In this respect, through 『Dokgyeongjeongrye(讀經定例)』,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Buddihism and shamanism rituals in the royal court. Daebang(大房) in the vicinity of capital area and Chukseongjun located by Sangwonam in Bohyun-sa temple indicate that the Buddhism architectures during King Gojong`s reign were very simialr in their plane, space composition, wooden bracket set system and roof shape. Also, it was found that Dae-bang(大房) construction existed not only in the vicinity of capital area but also throughout Mt. Geumgang area.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에 포함된 중복경판 및 보각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과 보존방안

        최영호 ( Choy Young-h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30

        이 글에서는 국보 제32호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포함된 중복·보각경판 실체 와 성격을 정리하고,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을 다시 조정하는 현실적 방안 도 진단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은 1914년 조선총독부의 전수조사에서 81,258판 으로 조사·정리된 이후 연구자의 대부분이 그대로 수용하였다. 그러다가 1999~ 2008년에는 전체 수량이 81,350판으로 조사되었으며, 2013년에는 『內典隨函音□』 2판의 발견으로 81,352판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2012∼2013년 및 2015년에 는 객관적인 분석절차·방법으로 다양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해인사대장경판 에 포함된 중복경판, 사간경판 가운데 해인사대장경판의 포함여부,『내전수함음소』의 성격 등을 조사하여 전체 수량을 새롭게 조정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자료 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개별경판의 중복경판 가운데 후대 보각경판은 118판으로 조사되었다. 후대 보각경판은 우왕 7년 이후∼刊經 都監의 운영 전후를 포함하여 1937년까지 최소 7차례나 조성되었다. 그리고 『大 乘瑜伽金□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 10권은 溪함 126판과 鷄함 121판의 이중경판이라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은 국보 제32호의 현재적 구성범위를 유지하면서 다시 조정할 수 있는 3가지 방안과 함께『내전수 함음소』의 포함여부도 진단하였다. 후대 보각경판의 전체를 제외하는 경우, 일제 강점기에 조성된 보각경판만 제외하는 경우, 보각경판 전체를 포함하는 경우가 3가지 방안이다. 이 가운데 최선의 방안은 다양한 역사·문화적인 성격과 현실적 조건을 고려하여 3번째 경우로 진단하였다. 그러면서 2번째 방안이 채택될 경우 에는 일제강점기에 보각된 36판을 근대문화유산이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별도 로 지정하는 방법도 차선책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내전수함음소』 2판도 『大乘 理趣六波羅蜜多經』 10권의 보완적 텍스트로 편재되어 조성되었으므로 해인사 대장경판의 전체 수량과 국가기록유산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근거도 확인되었 다. 따라서 현실적 조건에서는 전체 수량을 81,352판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최선 책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totalize the substance & character of a duplicate-woodblock & re-engraved-woodblock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and diagnosticate the practical ways that can adjust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again.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have been investigated by 81,258 woodblocks in the 1914. thereafter, the total-number have been investigated by 81,350 Blocks in the 1999~2008 year, and have been increased by 81,352 woodblocks in the 2013 year. because 2 woodblocks of the Najeonsuhameumso-Sutra(.밫寧뵟돶.) have been discovered in the 2013 year. therefore, we have conducted an objective investigation that can newly adjust the total-number in the 201 2~2013 & 2015 year.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a re-engravedwoodblocks of 118 woodblock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a duplicate-woodblock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can be newly adjusted in three ways. among three ways, the best way is intended for 81,352 woodblocks that included in the re-engravedwoodblocks & the duplicate-woodblocks. because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re-engraved-woodblocks & the duplicate-woodblocks can be reflected, and present conservation-form of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高麗國大藏都監의 조직체계와 역할

        최영호 한국중세사학회 2011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1

        This case study aimed at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a role of the Goryeo-Dynasty’s Daejangdogam(高麗國大藏都監) there was totally operating for the sculpturing-work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Goryeo Tripitaka(高麗大臧經). The Daejangdogam has persisted until 1236~1392 years. During this period, the Daejangdogam was operating a several workshop, was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roles. in particular, a sculpturing-work of the Daejangdogam has been operating for the Middle-Workshop(中房) & the East-Workshop(東房) & the West-Workshop(西房). the Haein- Temple(海印寺) & Hageo-Temple(下鉅寺·下鋸寺) were also incorporated into a sculpturing-work of the Daejangdogam. and a sculptor’s system of the Daejangdogam was operating by a cooperation of a Buddhist- 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 role of the Daejangdogam was totally operating for an administrative tasks and fieldwork of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s sculpturing-work. Moreover, the Daejangdogam was also responsible role in a staffing of the field-worker, a correction and refreshing work and complementary work of the wrong woodblock, a transport of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 to the Haein-Temple in the Ganghwa-Island(江華島). On one hand, this paper has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 had already translated to the Haein-Temple before 1360~1381 years. This case study aimed at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a role of the Goryeo-Dynasty’s Daejangdogam(高麗國大藏都監) there was totally operating for the sculpturing-work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Goryeo Tripitaka(高麗大臧經). The Daejangdogam has persisted until 1236~1392 years. During this period, the Daejangdogam was operating a several workshop, was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roles. in particular, a sculpturing-work of the Daejangdogam has been operating for the Middle-Workshop(中房) & the East-Workshop(東房) & the West-Workshop(西房). the Haein- Temple(海印寺) & Hageo-Temple(下鉅寺·下鋸寺) were also incorporated into a sculpturing-work of the Daejangdogam. and a sculptor’s system of the Daejangdogam was operating by a cooperation of a Buddhist- 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 role of the Daejangdogam was totally operating for an administrative tasks and fieldwork of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s sculpturing-work. Moreover, the Daejangdogam was also responsible role in a staffing of the field-worker, a correction and refreshing work and complementary work of the wrong woodblock, a transport of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 to the Haein-Temple in the Ganghwa-Island(江華島). On one hand, this paper has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the Ganghwa Woodblock-Goryeo Tripitaka had already translated to the Haein-Temple before 1360~1381 years.

