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교육서’로서의 『격몽요결』의 성격과 의의

        장정호(Chang, Jung Ho) 교육사학회 2018 교육사학연구 Vol.28 No.2

        본 논문에서는 아동교육서로서 『격몽요결』이 지닌 성격을 규명하고 그 의의와 가치를 재음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격몽요결』은 어린 아동들에게 유학적 삶과 학문의 방향을 지시하고 준비시키기 위한 기본교육서이다. 입지장과 독서장에서도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율곡 이이는 『격몽요결』을 통해 굳건하고 견실한 몸과 마음의 준비 태세를 갖추는 데에 아동교육의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어, 본 논문에서는 『격몽요결』과 「소아수지」와 「학교모범」, 『성학집요』등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그 아동교육서로서의 성격과 의의를 전면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선「소아수지」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는 『격몽요결』의 기본 취지를 행동 강령의 차원에서 구체화한 것이다. 또한, 『격몽요결』과 「학교모범」, 『격몽요결』과 『성학집요』의 관계는 각각 학교 중심의 제도교육과 성인교육으로 확대 · 심화되어 가는 아동교육의 연계 교육적 성격을 잘 보여준다. 결국, 『격몽요결』은 어린 시절의 교육은 몸과 마음의 태세를 준비시킨다는 의미에서 기본에 충실한 것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교육의 출발선상에 해당하는 아동교육은 그 자체로 일시적이거나 단절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유학의 학문적 구조 속에서 그 원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본질적 성격의 교육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appreciate its significance and value. According to this study, Gyeokmongyogyeol is a basic educational book for instructing and preparing children Confucian life and scholarship. As shown by determination〔立志〕and reading〔讀書〕, Yulg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firm and solid basic attitude through Gyeokmongyogyeol. Then, this study considered Gyeokmongyogyeol in relation to Soasuji(小兒須知), Hakkyomobeom (學校模範) and Seonghakjipyo(聖學輯要). First, Soasuji embodies the basic purpose of Gyeokmongyogyeol, which emphasizes practice in daily life, in terms of the code of conduct.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Gyeokmongyogyeol and Hakkyomobeom indicates that child education is extended to school-based institutional education.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Gyeokmongyogyeol and Seonghakjipyo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child education is deepened by adult education. Based on Gyeokmongyogyeol, child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education is not itself temporary or disconnected. It is to cultivate the fundamental competence of the body and mind to support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 -격몽요결(擊蒙要訣)』의 「혁구습(革舊習)」장(章),「지신(持身)」장(章)을 중심으로-

