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과 개인정보 보호 ― 헌법 및 개인정보 보호법적 검토 ―

        손영선 ( Son Youngsu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法學硏究 Vol.34 No.2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created a traditional but difficult-to-solv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technology and the law. This aspect intensified with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represented by Chat GPT, which showed performance that was a step forward from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new problems that did not arise before. In particula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caused major problems in the fiel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relation to personal informati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basic rights of freedom of choi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 for those who develop and operat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ight of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ubjects, and furthermore, the right to combine personal information with copyrighted works. In this case, a conflict of basic rights, inclu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ll arise between various ent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problematic situations are expected to occur frequently, but it is currently realistically difficult to resolve such problems through constitutional t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uthority of the existing institution or resolve it through a separate institution, and in this proces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so that each subject can solve the problem on an equal footing. Looking at the issu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whether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matters can be cover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the aspect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You can look at it by dividing it into the output side. Issues of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d at the time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of pseudonymous information, and introduction of fair use law under the Copyright Act may be discussed. A solution to this problem may be revising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 enacting additional legislation to address insufficient legislation. Even when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as a resul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may be cases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outpu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opyrighted works. In this case, if the exist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applicable, the current law applies. In the case of a legislative gap, legislation appropriate to the problem situation will be needed. Nevertheless, ultimately, an appropriate balance will be needed so that the legal system can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information subjects without becoming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Key

      • KCI등재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관계 정립 방향

        윤종민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3 江原法學 Vol.73 No.-

        생성형 인공지능인 챗GPT가 공개된 이후 인공지능을 둘러싼 법률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저작권분야에 있어서도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이 일반에게 널리 공개‧유통되고 인공지능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가 현실화되면서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다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소위 인공지능과 관계된 저작권 논쟁이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한 권리‧의무의 귀속 등 저작권관계에 관한 그동안의 논의들을 분석‧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산업의 원활한 발전과 인공지능 창작물의 효과적인 보호 및 활용체계 구축 등 인공지능과 저작권법의 적용관계를 조화롭게 운영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한 권리관계는 인간 중심의 저작권법원리에 입각한 법해석론적인 견해와 입장으로 인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는바 인공지능 창작물의 효과적인 보호와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인 저작권제도의 정립을 위한 보다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둘러싼 다양한 법률문제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리적 해석에 의한 접근보다는 입법정책적인 결단을 통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즉, 현행 저작권법제도의 운영원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인공지능 창작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그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법률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기 위해 저작권법의 발전적이고 보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창작한 저작물을 저작권법상의 저작물로 포섭하여 법적인 보호대상으로 하고, 해당 저작물에 대한 권리의 귀속 및 배분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며, 인공지능의 저작물 창작 및 서비스 등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저작권 침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권리구제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Since the release of ChatGPT, a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est in legal issues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ield of copyright, as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re widely disclosed and distributed to the public and copyright infringement problem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 a reality, the problem of how to treat 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emerging as an issue again. This is a copyright controversy related to so-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is article, we analyze and evaluate the current discussions on copyright relations, including the attribu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for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find ways to harmoniously op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pyright law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and the effectiv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So far, the rights relationship for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t been properly responded to due to legal interpretation views and positions based on human oriented copyright legal principle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 protection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a more practical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copyright system future-oriented. In the current situation, in order to smoothly respond to various legal issues surrounding work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seems desirable to reorganize laws and systems through legislative policy decisions rather than an approach based on legal interpret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and smoothly resolve various legal problems arising therefr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ement the copyright law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current human oriented copyright law system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establish the copyright relationship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the 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included as works under the Copyright Act and be subject to legal protection, the ownership and distribution of rights to the works must be appropriately established, and the rights relief system must be in place to resolve copyright infringement issues raised in relation to the creation and service of works by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법원 판결 분석과 저작권 쟁점 검토 - 北京互联网法院(2023)京0491民初11279号 (Li v. Liu) 판결을 중심으로 -

