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지식인의 여행과 제국의 도시"도쿄": 1925~1936

        우미영 ( Mi Yeong Woo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 Vol.0 No.4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 space and the colonized self-identity through a travel diary to Tokyo, which described what the intellectuals from Joseon experienced in Tokyo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During the early modern times and since the great earthquake, the characteristics of a trip to Tokyoby intellectuals form Joseon shifted from discourse to sightseeing. In other words, they visited Tokyowith a goal of learning modern civilization. Since the great earthquake, however, most of them went to the new metropolis for sightseeing. After being transformed into a huge consumer city, Tokyo started to be viewed differently. At the capital of the Japanese Empire, the colonized subject was exposed to the imperial perspective. Due to strong consumption culture of Tokyo at that time, however, this kind of point of view made the empire-colony relationship more complicated. In fact, the binary relation between imperial Japanand colony Joseon started to crack because the colonized started to realize their identity as a subject of consumption culture and international subject. In other words, the consciousness as a colonized subject has diversified. This diversification has been confirmed through Lee Tae-joon, Choi Jae-seo and Ahn Jae-hong. Even though it could be classified into imperial city and consumption city, no one has ever denied the centrality of Tokyo in terms of politics and economy. As a result, the selective attitude (selective imitation on the development of Tokyo or selective luring attitude) includ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Therefore, they have shown a strong opposition towards the empire and willingness to imitate it at the same time. Because Tokyo saw travelers as consumers at that time, intellectuals from Joseon was able to forget their identity as the colonized for the time being. In other words, their social position shifted from the observed as the colonized to the observer in Tokyo. Therefore, they were abl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in Tokyo, which makes their trip to Tokyo from right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to right before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meaningful.

      • KCI등재

        제도부흥제와 ‘제도부흥’의 기억

        함동주 한국일본학회 2023 日本學報 Vol.- No.134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Tokyo Revival Festival in March of 1930 was that it originated from the disaster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I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completion of the Tokyo Restoration project and to publicize and record its successes. The Japanese government's claim of ‘Tokyo Revival’ was intended to deal with the social crisis caused by the earthquake by emphasizing positive and progressive messages. In the Tokyo Revival Festival, the emperor traveled to places representing the completion of the Tokyo Revival project and the official statements and records repeatedly emphasized its achievements and successes. The Tokyo Revival Festival was a very successful event with a large number of visitors and lots of positive reports from major newspapers. However, the memory of ‘Tokyo Revival’ message did not last long because it was politically motivated and, by and large, detached from the daily lives of the ordinary people. While the memory of the damages from the Great Kanto Earthquake was preserved by the Japanese public, but that of ‘Tokyo revival’ mostly disappeared. 1930년 3월 24일에서 26일까지 도쿄 도심에서 개최된 제도부흥제는 천황을 비롯한 유력 인사들과 많은 관람객으로 성황을 이뤘다. 제도부흥제는 관동대지진이라는 재해에서 연유되었다는 특이점을 지녔다.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일본 정부는 그 대책으로 도쿄를 대대적인 도시계획을 통해 근대적 도시로 탈바꿈시켜서 제국의 수도(‘제도’)로 ‘부흥’시키려는 제도부흥사업을 추진하였고, 그 성공적 종료를 알리기 위해 제도부흥제를 개최하였다. 일본 정부의 ‘제도부흥’ 주장에는 긍정적 메시지를 통해 지진에 따른 사회적 불안과 위기에 대처하고자 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었다. 그 중심인 도쿄시는 일찍부터 진재부흥전람회, 제도부흥전람회와 같은 행사를 열어 ‘부흥’을 강조하였고, 뒤이어 제도부흥제까지 개최하였다. 제도부흥제의 내용을 보면, 천황이 제도부흥사업을 대표하는 장소들로 행행을 하였고 공식 발언이나 출판물들은 그 성공을 거듭 강조하였다. 이처럼 제도부흥제는 ‘제도부흥’의 성공이라는 평가를 공식화하기 위한 정치 이벤트의 성격을 지녔다. 제도부흥제는 대규모 관람객이 운집하여 성황을 이루었고 신문들은 연일 관련 기사들을 게재하며 축제 분위기를 보도하는 등, 성공한 축제의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기획된 ‘제도부흥’의 기억은 오래가지 못했다. 1930년 이후 관동대지진 피해에 대한 기억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존되었지만 ‘제도부흥’의 기억은 사라져갔다.

