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대한 통합모형

        정승민(Jeong Seung M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3 No.2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범죄와 성차이, 특히 청소년비행에 있어서의 성차이를 주요 범죄학 이론과 기존의 경험연구들을 토대로 그 원인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성차이가 범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보다 비행의 가능성이 왜 더 높은지 등을 사회통제이론, 권력통제이론 등 가부장적 가정에서의 성차별적 통제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중요한 것은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이론들간의 통합적인 논의를 고려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역할사회화론과 기타 주요 범죄학 이론들을 적용하는 등 기존의 국내외 논의들을 재정리하여 청소년비행의 성차이를 밝혀낼 수 있는 통합모형을 고안해내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BR>  권력통제적 사회화라는 관점을 통하여 사회통제이론, 성역할사회화이론, 차별접촉이론, 범죄기회이론, 억제이론, 중화이론 등에서 제시한 주요 변인을 재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의 통제나 감독이 범죄에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라 성역할에 대한 태도, 비행친구와의 접촉, 범죄기회에의 노출, 처벌에 대한 인지도, 비행에 대한 중기제 등의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비행에 있어 성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가정에서의 통제를 덜 받는 남자청소년은 통제를 많이 받는 여자청소년보다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다르며 위험추구성향이 높고, 처벌의 위협을 덜 인지하며 비행친구와의 접촉과 범죄기회도 잦으므로 범죄의 가능성은 높을 것이라는 모형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남성다움은 비행에 대한 중화기제의 발전이나 범죄에 대한 허용적 태도 및 처벌에 대한 두려움 감소 등 법위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인간관계 중심이므로 타자와의 관계를 염두하며, 타자 또는 부모의 부정적인 반응을 고려하게 되므로 범죄의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을 것이다.<BR>  그러나 남녀 청소년에 따라 범죄의 원인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남자청소년의 경우에는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많을수록 비행을 많이 경험하거나 그 가능성이 높을 것이며, 여자청소년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비행을 많이 경험하거나 그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crimes and particularly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juvenile delinquencies, which has been rarely addressed in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major criminological theories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and to fin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That is, we examined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crimes, why the possibility of crimes is higher in male adolescents than in female adolescents,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genderbased discrimination control at home and crime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and the power control theory. As each theory has validity to some degree, we can consider integrated discussion on the theori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focused on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gender role socialization and other major criminology theories and formulating a integrated model for determining gender difference in juvenile delinquencies.<BR>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ization of power control,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crimes can be redefined using issues raised in the social control theory, the gender role socialization theory, the discriminative contact theory, the crime opportunity theory, the deterrence theory, the neutralization theory, etc. It should be noted that control or supervision at home is not a direct factor on crimes but gender difference in crimes is caused by intervening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exposure to crime opportunities, awareness of punishment and intermediate mechanism of delinquencies. That is, compared to female ones controlled more at home, male adolescents controlled less at home have a different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show a stronger tendency of pursuing risks, are less aware of punishment, and have more contacts with delinquent friends and crime opportunities, and consequently they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crimes. In addition, masculinity has an a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the violation of the law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sm neutralizing delinquencies, permissive attitude toward crimes and reduced fear of punishment, and because women are more human­relation­oriented than men, they consider their relation with others and the negative response of others or their parents and this leads to a lower possibility of crimes in women.<BR>  However,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causes of crimes may b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e may consider the research model that experience in delinquencies will be more frequent and the possibility of crimes will be higher when they contact delinquent friends more in case of male adolescents, and when they are controlled more at home in case of female adolescents.

      • KCI등재

        Gender Differences in Risk Attitudes in Hypothetical and Real Financial Decisio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황욱,이진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This paper experimentally investigated whether a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s existed for Korean students and whether a hypothetical bias, which may be defined as subjects' tendency to be less risk averse in a hypothetical decision-making situation than in a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existed. Moreover, we investigated if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bias. In the course, we checked the validity of a self-reported risk measure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the gender difference. While there have been many experimental studies both on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s and on hypothetical bias in risk attitudes done in U.S. and Europe, it may not be certain that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are directly applicable to Korean since a cultural difference may affect it. In this aspect, this experimental study for Korean could contribute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and hypothetical bias of Korean. This study found that women tended to be more risk averse than men in a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a hypothetical situation. This study also found strong evidence that a hypothetical bias existed for both men and women, tha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hypothetical bias and that hypothetical self-reported risk attitudes were not able to predict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real decision-making situation.

