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신경제지도 녹색화 전략 연구

        이정호 ( Jeongho Lee ),박송미,이경원,정행운,이현우,박준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현 정부의 남북 경제 협력의 근간으로 자리 잡은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본격적 실행에 대비하여, 신경제지도 내 3대 경제 협력 권역의 개발에 대한 지속가능성의 확보와 제고를 위한 녹색화의 비전 및 목표, 전략 수립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7년 베를린 선언으로 본격화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은 H 형태의 경제 협력 권역을 중심으로 남북한 간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 협력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틀이며, 경제적 협력과 더불어 개발에 따른 환경적 악영향의 최소화 및 남북한 간 환경 협력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구상이 이행 단계로 전환될 경우 북한의 환경적 이슈는 현재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며, 이에 대한 남북 협력 차원의 대비는 구상 내에 포함되지 않아, 자칫 ‘선 개발 후 보전’으로 대표되는 우리의 과거 경제 발전절차를 그대로 답습할 우려도 있다. 또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은 장기간에 걸쳐 이행될 것이고,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발전 수준에 맞춰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바, 신경제지도의 계획 단계에서 북한의 환경 수준 향상을 충분히 고려한 전략의 삽입이 꼭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녹색화 전략의 추가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녹색 전환 개념에 따른 우리나라 사회의 녹색화를 위한 세부 방안은 정치/제도적 방안, 경제/산업 분야, 사회/일상관계 부문으로 구분된다. 정치/제도적 부문으로는 녹색국가선언, 환경헌법 제정, 환경부총리제 도입, 주류정책(산업, 복지, 문화, 교육 등)의 녹색화, 개발-보전부서의 통합, 녹색자치분권의 확장, 국제환경협력 강화 등이 있으며, 경제/산업 부문으로는 환경가치의 내부경제화, 에너지의 친환경적 전환, 산업-국토-환경정책의 연동, 생물경제(권)의 육성, 혁신적 녹색기술(예: 탄소포집기술)의 도입, 녹색소비의 확장, 사회적 경제 육성, 로컬자립경제 육성 등이 있다. 사회/일상관계 부문에서는 시민환경권의 구체화, 환경서비스의 공평한 배분, 환경약자의 구제, 환경교육의 확대, 환경민주주의의 활성화, 환경윤리와 책임의 강화 등이 세부방안이 될 수 있다 해외 사례 분석에 따르면, 노르딕 국가연합과 우리나라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녹색화 및 녹색 전환은 미래세대를 위한 국가 운영 시스템이 지금 현재보다 더욱 강하게 지속가능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극한에 가까운 순환경제체제 구축과 인류 및 생태계 위협 화학물질에서의 완전 해방을 목표로 국가를 운영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중국과 쿠바의 경우는 경제 성장 우선의 갈색 발전이 국가의 미래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모든 국가 기간산업을 녹색화하고 분산형 오염물질 무배출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는 기본적인 지속가능발전이 국가 정책에서 균형 있게 주류화를 달성하였을 경우에 가능한 것이라고 판단되며, 지속적 환경오염이 미래세대의 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는 국가 차원의 반성이 중국의 녹색 전환 계획 수립을 이끌어 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추진 상황과 한국 사회의 녹색화 현황, 해외 사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이 이행 단계로 진입하였을 때를 대비한 큰 틀에서의 녹색화 전략 방향을 수립, 제시하였다.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이행에서 가장 큰 장애 요인은 현재 효력을 발휘하고 있는 유엔 대북제재로, 이것이 상당한 수준으로 완화되지 않을 경우 인프라 중심의 남북 협력 사업은 불가능하며, 신경제지도 구상 자체의 이행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최근 미-중 간 무역 갈등과 한-일 간 경제보복 등 한반도 주변 정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이벤트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전망에 따라 대북제재 및 남북 관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녹색화 전략은 경제-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대표되는 비대칭적 지속가능발전, 남북 간 동일한 환경 보전 수준의 영위 및 상호 간 무한 신뢰와 배려의 세 가지 기본 원칙하에 그 뼈대와 세부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기초로 큰 틀에서의 녹색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먼저,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녹색화’라는 비전하에 ‘경제와 환경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남북협력 실현’을 전략의 목표로 설정하였고, 공통 기반 조성을 위해 환경정보의 생산 및 공유, 환경 관련 남북 간 법-제도 개선과 남북 간 자연 및 생활환경 공동조사를 제안하였다. 녹색화 전략은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여 수립하였으며, 단기적 전략에는 사전예방적 접근, 계획 간 상호작용 의무화, 녹색 환경기초시설, 그린 인프라 및 LID 적용이 포함되었고, 장기적 전략에는 경협 권역별 통합환경관리, 녹색경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경제 및 환경 자립형 경협 특구 건설이 포함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green vision, goals and strategic direction for securing and enhancing sustain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three major economic zones within the new economic map, in preparation for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ew Economic Map Initiative, which is the basis of the current government'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New Econom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initiative, which was launched in earnest with the Berlin Declaration in 2017, is believed to be the most basic framework for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long with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However, if the initiative is moved to an implementation stage, North Korea's environmental issues are likely to show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urrent one, and its inter-Korean cooperation level arrangements are not implicit within the initiative, which could lead to a follow-up of our past economic development procedures, which are often represented by "firs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In addition, the new econom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implemen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needs to be carried out in line with the lev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 insertion of a strategy that fully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North Korea's environmental level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new economic map is essential, and the addition of a greening strategy must be preceded in this study. The detailed measures for the greening of our societ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green transition are divided into political/institutional measures, economic/industrial sectors, and social/ daily relations sectors. The political/institutional sectors include declaring green countries, enacting environmental constitution, introducing an environment deputy prime minister system, integrating mainstream policies (industry, welfare, culture, education, etc.) and integrating development-reservation departments, expanding green autonomy,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the economic/industrial sectors internal economic value, eco-friendly conversion of energy, linkage of industrial-to-environment policies, and fostering bio-economic technologies. In the social and daily sectors, detailed measures can be taken to clarify civil environmental rights, equitabl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services, relief of the weak, expans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vitalization of environmental democracy, and strengthening environmental ethics and responsibilities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especially the green and green transition being discussed by the Nordic Cooperation and the nation's academia, stresses that the national operating system for future generations should be more strongly sustainable than it is now, and to this end, the nation should operate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n extreme circular economic system and completely liberating chemicals that threaten human beings and ecosystems. The case of China and Cuba calls for the greenization of all national key industries and the promotion of decentralized pollution-free industries to overcome the crisis that economic growth-first brown development does not guarantee the future of the country. In the former case, it was judged possible if basic sustainable development achieved mainstreamization in a balanced manner in national policy, and it was shown that national reflection that continuous environmental pollution would hinder the development of future generations led to China's green transition plan.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romoting the new econom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atus of greening of Korean societ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direction of greenization strategy was established and presented in a large framework in case the new econom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enters the implementation phase. The biggest obstacl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conomic map initiative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ch are currently in effect, and if the sanctions are not eased to a considerable degree, infrastructure-oriented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will not be possibl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conomic map itself is likely to be reviewed from the ground up. However, recent trad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economic conflict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ave led to a spate of unusual events that could affect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rospects could lead to sanctions against the North and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Based on the three basic principles of asymmetrical sustainable development represented by economic-environment interaction, the status of the same level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mutual infinite trust and consideration, the strategy for greening in a large framework wa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under the vision of greening the new econom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overnment set 'realizing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in which the economy and environment coexist' as the goal of its strategy, and proposed the production and shar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mprovement of the law-system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a joint investigation for natural and ambient environmental status between the two Koreas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common. The strategy for greening was established by dividing it into short-term and long-term, and short-term strategies included proactive approach, mandatory inter-planning interaction, gree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green infrastructure and LID application, and long-term strategies included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green economic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by economic and environmental self-reliant economic cooperation zones.