      • KCI등재

        논문 : 북풍회원(北風會員)이 바라본 관동대진재(關東大震災) 정우홍의「진재전후(震災前後)」를 중심으로

        이행선 ( Haeng Seon Le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이번에 발굴된「진재전후」는 관동대진재를 직접 경험한 사회주의자 정우홍이 8년이 지난 1931년에 쓴 소설이다. 해방 이후에 쓰인 이기영의「두만강」을 제외하고 사실상 진재 관련 소설이 없는 상황에서 전문작가는 아니지만 실제로 경험한 인물이 쓴 식민지기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사회주의운동을 활발히 한 인물이기 때문에 사회주의운동사의 관점에서도 그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이 작품은 1923년 1월에서 10월까지 일본 동경과 그 외곽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동경 진입 전, 후, 진재기, 유치장기’로 전개된 이 작품은 사회주의운동가의 입장에서 르포르타주 기법으로 쓰여 사실성을 높이고 있다. 이 작품 초반부 (동경 진입 전후)의 빼어난 점은 재일조선인노동자의 열악한 노동현장을 재현하는 핍진성과, 초기 노동조직의 형성과정을 상세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후반부(진재기, 유치장기)는 관동대진재 장면과 흥분하는 일본인의 모습, 그리고 유치장에 수감되는 조선인의 내면성을 구현하고 있다. 그런데 전반부와 달리 후반부는 르포르타주의 사실성이 낮아지고 등장인물의 사적 내면의 기록이 증가한다. 노동투쟁과 관동대진재의 재현에 수반하는 검열을 의식한 서사의 특성을 짐작할 수도 있겠다. 이동성과 활동성의 요소로 해석해보면 점점 사회주의자의 이동성과 활동성이 줄어들고 일본경찰이 출몰하며 종국에는 감옥으로 협소화되면서 작품 말미에는 정치색이 거의 사라지고 있다. 유치장을 직접 경험한 정우홍이 드러낸 서사적 무의식과 식민지 무의식의 연관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Jung woo-hong socialists directly experienced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eight years later, in 1931, wrote a novel time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was unearthed. Ki-Young Lee`s “Duman River” written in the meantime, after the liberation, except for Earthquake-related novels was Is not a professional writer, Jeong Woo Hong But actually experience a figure that has significance. Active in the socialist movement figures becaus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ist Movement has secured its significance. This work January-October 1923, Tokyo, Japan, and its outlying areas are in the background. “Tokyo entry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period, lockup period” is deployed to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t activists written reportage techniques to increase the realism. The beginning of this work (Tokyo before and after) the entry of the superb akin to any reality, and to reproduce the scene of harsh labor workers in Japan, Koreans, shape and detail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early labor organization. The end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scene and the appearance of excited Japanese, Koreans of being detained in a holding cell, and internality has been implemented. Unlike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garrulity characters reportage of realism is offset flooding. Involved in the labor struggles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reproduce the essential constraints that might be to gauge the characteristics of censorship conscious writing. Interpreted as an element of mobility and activity, the increasingly dwindling socialist party mobility and activity, haunted by the Japanese police, and eventually narrowing as he works at the end, political affiliations, almost disappearing into the garrulity of flooding fills the contents. Jung woo-hong prison experience exposed Similarly, the narrative of the colonial unconscious and subconscious association should be able to guess.