        황선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24 産業財産權 Vol.- No.77

        오랜 시간 중국을 비롯하여 미국, 한국, 일본 등 대다수 국가는 인간 의 사상과 감정이 표현된 인간의 창작만을 저작물이라 하고, 인간만이 또는 예외적인 경우 법인만을 저작자로 인정했다. 그러나 2022년 말 생 성형 인공지능이 갑자기 등장하면서 그동안 우리가 지켜왔던 인간만의 창작 영역이 생성형 인공지능에 의해 빠르게 대체되는 상황들이 발생 하면서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한 창작물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 지에 대한 저작권법적 고민이 많아졌다. 중국 베이징인터넷법원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창작물 보호를 긍정하 는 판결을 내려 전 세계의 관심을 받았다. 본문에서는 관련 판결을 구 체적으로 소개하고, 저작권법과 관련된 쟁점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진행된 인공지능과 관련한 판결에서 중국 법원은 미국 및 대다수 국가 와 마찬가지로 저작권법상 저작자의 지위는 인간만이 가질 수 있고,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임을 분명히 하였다. 중국 법원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저작자로 인정하겠다거나 생성형 인공 지능 창작물 모두를 창작성이 있는 저작물로 인정하겠다는 것이 아니 라, 생성형 인공지능 창작물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창작물을 구분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가 변하는 상황에서 중국 법원 판결은 인간이 창작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분명히 하면서도 인공지능을 도구로 인정하여 적 극적으로 저작권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라 할 것이다.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생성형 인공지능 생태계가 마련되어 가는 지금 단계에서는 향후 기술이 얼마나 진보할 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콘텐츠 사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저작권법과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 으로의 논의가 필요하다. For a long time, in China, the United States, Korea, and Japan, only human creations that express human thoughts and emotions are called works. In addition, only humans or, in exceptional cases, corporations were recognized as authors. However, with the sudden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end of 2022, the human-only creative area that we have been protecting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rns about copyright law are increasing as to how to interpret creations made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ina's Beijing Internet Court has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for rulings to protect creations made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ain text, the relevant rulings were introduced in detail, and issues on copyright law were also examined. In its rul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hinese court, like the United States and most countries, made it clear that only humans can have the status of authors under copyright law, and that works are creations that express human thoughts or emotions. The Chinese court does not mean that it will recogniz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author or that it will recognize all creations made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creative work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and creation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tect them. As technology advances and society changes, the Chinese court ruling made it clear that humans should be the subject of cre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tively recognized as a tool to solve copyright-related problems.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currently developing rapidly, and its ecosystem is being established. Now, no one can predict how much technology will adva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minimize the gap with copyright law so that the content busines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an develop.

      • KCI등재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법적취급 차별화 방안 검토

        김현경(Hyun-Kyung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2

        인공지능은 사람이 만들어 낸 창작물과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의 창작물을 대량으로 생산해 내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 제도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인공지능 창작물의 경우 작가의 인격적 개성이 발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독창적 노동’이라는 것도 인격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인공지능 자체의 인격적 보호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작권 제도의 인용은 타당하지 않다. 창작유인의 기반이 되는 ‘저자로서의 의지·의도’ 역시 인공지능에게는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인공지능 창작물은 인간의 창작물과 그 법적 취급에 있어서 동일하게 취급되어서는 안 되며 차별화 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창작물을 ‘보호’하여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저작권 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보호할 필요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인공지능 또는 그 창작물이 생성, 발전되도록 투자를 보호할 필요성은 인정된다. 따라서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하여 일정한 보호를 부여한다면 그 보호주체는‘해당 인공지능의 창작물 제작에 상당한 투자를 한 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에게는 저작권자와 같은 독점배타적 물권보다는 보상청구권 형태의 약화된 보호가 타당하다. 한편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하여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창작물이라고 거짓으로 주장하는 경우,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하여 특별히 식별할 수 있는 방안이나 제도가 없는 한 그 진위를 밝히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차별적 취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인공지능 창작물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일정한 식별제도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창작물을 인간의 창작물로 허위 공표·등록하여 보다 강한 보호를 받으려는 유인이 큰 만큼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하여는 인간 창작물과 구분하기 위한 자동적·강제적 식별제도가 도입되어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es works on a level that is almost the same as human-created works. However, in the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the personality of the author does not appear in the light of the essence of the copyright system. Also, since ’creative labor’ comes from author’s personality, it is not reasonable to apply the copyright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without the protection on person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self. ‘Willingness and intention as an author’, which is the basis of creative incentives, is also not compatibl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should not be treated the same way as Creatures by humans, but differentiated. There is no need to protect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in terms of whether they should be “protected” in light of the intent of the copyright system.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vestment to create and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Therefore, if a certain protection is given to artificial intelligent generated works, the subject who enjoys the protection can be a person who invested heavily in the produ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For them, the weakened protection such as monetary claim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exclusive rights such as copyrights. On the other hand, if a person who has control ov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claims to be his or her own creation,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reveal the truth unless there is a system to identify the artificial intelligent generated works. Therefore,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legal trea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identification system is needed so that users can distinguish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from human creativ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automatic and compulsory identification systems are introduced to distinguish human artworks from them.