      • 녹색분류체계 적용 프로세스 및 적합성 평가 방법론 연구 - 고속도로 부문 중심으로

        장대철 ( Dae-chul Jang ),이진아 ( Jina Lee ),정다교 ( Dakyo Chung ),정다솜 ( Dasom Jeong ),김한빛 ( Han Bit Kim ),이상아 ( Sang A Lee ),김선우 ( Sunu Kim ),신성훈 ( Song Hoon Shin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23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24 No.1

        The green taxonomy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clear criteria for identifying sustainable economic activities to prevent greenwashing. Many investors and companies use green taxonomy as a tool for making informed decisions about sustainable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a methodology for companies to identify their eligible and aligned economic activities of green taxonomy through alignment assessment with technical screening criteria. The study identified green economic activities suitable for both the European Union and Korean Green Taxonomy of the expressway industry. This study offers insights for companies to identify their sustainable economic activities aligned with green taxonomy, facilitating sustainable informstion disclosure and access green-financing.

      • 동남경제권의 녹색성장 비전 및 전략과제 개발에 관한 연구

        박기남 ( Park Ki-nam )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2011 經濟經營硏究 Vol.6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gional environment of carbon emission and induces SWOT factors. Especially we developed the vision and strategies of the green-growth for the southeast economic region of Korea that 3 regional governments of the southeast economic regions must implement together. We suggested 20 strategic tasks and the reasons that 3 regional governments and many scientists must try to conduct at the same time for the growth of the industries and homes in southeast economic region. This paper also represented 4 strategic themes for setting up 20 strategies that we suggested for the wide economic area. We illustrated each reasons and method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veridity of the green-growth strategies.

