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학 연구에서 근거이론적 방법의 발전적 활용을 위한 비판적 성찰 : Strauss와 Corbin의 코딩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변기용 ( Byun Kiyong ),김한솔 ( Kim Hansol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현장 기반 실체이론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적 방법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떻게 활용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근거이론 논문에서 패러다임 모형이 활용되고 있는 실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해외에서 출간된 논문들과 비교해 보았다. 패러다임 모형의 각 요소에 개방 코딩한 결과를 기계적으로 배분하고 이에 따라 스토리를 제시하는 국내 논문들과는 달리, 해외 논문들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단순히 구속되지 않고 연구자가 발견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자들은 교육학 분야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발전적 활용을 위해서는 (1)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 소규모 연구에서 패러다임 모형의 6개 요소를 다 설명해야 하는 강박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2) 교육학 연구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서 제시된 ‘맥락’의 의미를 근거이론이 태동한 간호학 분야와는 다른 방식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3)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을 납득할 만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것보다는, 명확하지 않은 경우 굳이 각각의 조건으로 구분하려는 강박 관념을 버리는 것이 낫다; (4) 어느 정도 완결된 근거이론, 즉 이론적 통합에까지 이르는 ‘근거이론’은 개인이 수행하는 소규모 단일 연구에서 도출하기는 어렵다 라는 네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roper directions on how the paradigm model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should be applied in the perspective of grounded theory approach which emphasizes substantive theory generating based on the ground. To do this, we critically reflected on the actual conditions where the paradigm model is being used, exploring grounded theory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compared what we found with those published overseas. Unlike domestic papers that mechanically distributed open-oded results to each element of the paradigm model and presented the story accordingly, overseas papers tended to present research results based on what researchers had found rather than simply being bound to the paradigm model. On that basi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following four things should be kept in mind for progressive utilization of the paradigm model in educational studies. (1) It should be free from the obsession of explaining all 6 elements of the paradigm model in a small scale study of a particular phenomenon; (2) In education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context’ presented in the paradigm model differently from the field of nursing in which the grounded theory was born; (3) It is better not to be obsessed with distinguish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from one another when convincing reasons are not given. (4) The ‘grounded theory’ related to theoretical integration is difficult to be derived from a single small scale study conducted by individuals.

      • KCI등재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박미혜 ( Park Mi Hye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에 대해 광범위한 시각의 심층탐구를 하여 근거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양식과 소비문화에 대한 실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을 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소비자 21명으로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의 중심현상은 무엇이며 어떠한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과 상호작용 전략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결과에 이르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의 패러다임 모형의 과정은 `지속가능성의 문제인식`,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라는 인과적 조건에 의해 동기화되어 `개인의 환경`, `사회적인 이슈와 트랜드`라는 맥락적 조건을 통해 `지속가능한 구매와 후원`, `지속가능한 사용과 처분`, `비구매와 반소비`의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천의 촉진노력`, `실천의 갈등요인`이라는 중재적 조건이 `네트워크와 관계활용`, `내적갈등에 대처`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대처에 영향을 주며 `삶의 한부분이 됨`, `더 큰 만족`, `의식과 실천의 진화`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과정의 핵심범주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여건과 계기, 활동과 대처전략을 통해 개인의 일상적 실천으로 정착되고 개인적 웰빙을 넘어 사회적 관점으로 확대됨`으로 규정하였다. 소비자유형은 소비생활 경험의 하위범주에 대한 연관성 정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생태적 삶 지향형`, `건강과 안전추구형`, `자원절약형`, `트랜드 지향형`, `사회참여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지속가능한 소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힌 다양한 맥락적 요인을 강화하고 실천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 및 상호작용전략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기업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 기업, 소비자단체와 소비자 등에게 지속가능한 소비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he contextual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through an in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experienc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ith a broader perspective, and to find ways to realize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style and consumer cultur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one consumers, ranging in age from the 20s to the 50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phenomenon in the practice of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 final consequence reached through causal, contextual, intervening conditions and interactive strategy process. Open coding has categorized participants` sustainable consumption experiences into similar concept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248 concept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questioning and comparative analysis, which were classified into 31 subcategories and 14 upper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open coding, we performed the axial coding process of combining the data in a new way by associating the subcategories. A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by structuring these categories in the order of causal condition, main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interaction strategy, and consequence. As a result of analysis,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is motivated by causal conditions of “recognizing sustainability issue”, “concern about health and safety”, and the main phenomenon of “sustainable purchasing and support”, “sustainable use and disposal”, “no buying and anti- consumption” showed through th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individual circumstances”, “social issues and trend” in the paradigm model of sustainable consumer life. In this process, the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making an effort to promote the practice”, “conflicting factor in practicing” affected the coping of action/interaction strategy such as “network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coping with internal conflict”, and the consequence such as “becoming a part of life”, “more satisfaction”, “evolution of consciousness and practice” are showed. The core category and consumer types are classified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which is the final step of analysis of grounded theory. The core category in the synthesi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as identified as expanding into social perspective beyond individual well-being,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of sustainability and settling into the practice of daily life through various conditions and motivation as well as activity and coping strategies. Consumer type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ecological life oriented”, “seeking health and safety”, “saving resources”, “trend oriented”, and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by compa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associations to the subcategories of consumer experience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phenomena and the conditions affecting such work together in the proc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Consequential factors justifie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oviding implications as to what conditions influence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n order for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to be settled, we will need to reinforce various contextual factors, utilize the intervening conditions, and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hich promote the practice. Considering both facilitating and mitigating factors,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various education and policies and reduce the problems of the structural factors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the promotion factors. Moreover, government policies and corporate culture should be backed up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government, business, consumer groups and consumers to promote sustainable consum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crutinizes sustainable consumption from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study on sustainable consumption that focused on the individual items or consumption factors such as purchase or disposal. It is also important to set up a theoretical foundation by constructing a paradigm model based on grounded theory analysis of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and develop guidelines for the practice through various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The empirically grounded theory of sustainable consumption can supplement a theory and empirical data of consumer science as well as contribute to reinforcing academic cont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for future research, and any limitations not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solve through subsequent study.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근거이론)와 양적연구(구조방정식모형)의 새로운 통합적 설계