      • KCI등재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의 발명자성에 대한 소고

        이상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22 産業財産權 Vol.- No.71

        Under Korean patent laws, a patent right is initially vested in an inventor,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patent right needs to be review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recipient can be qualified as an inventor. This paper reviews three philosophical justifications for patent rights and applies them to artificial-intelligence-generated inventions and concludes that an inventor should be a natural pers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s inventorship is not justified. First, under Locke's labor theory, every human being has property rights to his own person from birth and can expand his ownership, including patent rights, through his manual or mental labor.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man-made object and does not have any basis for expanding property rights therefrom through labor as it is bereft of any innate rights whatsoever to own itself. Under Hegel's personality theory, a natural person has "the right to direct his will upon any object" and is a bearer of free will, which also can be a basis of the right to a patent. Free will is not merely the act of calculation, it's a reflection of Being itself.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have such self-purpose and dignity as human beings have and thus cannot be justified as an inventor. Under Bentham's Utilitarian view, it is presumed that an individual responds to incentives, and that this response benefits society. However, artificial intelligence lacks any motivation to devise an invention seeking a monopoly. One might argue that if artificial intelligence's inventorship is denied and no natural persons are qualified as an inventor and no one would be able to reap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 invention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t might be concerning as this will diminish scientists' motivation to develop the technology and eventually lead to a failure to maximize the utility in society as a whole. However, scientists' efforts should be protected only to the extent appropriate to their contributions. No one should be granted the rights to an invention that he or she has not contributed to. Otherwise, o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aches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or ASI (artificial superintelligence), only small number of owners would enjoy the limitless fruits of such artificial intelligence. Additionally, once artificial intelligence gains legal status, it can expand its rights boundlessly in society, which would pose a menace to humankind. In these cases, the inventorship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denied under the Utilitarian view as it fails to maximize its utility in society. Accordingly, it is submitted that only natural persons are eligible for an inventor. If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s an invention with no human contribution, the invention becomes the property of the public. However, if a natural person's contribution is insufficient to satisfy the inventorship requirement, it may be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inventorship to include partial contributions from natural persons. In this regard, the work for hire doctrine under copyright provides a hint on how to enlarge the boundary of inventorship. It is suggested that a natural person employer who defines a problem and plans to find the solu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reative employee, should be credited as an inventor under the ‘invention for hire’ doctrine even if his contribution to a conception of an invention does not meet the current inventorship requirements. 특허법에 따르면, 특허권은 원시적으로 발명자에게 주어지므로 특허권의 정당성을 논함에 있어 권리를 받는 자가 발명자로 인정되어 권리를 누리는 것이 합당한지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는 특허권에 대한 세 가지 철학적 정당성을 검토하고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에 적용하여 오직 자연인만 발명자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인공지능의 발명자성은 정당화되지 못한다고 결론 내렸다. 먼저, 로크의 노동이론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생득적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재산권적 권리를 가지며 특허권을 포함해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노동을 통해 소유권을 확장해 나갈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사람이 만든 객체에 불과하여 자기 자신으로부터 노동을 통해 확장할 수 있는 어떤 내재적 권리의 기반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헤겔의 인격 이론에 따르면 자연인은 자신의 의지를 객체에 투영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특허권의 근거가 되는 자유의지의 담지자이기도 하다. 자유의지는 단순한 정보의 선택을 의미하지 않으며 존재 자체로부터 나오는 자기 자신의 목적의 투영이다. 인공지능은 인간과 같은 자기 목적성이나 존엄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발명자로 정당화될 수 없다. 벤담의 공리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유인에 반응하는 존재로 상정되며 이러한 인간의 반응이 사회의 유용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이러한 유인에 반응하여 발명의 독점권을 추구하는 존재가 아니다. 혹자는 만약 인공지능의 발명자성이 부정되고 발명자로 인정될 수 있는 자연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누구도 인공지능이 발명한 결과물에 대한 유익을 취할 수 없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기를 저하해 사회 전체 유익이 최대화되지 못한다는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고 염려할 수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의 노력은 그에 상응하는 정도의 보호만 받을 필요가 있다. 누구도 자신이 발명하지 않은 것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는 없다. 인공지능기술이 초인공지능 내지는 강인공지능에 이르게 되면 소수의 사람이 인공지능이 개발한 열매를 누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이 자신의 법률적 지위를 가지게 되면 특허권은 자신의 발명에 대한 권리를 사회에서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가 있고, 이는 인류가 위협될 수 있다. 이 두 경우 모두 인공지능을 발명자로 인정하는 것은 부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사회 전체적 유용성을 최대화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인만 발명자로 인정받아야 하며, 만약 인간의 개입 없이 인공지능에 의한 발명이 이루어지면 이는 결국 공공재로 취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인이 인공지능을 사용하며 발명에 이르는 과정을 기획한 경우의 비록 발명의 착상에 대한 발명자의 기여가 비록 발명자 요건을 만족시키는 정도는 아니라 하더라도 발명자성의 범위를 보다 확대하여 발명자성을 부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하겠다. 이와 관련해서 저작권법의 업무상 저작물 제도는 발명자성의 외연을 넓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본 고는 자연인 사용자가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인공지능을 창의적 근로자로 사용한 경우 해당 자연인의 발명 착상에 대한 기여가 비록 특허법에서 요구하는 발명자성에 미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업무상 발명(invention for hire)제도를 통해 발명자로 인정해줄 것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저작권의 관점에서 본 생성형 인공지능의 저작자성과 창의성에 대한 고찰

