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안체시(公安體詩)의 특성과 의의

        이주현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6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ng-an style in several ways. First, this article refines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Gong-an style. Second, it explor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embers of the Gong-an school and the Gong-an style. Third, it establishes the significance of the Gong-an style based on its critiques by literati in the 1600’s and later impact it had on Chinese poetry. The Gong-an style is clearly manifested seen in the works of Yuan, Hong-dao. In his poems, contained in Ji-fan ji and Jie-tuo ji, Hong-dao demonstrates his use of the Gong-an style by using plain language, so that the reader can clearly understand the themes of the poem without difficulty, to describe the little things of everyday life. A chief goal of the Gong-an style was to breakaway from the conventional informal style of the time. As a result, the works of early authors like Yuan, Hong-Dao became a model among the literati of the Gong-an school. The key feature of the Gong-an style is the use of plain and calm language to describe thoughts and feeling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ircumstances. Notwithstanding the Gong-an school’s breakup, the Gong-an style’s influence continues to remain in literary circles. Yet the Gong-an style has been misunderstood as a style in which one can easily write a poem without knowledge or talent. Consequently, many people who have attempted to replicate the Gong-an style have sued vulgar words without much thought, which has led to the mass production of mediocre poems. This has caused a huge backlash among the followers of the Gong-an school, causing it to retreat back into literary circles.

      • KCI등재

        李建昌의 「李卓吾贊」에 대하여

        김용태(Kim Yang-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본고는 이희목 교수에 의해 십수년 전에 보고되었으나, 그 사이 학계에서 ‘잊혀진’ 자료였던 이건창의 「이탁오찬」이란 글의 존재를 학계에 환기하고, 그 내용과 의의를 검토하여 이건창 문학을 새롭게 이해하는 시각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탁오찬」은 陽明左派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李贄를 칭송하는 내용을 담은 글이기에, 최근 들어 그 열기가 더해지고 있는 양명좌파와 公安派의 수용에 대한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BR>  「이탁오찬」은 이건창이 20대에 지은 글인데, 이 당시 내면적으로 울분상태에 있던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를 접하면서 많은 위안을 받을 수 있었다. 이후 이건창은 양명좌파 및 공안파와 일정한 거리를 두게 되지만, 양명좌파 및 공안파의 사유를 자신의 문학적 목표와 실천의 자양분으로 적절히 활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이건창 문학을 주로 ‘古文’적 관점에서 접근 하였던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실상 이건창 문학이 위대한 까닭은 양명좌파, 공안파, 동성파 등등의 외부적 요인을 주체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색깔로 재창조했다는 점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양명좌파와 공안파의 수용에 있어 ‘주체’의 측면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는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The material, 「lee tak oh chan(李卓吾贊)」, was reported approximately a dozen years ago by a Professor Lee, Hee-mok. But this material has been "forgotten" in the academic society. This abstract has been created with an aim to propose a new point of view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Lee, Kun-chang(李建昌) by reviewing the 「lee tak oh chan」. 「lee tak oh chan」 contains materials that look up to Li zh? who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Radical Yang-ming school, which cannot be a crucial material in the sense that recently its academic heat has been increasing toward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BR>  「Lee tak oh chan」 was made by Lee, Kun-chang in his twenties. At the time, Lee, Kun-chang who was in depression of his days had been consoled much b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Since then, he placed a certain distance to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however he applied appropriately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to sources of nutrition of literary object and performance. These points were something that at-the-time research hardly took notice of having the viewpoint to access to Lee, Kun-chang literature based upon "Guwen(Classical literary Style 古文)". In fact, the reason,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 greatness of Lee, Kun-chang literature is that it recreated outer factors of Radical Yang-ming school, Gong-an School, Dong-sung School, etc subjectively in its unique color.<BR>  And, in this respect, it suggests us a lot in the sense that even recent research trend tends to hardly focus upon "subjectivity" in the absorbtion of Radical Yang-ming school and Gong-an School.