        최재목 ( Jae Mok Cho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栗谷 李珥(1537-1584)(이하 율곡 혹은 이율곡)의 『擊蒙要訣』가운데 특히제2 『革舊習』章과 제3 「持身」章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에서 천명하려는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지성사적 안목에서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양의 擊蒙, 啓蒙, 訓蒙, 正蒙은 어둠에서 빛으로의 기획이었다. 전통적으로 아동용 텍스트들-즉 『童蒙先習』, 『啓蒙篇』, 『訓蒙字會』, 『正蒙類語』등에서 보듯이 - 가운데 ``蒙`` 자가 들어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다시 말해서 아동의 내면에 잠들어 있는 ``빛의 문양, 빛살무늬``를 일깨워내려는 기법을 내세우는 의도를 살펴볼수 있다. 특히 『擊蒙要訣』의 「革舊習」장과「持身」장에서는 유교가 가진 ``어둠``에서 ``빛``으로의기획이 잘 드러나 있다. 문자-지식-문명을 빛으로 상정하고, 그러한 가능성(=明德)이 인간 내면에 잠재해 있음을 전제한 다음, 빛의 저편에 있는 어둠(결국은 인간 혹은 인간의 내면이 대상이 되지만)을 빛의 세계로 편입시키려는(=明明德) 의도를 갖는다. 그것을 ``인간다움``의 완성으로 보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획이 꼭 유교에서 전매특허를 낸 것이 아님을 우리는 동서양 문화속의 여러 예들을 통해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유교에서는 문명화라는 전략 속에서, 童蒙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어린이를 어리석음으로 보고(童+蒙) 어린이=어리석음을 ``치고 때려``(=擊蒙), ``열어서``(=啓蒙), ``가르치고``(=訓蒙), ``바로잡는``(=正蒙) 작업을 추진한다. 아동들은 교육의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서, ``암흑(혹은 흑암)``의 존재가 된 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먼저 ``격몽`` 이해의 근거로서 ``어린아이``란 무엇인가를 다루고, 이어서이율곡 『擊蒙要訣』속의 「革舊習」章과 「持身」章이 가지고 있는 ``心身`` 건축의 설계도를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빛`` 회복하기로서 주자학적 공부론을, 마지막으로 인간다움을향한 ``擊蒙``을 동양식 ``빛``의 기획 혹은 건축술로서 조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革舊習』章과 「持身」章의 내용은, 이율곡이 『擊蒙要訣』의「서」에서 밝혔듯이,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것`` ``인간 살아가는 여러 복잡한 관계들(오륜)의 마땅함을 터득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것`` 즉 (=五倫)의 매뉴얼을 신체화하는 것임을 논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천지의 빛 속에서 인간도 하나의 빛이 되어 스스로의 빛을 밝히며 살아가는일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philosophical meaning a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ith the discerning eye of mentality history, particularly centered with the two chapters, Hyukguseup(innovating the past habits) and Jisin(embodied in the body), among Yulgok Yi I``s Gyeokmongyogyeol(the point of hitting the stupidity), which tried to clarify itself. Eastern gyeokmong, gyemong, hunmong, jeongmong, which are generally used, were the planning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Traditionally, as seen in children``s texts - e.g. Dongmongseonseub, Gyemongpyeon, Hunmongjahwe, Jeongmongryueo, etc. - the reason why ``mong`` enters in the middle is the same reason. In other words, the technique to awaken ``pattern of light, rays of light`` which is sleeping within the child and the intention of training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of Gyeokmongyogyeol, the design of ``from the darkness`` ``to the light``, which Confucianism had, appeared. It has the intention to include(myeongmyeongdeok) the darkness beyond the light(eventually the human or human inside becomes the target) into the light world, after presuming letter-knowledgecivilization as the light, and premising that possibility(=myeongdeok, enlightening the bright virtue) is hidden in human inner side, into the light. That is to see the completion of ``humanity``. Of course, we can prove that this planning is not necessarily patented only in Confucianism through various examples of eastern western culture. However, in Confucianism, in the strategy of civilization, as we can see in the word,dongmong(dong/children+mong/stupidity), they promoted the task to ``beat and hit``(gyeokmong) children=stupidity, ``evoke`` it(gyemong), ``teach`` it(hunmong), and ``correct`` it(jeongmong) by seeing children as stupidity(dongmong). Children became the beings of ``darkness(or heugam)``, as the target of education, not the main agent. First, this discussion treated what is ``children`` as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gyeokmong, next, investigated the blueprint of ``mind and body`` architecture which Yi Yulgok``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in Gyeokmongyogyeol. Then, it investigated non- Confucian method of study as the recovery of ``light``, lastly, explored gyeokmong towards humanity as the oriental planning or architecture of ``light``. As the result, as the two chapters, Hyukguseup and Jisin, determined in the Introduction(Seo) of Gyeokmongyogyeol, this research discussed the point to learn and practice ``to be a man of decent character``, ``propriety of various complex relationships(Oryun, the five kinds of virtues) in human life``, that is, to embody the manual of (Oryun). That is, human being becomes a light in the light of the world and lives by emitting one``s own light.