        신홍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70

        이 연구는 인공지능 관련 저작권에 대한 법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의 예술적 활용에 나타난 저작자성(authorship)과 창의성(creativity)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인간과 도구의 관계를 제시한‘창작-생성 스펙트럼(Creation-Generation Spectrum)’을 통해 인공지능 창작물의 범위와 저작권 성립에 대한 논의에서 창작과 생성에 대한 연속적 관점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현행 저작권법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은 ‘인간 창작자’가 아니므로 저작자성을 인정받지 못하지만, 창작물에서 인공지능을 공저자로 공표하는 사례는 윤리적 차원에서 저작인격권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의 산출물이 인간의 산출물과 구분되지 않는다면 튜링테스트를 통과한 것에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저작권의 보호대상이 최종 결과물의 창작성인 이상저작권 성립에 인간 창작자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지 재검토가 필요하다. 미국 저작권법에서 독창성(originality)이 작품에 대한 저작자의 기여인 반면창의성은 작품 그 자체의 성격이라는 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창작물의 창의성을 저작자성과 분리시켜 논의할 가능성이 열린다. 또한 독창성과 창의성은 저작권의 성립에 있어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창작-생성 스펙트럼에서 인공지능의 자율성이 강해지며 인간의 독자적 개입이 줄어들수록 결과물에 나타난창의성의 기준을 더 엄격히 판단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처럼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인간의 저작물을 전제로 한 저작권법 체계와 인공지능의 예술적 자율성 및 창의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며, 저작권법의 입법 목적인 문화 및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화기술적 리트머스 시험지로 기능하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legal discussions on copyright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and creativity in the artistic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by utilizing the ‘Creation-Generation Spectrum’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ools, this study establishes the importance of adopting a continuous perspective on creation and generation in discussions surrounding the scope and copyrigh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a ‘human creator’ and therefore its authorship is not recognized. However, case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nounced as a co-author in a creative work can be seen as recognition of moral rights from an ethical perspective. Moreover, if the output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indistinguishable from human creations, akin to passing the Turing Test,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creators should remain a prerequisite for copyright establishment. Given that copyright protection primarily centers on the creativity manifested in the final product, such considerations become imperative. Under U.S. copyright law, creativity pertains to the inherent qualities of the work, while originality is attributed to the author’s contribution to the work.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discuss the creativity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separately from authorship. In addition, since originality and creativity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in the establishment of copyright, as the autonomy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stronger in the Creation-Generation spectrum and independent human intervention decreases, this suggests the need to more strictly judge the standards of creativity shown in the results. Consequently,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rompts fundamental inquiries into the copyright framework rooted in human creations, alongside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artistic autonomy and crea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henomenon functions as both a cultural and technological litmus test, aligning with the legislative intent of Korean copyright law aimed at fostering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KCI등재후보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영화제작과 그 미학적 가능성