      • KCI등재

        과거에서 거울 찾기, 그 성과와 그늘 ― 주작인(周作人)의 공안파(公安派) 인식과 수용에 대한 검토

        李周炫 ( Lee Juhyun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1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accepting Gong-an School 公安派 in the late Ming Dynasty by Zhou Zuoren 周作人 in China’s modern times. Gong-an School was unearthed by Zhou Zuoren and regarded as the main source of modern literary movement. Since Zhou Zuoren pointed out Gong-an School played the role as dissenters to Former Seven and Later Seven Masters (qianhouqizi 前後七子) who had a tendency of reactionism, Gong-an School has been recognized as the epitome of an iconoclast. However, what they truly opposed was not the reactionism itself, but the tendency to plagiarize and follow the former phrases. In addition, they did not evenly evaluate on Later Seven Masters. In particular, Wang Shizhen 王世貞’s attention to the literature of Bai Juyi 白居易 and Su Shi 蘇軾 in his later years had indirect influence on Gong-an School’s deference toward the two masters. Also, the writers of Tang and Song period were admired by Gong-an School in terms of elite culture. In the proses of Zhou Zuoren and Yuan Hongdao 袁宏道, the attitude of calmness and easygoing (xianshi 閑適) in life was shared. In common, they spent their daily lives freely and were interested in things around th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riters at the same time. Unlike showing the idea of ‘distinction’ in Yuan Hongdoa’s writings, Zhou Zuoren broke down the boundaries and noted the universality of human life. Furthermore, Zhou Zuoren, who led women’s liberation in modern times, infused self-reliance to the women figures in his writings

      • KCI등재후보

        袁宏道 山水小品의 내용 고찰

        남덕현 대한중국학회 2012 중국학 Vol.43 No.-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Gong-an School, a literary group was led by the three Yuan brothers(Yuan Zong-dao, Yuan Hong-dao, Yuan Zhong-dao). The Gong-an School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ate Ming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circles. Yuan Hong-dao was the leader of the Gong-an School. The literary theory of Yuan Hong-dao is very important in the late Ming literary world. The late Ming essay have very special meaning in chinese classical prose. Yuan Hong-dao's essay is a part of the late Ming essays. The landscape essay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in Yuan Hong-dao's ess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Yuan Hong-dao's landscape essays. We believe tha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of Yuan Hong-dao's landscape essays will bring us the right direction to understanding of Yuan Hong-dao's literature and literary criticism.

      • KCI등재

        1930년대 選集을 통해 본 現代 지식인의 晩明小品 인식 ― 沈啓無, 劉大傑, 施蟄存, 阿英, 朱劍心의 선집 비교·검토

        이주현 한국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文學 Vol.116 No.-

        This study explores five anthologies of the short essays of the late Ming Dynasty published in China in the 1930s. Focussing on their rebellious attitudes against orthodox literature and expressions of their inner selves, Shen Qi-Wu includes the prefaces and travel records of 17 writers. Unlike this author-centered collection, Liu Da-Jie's is composed by style and reflects the various hobbies and interests of an enormous amount of the late Ming literati. As an author-oriented format, Shi Zhe-Cun diversifies the group of writers by including authors beyond the range of Gong-an and Jing-ling schools. In the same way as Shi, A Ying selects prefaces, travel records, and letters written by 20 people. However, essays tinged with Gong-an School's characteristics are preferred by this leftist. In addition, contrary to Liu Da-jie, he respects the defiant manner and avoids the aristocratic taste. Finally, Zhu Jian-Xin's book, which contains his preface and annotations written in premodern Chinese and has the compromising attributes of previous works, is designed to introduce famous writers and writings of the late Ming. 1930년대에 출간된 만명소품 선집 5종을 살폈다. 선치우의 《근대산문초》는 정통문학에 대한 반발과 성정의 표출을 편선 기준으로 삼아 17인의 서발류 문장과 유기를 수록했다. 작품 중심인 류다제의 《명인소품선》은 다수 명말 문인들의 다양한 취미 활동과 관심사를 반영했다. 스저춘의 《만명이십가소품》은 공안⋅경릉파뿐만 아니라 그 밖의 유파를 포함하여 작가군을 다양화했다. 아잉의 《만명소품문고》는 작가 20인의 서발류⋅잡기류⋅척독을 실었다는 점에서 스저춘의 선집과 상통하나 공안파에 집중한 점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공안파의 저항적 성격을 부각시키는 한편 취미 활동의 영역은 축소했다는 점에서 류다제의 선집과 대척점에 있었다. 주젠신의 《만명소품선주》는 여타 4종과 달리 문언문 서문과 주를 달았고, 만명소품의 유명한 작가와 작품 소개에 목적을 두어 앞선 선집의 이모저모를 절충했다.