      • KCI등재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남녀의 수면시간과 관련 요인 탐색

        은기수,차승은 통계청 2010 통계연구 Vol.15 No.2

        This study describes gender difference in sleep time in Korea. This also explores covariates of sleep time in everyday life. For this study we employ the 2004 time-use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ime diary for those aged 20 and more was analyzed to discern the gender difference in sleep time. Sleep is usually assumed as one of biological phenomena for human beings, taking much time as an individual activity in daily lives. However, sleep is socially constructed in 27/7 society where sleep is often constrained to meet the demands of everyday life. Thus, sleep is regarded as one of the socially constructed in this study. With this new perspective, we can expect gender difference in sleep time because of different treatment of gender in the labor market and traditional gender role which is overburdened for females in Korean society. This results in unequal time of sleep in Korea. Testing hypotheses, we find that sleep time is not equal by gender. Unlike many Western societies where males have less sleep time than females, females are likely to sleep less than males in Korea. This is a very significant finding in sleep study, 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and analysis beyond gender difference in sleep time. 수면은 생물학적 현상으로 하루 24시간의 일상생활 중 단위 활동으로는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활동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24/7 사회로 진전되고 개인의 일상생활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면서 수면도 더 이상 생물학적 현상만으로는 이해되지 않는다. 가족생활서 성에 따른 역할이 다르고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노동시간, 노동지위의 차이도 존재하며 생리학적 차이가 겹치면서 성에 따른 수면시간의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수면시간량에서의 성별 차이과 남녀의 수면시간과 관련있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통계청이 지난 2004년에 실시한 생활시간조사의 원시자료 가운데 20세 이상 남녀의 이틀째 자료 (n=25,741)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 한국 사회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수면시간이 약간 더 짧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의 수면시간량과 관련있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구성에서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차이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젠더 트러블과 성차의 윤리

        이명호 영미문학연구회 2006 안과 밖 Vol.0 No.21

        This essay attempt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sexual diffe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argues for its ontological and ethical possibility for women’s liberation. Judith Butler erases sex and sexual difference, claiming that sex is not biologically given but always already socially constructed. She replaces sex by gender, and makes “gender trouble” with the binary gender identity accepted as the norm in the heterosexist society. She attempts to show that “unmourned” melancholic homosexual love is already incorporated and identified in heterosexual gender, so that no clear line can be drawn between homosexual and heterosexual identities. Unlike Butler, Jacques Lacan and Luce Irigaray keep the category of sexual difference. Their concept of sexual difference means not so much the gender identity, the so­called masculinity or femininity that the Symbolic order confers on the subject, as the failure of that very identity, through which unconscious sexuality called the Real by Lacan erupts. Sexual difference indicates one’s relation to the failure of the Symbolic which is not neutral but sexually divided. The feminine jouissance in Lacan and the disruptive excess of the feminine in Irigaray indicate the repressed remainder in the masculine symbolic order. Though making trouble with gender identity constructed by the symbol order, I argue, Butler eliminates sexual difference located in the Real. The ethics of the feminine represented by Antigone signifies individual woman’s attachment to her own singular desire, which remains “other” even to herself and cannot be totalized under the universal category of Woman.

      • KCI등재

        조선후기 형사법상의 젠더gender 인식과 여성 범죄의 실태

        유승희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3 No.-

        This study aims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gender order of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shown in women crimes. According to the criminal law, the gender order of Joseon Dynasty is established in dualistic frame of society(outside the family) and family. Given a victim and an offender of a murder case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differences, if a slave or a kogong(雇工) kills a master, the position of the slave or the kogong who are doers only cause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riminal law but punishment is equally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This murder cases is well shown in the process of the actual trial, so women in various positions and levels are fairly judged just like men. In case of women crimes outside the home, women are judged in the equal conditions instead of being differentiated, protected, and relieving responsibility as an inferior being to men. On the contrary, gender differences of a victim and an offender in women crimes outside the home are problematic. However, the penalty is just differently applied not only in the penal code about brothers & sisters and kinsfolk except conjugal relations in a family but also in the process of the actual trial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kinsfolk and elders & younger people according to go into mourning, but there is no inequality in the criminal law according to gender. However, conjugal relations show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enalty and the real trial become the cause of inequality in the criminal law. Meanwhile, Confucian fidelity relationship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rather than the logic of gender between men and women was more highlighted so the gender differences were induced. 본 논문은 조선사회의 고유한 젠더 질서의 특질을 여성범죄에 나타난 형사법의 측면에서 해명하고자 하였다. 형사법상에서 조선시대 젠더 질서는 사회(가정 밖)와 가정이라는 이중적 틀 속에서 성립되었다. 사회 안에서의 살상사건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성차의 시점에서 살펴보면, 노비나 고공이 주인을 살해한 主殺의 경우 행위자인 노비나 고공의 신분이 형법상의 차등을 유발했을 뿐 남녀의 차별 없이 동등하게 형벌이 적용되었다. 이는 사건의 실제 재판과정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다양한 신분, 계층의 여성을 모두 남성과는 다른 논리로 차별화하여 재판하지는 않았다. 가정 밖에서 발생하는 여성범죄의 경우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서 차별화하여 보호하고 책임을 경감시키기 보다는 평등한 조건에서 범죄 행위를 처벌하고자 하였다. 반면,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여성 범죄에 있어서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성차가 문제시 되었다. 그렇지만 가정 내에서도 부처관계를 떠난 형제, 친속관계에 있어서는 형률뿐만 아니라 실제 재판과정에 있어서도 복상관계에 따른 친속의 친소관계와 존장과 비유의 여부에 따라 형량이 차등 적용되어 있을 뿐, 젠더에 따른 형사법상의 불평등은 보이지 않았다. 다만 부처관계에서만 형률이나 실제 재판과정에서의 성차가 형사법상 불평등의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이때에도 남성이나 여성이라는 젠더의 논리보다는 아내와 남편이라는 유교적 의리관계를 더욱 부각시켰기 때문에 형사법상의 차별이 유도된 것이었다.

