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DTD 방법과 분수 함수 근사법을 이용한 다층 구조에서의 Green 함수 근사화

        김용준(Yongjune Kim),고일석(Il-Suek Koh),이용식(Yongshik Lee) 한국전자파학회 201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논문에서는 1차원 모드 방정식의 FDTD 해석 결과와 분수 함수 근사법을 이용하여 다층 구조의 Green 함수를 근사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파수 값에 따른 FDTD 해석 결과를 Fourier 변환 과정을 거쳐 spectral domain 상에서 Green 함수를 계산한다. FDTD 수치 해석 결과로 얻은 Green 함수에 분수 함수 근사법을 적용하여 pole과 residue를 계산하여 Green 함수를 분수 함수로 근사화 한다. 제안된 방법은 path-loss 계산 방법 중 하나인 정상 모드(normal mode)에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주파수 해석에 유효한 기존의 정상 모드 방법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FDTD 기반 방법은 광대역 해석을 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정상 모드 해석기반의 Kraken 시뮬레이터 결과와 공진 모드의 pole 값을 비교한다[1]. 또 알려진 해석해를 갖는 문제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a method to approximate a multi-layer Green's function is proposed based on a FDTD scheme and a rational function approximation. For a given horizontal propagation wavenumber, time domain response is calculated and then Fourier transformed to the spectral domain Green's function. Using the rational function approximation, the pole and residue of the Green's function can be estimated, which are crucial for a calculation of a path loss.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a wideband Green's function, while the conventional normal mode method can be applied to a single frequency problem.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We consider two problems, one of which has a analytical solution. The other is about multi-layer case, for which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known normal mode solution, Kraken.

      • 현실 녹색정책의 이념과 생태주의 사상

        한면희(Han Myun-He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8 No.-

        환경문제가 심화되던 1970년대 이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이 둘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나는 보수적 환경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진보적 생태주의이다. 환경주의는 배출구 사후관리 해법을 취하는 소극적 정책 일변도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전통적인 인간 중심주의 사상이 깃들어 있었다. 진보적 생태주의는 자연을 대하는 개인의 가치관과 생활 습관을 바꾸는 데 주안점을 두는 생태 낭만주의 그리고 사회적 및 자연적 억압을 쇄신하는 형태로 사회제도를 혁신하고자 한 생태 합리주의의 둘로 대별할 수 있다. 다만 생태주의는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을 도모하는 근원적인 것이기 때문에 산업 자본주의에 편입된 현실의 정책 이념일 수 없다. 각 나라와 UN은 20세기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소극적 환경주의보다 더 적극적인 녹색정책을 채택하기 시작했는데, 녹색성장과 녹색뉴딜, 생태적 현대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 등이 그것이다. 필자는 환경위기가 가시화되는 현실에 비추어볼 때 이런 일련의 정책 이념이 생태주의로 이행하는 단계적 디딤돌 역할을 하는 것일 뿐이라고 평가한다. Since the 1970s, the approaches to be suggested as the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inclined to divide two directions. One is conservative environmentalism which is composed mostly of the end-of-pipe solution as a passive approach. The root of this environmentalism will be the world-view of traditional anthropocentrism. The other is progressive ecology. Ecological thoughts can be usefully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that is ecological romanticism and ecological rationalism. Ecological romanticism seeks to save the world by changing the attitudes of personal lives and the viewpoint of the value of nature. Ecological rationalism seeks to change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have provoked the oppression of society and the exploitation of nature. However ecological thoughts can not be used as the ideas of actual policies under the industrial capitalism, because they fundamentally should pursue the shift of civilization paradigm. From the last 20 years ago to the present, each countries and UN are going to choose more advanced green policies than before.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ideas of their policies we shall refer to green growth, green new deal,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y the way, I consider these actual green policies as stepping-stones to progressive ecology in the relation to the advent of environmental crisis.

      • KCI등재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사회계약: 전략과 방향성

        김일곤 ( Ii-go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3 EU연구 Vol.- No.66

        본 글은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새로운 사회계약의 전략적 내용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유럽 그린 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유럽연합의 새로운 사회계약이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목표들 사이에 균형을 그 내용과 방향으로 하지만, 내용상 신자유주의의 경제적 합리성을 내포한 탓에 그 균형점에서 경제적 목표에 보다 우선순위가 두어져 있는 것으로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글은 결론에서 새로운 사회계약을 향한 전환의 과정에서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과 같은 기존의 시장 요소에 앞으로 하나의 재화로서 환경 또한 그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유럽통합의 측면에서 환경 부문이 통합을 이끌어가는 또 다른 주요한 동력이 될 것이며, 그리고 생태적 시민권이 발현되고 실천되는 시민권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auge the strategic content and direction of the New Social Contract promoted by the European Union.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he European Green Deal,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uropean Union’s new social contract balance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objectives in its content and orientation, but that it prioritizes economic objectives in that balance due to its implicit neoliberal economic rationality. Nevertheless, the article concludes that in the transition towards a new social contract, the environment will b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market elements such as goods, services, capital, and labor as a commodity; that in the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the environmental sector will become another major driver of integration; and that ecological citizenship as a possible expansion of citizenship will be expressed and practiced.

