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비판지정학

        지상현,콜린 플린트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1 No.-

        This paper investigates critical geopolitics, one of the most prominent approaches in geopolitics since the 1980s. A group of political geographers, most prominently Gearóid Ó Tuathail, were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reconstructed geopolitic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y problematiz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so called ‘classical geopolitics’. They defined geopolitics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investigated how diverse geopolitical agents strategically used geopolitical representations at multiple scales of space beyond a state-centric description of geopolitics. Critical geopolitical scholars have exposed the assumptions and political intentions of classical geopolitics and foreign policy by deconstructing discourses. Critical geopolitics is evaluated as a new research paradigm for geopolitics to overcome its tainted historical ties to imperialism. However, critical geopolitics has been challenged by feminist perspectives that argue it failed to overcome a patriarchal and western-centric world view and that critical geography scholars ignore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and economic factors. Critical geopolitics has evolved by absorbing these critic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critical geopolitics may be a useful perspective to explore Korean geopolitics.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의 지정학 연구에서 중요한 흐름을 차지하는 비판지 정학에 대한 검토를 주 내용으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Ó Tuathail 과 일단의 정치지리학자들은 고전지정학의 정치적 중립성과 연구방법에 대한 문 제 제기를 통해 지정학을 비판적 시각으로 재구성했다. 이들은 지정학을 문화적 현상으로 규정하고 국가 중심의 지정학 기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정학 주체가 다층위의 공간 속에서 어떻게 지정학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는지 분석했다. 비판지 정학자들은 담론 분석을 통해 고전지정학 이론과 현대 외교정책을 비판적으로 연 구했으며 제국주의로 얼룩진 과거를 극복하고 지정학의 새로운 연구의 장을 열었 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 학계로부터 가부장적·서구 중심적 세계 관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지리학 그룹으로부터는 지정학의 경제적 요인을 간 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이진수,지상현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Korean geopolitical narrative through the text of the early Korean geographers who seek to explain the ‘location of Korea’. The ‘location of Korea’ is a sort of geographical knowledge that has been naturaliz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the literature on ‘geographical knowledge’ points out that it is transmitted, applied, and transformed by specific elites at specific places. In this sense, the forma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 about the ‘location of Korea’ is a vignette of modern Korean geography that can be understood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zed geopolitics. Introduced from the modern West through Imperial Japan to colonial Joseon, the naturalized geopolitics affec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geopolitical narrative of a newly independent Korea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transmitting from colonial geopolitics to Cold War geopolitics. But the texts produced by the early Korean geographers indicate that they appropriate the naturalized geopolitics in the context of post-colonial Korea. In sum, they described the Korean Peninsula as a very location bringing about the invasions of the historically great powers around it, but also emphasized the capacity of Korea (or the Korean) to well-utilize its geopolitical location while evading the overdetermination of the environment. Such an intellectual practice was to Koreanize the naturalized geopolitics. Ironically, it implies the westernizing of Korean geopolitics, which means that the newly independent Korea with the colonial experience paradoxically pursues the ‘geopolitics of a weak state’ longing for being a great power. 본 연구는 현대 지리학의 여명기, 지정학 서사의 형성 과정을 ‘한국의 위치’를 설명하려는 초기 지리학자들의 텍스트를 통해 분석한다. ‘한국의 위치’에 대한 이해는 한국 사회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지리적 지식에 속한다. 그러나 지리적 지식에 관한 기존 논의는 그것이 특정 장소에서 특정 엘리트에 의해 이동, 적용, 변형됨을 강조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의 위치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형성 과정은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영향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초기 현대 지리학의 한 장면이다.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은 근대 유럽에서 형성 및 발전되고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 조선에 도입되어 식민 지정학에서 냉전 지정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독립한 한국의 지정학 서사를 재구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기 지리학자들의 텍스트는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전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식민 상태에서 갓 벗어난 한국의 시대적 맥락에 따라 전유하였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초기지리학자들이 그들 텍스트에서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주변 강대국의 침략을 야기시켜왔던 지리적 위치라고 설명하면서도, 환경의 과잉결정성을 회피하면서 그 위치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한국(혹은 한국인)의 역량을 강조하였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지적 실천은 잠정적으로 식민적 지식이었던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포스트식민 한국의 맥락에 맞게 ‘한국화’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 과정은 포스트식민 한국 지정학의 ‘서양화’를 암시하는데,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한국이 역설적으로 강대국이 되기를 갈망하는 ‘약소국의 지정학’을 지향해왔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지정학의 글로벌 스케일 접근