      • KCI우수등재

        생애주기를 고려한 오피스 건물의 리모델링과 그린리모델링의 경제성 평가 연구

        이성호(Lee, Seong-Ho),이재수(Lee, Jae-Su)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3

        Due to a waste of energy in korea, about 525,000 which are 75 percent of total buildings are at least 15 years old buildings that need remodeling. There are two current remodeling systems. One is a remodeling system to reduce a waste of resources from the reconstruction. The other is a green-remodeling system aimed to energy savings and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is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se current systems with respect to the cost-benefit caused by the life cycle and suggests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For a quantitative analysis, we analyzed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rent benefits with simulation by using opportunity costs, construction costs, plan costs and supervision costs as expense variables and using the reduced floor area ratio, institutional incentives, energy, water resources and certified emission reduction(CER) as benefi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green-modeling was more beneficial in the field of environment such as the energy savings, however, the final benefits of remodeling which has n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osts but more floor area ratio incentives were more economical. The green-remodeling system focused on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and energy savings needs a equatable institutional incentive system.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녹색경제활동 및 녹색분류체계 연구

        임형우,주문솔,홍한움,안소은,공현숙 한국환경연구원 2022 수시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 녹색금융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녹색분류체계의 필요성이 대두 ㅇ 지속가능발전목표 실현을 위해 기술 및 금융의 방향성을 일치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며 녹색금융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 ※ 녹색금융: 기후변화 및 각종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대한 금융(World Bank, 2020, p.9) ㅇ 녹색금융에 관한 가이드라인으로서 녹색분류체계(Green Taxonomy)의 필요성이 증가함 □ 순환경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녹색금융 및 녹색분류체계 구축이 매우 중요 ㅇ 순환경제로의 이행에는 제품의 전(全) 주기적 자원순환성 개선이 필요하므로 녹색금융 등을 통한 투자 유치가 중요함 ㅇ 그린워싱 방지 측면에서도 녹색분류체계 구축이 필수적임 2. 연구의 목적 ㅇ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K-Taxonomy)의 순환경제 이행과 관련된 녹색경제 활동을 보완하여 순환경제 이행과 관련된 활동을 구체화하며 확대 적용함 ㅇ 순환경제의 전(全) 과정에 기반한 녹색경제활동을 제안 및 유형화하여 순환경제 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재구성함 ㅇ 현재 국내외에서 순환경제와 관련하여 시행되고 있는 법령, 정책, 인증제도 등과 녹색경제활동의 연계성을 높여 녹색분류체계 참여자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강화함 Ⅱ. 국내외 녹색분류체계 1. 녹색분류체계와 녹색경제활동 □ 녹색분류체계는 녹색경제활동을 유형에 따라 나열한 목록 ㅇ 녹색분류체계는 지속가능목표와 관련된 활동(activity), 자산(asset) 및 프로젝트를 구체적인 목표 또는 기준(threshold)과 함께 분류한 것을 의미함 ㅇ 녹색경제활동은 긍정적인 환경편익을 제공하여 환경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활동을 의미함 □ 녹색분류체계를 통해 금융시장 참여자에게 어떤 경제활동이 ‘녹색(green)’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공 2. 국내외 주요 녹색분류체계 도입 현황 □ 가장 대표적인 녹색분류체계는 EU 녹색분류체계(EU Taxonomy) ㅇ 2018년 지속가능금융 행동계획을 시작으로 분류체계를 개발하여, 2020년 3월 기술 전문가그룹(Technical Expert Group)의 분류체계 초안이 발표되었고, 2021년 4월 EU 집행위원회가 금융입법안을 발표함 - EU는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에 관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개발하였음. 이외의 환경목표는 2022년 중 개발할 예정임 ㅇ EU는 녹색경제활동을 EU 환경목표와 관련된 활동 중 기준조건을 만족하는 활동으로 정의함 - ‘EU 환경목표’: EU 차원의 주 환경목표로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순환경제, 오염 방지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 총 6개 환경목표 - ‘관련된 활동’: 환경목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활동(own performance) 및 이를 통해 다른 활동이 기후변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활동 (enabling activity) - ‘기준조건’: (ⅰ) 하나 이상의 환경목표에 대한 상당한 기여, (ⅱ) 다른 환경목표에 중대한 피해를 주지 않을 것, (ⅲ)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장치 준수 ㅇ EU는 녹색분류체계를 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과 지속가능금융 공시규정(SFDR: Sustainable Finance Disclosure Regulation)과 연동하여 기업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공시 및 포트폴리오의 정보공개 등에 활용하고자 함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EU 녹색분류체계와 유사성이 높으나, 활용방안 측면에서 EU에 비해 제한적 ㅇ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따라 2021년 12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K-Taxonomy)을 수립함1) ㅇ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녹색경제활동을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환경개선에 기여하며 사전 예방적 환경 관리 및 사회적 공감대를 기본으로 3가지 기본원칙을 준수”하는 것으로 정의함 ※ 기본원칙: ⅰ) 환경목표에 기여, ⅱ) 심각한 환경피해가 없을 것, ⅲ) 최소한의 보호장치 마련 ㆍ활동기준 평가: 평가 대상 경제활동이 활동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 ㆍ인정기준 평가: 평가 대상 활동이 환경목표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는지에 대한 평가(관련 인증 보유 여부 등 기술적 기준에 대한 평가) ㆍ배제기준 평가: 평가 대상 활동이 무해원칙(DNSH: Do No Significant Harm)에 부합하는지 평가 ㆍ보호기준 평가: 평가 대상 활동이 사회적 통념상 허용되지 않는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 ㅇ 한국의 경우 녹색분류체계의 활용방안을 녹색 채권 투자 대상 프로젝트 선정을 권고하는 용도로 한정하였음 □ 이외에도 국가 차원 및 국제기구 차원의 다양한 녹색분류체계가 존재 ㅇ 중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같이 녹색 채권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분류체계 활용 중 ㅇ 국제 기후채권기구(CBI: Climate Bonds Initiative) 및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등의 국제기구도 자체적으로 녹색분류체계 구축하여 운영 중 Ⅲ. 