      • KCI등재

        최치원의 시세계와 녹색정신

        류해춘 ( Ryoo Hae-choon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이 글은 신라시대 최치원(857~ ? )의 시세계를 분석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가의식의 지향과 그 변화를 탐색하여 작가의식에 포함된 녹색정신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치원의 시세계는 작가의식과 녹색정신의 변화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당나라 유학시절에 지어진 시세계는 과거급제와 입신양명을 위해 `녹색정신을 활용하자`고 하는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시세계에 담겨있는 작가의식은 주어진 환경과 생명공동체를 활용하여 자신의 과거급제와 입신양명을 추구하고 있는 녹색정신이라 할 수 있다. 관료시절에 지어진 시세계는 현실정치의 부조화를 비판하기 보다는 자아성찰을 통해서 선악과 시비의 판단을 보류하여 `녹색정신으로 공생하자`라는 주제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관료시절의 시는 현실정치의 부조리를 경험하면서 자아성찰을 통해서 생명체와 공생하고자 하는 것으로 현실세계와의 소통과 대화를 추구하는 녹색정신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은둔전후기의 시세계는 `녹색정신으로 돌아가자`는 표어로 구체화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시세계는 현실세계를 초월하여 자연으로 귀의하여 생명체인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녹색정신을 지니고 있다. 녹색정신의 실천을 중심으로 살펴본 최치원의 시세계에는 현실세계와 초월세계를 함께 긍정하면서 생명공동체를 활용하여 공생하며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인본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poetic world of Choi Chi-hwon of the Silla dynasty and examine the green spirit that has emerged in order to examine the green spirit in the traditional culture. Choi `s poem world can be divided into poetry when he studied abroad, poetry when he was a bureaucrat, and poetry before and after the hermit. These three types of poetic systems are divided as follows. The green economicism is first to try to adapt to the system and realities of Tang Dynasty as a time of study, to strive for happiness and to utilize the ecosystem to adapt to the real world. Secondly, It is green rationalism as a bureaucratic days, an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cosystem without observ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Finally, it is green fundamentalism that the view pursues the ecosystem and unity by returning to the nature beyond the real world as the city of the apocalypse can do. In this article, I will show the modern people who are trying to escape from the ignorance of ecosystem destruction by using the ecosystem, symbiosis with the ecosystem, and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systems. This green spirit that appears in the poem of Choi Chi-hwon is of value as a life idea that shows the indomitable will of `no impossibility` no matter what difficulties the modern man may face.

      • KCI등재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7 No.-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생태계의 환경보호는 세기의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는 본질상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체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그 복잡성이 배가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이처럼 지구환경에 관한 녹색담론은 복잡한 환경과 생태계의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전통문화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사상과 환경담론을 분석하여 그 의미가 시사하고 있는 바를 살펴보았다. 자연시조란 조선시대 선비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면서 전원생활과 산수자연 그리고 생활현장에서 생태계의 자연을 노래한 일련의 시조를 의미한다. 자연시조는 그 주제와 지구환경에 관련된 녹색담론의 의식지향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표어를 강조하면서 귀향이나 귀거래를 통해서 귀향의식의 주제를 설파하는 전원시조,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할 수 있는 규범과 함께 강호가도와 자연의 흥취를 노래하는 산수시조, ‘자연을 이용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하여 농촌현실과 생활현장을 묘사하고 전달하는 생활시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자연시조들은 세속적인 가치를 부정하면서 자연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공통된 녹색담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전원시조, 산수시조, 생활시조 등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선전기 전원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귀거래를 통한 귀향의식을 주된 미의식으로 하면서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16세기 산수시조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대등한 관계에서 산수자연을 통해 예술미를 발견하는 녹색합리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고, 조선후기 생활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생활의 체험을 위주로 하여 생산성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자연을 잘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라 할 수 있는 녹색경제주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21세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관련된 생태문제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연합하여 생태계 파괴문제를 쟁점화하면서 평행선을 달리며 투쟁하고 있는 현상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생태계 파괴라는 무지에서 탈출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현대인들에게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을 살펴봄으로써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discourse on ecologism in Nature Sijo. Sijo. Nature Sijo are a group of short poems written by the Sarim, literati authors of the mid Chosun period who removed themselves from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time, retired to the countryside, gained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laws of nature and then expressed their own individual world views through poetry. A focus was particularly placed on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as the investigator reviewed Green Romanticism, Green Rationalism and Green Economicism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traditional culture. Nature Sijo of Chosun have three type as Pastoral Sijo, Scene Sijo and Life Sijo. In short, Korea’s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was initated with the integration with Orental ideology. Firstly Pastoral Sijo with Green Romant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Return to Nature’, secondly Scene Sijo with Green Rational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Symbiosis to the nature’, and thirdly Life Sijo with Green Economic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Improve to the nature’.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that can make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of reality and caus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is possible when those ideologies are combined together.