      • KCI등재

        『규수시평』을 통해 본 강영과의 여성시에 대한 관점

        신민야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0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5 No.-

        『Guixiu ShiPing(閨秀詩評)』 is a note on poets and poetry compiled by Jiang Yingke (江盈科, 1553-1605), a leading figure of the Gong'an School(公安派) in the late Ming Dynasty, in 1604 and is the first book criticized specializing only in ‘Feminine Poetry’ compiled in Ming Dynasty. Jiang Yingke, as a member of the Gong'an School, thought that the literature express Yuan Shen(元神) to say true feelings without any false. This Jiang Yingke’s literary view has resulted in the compilation of 『Guixiu ShiPing』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feminine poetry had ‘True’ characteristic expressing true feelings not being influenced by the trend of imitation. 『Guixiu ShiPing』 contains 41 poems and 3 lyric poems of 28 female poets from the Tang to the Ming Dynasty and it also includes 29 poetry reviews on 28 poets. The composition of the book is in the order of the writer's name, brief introduction of writers, poetry reviews, and each part involves his perspective on the feminine poetry. In 『Guixiu ShiPing』, Jiang Yingke valued ‘moral character(品性)’ and ‘scholastic attainments(學力)’ that woman poets have. He also valued the characteristics of ‘true(眞)’ of the feminine poetry as ‘Really Ancient(眞古)’ and “true feelings(眞情)”. 『규수시평』은 명후기 공안파의 주요 인물 강영과(1553-1605)가 1604년 편찬한 시화로 명대시화 중에서 처음으로 여성시만을 전문적으로 평론한 책이다. 강영과는 공안파의 일원으로서 인간 본연의 마음인 ‘원신(元神)’ 즉 ‘진정(眞情)’이 표현된 문학이 거짓없는 참된 문학이라 보았다. 강영과의 이러한 문학관은 『규수시평』의 편찬이라는 결과로 나타나는데 이는 여성시가 모방의 풍조에 물들지 않고 진정을 표현한 ‘진(眞)’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규수시평』은 당나라부터 명나라까지 28명의 여성시인의 시 41수와 사 3수를 수록하고 있으며, 28명의 시인에 대해 29개의 시평(詩評)을 달고 있다. 책 체재는 작가명, 간단한 작가소개, 작품, 시평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각각의 부분에 다 그의 여성시에 대한 관점이 개입되고 있다. 『규수시평』에서 강영과는 여성시인이 가진 ‘품성(品性)’과 ‘학력(學力)’의 자질을 중시했다. 또 그는 여성시가 가진 ‘진’의 특성을 모방의 습관에 물들지 않고 ‘진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것과 고악부와 오언고시 등이 가진 질박한 풍격의 시가를 쓴 ‘진고(眞古)’로 이해했다.

      • KCI등재

        공안파(公安派)의 시론 다시 읽기 - 마음의 시화(詩化) 과정에 대한 점검

        이주현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6 No.-

        . 이 글은 공안파의 시론을 상세히 독해함으로써 그 의의를 재조명했다. 흔히 성령론, 개성론, 자아표현론이라고 일컬어지는 공안파의 시론은 시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왔다. 그들은 진정한 시는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옮긴 것이라고 말하며 입에서 나오는 대로, 팔이 움직이는 대로 시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음에서 흘러나온 것이 입과 팔을 거쳐 시로 이루어진다고는 것, 즉 마음의 시화(詩化)는 내면의 발현에 중점으로 둔 것이다. 그들의 시는 비록 중국고전시의 형식적 제약과 구체적 방법론의 부재로 그 시론을 온전히 구현하기 어려웠지만, 평이한 언사로 자연스럽게 쓰이고 입말 투가 삽입되는 등 파격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구를 최대한 다듬지 않고 글자나 구절 수 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입과 팔에 내맡긴다는 말의 실천이었다. 그들은 자동적인 시 쓰기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으나 당시(唐詩)로부터 멀어지기를 의도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공안파가 자신의 시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시를 썼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함께 조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공안파(公安派)의 시론 다시 읽기 ― 마음의 시화(詩化) 과정에 대한 점검

        이주현 ( Lee Juhyu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6 No.-

        이 글은 공안파의 시론을 상세히 독해함으로써 그 의의를 재조명했다. 흔히 성령론, 개성론, 자아표현론이라고 일컬어지는 공안파의 시론은 시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왔다. 그들은 진정한 시는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옮긴 것이라고 말하며 입에서 나오는 대로, 팔이 움직이는 대로 시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음에서 흘러나온 것이 입과 팔을 거쳐 시로 이루어진다고는 것, 즉 마음의 시화(詩化)는 내면의 발현에 중점으로 둔 것이다. 그들의 시는 비록 중국고전시의 형식적 제약과 구체적 방법론의 부재로 그 시론을 온전히 구현하기 어려웠지만, 평이한 언사로 자연스럽게 쓰이고 입말 투가 삽입되는 등 파격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구를 최대한 다듬지 않고 글자나 구절 수 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입과 팔에 내맡긴다는 말의 실천이었다. 그들은 자동적인 시 쓰기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으나 당시(唐詩)로부터 멀어지기를 의도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공안파가 자신의 시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시를 썼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함께 조망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