순환경제 이행 관련 녹색분류체계 1. 순환경제로의 이행 □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는 자원순환에 초점을 두고 제품 전(全) 과정의 순환성을 높이는 경제구조를 의미 ㅇ 순환경제로의 이행에는 가치사슬 전반의 변화(제품 설계부터 새로운 산업 및 시장모델 등)가 필요함 □ 국내에서는 순환경제 지원을 위해 「자원순환기본법」 및 『자원순환기본계획』,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등 다양한 계획 및 제도 시행 중2) □ EU는 유럽 그린딜 정책의 일환으로 순환경제 관련 지원정책 및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 2.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녹색분류체계 구축 방안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내에는 자원순환을 목표로 하는 녹색경제활동이 총 7개 존재 ㅇ 자원순환 관련 활동으로는 (ⅰ) 폐기물 발생 억제, (ⅱ) 폐자원의 수거·회수·선별·분리, (ⅲ) 폐자원 재활용·새활용, (ⅳ) 폐자원의 열분해, (ⅴ) 폐기물의 에너지회수 활동을 제시함 ㅇ 메탄가스 활용 관련 활동으로는 (ⅰ) 혐기성 소화의 메탄가스 포집 및 처리·활용, (ⅱ) 매립가스의 포집 및 처리·활용 활동을 제시함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중 자원순환 관련 녹색경제활동은 순환경제로의 이행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 ㅇ 첫째, 순환경제 이행과 관련된 녹색활동은 타 환경목표(특히 온실가스 감축)에 비해 명확성 및 구체성이 부족함 ㅇ 둘째, 제품 주기 전(全) 과정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세분화된 정의가 필요함 ㅇ 셋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과의 연계성이 모호함 Ⅳ.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녹색경제활동 제안 1.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 선행연구 및 국내외 정책사례를 통해 녹색분류체계 개선안을 마련한 후, 산·학·연 전문가 및 산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실시 □ 학계 및 기업 전문가 대상 전문가 초점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녹색분류체계 및 녹색경제활동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 □ 제조업, 건설업, 컨설팅업, 금융업 등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여 활용방안 및 녹색경제활동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녹색경제활동에 반영 2.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녹색경제활동 제안 □ 순환경제를 총 5단계(생산, 소비, 관리, 재생, 지원)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녹색경제활동을 도출하여 총 30가지의 녹색경제활동 제안 ㅇ EU 등의 사례 및 현재 시행 중인 정책과 연계하여 순환경제 이행과 관련된 녹색경제 활동을 보다 세분화하였음 ㅇ 법령 및 시행 중인 제도와 연계하여 인정기준 구축 ㅇ 각 활동에 대한 활동기준, 인정기준, 관련 정책 및 기업의 사례 제시 3. 시사점 ㅇ 본 연구에서 제안한 녹색분류체계 보완안은 9R 순환경제 이행 전략과의 연계성이 높으며, 특히 순환성 위계가 높은 감량(reduce) 전략에 녹색경제활동이 집중됨 ㅇ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순환 기본계획』, 『한국형 순환경제 이행계획』 등 국내 주요 자원순환 및 순환경제 계획과의 정합성이 높음 ㅇ 본 연구결과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비교 시 (ⅰ) 활동의 세분화, (ⅱ) 순환경제 전(全) 과정 반영, (ⅲ) 9R 이행전략과의 연계성, (ⅳ) 여러 인증제도를 활용한 인정기준 수립 등에서 차별점이 존재함 Ⅴ. 정책 제언 및 향후 과제 1. 향후 과제 ㅇ 순환경제 9R 전략 측면에서 자원순환 정도에 기반한 녹색경제활동의 위계 체계 구축이 필요함 ㅇ 복수의 환경목표를 달성하는 녹색경제활동의 경우에 추가적인 ESG 공시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ㅇ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배제기준이 수립되어야 함 ㅇ 아직까지 명시화되지 않은 인정기준에 대한 보완 및 명확한 설정이 필요함 2. 정책제언 ㅇ 민관 연계를 통한 녹색분류체계 관리 및 지속적인 최신화 체계 구축이 필요함 ㅇ 녹색분류체계가 ESG 공시 등에 이용되고,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서도 활용되는 등 활용 용도 및 범위가 확대되어야 함 ㅇ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사후관리를 위한 추가적인 가이드라인 및 외부 인증기관 설정이 필요함 ㅇ 현재의 열거주의(positive system)가 아닌 포괄주의(negative system)로의 전환을 장기적으로는 고려할 필요가 있음 Ⅰ. Introduction 1. Research background □ Green taxonomy gained attention as interest in green finance increased. ㅇ In order to fulfil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finance sector and the technology sector should share the same direction. ※ Green finance: Finance for activities to solve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orld Bank, 2020) ㅇ The need for a green taxonomy as a guideline to support green finance increased. □ Green finance and green taxonomy are also important to support circular economy transition. ㅇ Since the transition to the circular economy requires improvements of life-cycle resource efficiency, attracting investment through green finance is necessary. ㅇ Also,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green taxonomy to prevent green washing. 2. Purpose of the research ㅇ By specifying and expanding green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the circular economy, this study seeks to supplement the K-Taxonomy guideline. ㅇ This study proposed green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circular economy. ㅇ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gree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current laws, policies, and certification systems in effect. Ⅱ.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een Taxonomy 1. Green taxonomy and green economic activity ㅇ Green taxonomy is a system that classifies activities, assets, and projects related to sustainable devleopment goals. ㅇ Green economic activity refers to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achieving environmental goals by providing positive environmental benefits. ㅇ Through green taxonomy,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are provided with criteria for determining which economic activities are ‘green’. 2.