      • KCI등재

        율곡의 禮學思想에 대한 문화적 의미 연구

        김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6 No.-

        본 논문은 새로운 사회를 향한 율곡의 개혁의지가 투영되어 있는 『擊蒙要訣』을 중심으로 율곡의 禮學思想에서 부각되고 있는 인간 행위의 동기성과 실천성에 대한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儀禮의 일상화 논리 속에 전제되어 있는 자발적인 행위의 동기 성에 대한 의미를 율곡의 철학체계 속에서 분석하는 것인 동시에 인간 의 행위의식에 관계하는 禮의 심리적 기제를 문화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과정이 된다. 율곡은 理氣의 절충적 세계관을 토대로 인간 행위의식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擊蒙要訣』을 통해 제시한다. 그리고 『擊蒙要訣』에서 율곡이 강조하는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위한 儀禮의 일상화는 인간의 기질 변 화를 통한 새로운 생활문화의 형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 은 율곡의 禮學思想은 군주 중심의 敎學的질서체계와 다른 차이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 율곡의 禮學思想을 대변하는 『擊蒙要訣』에서 강조되 는 것은 儀禮의 일상적 실천을 위한 행위의 동기성과 時宜에 기초한 務 實의 능동성이다. 또한 율곡에게 있어 儀禮는 일상의 생활문화 속에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성인이 되기 위한 修身의 과정이다. 그러므로 율곡의 禮學思想에 대한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율곡 의 철학체계에 기초한 禮學思想을 새로운 사회에 대한 이념성과 연계하 여 살펴보는 과정이 된다. This paper seek out to understand Yulgok’s ideas through his books; the Study of Rites deals with not only meaning of practicability and motivation of human beings but also his will for reformation towards building up an ideal society. Such ideas with his will of reformation are reflected on Gyeokmongyogyeol. Centered on the latter book,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 psychological mechanism of Ye in terms of a cultural perspective. In the latter work, Gyeokmongyogyeol, Yulgok tries to routinize the rites in a cultural aspect in order to develop the new society through changing human beings’ disposition. However, it is different with the idea that emphasizes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and scholarly order to inherit sages’ Ye. In Gyeokmongyogyeol, motives of action for the routinized practice as well as active practicability for being true are underlined. Further, the book is in collusion with an ideology of the Communication Society to the extent that practicability of the rites is a sort of process where human beings try becoming a sage voluntarily in the everyday life cultur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Ye’s practical motivation and willful action emphasized in Gyeokmongyogyeol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nfluent over huma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s a process of considering Yulgok’s the Studies of Rites from the cultural psychology.

      • KCI등재후보

        은병정사 연구:학문과 학풍

        박균섭 (사)율곡학회 2009 율곡학연구 Vol.19 No.-

        In 1577 Yulgok Yi Yi(1536~1584) completed one of his most famous and important work, Gyeokmongyogyeol. And the next year in 1578, Yulgok built the academy, Eunbyeongjeongsa at Haeju, Hwanghaedo. Eunbyeongjeongsa was the place where he taught his followers. It was consisted of lecture halls and shrine space. The academy reflected the attitude, qualities and scholarship of the followers who have been studying there. The master pursued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and learning, specified it like as the pleasure of learning, self-realization and perfection of character. And he hoped his followers to voluntarily focus on body and spirit discipline. In the preface of Gyeokmongyogyeol, Yulgok stress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o be acquired in everyday life and actions. Learning was just appropriate conduc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important ideas and precepts such as the five moral rules in human relationships. In addition, Yulgok developed the neo-Confucianist concept of integration of sincerity and single-mindedness. In this point, Yulgok's notion that original nature(yi) rides physical nature(gi) was not critical problem in the field of schooling. Eunbyeongjeongsa received a name of royal charter, the Sohyunseowon, which was given a hanging board by King Gwanghae in 1610. 율곡 이이(1536~1584)는 1576년에 황해도 해주에 내려가 머물면서『격몽요결』의 편찬(1577)과 은병정사의 설립(1578)을 통해 문도교육의 이상을 구체적으로 실천하였다. 은병정사는 강학공간과 제향공간으로 구성되었는바, 이는 선진유학적・신유학적 정신과 가치의 구현이라는 교육구상에 입각한 것이었다. 율곡은 학문과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강조하였으며, 이는 학문의 즐거움, 자아실현, 인격 완성과 같은 교육 본연의 문제를 추구, 지향하는 일이기도 했다. 율곡은 문도교육의 이상을 삶의 일상과 학문의 본연에 충실한 몸과 마음의 공부를 실천적으로 전개하는 일에 두었다. 이는 『격몽요결』의 궤적과 은병정사의 행적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학문은 오륜과 같은 인간관계에 대한 관념과 교훈을 깊이 이해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지는 마땅한 행위일 뿐, 그것이 높고 멀리 있는 다가가기 힘든 그 무엇이 아님을 명백히 하였다. 율곡사상을 구성하는 성과 경의 원리 역시 신유학의 철학적 개념에 대한 발전적 계승의 성격을 갖는다. 이 지점에서 기발이승일도설과 같은 율곡의 이기철학은 은병정사의 학문과 학풍을 규정하는 결정적 기반으로 작용하거나 정합적 성격을 갖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은병정사는 1610년에 소현서원이라는 사액을 받고 조선후기 서원교육의 대열에 합류하였다.