        김용신 ( Kim Yongsin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국제지역연구 Vol.26 No.1

        지정학은 공간을 향한 인간의 본성에 근접하는 학문 영역이다. 기후가 온화하며 식량 확보가 수월하고, 안전이 보장되며 미적으로 수려한 공간은 누구나 선호한다. 이런 곳에 사람들이 모여들어 문명을 만들고 번영을 구가하여 온 것은 역사적으로 사실이다. 국가의 입장에서 공간을 보면 구성원들의 공간을 향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야 좋은 국가이고 강한 주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국가는 강대국이 될수록 공간 확장과 통제를 위해서 유용하다고 인정된 지정 전략들을 적극적으로 구사하여 왔다. 전통적으로 지정학의 유형은 집중, 개입, 확산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집중 지정학은 군사력을 중심으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이며, 개입 지정학은 무력 사용의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전제로 경제적 수단을 병행하는 지정 전략이며, 확산 지정학은 세계화에 따른 국제사회의 행위 주체들의 다양한 등장을 수용하면서 연성권력을 활용하는 공간 관리 전략을 의미한다. 이들은 권력정치 중심의 지정학 논리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이다. 여기에 글로벌 스케일을 도입하면 비정치적이고 비권력적이며 인간 중심의 지정학의 본질에 충실한 지정적 사고가 생성된다. 글로벌화는 지구 규모에서 초국적 협력과 연대, 행동이 가능한 실제적이면서 동시에 가상적인 융합된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지정 전략 수단인 군사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확보 가능한 새로운 공간에 관한 질서 체계를 글로벌 스케일의 지정학이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Geopolitics is an academic sphere in related with human instinct closely. Everyone prefers spaces that have good climates, plentiful foods, and safe and beautiful areas. These places have gathered people, created civilizations, and glorified flourishes in view of historical facts. Nation state has to fulfill desire of the people for space, then it is good and strong state. The more powerful nation has been become, the more positive strategy has been practiced in all aspects of geopolitical national interests. Traditionally, types of geopolitics are classified as concentration, intervention, and diffusion modes. The concentration geopolitics is a strategy to maximize national interest by military power. The intervention geopolitics uses an economic tools based on sufficient military power for national profit. The diffusion geopolitics means a space management strategy through diverse soft powers for national advantage according to globalization. These are traditional in that they do not escape from power politics logic of geopolitics. A human-centered geopolitical thinking can be generated via global scale with non-political and out of power politics. Globalization is creating confused real and virtual spaces that are possible to collaborate, join, and act at transnational earth levels. Global scale geopolitics will be able to provide a new space order system without dangerous military power as a geopolitical strategic means.

      • KCI우수등재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동인: 비판 지정학을 중심으로

        박장호(Jangho Park),김은비(Eunbee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이란이 왜 핵을 개발하였는가에 대한 연구는 주변국의 안보 위협에 의한 것, 혹은 국내 정치적 다이나믹에 의한 것이라는 설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란의 국내외적 상황은 그러한 설명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지정학’의 관점에서 1970년대 이란의 핵 개발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기존 강대국 중심의 전통적 지정학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지정학적 상상력을 중시하는 ‘비판적 지정학’은, 각 국가는 ‘지정학 코드(Geopolitical Code)’와 ‘지정학 비전(Geopolitical Vision)’을 통해 국가의 지정학적 이익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한다. 이란은 국제적 수준에서는 미국과의 협력을 이룬 한편, 지역적, 국지적 수준에서는 지역 패권을 노리는 국가들을 잠재적 적으로 돌리며 이익을 최대화 하려는 지정학 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으로 정당화되면서 핵 개발을 위한 동인이 되었던 것이다. 한편, 이란 국민들은 외세로부터의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지정학 비전을 갖고 있었으며 이는 외세 트라우마의 극복과 석유자원의 공정한 분배, 수자원에 대한 생존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강화되었다. 국제적 수준에서의 지정학 코드는 이란 국민이 가졌던 지정학 비전과 충돌을 일으켜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이어지면서 핵 개발에 대한 동력을 감소시켰으나 국지적, 지역적 수준에서의 이란의 지정학 코드와 비전은 이란이 자주적으로 자원안보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핵을 개발해야 한다는 정당성을 제공해주었다. 핵 개발 동인 연구는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에서 북한 핵 위협을 안고 사는 우리에게 주는 의의가 크다. 이란의 핵 개발에 대한 비판 지정학적 접근은 핵 개발의 본질적인 동인을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핵화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데 가치가 있다. The literature on why Iran developed nuclear weapons mainly has focused on security threa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or domestic political dynamics. Bu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in Iran in the 1970s show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uch an explanation. In respon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uses of Iran’s nuclear development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eopolitics.” Critically looking at traditional geopolitics centered on existing superpowers and placing importance on geopolitical imagination, “Critical Geopolitics” is considered as a tool for each country’s creation of geopolitical interests through “Geopolitical Code” and “Geopolitical Vision.” Iran had a Geopolitical Code to maximize profits by turning countries seeking regional hegemony into potential enemies at the regional and local levels, while achieving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s was justified by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nuclear development. Meanwhile, the Iranian people had a Geopolitical Vision to secure independence from foreign powers, which was strengthened in terms of overcoming foreign forces trauma, fair distribution of oil resources, and ensuring the right to survive in water resources. Geopolitical Codes at the international level clashed with the Geopolitics Vision the Iranian people had, leading to the 1979 Islamic Revolution, but Iran’s Geopolitical Code and Vision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s gave Iran justification for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order to establish resource security independently. The research on nuclear development is very meaningful to us since we have never been out of geopolitical competition and are living under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Therefore,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to the causes of nuclear development provides a clue for denuclearization by analyzing the essential drivers of nuclear development.