      • KCI등재

        관동대지진과 ‘유언비어’

        노주은(Joo-Eun Noh) 일본사학회 2024 일본역사연구 Vol.63 No.-

        본고는 관동대지진 시의 조선인 학살에 대한 국가 내러티브 속의 ‘유언비어’의 용도를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유언비어’는 사후적 판단이 들어간 용어라는 것이다. 또한 치안 당국의 입장에서는 ‘유언비어’는 단속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본고는 치안 당국이 조선인에 관한 정보를 ‘유언비어’로 인식하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해서 보는 관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고는 치안 당국이 ‘유언비어’ 인식 이후의 기록 즉 사후 기록을 대상으로 하여 관동대지진에 관한 경시청 자료인『大正大震火災誌』(1925)의 ‘유언비어’ 기록을 분석한다. 경시청이『大正大震火災誌』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유언비어’에 관한 자료를 ‘선별,’ 수정,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의도한 ‘유언비어’의 용도를 밝히기 위해, 『大正大震火災誌』에 수록된 ‘유언비어’ 기록의 출처를 추적하고, 출처로 판단되는 자료들과의 대조를 통해 경시청의 ‘유언비어’ 기록에는 정치적 의도가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시도가 공문서 및 정부 편찬물이 그려낸 관동대지진의 역사상에 대한 검증과 사료 비판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use of “rumors” in the national narrative of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umor” is a term that is judged ex post facto a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forces, “rumor” is a target for cracking down on, so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security forces perceived information about Koreans as “rumor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rumor” records of Taisho Daishinkasaishi by the Tokyo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1925) as the records after the security forces perceived “rumors,” ex post facto records. To reveal the intended use of “rumors” selected, revised, and manipulated by the Tokyo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I trace the primary sources of the “rumor” records in Taisho Daishinkasaishi and contrast them with those sources to show that “rumor” records have a political agenda. This attempt may contribute to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erifying the historical account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s portrayed by official documents and government publications.

      • KCI등재

        대도시 소방행정의 대규모 재난대응 전략과 함의

        최준호,최충익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대도시의 대규모 재난발생 대응을 위한 소방행정 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사례연구로 2011년 동일본대지진의 교훈을 바탕으로 수도직하지진을 대비하고 있는 도쿄소방청의 소방행정전략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분석결과, 도쿄소방청은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고, 소방행정의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ire fighting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Large-scale Disaster management of metropolitan areas. As a case study, this study examines fire fighting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Tokyo Fire Department that experienced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n 2011 and has been preparing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okyo Inland Earthquake. The results found that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setting up a goal and systematic countermeasures and integrated strategy for safety society against anticipated disaster in Tokyo.