      • KCI등재

        율곡 독서론의 전개와 특징 - 「성학집요」, 「격몽요결」을 대상으로-

        김원준 ( Won Jun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본 논문은 율곡 독서론이 집약된 『성학집요』과 『격몽요결』을 대상으로 율곡 독서론의 특징 전반을 적출했다. 양서가 독서론의 편폭에는 차이를 보이지만 독서론의 핵심 항목인 독서의 목적, 자세, 방법, 순서, 병폐는 동일하게 다루고 있다. 독서 목적은 궁리를 통한 本然之性의 회복과 正道실천에 있다. 결국 上達과 下學이 독서 목적인 셈이다. 독서 자세에 있어 핵심은 敬에 있다. 경을 통한 독서가 되어야 하므로 독서 자세는 居敬을 위한 내면 자세와 거경에 이르기 위한 실천적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독서 방법은 독서를 위한 실질적 방법론이다. 주자의 독서 방법을 3단계로 나누어 독서 방법 일반론을 제시한 후, 誠을 통한 실천적 독서 방법을 강조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Yulgok(栗谷)``s reading theory through Seonghakjipyo(聖學輯要) an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n which his reading theory was intensively integrated.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ctions allocated to the reading theory between the two books, they addressed the core items of reading theory including the goals, attitudes, methods, orders, and ills of reading the same way. The goals of reading are the recovery of Bonyeonjiseong(本然之性) through deliberation and the practice of Jeongdo(正道). In the end, Sangdal(上達) and Hahak(下學) are the purposes of reading. The essence of reading attitudes is Gyeong(敬). Since reading should be through Gyeong, the reading attitudes put an emphasis on the internal attitude for Gyeong and the practical attitude to reach Geogyeong(居敬). The reading methods present actual methodologies for reading. After dividing Zhu Xi)``s reading methods in three stages and presenting a general theory on reading methods, he stressed practical reading methods through Seong(誠).

      • 제 2 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율곡의 효사상과 인성교육론(5) -부모 모심(事親)을 중심으로-

        김익수 ( Iksoo Kim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4 No.-

        우리의 고유사상을 수용한 공자의 유학(儒學)을 원천적으로 계승하고 주자의 성리학을 계승한 율곡(1536~1584)은 한국의 교육사상형성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크다. 율곡이야말로 특유의 교육사상가로 전민(全民)교육사상가라고 할수 있는데 세계적으로도 손꼽을 만하다. 그런데 율곡은 조선조 중기시대를 살아가면서 교육이 붕괴되고 국정전반이 총체적으로 위기가 도래(到來)함을 감지하고 국정개혁을 조정에 건의하기도 하였다. 그 중에서도 교육개혁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미래사회를 짊어질청소년교육에 크게 중점을 두고 시대의 소명(召命)을 알고 크게 각성을 촉구하였다. 그러한 의도로 지어진 교육서가 바로 『격몽요결(擊蒙要訣)』이다. 이 책은 분명히 인성교육을 본질로 하여 구성되었다. 세월이 많이 흐른 오늘날에도 이 책은 너무나 절실하고 시대적 소명(召命)과 일치된 내용으로 충만 되어 있어서 청소년 교육서로 손꼽혀서 널리 익히는 책이다. 본연구의 목적은 현대에도 아주 절대적인 인성교육서라고 할 수 있는 『격몽요결』의 순차(順次)에 따라 어버이 섬기는 도리(事親)에 대하여 현대 교육관으로 논구하여 오늘날의 교육계에서 방황하고 있고 빈곤한 인성교육의 철학과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관정립에 기여하려고 한다. 그 주요가치와 핵심덕목으로는 부모은혜, 순종(順從), 시봉(侍奉), 봉양(奉養),공경(恭敬), 존중(尊重), 신언(愼言), 지성(至誠) 등이다. 본 연구에서 또 하나의 의도가 있다면 인간의 따뜻한 마음과 인정(人情)과 이기주의(利己主義)를 이겨낼 이타주의(利他主義)를 강조하려고 한다. Yulgok(1536~1584) who fundamentally inherited Confucianism that developed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Chu Hsi’s Neo-Confucianism, had a grea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hought of education. He was an unique thinker of education. He emphasized the general education that makes him one of the world best education thinkers. At the time of Yulgok, the high-Joseon experienced the clash of education and total crisis in political system. That is why he recommended the political reform in the government. Among many reform measures, he focused on the educational reform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youths because they were the future of the nation. This is why Yulgok tried to enlighten the people that the education of youths were the mission of the time. For this reason, he published Gyeokmongyogyeol. This book consists of th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This book deals with the missions of education of the time that even desperately needed today.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ways of the filial piet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Gyeokmongyogyeol and to apply to the contemporary education. Doing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set up the thought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value of humanity for the contemporary education that experiences the confusion and suffering from the lack of true value. The main values and moral values are grace of parents, obey, serving for parents, living with parents, feeding parents, respect the parents, sincerity, and so on. Among them, this study emphasizes the values of the warmness of human mind and altruism that would overcome the selfishness.