      • KCI등재

        갈등과 협력의 동북아 지정학 - 동향과 과제 -

        지상현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3

        Despite the political and economic growth of East Asian countries, competition and conflicts have been continued in the region. However, even in such a situation, the level of economic dependency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states in East Asia has been increasing. This irony is well represented in the expression “exchange without cooperation”. This paper is a part of project to have a critical look on the history of cooperation in East Asia and the research dealing with this irony.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ies for the new research trends of geopolitics for peace. Geopolitics of East Asia shows the dominance of political realism, desire and frustra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excessive emphasis on classical geopolitics. Recent studies, however, suggest the reconstruction of geopolitics beyond the competition between states by emphasizing the projects to overcome the territoriality in East Asian states,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construction of East Asia, and accommodating critical geopolitics.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적·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역내 국가들의 갈등과 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동아시아의 경제적 의존관계와 문화적 교류의 수준은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러니는 “협력없는 교류”라는 표현으로 압축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동아시아의 협력의 역사와 이와 관련된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새로운 지정학 연구 동향과 평화를 위한 지정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동아시아의 지정학은 현실주의 정치학의 우세, 다자간 협력에 대한 열망과 좌절, 고전지정학적 논리의 과잉이라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의 연구들은 영토성의 극복, 동아시아의 구성의 정치적 의도, 비판지정학의 수용 등을 통해 국가 간의 경쟁의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지정학의 구성을 주장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이승욱(Seung-Ook Lee)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5

        지난 2001년 9/11테러 이후 테러와 반테러의 주요한 현장으로 도시를 주목하는 도시지정학(Urban Geopolitics)이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분단과 냉전 질서가 여전히 지배적인 한반도에서는 서구의 현실과는 상이한 지정학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냉전지정학에서는 분단과 냉전정치가 국가스케일에서 구조화되어 로컬스케일에서도 그대로 작동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고, 도시 스케일과 같이 보다 미시적 차원에서 냉전의 구체적이고 복합적인 양상은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를 중심으로 나타난 대북전단 살포를 둘러싼 갈등 분석을 통해 냉전이 국가스케일에서뿐만 아니라 도시 스케일에서 안보를 둘러싼 담론들과 실천들의 경합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음을 주목한다. 이를 통해 서구 도시지정학의 한계와 냉전과 탈냉전이 교차하고 있는 동아시아 현실에서 도시지정학의 새로운 이론적 가능성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Since September 11th, 2001, urban geopolitics has emerged as a novel approach to cities as a key sites for terrorism and counter-terrorism.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where territorial division and the Cold War order has still been dominant demonstrates the dissimilar geopolitical conditions from the West. As the Cold War geopolitics has naturalized the idea that the Cold War politics in the national scale pervades in the local scale,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specific and complex features of the Cold War in the micro scale. Focusing on the conflicts over the leaflet distribution to North Korea in Paju of Gyeonggi Province, this research pays due attention to how the Cold War has materialized through the competitions of various discourses and practices around security. This will help us to examine not only limitations of Western urban geopolitics but also fresh theoretical possibility of urban geopolitics to better grasp the East Asian geopolitics.