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een taxonomy □ The most representative of green taxonomy is the EU Taxonomy. ㅇ In March 2020, a draft of the EU Taxonomy was announced, and the EU Commission announced financial legislation in April 2021. ㅇ The EU defines green economic activities as activities that meet the criteria among activities related to EU environmental goals. - Standard conditions: (ⅰ)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fulfilling one or more environmental goals, (ⅱ) do no significant harm to other environmental goals, (ⅲ) compliance with minimum social safeguards ㅇ The EU intends to use the Taxonomy for corporate ESG and portfolio information disclosure through CSRD and SFDR. □ K-Taxonomy is similar to the EU Taxonomy, but the usage is limited. ㅇ In December 2021, the K-Taxonomy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Industry Support Act. ㅇ The K-Taxonomy defines green economic activity as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comply with three basic principles based on pro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ocial consensus”. ※ Standard conditions: (ⅰ)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fulfilling one or more environmental goals, (ⅱ) do no significant harm to other environmental goals, (ⅲ) compliance with minimum social safeguards ㅇ The Korean government intends to use the K-Taxonomy as a tool to select and recommend green bond projects. □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green taxonomies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level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ㅇ In the case of China, the Taxonomy is used to select green bonds. ㅇ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CBI and ISO have also established and been operating their own green taxonomy. Ⅲ. The Green Taxonomy Related to the Circular Economy 1. Transition to the circular economy □ Circular economy refers to an economic structure that focuses on resource circulation and improves the circularity of the entire life cycle of a product. ㅇ The transition to the circular economy requires changes in the overall value chain (from product design to new industries and market). □ In Korea, various plans and systems such as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the Basic Resource Circulation Plan, and the K-Ciarcular Economy Action Plan are being implemented to support the circular economy. 2. Establishing a green taxonom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 In the K-Taxonomy, seven green economic activities were proposed to enhance resource circulation. ㅇ Activiti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include (ⅰ) reduction of waste generation, (ⅱ) collection, selection, and separation of waste resources, (ⅲ) recycling of waste resources, (ⅳ) pyrolysis of waste resources, and (ⅴ) energy recovery. ㅇ Activities related to methane gas utilization include (ⅰ) collection,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methane gas in anaerobic digestion, and (ⅱ) collection,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landfill gas. □ Green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transition to the circular economy. ㅇ First, green activities related to the circular economy lack clarity and concreteness compared to other environmental goals. ㅇ Second, the life cycle of products has not been taken into account. ㅇ Third, the relevance with the policies currently in effect is ambiguous. Ⅳ. Proposal of Green Economic Activities for the Circular Economy 1. Stakeholder interview □ After preparing a draft of gree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collected opinions from industry-academic experts and industry workers. □ Focus group interviews of academic and corporate experts were conducted to discuss improvements in the K-Taxonomy and green economic activities. □ Interviews with people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consulting, and financial industrie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examples of the Taxonomy usages and to reflect them in green economic activities. 2. Proposal of green economic activities □ A total of 30 green economic activities are proposed which ar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production, consumption, management, regeneration, and support).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Further research ㅇ In terms of the 9R strate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ierarchical system of green economic activity based on the resource circularity. ㅇ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provide additional incentives in the case of green economic activities that help achieve multiple environmental goals. ㅇ It is necessary to define criteria that have not been specified yet. 2. Suggestions ㅇ Continuous management and update of the K-Taxonomy are necessary. ㅇ The K-Taxonomy should be applied in a broader context, such as the ESG disclosur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ㅇ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dditional guidelines and external certification agencies to monitor the application of the taxonomy. ㅇ In the long ru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negative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current positive system.