      • KCI등재

        다케히사 유메지와 관동대지진 그리고 조선 : 회화와 사상성

        김지연(Kim Jee-ye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1 No.-

        다케히사 유메지는 근대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문인이다. ‘눈이 크고 슬픈여성’을 그린 그의 미인화는 〈유메지식 미인〉이라 불리며 다이쇼의 우타마로(歌?)라는 평을 받았고 현재까지도 그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키워드로 꼽힌다. 또, 그는 ‘그림과 시의 만남’이라는 색다른 세계를 통해 작가로서도 큰 족적을 남겼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유메지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아직 미진하고 대중화가로서의 이미지만이 강하다. 하지만 유메지는 예술가로서의 뛰어난 감수성 못지않게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고, 그 예로 관동대지진에 대한 그의 비판의식을 들 수 있다. 관동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오전 도쿄,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주변 각지를 덮친 대지진으로 사망자와 행방불명자만 13만 여명에 달하는 큰 재해였다. 일본정부는 국민의 불안과 불만을 가라앉히기 위해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렸고, 성난 일본인들의 죽창에 무고하게 희생된 조선인이 무려 6천명 이상 되었다. 천재(天災)에 인재(人災)가 더해져 참혹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유메지는 관동대지진의 이면에 감춰진 폭력성을 일찍이 간파하고, 『도쿄재난화신(東京災難畵信)』을 통해 글과 그림의 르포 형식으로 전달하였다. 그리고 냉철한 문제의식과 인종적, 민족적 편견 없는 관심을 따뜻한 시선으로 담았다. 특히 『도쿄재난화신』의 「자경단놀이」에 나타난 조선인 학살에 대한 풍자적이면서도 냉철한 시선은 대중과 호흡을 함께 하는 사상가로서의 모습과 그 저변에 깔려있는 휴머니즘을 감지하게 한다. 관동대지진의 또 다른 피해자인 조선인들의 고통을 가감 없이 전달하려한 유메지의 사회의식은 한일병합 기념엽서에도 볼 수 있고 이 후 유럽 외유에서 유태인을 억압하는 나치에 대한 비판에서도 드러난다. 이렇듯 소박하지만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담은 『도쿄재난화신』은 대중적인 인기화가이자 작가에서 벗어나 이상을 추구하는 유메지의 일면을 엿볼 수 있기에 더욱 높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Takehisa Yumeji,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and literary figures who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during the three periods of Meiji, Daisho, and Showa painted “women with big, sad eyes” who are called “Yumeji beauties.” However, it was unfortunate that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him in Korea, where his image as a popular artist had been overwhelming. He had keen insights into society as well as great sensibility as an artist, especially his work on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an attempt to calm down the n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pread rumors that the Joseon people were rioting. As it got worse, enraged Japanese people killed as many as 6,000 innocent people with bamboo spears. Yumeji compiled a report in Tokyo Sainan Gashin with his writings and paintings expressing his critical awareness of the problems and genuine interest void of racial and national prejudices, presenting facts as well. His satirical yet calm view of the massacre of the Joseon people in Vigilante game of Tokyo Sainan Gashin reflects his humanist ideal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Yumeji, who tried to convey the suffering of the Joseon people, was also reflected without any bias in his postcard in commemoration of Japan-Korea Annexation. With his humble and sharp criticisms, he deserves higher evaluations since his work sheds light onto the aspects of Yumeji that sought after ideal beyond a popular painter and writer who enjoyed great popularity.

      • KCI등재

        일본 대도시권 행정 BCP의 지진대응 전략과 함의

        최준호(Choi, Junho),최충익(Choi, Choongik)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대도시에서의 대지진 발생시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행정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는 우선 BCP의 관점을 ‘행정의 피해’, ‘우선순위에 따른 핵심업무’, ‘업무수행의 특수성’ 등으로 제시하고 이를 일본의 대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지진대응 전략을 분석한다. 사례 연구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경험하고 수도직하지진(首都直下地震)을 대비하고 있는 도쿄도(東京都)와 1995년 고베대지진을 경험하고 향후 난카이(南海) 트러프 대지진의 발생우려가 있는 오사카(大阪府)의 행정 BCP 전략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분석결과, 도쿄도에서는 동일본 대지진의 경험상, 지자체를 초월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도쿄 단독계획에 그치지 않고 타 지자체와 협정을 체결하여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오사카부에서는 고베대지진을 사례로 인력피해율을 설정하고 업무지속을 위한 자원과 환경을 분류하여 평상시부터 재난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dministrative business continuity plans (BCPs)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of metropolitan areas and attempt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ir development. We employed the case study as a methodology, analyzing BCP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Japan. Two samples, Tokyo and Osaka,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because Tokyo experienced the East Japan Earthquake in 2011, while Osaka is apprehensive of an imminent large earthqu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okyo s administrative BCP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 management of the Nankai Trough earthquake in Osaka was based on the plan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to the daily lives of citizens and the loss of economic activity caused by administrative paralysis.