        이현철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양적연구의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통합연구를 위한 가능성과 접점을 탐색해보았다. 이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줄 것이며, 실제 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통합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심화된 논의 전개를 이끌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의 개념, 구조방정식모형의 개념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해당 내용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연구방법론의 통합 가능성에 대하여 이론 및 모형 구축과 검증 의 접점, 패러다임모형과 잠재변수 간의 접점, 개방코딩과 관측변수 간의 접점의 측면들을 중 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연구설계 및 모형적인 측면만 강조되고 있는 통합연구방 법론의 논의 경향을 탈피하고, 그 논의의 장을 좀 더 자료 분석과 글쓰기 영역까지 확장하고자 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will suggest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analysis, using mixed research methods and will lead to deepening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for practical research in fields. For this purpose, I summarized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s, I searched for three possible ways of the methodological integration of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quantitative research): Theory and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relation between paradigm model (grounded theory) and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lation between open coding (grounded theory) and observed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deepen and expand the level of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and provide academic ideas for research writing.

      • KCI등재

        학부모학(學父母學) 분야에서 근거이론의 연구 방법론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최유희(Choi, Yoo-hee)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학 분야에서 등장한 새로운 탐구영역인 학부모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분야 연구에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근거이론은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많은 관심과 실천적 적용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사회과학인 간호학, 사회학, 행정학, 사회복지학 등의 분야에서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론의 생성이라는 근거이론의 본래 연구인 인식론적 관점에서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 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활용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타당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근거이론의 개념과 취지, 분석 과정, 의미 도출 등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가정을 정리하였다. 그런 다음 교육학 방면의 연구에서 이 연구 패러다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학부모학에서 근거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되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al studies, which are new research areas that have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in this field research. The grounded theor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sense that it can supplement the weakness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such as nursing, sociology,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forms a major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paper, I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research direction after critically examining how Strauss and Corbin s paradigm model are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research epistemology of the grounded theory of the creation of field theory. For this, methodological assumptions such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grounded theory, analysis process, and meaning derivation were summarized. Then, by understanding how this research paradigm is being used in the study of pedagogy, we discussed how the grounded theory should be developed in parental studies, and suggested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보다 나은 질적 연구 방법 모색기: 근거이론 연구 수행의 실패와 갈등 경험을 중심으로