      • KCI등재

        중국 수출입 제조기업의 친환경구매, 에코디자인, 친환경 물류와 기업 성과 관계 실증 연구

        김창봉,남윤미,황문기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1

        With the adoption of ISO 20400, which encourages companies sustainable purchasing activities of companies in 2017, companies are expected to accelerate eco-friendly purchasing activities,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supply chain management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purchasing factors, eco-design and green logistics activities by exploring the category of eco-friendly supply chain management in China.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196 samples from Pearl River Delta Province in China from October 2017 to August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reen purcha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co-design and as well as green logistic factor. Second, the eco-design factor affects positively on green logistic factor. Third, green logistic factor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Green logistics has indirect effects between green purchasing, eco-design and firms’ performance that represented by both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We found that a set of structural equation in which green purchasing factors lead to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eco-design and green logistics factor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green supply chain that focuses on the efficiency of logistics services because the location of warehouse and distribution centers to improve transport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bring positive environmental and economic results. 2017년 지속가능한 구매활동을 권장하는 ISO 20400의 발효와 함께 기업들의 친환경적 구매활동 실행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 되며, 친환경공급체인관리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 수출입 제조기업들의 친 환경공급체인관리 요인 범주를 탐색하여, 친환경구매 요인과 에코디자인, 친환경적 물류 활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소 들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은 친환경공급체인관리의 중요도가 높은 중국의 주강삼각지 지역에 위치한 수출제조기업들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해당 지역에서 추출된 196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친환경 구매 요 인은 에코디자인과 친환경 물류 요인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에코디자인 요인은 친환경 물류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친환경 물류는 기업 성과인 환경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에 각각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친환경 물류 요인은 친환경 구매 요인과 에코디자인 그리고 기업성과로 대표되는 두 개의 성과 사이에서 간접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구매 요인이 에코디자인과 친환경 물류 요인을 거쳐 기업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구조 방정식을 찾아내었으며,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의 친환경공급체인관리에 있어 친환경 물류 관리 요인의 중요도가 높으며, 긍정적인 환경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를 가져오기 위해 운송 효율 향상을 위한 창고 및 유통 센터의 위치 선정의 전략적 수준 향상을 추구해야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가 환경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경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자금(Zi-Qin You),김문홍(Moon-Hong Kim)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1

        orientation and green supply chain execution on performance to Chinese exporters. Design/Methodology/Approach A total of 181 questionnaires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in this paper. Findings The result suggest that: First, the government’s regulations and client’s demands during the motivation of the green supply chai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but the corporate image motiv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Second, green supply chain execu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bu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performance. Third, environmental orientation has been shown to play a partial role in the government’s regulation, client’s demand and green supply chain execution relationship during the Green Supply Chain motivation. Research Implication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enterprise’s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s motivated by government regulations and pressure from customers’ need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green supply chain improves environmental performance because it reduces pollutants or pollutants in the environment, but the cost of initial investment and maintenance does not affect short-term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stronger the incentive to manage the green supply chain, the more likely the entity is to implement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while the more motivated it is to seek environmental-oriented behavior and this also improves the implementa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 Determinants of Green Technology Diffusion and Green Trade