      • KCI등재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편찬과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

        이민경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2 No.-

        Yulgok(栗谷) Yiyi(李珥)'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text that has been studied a lot so far, but it has mostly focused on pedagogical approaches, and wide discussions about the text and the periodic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have not been made. accordingly we believe that fundamental reconsideration is necessary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until now,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been treated as an elementary school material with the existing children's textbooks(童蒙書) or recognized as an elementary textbook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Sohak(小學)』.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a very strong character of a children's practice manual for entering into a Neo-Confucian ideology as well as its own format and orientation. Second, the overall structure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to go to the problem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not the stage of chi-guk(治國) from su-sin(修身)-je-ga(齊家). A And the contents are closely related to su-sin(修身), je-ga(齊家), edification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and loc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new approach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Thir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times in whic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place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practical text that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horizon of the late 16th century, where the Joseon‘s Neo-confucianism was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ical horizon from the late Myeongjong(明宗) where Yulgok(栗谷) lived to the beginning of Seonjo(宣祖), his personal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academic sympathy with some of his fellow students in three dimensions.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by paying deeper attention to this reflective point, and on the basis of it, we will try to grasp neo-confucianism intention and practice pattern that Yulgok(栗谷) intended to include in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has been recognized only as a simple elementary school material, was a practical product of a Neo-Confucian scholars(儒敎知識人) who sought to realize neo-confucianism ideal society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was part of a grand plan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of Joseon Dynasty Zhuxi’s Studies(朝鮮朱子學).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텍스트이지만, 대부분 교육학적 접근에 집중되어 텍스트와 텍스트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다음 몇 가지의 측면에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지금까지 『격몽요결』은 기존의 동몽서들과 나란히 초학교재로 다루어지거나, 『소학』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한 초보적 교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격몽요결』은 성리학적 이념으로 들어가기 위한 아동용 실천 매뉴얼의 성격이 매우 강하며, 독자적인 체재와 지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격몽요결』의 전체적인 구조는 수신-제가에서 치국의 단계가 아니라 향촌사회의 문제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수신, 제가, 향촌사회 교화, 그리고 지역교육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다. 때문에 이들과의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격몽요결』이 놓인 시대적 맥락에 주목해야한다. 『격몽요결』은 이른바 조선성리학이 정립되었다고 평가되는 16세기 후반의 역사적 지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실천적 텍스트이다. 때문에 율곡이 살았던 명종 후반으로부터 선조 초반에 이르는 역사적 지평과 그가 처한 개인적 상황, 그리고 뜻을 같이 하던 몇몇 同學과의 학문적 공감이라는 시대적 맥락에 유념하여 입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반성적 지점에 깊이 유념하여 『격몽요결』의 편찬과정과 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율곡이 『격몽요결』에 담아내고자 했던 성리학적 지향과 그 실천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단순한 초학교재로만 인식되어 왔던 『격몽요결』이 16세기 후반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했던 한 유교지식인의 실천적 산물이자 조선주자학의 학문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원대한 기획의 일부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擊蒙要訣」 초간본과 현전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임영란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4 No.-