        정인선 ( Jung In Sun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24 디지털영상학술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 등장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영화제작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공지능 발전의 역사를 연구하였고,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를 비교 분석했다. 또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영화제작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의 부족을 확인하고, 영화제작에 인공지능을 직접 활용해 보고 그 결과를 연구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발전과 발전 방향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영화제작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영화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Open AI, Google 등과 같이 많은 정보를 이미 소유하고 있는 거대 IT 기업이 만든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영화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기존의 시나리오 작성 등 몇몇 제한된 작업에서 벗어나 컷 구성, 촬영 계획의 효율화 등 다양한 영화제작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이 발생시키는 할루시네이션 또는 변칙 데이터 제공을 통해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영화미학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consider how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in film production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tudie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comparatively analyzed films that currently us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film texts that us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do not.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ree important fact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lack of specific data on film produ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mpirically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directly in film production and reflected the results in the research. Firs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be fully utilized in film production, a greater amount of learning about movies is needed. To learn more information like this, it is expected that movie production will be possibl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ed by companies that own huge information such as Open AI and Google. Secon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ith the introduction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t has become possible to use it in various fields of film production, such as composing cuts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hooting plans, beyond some limited tasks such as writing existing scenarios. Lastly,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new film aesthetic that did not exist before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vision of hallucination or anomalous data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금융법의 규제방향 -금융에의 이용과 그 너머의 과제들-

        이정수 ( Lee Jungsoo ) 한국금융법학회 2024 金融法硏究 Vol.21 No.1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적능력을 대신한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로서 시스템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수준 이상의 자율성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인공지능은 초기에는 가상의 아이디어였지만 점차 현실화 되고 있으며, 최근 상당한 자율성을 내포한 범용, 생성형 인공지능이 등장함에 따라 법적으로도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금융은 대량의 디지털화된 정보가 생성되고, 의사결정구조가 이익추구라는 측면에서 명확하여 상대적으로 인공지능의 접근과 이용이 용이한 영역이다. 실제로 금융에서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각 업권에서 인공지능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다만, 금융의 현실과는 달리 금융법적으로는 논의가 더딘 상태이며, 금융위원회 등 감독당국에서 연성법으로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공지능의 금융에의 이용에 있어 일반적인 장애요소는 다른 규제법과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의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과 같은 문제이고, 이에 더해 특유한 문제로 금융법의 거래규제(대면, 인간), 업자규제(인적, 물적요건), 감독규제(행위, 행위자책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애에 대해 큰틀에서는 원칙 중심, 위험 중심 원칙에 따라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에 있어 핵심적인 사항은 경성법으로 규율하고, 그 외 사항은 연성법의 영역으로 남길 필요가 있다. 한편, 금융에의 이용을 위해 업무규제, 판매규제 등 일부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수정, 보완도 요구된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향후 시장안정성이나 플랫폼의 지배 등 거시적 문제 및 은행에서의 차별과 소외, 증권에서의 수단의 불평등 등 미시적 문제를 비롯해 종래 경험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각각에 대해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른 규제양상을 예측하고 그에 적합한 규제체계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인공지능은 금융규제의 측면에서 위기이자 기회이기도 한 바 레그테크, 섭테크와 같이 새로운 기술적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가 필요하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주로 인공지능의 금융에서의 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는바, 인공지능의 규제수단으로의 활용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refers to hav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autonomy,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computer programs as software and systems as hardware, for the purpose of problem solving in place of human intellectual a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was initially a virtual idea, but it is gradually becoming a reality, and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general-purpose 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ctive legal discussions are also being developed. Finance is an area where a large amount of digitalize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is clear in terms of profitseeking, so it is relatively easy to access and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fact, in finan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tively used in each business sector such as banks, securities, and insurance. However, contrary to the reality of finance, discussions are slow in terms of financial law, and supervisory authorities such a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re preparing guidelines as soft law. Common obstacles to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like other regulatory laws, are issues such as fairnes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special problems include financial law's transaction regulation (face-to-face, human), business regulation (human and material requirements), and supervisory regulation (action and actor responsibility). In the big framework for these obstacles, key matters in fairnes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need to be regulated by the hard law in accordance with principle-based and risk-based principles, and other matters need to be left in the realm of soft law.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revisions and supplements are also required for some of the business regulations and sales regulations for the use of AI in fin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blem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before may arise, including macroscopic problems such as market stability and platform dominance, financial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n banks, and inequality of weapons in securitie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regulatory patter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ach and prepare an appropriate regulatory system in advance.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ivel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new technological means such as RegTech and SupTech, which are both a crisis and opportunity in terms of financial regulation. However,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industry, a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regulatory means will be a future research project.