      • KCI등재

        14세기 전기 최성지(崔誠之)·문도(文度) 부자의 불교경영

        최영호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70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how the Choi(崔) family undertook their Buddhist woodblock printing business in the early 14th century from a new perspective. Particularly,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s Choi Sung-Ji and his son Choi Moon-Do’s printing business and their style of administering temples under their influence. Also, it will carefully look into their unique operating system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printing in the early 14th century. At first, Choi Moon-Do start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printing work from the 6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year of 1337(忠肅王 復位 3年). A total of 600 mass volumes of Maha prajnaparamita Sutra(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大般若波羅蜜多經) was stored at the Chen- huasun-Temple(天和禪寺) that represents Choi family’s “Wishing Hall(願堂).” Choi Moon-Do started this Buddhist woodblock printing project in a bid to devote to his deceased parents. Moreover, Choi Sung-Ji governed both the Chenhuasun-Temple and the Sunwon-Temple as their family’s Wishing Halls. These Wishing Halls were founded especially for Choi Sung-Ji family’s and his personal well-being. Chenhuasun-Temple was also a place where cultural exchange of Buddhism with the Chinese Won(元) dynasty carried out. Lastly, Choi Sung-Ji and his wife obtained the approval to initiate this Buddhist scripture printing campaign from the Goryeo emperor Chungsuk(忠肅王) and the Daejangdogam(高麗國大藏都監) which functioned as a task-force engraving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during the Mongol’s invasion to Goryeo. This presswork financially supported by Choi Moon-Do was possible due to the well-conserved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preserved at the Ganghwado Island(江華島)’s archive treasury which was stationed near the capital. 이 글에서는 14세기 전기 최성지·문도 부자의 불교경영을 새롭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14세기 전기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운영체계도 분석하였다. 음양술·천문학·수시력 및 성리학과 각각 관련된 지식인으로 인식된 최성지·문도의 불교적인 행적과 활동은 졸고천백 과 함께 충숙왕 복위 3·7년 인출된 해인사대장경판 대반야바라밀다경 의 인출정보에 남아 있다. 인출불사는 최성지가 충숙왕 14년 음력 7월 이전부터 발원하였으며, 최문도가 충숙왕 복위 3년 음력 6월 경부터 이루어졌다. 최성지 부부는 당시 해인사대장경판의 보존·관리업무를 총괄하던 고려국대장도감이나 충숙왕으로부터 인출불사의 승인을 받았다. 최문도는 당시 강화도의 대장경판당에 보존된 해인사대장경판의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을 인출한 다음, 집안의 원당 천화선사에 봉안하였다. 최문도의 인출정보에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공경하는 효 의식과 함께 불교적인 존엄성도 반영되어 있었으며, 삼보 및 부처의 은혜 등 불교적인 신앙도 담겨 있다. 때문에 주자성리학의 소양을 실천한 최문도는 불교적인 효의 실천과 함께 불교 신앙도 탄력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최성지는 개경 인근의 천화선사와 함께 강화도의 선원사도 집안의 원당으로 경영하였다. 두 사원은 왕실의 원당으로 기능한 선종의 조계종 계열이었다. 최성지는 부모·가족의 명복기원과 자신의 안녕을 목적으로 이들 사원을 원당으로 경영하였다. 최성지의 원당 경영목적은 최문도가 계승한 대반야바라밀다경 의 인출불사에도 이어졌다. 최문도는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명분을 돌아가신 부모님의 뜻을 계승하는 동시에, 부모의 명복 기원으로 삼았다. 이러한 명분은 성리학자 최문도가 실천한 효의 덕목과도 직결되며, 목은 이색이 주도하여 우왕 8년 신륵사의 대장판전으로 봉안한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불사의 논리적인 근거와도 부합하였다. 천화선사는 원나라의 승려 지공이 하안거에 참석하고 밀교계통의 불교경전을 교정하는 등 원나라와 불교문화의 교류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