      • KCI등재

        전전(戦前) 일본지정학의 성립과 전개

        채수도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39 No.-

        This paper did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geopolitics of House Hopper, the prototype of Japanese geopolitics.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geopolitical logic of Sanseige Komaki of the so-called "Kyoto school" and Imoto Nobuyuki of "Tokyo school," which are the main stream of modern Japanese geopolitics. Because Geopolitics at that time began with the sense of urgency that one must secure a living space for one's own people to live in in the future, it was seen that an armed conflict was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a country advancing and expanding its national power by force. Therefore, geopolitics served as an ideological tool or means of rationalizing and justifying the imperialist invasion policy. In particular, Germany and Japan, the late developed countries, provided legitimate logic for dismantling the old order of the old American Empire and building a new order. Given the content activities of these two geopolitics groups and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members, it is judged that they were not merely academic organizations, but think tanks that theoretically supported and carried out practical activities beyond their role as an outside organization assisting Japan's foreign policy. And the final orientation of Japanese geopolitics seems to have been the theoretical basis and justification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본 논문은 일본지정학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하우스호퍼의 지정학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선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근대 일본지정학의 본류라고 할 수 있는 이른바 「京都학파」의 고마키 사네시게(小牧実繁)와 「東京학파」의 이모토 노부유키(飯本信之)의 지정학 논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당시 지정학은 자신의 민족이 미래에 살아가야하는 생존공간을 반드시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절박한 위기의식에서 태동되어 발전되었기 때문에 한 국가가 무력으로 국력을 신장하고 팽창하는 과정에 있어서 무력적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지정학은 제국주의 침략정책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사상적 도구내지는 수단으로써 작용하였으며, 특히 후발선진국인 독일과 일본은 구미제국의 구질서를 해체하고 신질서구축하는 정당한 논리를 제공하였다. 이 두 개의 지정학 단체의 내용적 활동과 회원들의 사상적 성향을 미루어본다면, 단순히 학문적 단체가 아니라, 일본의 대외정책을 보조하는 외곽단체로서의 역할을 뛰어넘어 대륙팽창정책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실천적인 활동을 수행한 싱크탱크였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일본지정학의 최종지향점은 성공적인 대동아공영권 구축과 전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에 있었다고 보여 진다.

      • KCI등재

        다중위기의 시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이승욱 한국공간환경학회 2024 공간과 사회 Vol.34 No.1

        이 논문은 한국 지정학 연구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여전히 고전지정학 접근이 지배적이지만 비판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페미니스트 지정학, 도시지정학 등 새로운 지정학적 연구가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특히 다중위기의 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지정-지경학적 전략의 함의에 대해 분석하고, 윤석열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중심으로 한미동맹에 갇힌 한국 사회의 주류 지정학 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지정학 연구가 국가중심의 전략적 접근을 넘어서 페미니즘, 포스트식민주의 등 다양한 사회이론의 성과들을적극적으로 공간과 권력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담아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정학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지정학적 갈등과 폭력이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을 뒤흔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저항들이 어떻게 지배적인 지정학적 질서를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in geopolitical research in Korea, highlighting that while the classical geopolitical approach remains dominant, new approaches such as feminist geopolitics and urban geopolitics are emerging, spearheaded by critical geographers.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new geopolitical-geoeconomic strategy of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for understanding the era of polycrisis. By examining the Indo-Pacific Strategy of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promoted by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it also critically explores the mainstream geopolitic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which seems entrenched within the framework of U.S.-ROK alliance. The paper further argues that geopolitical research should move beyond the state-centered strategic approach and actively incorporate insights from various social theories, such as feminism and postcolonialism, into the analysis of the interplay between space and power. In doing so, it posits th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geopolitics requires a focus on how geopolitical conflict and violence disrupt people’s daily lives and how resistance to these forces can transform the prevailing geopolitical order.