      • KCI등재

        Exploring Applications and Trend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조장환,백승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Recentl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been the subject of extensive research over many years, is now being widely employed in various industries. The aims to enhance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Especially with the release of Chat GPT, major tech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ir efforts to utilize generative AI to dominate the market. As new technologies emerge, bringing various changes, it is crucial to accurately underst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 its current applications. This study, therefore, sets out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shifts in human behavior, focusing on generative AI as a leading technology,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methods. Researching the evolving trends of generative AI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rapid advance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and predicting the direction of future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dict future societal trends by understanding the rapid advancements in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in generative AI.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of generative AI across various industries. First, we explore its application in enhanc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Generative AI has the ability to generate new content using various forms of data such as text, images, and voice. Consequently, platform companies utilize it to offer diverse services, while industries adopt generative AI to enhance operational efficiency. Moreover,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generative AI is used to create new creations in areas such as game development, film production, and advertising. Meanwhile, this study also anticipates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generative AI on society. Ultimately, generative AI may bring about technological singularity, surpassing human intelligence. In the near future, AI may replace simple labor and complex tasks involving calculation and creativity, redefining the roles of humans. However,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may also raise various societal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human-centered thinking, carbon emissions, security, and infringements. Therefore, to ensure that technological advancements align with human-centered values and are utilized harmoniously, it is essential for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to support various educational initiatives for the public to prevent the marginalization caused by technology. Additionally, developing eco-friendly energy sources and implementing various other improvement measures are necessary.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AI)과 지적재산권의 새로운 쟁점 -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차상육 ( Cha Sang-yook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인공지능(AI)이 지적재산권법에 던져준 화두는 적지 않다. 첫째, 인공지능이 생성한 창작물 내지 콘텐츠에 대해서 저작물성을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부터가 문제된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에게는 사상이나 감정은 없으므로 자율적 인공지능이 만든 창작물이라 하더라도 현행 저작권법 제2조의 정의규정에 의하면 보호대상이 될 수 없지 않느냐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생성한 창작물에 대해 그와 같은 자율적이고 강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투자한 제작자의 보호방안은 전혀 없는가 하는 것이 문제된다. 둘째, 인공지능이 생성한 기술정보 예컨대 발명의 경우(디자인도 마찬가지이다), 현행 특허법상 보호대상이 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그런데 현행 특허법 제33조에 의하면 발명을 한 자(者) 또는 그 승계인(承繼人)이어야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결국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자는 자연인 내지 법인을 상정하고 있는데 인공지능은 자연인 내지 법인이 아니므로,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생성한 발명이라 하더라도 현행특허법상으로는 특허를 받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결국 현행 지적재산권법 아래에서는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생성한 창작물이 콘텐츠이든, 기술정보이든 권리대상적격을 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없지 않다. 만약 그렇다면 입법상의 흠결상태와 보호필요성의 간극을 어떻게 메울 것인가 하는 과제가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빅데이터와 이와 결합한 인공지능(AI)의 예측하기 어려운 발전속도와 그 기능의 확대에 맞추어, 특히 우리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예측가능한 몇 가지 법적 쟁점을 살펴볼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저작물이나 발명이 저작권법이나 특허법으로 보호되는 것과 달리, 자율적인 강한 인공지능이 생성한 저작물이나 발명은 현행의 저작권법이나 특허법 체계 하에서는 양자 모두 보호받기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지적재산권법에 있어서 새로운 보호방안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here are many topics about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First, there is a question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can be copyrightable.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 ideas or emotions, even if it is created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arises a question of whether it can not be protected under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current copyright law. If so, then there is a issue about whether there are any protection measures for the producer who developed and invested for such autonomously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 there is a question whether technology information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such like inventions, designs, can be protected under the current patent law. However, Article 33 of the current Patent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has made an invention or a successor must have the right to obtain a patent under this Act. In the end, the person who can get a patent is presuming natural persons or corporations. Sin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a natural person or a corporation, there arises a issue that even if an invention i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ly,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atent under the current patent law. In the end, under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aw, It is assum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an not be protecta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autonomous creations are the contents or the technical informations. If so, the challenge is how to bridge the gap between legislative deficiencies and the need for protection.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several legal issues that can be predicted, especially focused on our copyright law, in conjunction with the unpredictable growth rat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ich associated Big Data. Unlike traditional works of art or inventions whose works or inventions are protected by the Copyright Act or the Patent Act, none of two availabl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copyright or patent - protect the autonomously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ted works or inventions. So we have a challenge to find new safeguard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