      • KCI등재

        공정전환에 관한 녹색합리주의 및 생태민주주의 담론 연구

        김현정 ( Hyunjung Kim ),임석준 ( Sukjun Lim ),안상욱 ( Sangwuk Ah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8 No.2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환경담론이 어떠한 시각에서 공정전환 개념에 접근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공정전환의 담론 진행 구조는 녹색합리주의에 근거하며, 공정전환은 현재까지 북미와 유럽에 의해 개념정립이 이루어져 왔으며 구체화되어왔다. 녹색합리주의는 북미에서 주로 환경단체 및 조직활동에 의해, 유럽에서는 녹색정당을 통해 정치현실 속에서 구현되어왔다. 이는 공정전환의 개념 확립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되었다. 북미에서는 여러 이해관계자 참여형 환경단체에 의해 공정전환 개념을 확산시켜 왔다. 이들은 탈석탄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의 결성을 통해 기후변화 진전 과정에서의 취약계층과 정책 진행의 민주적 정당성, 시민 수용성 문제를 제기해 왔다. 또한 유럽은 역내 석탄매장량이 높은 국가에 의해 공정전환 주장이 주도되어 왔으며, EU는 2050 탄소중립사회 구현을 목표한 ‘유러피안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구상에서 이를 위한 정책적 도구로 공정전환체계(Just Transition Mechanism)를 채택하였다. 이는 연방주의 지방분권 형태 국가 및 지역협력 체제 하 지역특수성에 기반한 환경레짐의 전형적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국가중심 발전국가인 한국은 공정전환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생태민주주의 환경담론을 통해 한국의 공정전환 체제 확립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environmental discourses on Just Transition, which has been led by Green Nationalism. Just Transition has been conceptualized by North America and Europe to date. Environmental groups have been involved in North America, and green parties and the EU have been involved in Just Transition in Europ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Just Transition is the Just Transition Mechanism within the Pouring Past Coal Alliance and the European Green Deal.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Just transition system in Korea through the environmental discourse of ecological democracy.

      • KCI등재

        이중 과정 이론과 도덕적 직관의 문제

        김일수 ( Kim Il-s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1 No.1

        신경 과학을 기초로 한 이중 과정 이론은 우리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방식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다는 것을 밝힌다. 자동적인 정서적 반응인 ‘자동 설정’과 통제된 의식적 추론인 ‘수동 모드’가 그것이다. ‘자동 설정’은 직관적 판단을 의미하며, 효율적이지만 융통성이 없다. ‘수동 모드’는 이성적 추론을 의미하며, 융통성은 있지만,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린(J. Greene)은 fMRI를 활용하여 전형적인 의무론적 판단이 정서 반응에 기초한 직관적 판단이라는 것을 밝혀낸다. 이러한 직관은 유전자, 문화, 개인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공간적 근접성이나 인신성의 유무와 같은 도덕과 무관한 요소들에 민감하다. 따라서 우연적인 형성 원인을 갖는 직관은 신뢰하기 어려운 도덕적 인식의 원천이다.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1) 직관의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직관의 유지, 2) 직관의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직관의 개선, 3) 직관을 도덕적 자료로 인정하지 않는 직관의 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직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궁극적으로 직관 자체를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로 보았을 때, 직관을 개선하려는 접근을 정교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적 수준에서의 평형 과정을 거친 직관은 오류와 편견의 요소는 제거하고, 그 직관을 지지하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할 수 있다.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수준에서의 평형에 과학의 수준에서의 평형이 추가적으로 확보된 다중적인 반성적 평형을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e dual process theory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reveals that we make moral judgments in two different ways. Automatic emotional responses, ‘automatic settings’, and controlled, conscious reasoning, ‘manual mode’. ‘automatic settings’ means intuitive judgment and is highly efficient, but not very flexible. ‘Manual mode’ means rational reasoning and is flexible, but not efficient. J. Greene uses fMRI to discover that characteristically deontological judgments are intuitive based on emotional response. These intuitions are shaped by genetics, cultural learning,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are sensitive to non-moral factors such as spatial proximity and the presence of personality. Thus, intuition with accidental causes of formation is a source of unjustified moral cognition.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intuition are 1) maintaining intuition on the positive side of intuition; 2) refining intuition to correct intuition errors and prejudices; and 3) discarding of intuition not recognizing it as a moral data. Given the advantages of intuition and the fact that it an not ultimately be ruled out, it is necessary to increasingly sophisticate the approach to refine intuition. In particular, intuition that passes the equilibrium process at the scientific level can eliminate the elements of error and prejudice and obtain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it. Multiple equilibrium with additional scientific equilibrium in addition to normative and meta-ethics levels can be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moral intuition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