      • KCI등재

        “북중관계의 지정학” : 중국 지정학 전략의 ‘변화’와 대북 지정학 인식의 ‘지속’을 중심으로

        차정미(Cha, Jung-Mi)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9 동서연구 Vol.31 No.2

        21세기 중국의 부상은 중국 스스로 자국의 힘과 위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지정학 전략을 모색하게 하고 있다. 중국은 2017년 19차 당대회 보고에서 “육해통합 견지와 해양 강국 건설(坚持陆海统筹,加快建设海洋强国)”을 제기하였다. 이는 과거 대륙국가에만 머물렀던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을 탈피하고 해양국가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육해통합(陆海统筹)”은 대륙국가와 해양국가로서의 인식과 전략을 통합하는 중국의 새로운 지정학 담론이 되고 있다. 중국은 21세기 중엽 글로벌 강대국이 되겠다는 중국몽과 함께 이에 부합하는 자국의 지정학적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지정학 전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과 담론은 과거 ‘순망치한’이라는 방어적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정세에도 불구하고 중국에게 한반는 여전히 강대국의 침략을 방어하는 ‘완충지대’라는 전통적 지정학 인식이 지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한반도 정세변화 속에서 중국이 북한의 전략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하고 대북 우호외교를 강화하고 있는 모습은 전통 지정학의 지속을 보여주고 있다. 청조말기 중국대륙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동방세력의 도전을 막아주는 완충지대로서 한반도를 인식하였던 중국은 이후 중국을 둘러싼 강대국경쟁에 있어서 한반도가 적대적 혹은 경쟁적 강대국의 대중국 침탈을 방어하는 완충지대라는 인식을 견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이 국력의 부상과 함께 ‘육해통합’이라는 새로운 지정학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은 전통지정학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주목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청조말기부터 1980년대초 중소분쟁 시기까지의 한반도와 북한에 대한 중국의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 21세기 미중경쟁 시기 북한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과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강대국화에 따른 지정학 전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고 있는 중국의 대북 지정학 인식을 고찰한다. China s rise in the 21st century is prompting China itself to seek a new geopolitical strategy that conforms to its power and status. In its report to the 19th Party Congress in 2017, China raised the view of land and sea integr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maritime powerhouse. The move is aimed at breaking away from China s geopolitical perception, which has stayed only in continental countries in the past, and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a maritime state. This land and sea integration has become China s new geopolitics discourse that integrates perceptions and strategies as continental and maritime states. Along with China s dream of becoming a global power in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China is creating a corresponding geopolitical identity for itself. However, despite these changes in China s geopolitical strategy, geopolitical perceptions and discourse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not escaped the defensive discourse of pure in the past. Despite the ongoing peac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precipient zone still defends the invasion of the powerful nation is working for China. Amid the changing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hina is once again evok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North Korea and strengthening friendly diplomacy with the North, which shows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al geopolitics. China, which recognized the Korean Peninsula as a buffer zone to fend off the challenges of Eastern powers seeking to advance to the Chinese continent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has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a buffer zone to defend the invasion of China by hostile or competitive powers in the competition over China. This paper notes that despite China s search for a new geopolitical identity of land and sea integration with the rise of its national power, its geopolitical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till remains beyond traditional geopolitics.

      • KCI등재

        반도의 숙명: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

        지상현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3

        반도(半島, peninsular)의 사전적 정의는 주위가 거의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의 돌출부를 말한다. 그러나 반도의 지정학적 해석은 단순한 육지와 해양의 분포와 배치를 넘어서게 된다. 국가의 위치가 국가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환경(지리)결정론적 지정학은 지정학의 초기 발달단계부터 지정학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였으나, 제 2차대전 이후 논리적 비약과 과학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담론 중 하나인 이른바 ‘반도의 숙명’은 이러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한반도의 위치적 특성 때문에 우리 민족은 끊임없는 침략에 시달려 왔으며, 우리의 운명은 외부 세력의 팽창과 수축에 달려 있다는 논리가 반도의 숙명론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 비해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에 의해 더 빈번한 침략을 받았는가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국제 전쟁을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반도에 위치한 국가가 침략에 노출되어 있다는 반도의 숙명론은 근거가 미약한 것임을 보여준다. The definition of a peninsular is a piece of land that projects into a body of water. The geopolitical interpretation of peninsular, however, does not simply mention the location of land and ocean. A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at argues the destiny of a state is determined by where the state is located has been a mainstream in the discipline of geopolitics.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has been severely criticized since it was built on logical jumps and weak scientific evidences. The so-called ‘destiny of peninsular’ that is the pivotal discourse in Korean geopolitics, however, shows the strong legacy of the geographically deterministic geopolitics. The key thesis of the destiny of peninsular is Korea has been frequently invaded because of the location of Korean Peninsula. Thus, the argument developed into the statement that the destiny of Korea is determined by the rise and falls of land and sea pow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ates located in peninsulas are more likely to be invaded by land and sea powers. Using data that include wars after Napoleonic war, this study shows that the destiny of peninsular receives little support from quantitative evid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