      • KCI등재

        이상화 가(家)의 서간들과 동경(東京)

        박용찬 ( Yong Chan Park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2 No.-

        Daegu is the important starting point and main base of ‘Lee, Sang-Hwa’s life. He could acquire the modern knowledge and develop Anti-Japanes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Woo-Hyun Seoru(友弦書樓)’ within the family circle. Tokyo has a special meaning of ‘Lee, Sang-Hwa’s life. He experienced the Great Kanto Earthquake which was shocking and founded the direction of his literature. This article attemp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okyo in his literature based on some of newly discovered letters. The letters which came back and forth between him and his family show his mental landscapes in Tokyo. His poem, 「In Tokyo」, is an important work to clarify the placeness of Lee, Sang-Hwa’s literature. Tokyo is the place which he had not only stayed longest in abroad but also raised his national, literary consciousness. 「In Tokyo」shows the initial development of his literature, but, as previously known, did not start from the sentimental romanticism. The fact that 「In To-kyo」and 「To My Bedroom」were created at the same time in the age of 『Paek-Jo(白潮)』 is noticeable. This made it possible to revaluate the existing evaluation about ‘Lee, Sang-Hwa’s literature that his literature had been shifted from the sentimental romanticism to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e newly-discovered letters show that he did not start his literature from only tear and sentiment.

      • KCI등재

        쇼와 초기 문학에 나타난 도쿄 표상과일본인의 심상지리

        손지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6 No.-

        The periodic summarization of Tokyo's characteristic after the modern era is as follows. In the Ages of Meiji, Tokyo became the official capital city and executed various functions as a modern city. During Taisho Age, with the vast increase of city population, it was developing into a mass production/ mass consuming city, until the Great Kanto earthquake destroys everything. Showa Age is when it becomes a full scale modern city after adopting the reconstruction system.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Japanese during Early Showa and Representation of Tokyo as it was understood in general perspective of the ages mentioned above. Specifically, it will study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Tokyo and the literary men who have lived in it, and their literary expressions, by looking into literary men like Nagai Gahu or high class city residents in intelligent level, residents like office workers illustrated by a modern author such as Ryutanji Ryu, lower middle class residents appearing in Hayashi Humiko's autobiographical novel, and laborers and lower classes as illustrated in various reportages.

      • KCI등재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연구의 과제와 전망 - 일본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

        다나카 마사타카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8

        Antiforeignism is increasing in Japan. The present Japanese antiforeignism is akin to that of the Korean genocide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Studies of the genocide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hav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genocide. However, currentl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how people memorialized the slaughter. It has become clear that there was a pattern of slaughter, and that differs from the previous image. Reorganization of the genocid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is an important problem. 관동대지진사의 전쟁 후 연구는 지진 재해로부터 40년째인 1963년을 계기로크게 발전되어 왔다. 그중에서 이마이 세이이치의 「大震災下の諸事件の位置 づけ」 (『勞働運動史硏究』 37, 1963) 이후, 가메이도사건, 아마카스사건, 조선인 학살을 ‘3대 테러’라고 보는 견해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물론 학살된 사람들의 생명을 구별하는 의도가 아니다. 일본인, 중국인 학살을 포함한 지진 재해 당시 학살의 핵심은 조선인 학살에 있고, 이것을 같은 맥락으로 다룰 수는 없다라는 지적이다. 앞에서 논한 대로, 조선인 학살의 중대함을 부정하려고 하는 언행과 설명이 병행되어, 아직까지 학살 사실을 밝히는 것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관동대지진 당시 중국인이나 일본인 학살을 포함한 전체적인 시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을 가짐으로써, 조선인 학살과 다른사건과의 공통점이나 차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조선인에 대해서는, 무차별적인 학살(조선인이라고 알려지면 죽였다는 의미에서는 선별적이지만)의 이미지가 강하나, 조선인 ‘보호’를 위해 9월 5일에 개설된 나라시노 수용소에서는, ‘보호’라고 하는 공적인 목적과는 다르게, 군대가 수용자의 사상조사를 행하여골라낸 조선인을 죽이고, 근처 주민들에게도 죽이게 했다. 현재 일본에 있어서의 과제는 ‘공감의 길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진 재해 아래에서의 살해사건을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상징하는것으로서 자리매김시키면서 , 중국인이나 일본인을 포함한 ‘제노사이드’로서의 보편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