        Qingyun Chen,조혁수 한국무역학회 2023 Journal of Korea trade Vol.27 No.6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green technology and further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technology diffusion and green trade.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suggest that economic,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green technology among countries. For this study, trade openness,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the level of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environmental norms were used as the key factors in the diffusion of green technolog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OECD and non-OECD countries is conducted. Design/methodology – Panel data were collected from 58 countries for the period 2007–2019. The empirical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first exploring the drivers of green technology diffusion using the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s (FGLS) method, and then analyzing the linkage between green technology diffusion and green trade using the two-stage least squares (2SLS) model. The demand for green technology is expected to vary among countries because of their different economic development levels and goal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untries by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Findings – We found that the level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R&D investment and environmental norms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diffusion of green technology. However,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ade opennes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green technology diffusion. Green technology diffusion positively affects green trade. Moreover, the positive impact of green technology diffusion on green trade is more pronounced in non-OECD countries than in OECD countries. Originality/value –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echnology transfer and green technology innovation at the firm level; however, research on green technology diffusion is insuffici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green technology diffus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study also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technology diffusion and green trade. It helps to fill the gap in the literature on green technology diffusion and provide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Additionally, our finding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government and corporate decision-makers in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transfer of green technologi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itiatives.

      • 한국의 녹색경제 지표체계 개발 및 적용

        김종호 ( Jongho Kim ),이현지 ( Hyunji Lee ),김호석 ( Hoseok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하계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녹색경제(Green Economy)의 개념과 범주를 정의하고, 한국의 녹색경제 추진 현황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녹색경제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고, 녹색경제와의 적합성이나 데이터 가용성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4개 그룹(녹색활동, 녹색생산성, 녹색인프라, 경제운영시스템), 9개 주제, 33개 지표로 이루어진 녹색경제 지표체계를 만들고, 이 중에서 중요도나 국제비교 가능성 등을 고려해 13개의 대표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3개 대표지표의 변화 추세 및 강도에 기반하여 종합 평가결과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녹색경제 평가에서 가장 취약한 문제는 자원생산성과 오염집약도라는 2개의 주제로 이루어진‘녹색생산성’이다. 녹색생산성을 구성하는 3개의 대표지표(에너지생산성, CO2 배출집약도, 물질생산성) 모두 추세 변화나 국제비교 양 측면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공급 측면에 해당하는 녹색기술·녹색산업과 수요 측면에 해당하는 녹색소비·녹색구매라는 2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녹색활동’은 추세 변화나 국제비교 모두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green growth and green economy by reviewing the green economy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ational key indicators and to make the indicator framework which can evaluate the domestic current state for the green economy. The research benchmarked the evaluation method from the report of 2015 monitoring report of the EU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e’ to understand the changing trend with 13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the green economy, which is made in this research. Also, this research performe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by the 4 groups in 1) the green activity, 2) the green productivity, 3)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4) the economic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13 representative indicators for the green economy, the clearly unfavourable group among the 4 groups is the ‘green productivity’. The active political countermeasures are needed because energy productivity, CO2 productivity and material productivity stay the low decoupling level. On the other hand, the clearly favourable groups among the 4 groups are the ‘green activity’ including the green technology/green industry and the ‘green infrastructure’ including physical capital(except for the renewable energy) and human capital.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the early stage study which enables us evaluate the domestic current state through the indicator framework for the green economy,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the focused on the green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