        This study examines GyeokmongYogyeol, presumed to be the first printed book, and looks into the 27 types of woodblock-printed editions of Gyeokmong Yogyeol extant in Korea in the following order of historical research: compilation background and composition; publication and circulation; the system of editions; and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extant edition. GyeokmongYogyeol comprises of the writer's introduction, 10 chapters of text and the 2 volumes of the appendix “Jae-ui-cho” written in December 1577 in the 10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trend after the first publication in the 10th year of Seonjo(1577) is rough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publication and time of dissemination of the government edition 관판; the time the village/town edition 방판 and the reprint copy appeared; and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commercial print copy and circulation. The systems of editions are categorized as the block book, the metal print book, and others. The books which were restored once their time of publication was estimated are the Samcheokbu Lee Seong Ghee(李聖基) edition from the 9th year of Hyojong (1658), the Ghee Yong Sooboh edition from the 3rd year of Yeongjo (1727), the Young Yanghyeon revised and published edition from the 25th year of Gojong (1888), the Song Byeongseon edition of 1901, the newly published Yong Hadong edition of the 6th year of Gwangmu (1902), and the newly published Sangseo Yongam edition of 1917 among others. The existing editions of GyeokmongYogyeol have been systemized by time period and pieced together. The printing type began with fifteen-character nine-line editions, then was circulated as eighteen-character nine-line editions after the Hwanghae Gamyeong edition(1629), diversified after the publication of Yulgokseonsaengjeonseo with such types as the twenty-character eleven-line edition which would reduce production cost and the twenty-character ten-line edition which was printed by jaejujeonglija, and was followed by the publication of the Shinyeon printed edition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ending of the word was heug-eomi for the early version and changed into flower-pattered word endings with the shape of 2-3 leaves as with the passing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block books aside from printed book, 2-leaved flower-pattered word ending became the mainstream. 본 연구는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擊蒙要訣」을 발굴하고, 국내에 현전하고 있는 「擊蒙要訣」의 판본 27종을 조사하여 편찬배경과 구성, 간행과 유통, 판본의 계통, 현전본의 간행시기 고증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擊蒙要訣」은 선조 10년(1577) 12월에 쓴 저자의 서문과 본문 10章과 부록 <祭儀抄>의 2卷으로 되어 있다. 선조 10년(1577)에 초간 된 이후의 간행과 유통의 경향은 대략 官版의 간행 및 보급시기, 坊刻 및 飜刻本의 출현시기, 근대적 상업출판본의 출현과 유통의 세 가지 단계로 나뉜다. 판본계통은 목판본, 금속활자본, 기타로 구분된다. 간행시기를 추정하여 복원한 것은 효종 9년(1658) 三陟府 李聖基 간행본, 영조 3년(1727) 箕營 修補本, 고종 25년(1888) 英陽縣 開刊本, 1901년 宋秉璿 간행본, 광무 6년(1902) 用夏洞 新刊本, 1917년 商西 龍巖 新刊本 등이다. 「擊蒙要訣」의 현전본들을 시기별로 체계화하여 종합하였다. 이들 판본에 나타나는 판식의 흐름은 초기의 9행 15자본에서 黃海監營本(1629) 이후 9행 18자본이 유통되기 시작하고, 「栗谷先生全書」 간행 이후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11행 20자본과 재주정리자로 찍은 10행 20자본 등으로 판식이 다양해지고 개화기 이후 신연활자본의 간행으로 이어진다. 版心의 魚尾의 모양은 초기본은 黑魚尾이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2-3葉의 花紋魚尾로 바뀌고 활자본 이외의 목판본에서는 2葉花紋魚尾가 주류를 이룬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격몽요결』의 가정학, 건강한 가정을 만들기 위한 원칙과 방법