        김은정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3

        This paper was intended to address a set of qualitative research issues, derived from failures, and thereby to map out a series of ways to get a grounded theory in particular, and qualitative methodology in general, refined and developed. I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constraints I went through when I was doing research on adopting grounded theory based on my research experiences for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Korean young adults. First, I discussed the research issues I confronted on collecting data. This part dealt with the dilemma that led me to reflect on the issues regarding 1) the necessity of literature review in qualitative research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iewer and the interviewee, and 3) the qual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validity/reliability). Second, I examined the issues derived from my experiences on coding and analyzing data. This part presented 1)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grounded theory coding to interpret data and 2) the evaluation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addressing it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The future research implication i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of participants in order to develop a more equal position of power within the relationship and construct a good research result through the co-work. In line with this, I discussed the usefulness of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despite its weakness to build a complex substantive theory. 이 글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방법을 수행했던 연구자의 경험 및 어려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의 쟁점들을 논의하고 보다 나은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을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해석 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1) 라포 형성의 어려움과 ‘제 3자’의 개입, 2) 라포 과잉의 문제 3) 인터뷰의 정확성/진실성의 문제를, ‘자료 해석 단계’에서는 1) 근거이론의 연구절차와 함의점 2) 어려움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된 질적 연구 방법론의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이론에서는 연구자가 데이터 해석에 개입하는 것을 경계하여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부인하지만, 실제 연구에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연구자의 성찰성을 배제하면서 데이터 분석을 하고 이론을 도출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둘째, 자신이 직접 인터뷰 하지 않은 자료, 즉 2차 자료 활용과 관련한 연구자의 경험을 논의하면서 2차 자료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간의 권력의 문제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함께 공동 작업을 해 간다는 점을 숙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거짓말 하는 연구 참여자와 관련하여, 진실여부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하고,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해서 성찰해 보았다. 다섯째, 근거이론의 높은 자료 요구도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근거이론 연구에서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패러다임 모형의 무분별한 차용과 연구의 도식화 문제를 언급하면서, 향후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생각해 봄으로써 근거이론을 포함한 질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해교육 학습자의 글쓰기 어려움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 문화적 문해 단계 글쓰기 교수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윤경훈,김혜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This study analyzes the writing experiences of elderly female literacy learners in the cultural literacy class, to identify difficulties in writing and provide basic data on adult literacy education. To this end, we observ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of five participants who completed basic-literacy level and participated in the courses for cultural literacy learners. Transcripts of all recorded communications during teaching and learning, post-interviews of participants, and the instructor’s logbook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 addition, the paradigm model was also applied to the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of open coding, 112 concepts and 33 categories were derived. Axis coding from the categor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six paradigms: phenomenon, casu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According to the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of “female elderly literacy learners who cope with the difficulties in writing are actively intervening in teaching, as well as lacking in confidence as learners” was drawn.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results from the selective coding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문화적 문해 글쓰기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함으로써,문해교육 학습자가 경험하는 글쓰기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초 문자해득 교육을 마치고 문화적 문해 교수학습 과정에 돌입한 연구 참여자5명을 대상으로 문화적 문해 글쓰기 교수학습 상황을 관찰하였다.이 과정에서 교수학습 과정의 의사소통 녹취록,참여자별 사후 인터뷰,교수자 일지를 근거이론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하고,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개방 코딩 결과,112개의 개념과 3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이 범주들을 중심으로 축코딩을통해 ‘글쓰기의 어려움’이라는 중심현상을 둘러싼 우연적 조건,맥락적 조건,작용/상호작용 전략,중재적 조건 및 결과를 확인하였다.또한 패러다임 모형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선택 코딩을 통해 ‘글쓰기의 어려움에 대처하는 문해교육 학습자들이 학습자로서의 자신감이 결여되는 동시에 교수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는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야기 윤곽을 완성하였다.연구 결과,연구 참여자들은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 결여 및 동기 부족을 보임과 동시에 글쓰기 교수 과정에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는 학습자들이 문해교육참여 초기에 쓰기 동기를 고취시키는 별도의 교수적 노력이 부재한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그러므로 향후 문화적 문해 글쓰기 교수학습 과정에서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교수적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정신질환 증상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김낭희,송승연,김효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5