      • 녹색경제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 개발

        김종호 ( Jongho Kim ),김호석 ( Hoseok Kim ),이현지 ( Hyunji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UN의 2030 발전의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통과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과 녹색경제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녹색성장 정책의 유효성이나 추진방향 등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법정계획인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등을 수립한 바 있다. 「녹색성장기본법」에 근거한 녹색성장이나 지속가능발전 개념은 개념적 위계 등의 측면에서 국제적인 논의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국내외적으로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의 관계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발전의제로 제시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관점에서 기존 국내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재평가 및 합리적 핵심의 계승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녹색성장/녹색경제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하고, 이에 근거해서 한국의 녹색경제 추진 현황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녹색경제(Green Economy)의 개념과 범주를 정의하고, 한국의 녹색경제 추진 현황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국제기구의 발전전략과 녹색경제와 관련한 국내 지표들에 대해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 녹색성장, 녹색경제 등의 개념적 관계를 검토하여 녹색경제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였다. 또한 녹색경제 주제와의 적합성이나 데이터 가용성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4개 그룹(녹색활동, 녹색생산성, 녹색인프라, 경제운영시스템), 9개 주제, 33개 지표로 이루어진 지표 집합 체계를 생성하고, 중요도나 국제비교 가능성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13개의 대표지표를 선정하였다. 13개 대표지표를 중심으로 EU의 지속가능발전전략 모니터링 보고서의 진단 및 평가 방법을 벤치마킹하여 지표의 변화 추세 및 강도를 파악하고 한국의 녹색경제 현황을 진단 및 평가하였다. EU의 지속가능발전전략 모니터링 보고서에서는 각 지표별 모니터링 결과를 맑음, 흐림, 비옴, 뇌우의 4개 범주(매우 우호적, 약간 우호적, 약간 비우호적, 매우 비우호적)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4개 그룹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녹색활동 그룹은 공급 측면에 해당하는 녹색기술/녹색산업과 수요 측면에 해당하는 녹색소비/녹색구매라는 2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녹색기술/녹색산업의 경우 2개 대표지표(녹색R&D 비중, 녹색산업 비중) 모두 추세 변화는 `맑음` 상태이며 국제비교는 `노란불`이다. 녹색소비/녹색구매의 대표지표인 친환경상품 구매실적 역시 추세 변화는 `맑음`이다(국제비교는 데이터 가용성 문제로 불가). 둘째, 녹색생산성의 3개 대표지표(에너지생산성, 물질생산성, CO<sub>2</sub> 배출집약도)는 모두 탈동조화지표이다. 세 지표 모두 추세 변화 측면에서 `비옴` 상태이다. `비옴`은 낮은 수준의 상대적 탈동조화(unfavourable relative decoupling)를 뜻하는 것으로, 비동조화보다는 나은 상태지만 많은 정책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국제비교 측면에서 에너지생산성과 CO<sub>2</sub> 배출집약도는 `빨간불`로,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물질 생산은 상대적으로 나은 `노란불`이다. 셋째, 녹색인프라 그룹은 자연자본, 물적자본, 인적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자본 주제의 2개 대표지표(임야면적 비율, PM10 대기환경기준 초과율)는 추세 변화 측면에서는 각각 `흐림`과 `맑음`으로 양호한 상태이다. 하지만 국제비교 측면에서는 두 지표 모두 `빨간불`이다. 물적자본의 2개 대표지표(대중교통 수송분담률,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도 추세 변화 측면에서는 각각 `흐림`과 `맑음`을 기록하여 양호한 상태이다. 하지만 국제비교 측면에서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파란불`이지만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빨간불`이다.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의 경우 뚜렷한 개선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국제적 수준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인적자본의 대표지표인 녹색산업 종사자 비중은 추세 변화 측면에서 `맑음`이고 국제비교 측면에서 `노란불`로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다. 넷째, 경제운영시스템 그룹은 조세·가격 및 환경보호지출로 이루어져 있는데, 조세?가격 주제의 대표지표인 환경세 비중은 지속적인 하락 추세로 인해 추세 변화 측면에서 `뇌우`를 기록한 유일한 대표지표임에도 불구하고, 국제비교 측면에서는 여전히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해 `파란불`을 나타내고 있다. GDP 대비 환경보호 지출 비중은 2009년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로 감소하면서 추세 변화 측면에서 `비옴` 상태이고, 국제비교 측면에서는 `노란불`이다. 전반적으로 종합해서 볼 때 한국의 녹색경제 진단에서 제일 심각한 문제가 되는 주제는 녹색생산성(자원생산성과 오염집약도)이다. 추세 변화나 국제비교 양 측면에서 모두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녹색활동은 추세 변화나 국제비교 모두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근거로 녹색경제를 강화하기 위한 활동들(녹색기술/녹색산업, 녹색소비/녹색구매)이 아직은 충분한 성과(녹색생산성)를 낳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경제의 녹색화를 지속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개발하는 초기 단계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향후 이 지표에 기반하여 한국경제의 녹색화 정도를 진단?평가하는 과제가 지속적이고 발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지표틀 및 지표집합의 확정, 평가 방법 개선 및 지수화 방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green growth and green economy by reviewing the green economy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ational key indicators and to make the indicator framework which can evaluate the domestic current state for the green economy. The research benchmarked the evaluation method from the report of 2015 monitoring report of the EU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e` to understand the changing trend with 13 representative indicators of the green economy, which is made in this research. Also, this research performe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by the 4 groups in 1) the green activity, 2) the green productivity, 3)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4) the economic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13 representative indicators for the green economy, the clearly unfavourable group among the 4 groups is the `green productivity`. The active political countermeasures are needed because energy productivity, CO<sub>2</sub> productivity and material productivity stay the low decoupling level. On the other hand, the clearly favourable groups among the 4 groups are the `green activity` including the green technology/green industry and the `green infrastructure` including physical capital(except for the renewable energy) and human capital.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the early stage study which enables us evaluate the domestic current state through the indicator framework for the green economy,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the focused on the green transformation of economi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