        이창일 ( Chang Il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격몽요결』의 후반부는 가정생활과 대인관계 및 처세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어 있다.이러한 논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정(家政)의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다.가정(家政)은 가정생활을 건강한 수준으로 관리하고 경영하는 원칙과 방법에 대한 논의이다. 이를 가정학(家政學)이라고 할 수 있다. 가정의 궁극적 목적은 건강성을 성취하는 것이다. 건강한 가정을 성취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원칙이 분명하고, 실현 방법이 효율적이어야 한다. 현대의 연구를 발판으로 삼아,『격몽요결』에서 제시하는 가정학의 분야를 갈래지어 보고, 건강한 가정을 성취할 수 있는 요인들을 비교해 보았다. 시대와 가치관의 상이함으로 비교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가정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지속성을 띠고 있는 사회의 기본 단위라는 성격이 있고, 건강성 역시 보편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비교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격몽요결』에서 가정학의 분야는 가정의 내외를 기준으로 하여, 경영의 원칙과 방법이 제시되어 있었다. 가정(家政)의 안에는 ① 「가정의 원칙과 가정 경제에 대하여」, ② 「관례와 혼례에 대하여」, ③ 「형제의 우애와 효성에 대하여」, ④ 「부부에 대하여」, ⑤ 「자식에 대하여」, ⑥ 「하인들에 대하여」, ⑦ 「의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등이 있고, 가정(家政)의 밖에는 ① 「대인관계의 원칙과 예절에 대하여」, ② 「사교에 대하여」, ③ 「깊은 만남에대하여」, ④ 「평판에 대하여」 등이 있으며, 여기에 ``처세론``이 포함되어 있었다. 『격몽요결』에서 제시되는 건강한 가정의 요인들은 유학을 전통문화의 근간으로 가진우리사회가 가정의 건강성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re are the discussions on the family life,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worldly wisdom in the latter part of GyeokmongYogyeol(written by Lee Yulgok).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n art of managing a household, for grasping these discussions. An art of managing a household is the arguments on the principle and the way which manage and control the family life to a healthy level. It may be called home economics. The final goal of family is to achieve its healthiness. The achievement and the maintenance of the healthy family call for the clarity of principle and the practical method on the managing a household. Based on the latest researches, we classify the realms of home economics in the GyeokmongYogyeol, and then make a comparison with the factors of healthy family achievement. Perhaps that comparison is difficult for the reason of the differences of time and values, but there may be a significant comparison because the family is the relatively eternal unit against the changing times in human society and the healthiness also is the universal idea. The realms of home economics in the GyeokmongYogyeol are presented the principle and method of managements, according to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family. The interior of family consists of 7 realms namely ① on the principle and economy of family, ② on the rituals, ③ on the brotherliness and filial piety, ④ on the husband and wife, ⑤ on the children, ⑥ on the servant, ⑦ on the properties. The exterior of family consists of 4 realms, that is, ① on the principle and etiquett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②on the social intercourses, ③ on the deep friendship, ④ on the reputations, and adding the worldly wisdom. The factors of healthy family presented in the GyeokmongYogyeol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our society regarding Confucianism as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o far reviewed, the factors of healthy family achievements have a univers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ccepted as evidence which home economics in the GyeokmongYogyeol haspractical effects.

      • KCI등재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인성교육론

        김미라(Kim, Mi-Ra),이미림(Lee, Mi-Lim)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2

        최근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인성’에 관한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만연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병리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실상 과거의 우리 교육은 가시적인 성과 위주와 지식 위주의 몰입교육으로서그 한계점이 있었다. 즉 참다운 인간을 기르기 위한 교육과정은 아니다. 따라서 그 대안을 우리 전통교육에서 찾아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특히 율곡의 격몽요결은 오늘날 우리 교육에 적용 가능한 인성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격몽요결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입지(立志)’는 인간의 삶을 지속하기 위한 본질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즉 뜻을 세우기 위해서는 동기 부여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이야 말로 실패와 좌절을 마주했을 때 탄력적으로 회복가 능한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요소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의 교육문제에서도 가장 핵심가치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있어 동기부여 과정은 필수이다. 이렇듯 격몽요결에서 율곡은 초학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로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뜻을 세우고, 그 일에 최선을 다하며 스스로를 반성하는 성찰의 과정이라고 역설한다. 따라서 오늘날 인성교육의 핵심가치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할 때 격몽요결에 나타난 전통 교육원리는 인성교육의 토대 마련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tter of ‘character’ that recently has become a social discussion topic is being pointed out as the reason for different social ills prevalent in the Korean society. Actually, education in Korea in the past has its limits as immersion education centered on tangible outcome and knowledge. That is, it is not the curriculum to raise true humans. Therefore,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o find alternatives in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nd analyze them. In particular, Yulgok s <Gyeokmongyogyeol> includ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oday s education in Korea. For example, Ipji(立志)’, what is most emphasized in <Gyeokmongyogyeol>, can be an essential educational method to maintain human life.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t an aim in life,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necessary, and this is the very factor that can be the driving force to recover flexibly from failure and frustration. It will be able to play its role as a key value for today s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For the children who don t know the reason to study, the process of motivation is a must. In this way, in <Gyeokmongyogyeol>, Yulgok stressed that as for the attitude for a novice scholar to have, one should set an aim at what one is going to do, do one s best at the work, and reflect oneself as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Therefore, when the core values and methods of today s character education are to be establishe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principles in <Gyeokmongyogyeol> will be able to be an alternative to set the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