        본 연구는 정신건강서비스 패러다임을 의료적 모델에서 인권적 모델로 전환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기반을 마련하고자 당사자의 관점에서 정신장애 증상에 대한 개인적 대처와 통찰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당사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32개의 개념, 23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1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정신장애인들은 증상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통해 증상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갖게 되는 한편 증상에 대한 대처방법을 찾고자 노력 하고 발견함으로써 증상과 함께, 증상을 관리하며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 맞는 정신장애 인에 대한 대안적 모델을 개발함에 있어 정신장애인 스스로 통찰의 기회를 통해 자신만의 대처방안을 찾도록 여건 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is work aims to explore personal coping and insight experience in mental disorder sympto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es in order to lay an empirical basis for the transit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paradigm from a medical model to a human rights model.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ith 8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ere conducted and a model of practice was suggested through analysis using the grounded theory. As a result, 11 categories, 23 sub-categories and 132 concept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tudy,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ave changed their perspective on symptoms through in-depth insight into their identities and symptoms as mental disorders, and discovered their own autonomous ways to cope with symptoms, managing their daily lives. Therefore, in developing a Korean alternative model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ditions to find their own countermeasures through opportunities for insight.

      • KCI등재

        융합연구에서의 도전과 성장 :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근거이론 질적 분석

        송인한,유정원,이은정,김지은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최근 강조되는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융합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융합연구를 진행한 연구자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의 현실적 도전과 성장을 이해하고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행정 전문가 전임교원 16명을 심층면접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융합연구자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융합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노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융합연구의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recent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e detailed experience while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in Korea. To deeper understand challenges and overcoming in convergence research and to suggest an administrative system for it, by analyzing researchers experience and cognition while conducting their actual convergenc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ith 16 full-time faculty members with expertise in convergence research and research administration in a university and analyzed the interviews by using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e phenomenon researchers experienced is that “convergence research is not being effectively conducted,” and they experience growth in research through pursuing efforts and improving research atmosphere in various aspec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promoting convergence research.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방법으로

        정진철,양난미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group supervision experiences by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and revealing the structure of the discovered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For this, nin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117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extracted. A paradigm model was us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findings, the overall structur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group supervision has been revealed.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group supervision is an important metho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집단 수퍼비전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경험의 구성요소를 발견하고, 발견된 경험의 구성요소들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지 밝힘으로써 전문상담교사의 집단 수퍼비전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집단 수퍼비전 참여 경험이 있는 현직 전문상담교사 9명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집단 수퍼비전 경험과 관련된 117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발견되었으며,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발견된 범주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집단 수퍼비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집단 수퍼비전이 전문상담교사에게 있어서도 중요한 전문성 발달의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집단 수퍼비전에 관한 시사점과 이후의 연구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청년자영업자의 온라인쇼핑몰 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종성,김도현,신지만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o examine the process of starting a business in an online shopping mall for young self-employed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mpany N's Partner Square (Gwangju), a startup infrastructure institution.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were used, and theoretical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selection of study participants. After proceeding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it was analyzed with a paradigm mode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when parents were unaware about online shopping malls or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it, but they had a positive mindset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s, it was found that their children tended to start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es. However, if parents had a negative mindset about online shopping malls and about their children’s start-up, then the child could not start an online shopping mall bus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is important as a condi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achiev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for young people. In particular, Partner Square (Gwangju) was found to increase the ability to use online shopping malls and positively influence startups in online shopping malls. Third,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elf-esteem,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reinforcing their creativity, in addition to simply increasing their sales after starting the online shopping mall.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 인프라 기관인 N사의 파트너스퀘어(광주)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년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는 과정을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활용해 규명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심층 면접 조사 자료를 활용했는데, 연구 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 (Theoretical Sampling)방식을 사용했으며,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진행한 후 패러다임모형으로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는 온라인쇼핑몰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부정적이라도 자녀의 창업에 대해서 긍정적이면 자녀가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온라인쇼핑몰에 대해서 부정적이고, 자녀의 창업에도 부정적이면 자녀는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의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과 성과 창출 조건으로 온라인쇼핑몰 활용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파트너스퀘어 (광주)는 온라인쇼핑몰 활용능력을 증대시켜, 청년층의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층은 온라인쇼핑몰에서 창업 이후 단순한 매출액 증가 이외에 자존감 상승, 기회발견, 창의성 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