      • KCI등재

        학교 성평등교육의 현실과 효과 : 젠더 규범의 재-생산, ‘위험한’ 성평등교육

        엄혜진,신그리나 한국여성연구소 2019 페미니즘 연구 Vol.19 No.1

        Since last year, the Cheongwadae petition for mandatory feminism education and ‘School MeToo’ movement have recalled again that school is gendered space, asking detailed assessment and analysi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that have been performed in schools. The researche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have been developed considerably. However, few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has deep relations with the social perceptions on gender equality, and the meaning of it is constructed dynamically through connections with gender relations, which is changing in the context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this essay, we tri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which is being shaped in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he system, contents, and practices of the education itself, and to diagnos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it. The main research method we have used 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directly or not, in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fact that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 is performing education that, based on formal management system, minimizes the sexual differences simply or maximizes them essentially, and in this process reproduces the existing gender norms. We also showed that the education, while accepting the stereotype on gender role is a kind of discrimination, has produced the new dual norms that strongly maintain the gender norms about sexual values and attitudes, thus has treated the gender equality as already achieved, or has understood it, wrongly and narrowly, as a respect for interpersonal differences. In this situation, the education-related subjects are forced to understand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both an ‘optional’ and ‘dangerous’ on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ie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education authorities must actively engage in making desirabl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ocial consensus on gender equality, and provide the basis for perform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safely and stably. 지난해부터 일어난 페미니즘교육 의무화 청원과 ‘스쿨미투’ 운동은 학교가 젠더화된 공간임을 상기시키면서, 그동안 학교에서 수행되어 온 성평등교육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분석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 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상당히 진척돼 왔다. 그러나 성평등교육이 성평등(gender equality)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정치, 경제,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는 젠더 관계와 결속하여 그 의미가 동태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은 교육의 체계, 내용, 실천의 복합적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있는 성평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진단했다. 주된 연구방법으로는 성평등교육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학교 성평등교육은 형식적 관리체계에 기반하여 성적 차이를 생물학적으로 본질화하거나, 비가시화하는 등 모순된 내용과 실천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젠더 규범이 재생산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역할(gender role) 고정관념이 차별이라는 인식은 수용하면서도, 성적(sexual) 가치와 태도를 둘러싼 젠더 규범은 강고하게 유지하는 새로운 이중 규범을 생산함으로써, 성평등을 이미 달성된 것으로 바라보거나, 개인 간 차이에 대한 단순한 존중으로 협소하게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도 밝혔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교육 주체들이 성평등교육을 “옵션”교육이자 ‘위험한’ 교육으로 인식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성평등교육 정책의 진전은 교육 당국이 성평등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철학과 사회적 합의를 마련하는데 능동적으로 개입하고, 성평등교육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데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혜 암묵이론의 성차

        김민희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ies of wisdom in Korea. Three studies investigated different aspects of gender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ies of wisdom. In study 1, participants rated characteristics of wisdom concerning their importance for wisdom. Gender differences are reported in 'moderation and balance' factor and 'sympathetic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This result suggest a slightly affection and relation oriented view of wisdom in women. Study 2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ascribed to a male wise person and a female wise person. 'sympathetic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were rated as slightly more typical for a female wise person. and male participants nominated male wise person more whereas women participants nominated female wise person more. Study 3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participants' reports of an event in which they were wise. Men most often reported events from their professional life whereas women most reported children-related events. In sum, the findings suggest gender differences in conception of wisdom namely implicit theory of wisdom. Finally, gender difference was discussed from gender-role and gender-specific socialization. 지혜의 암묵이론에서 성차를 조사하기 위해 세 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지혜 관련 특질들이 얼마나 전형적인 지혜 특질인지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절제와 균형 요인과 공감적 대인관계 요인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여자가 남자보다 절제와 균형, 공감적 대인관계 특질들을 더 전형적인 지혜 특질로 평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참가자들에게 가장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지명하게 하고, 지명된 지혜자의 지혜를 평정하게 하였다. 공감적 대인관계 요인에서 지혜자 성별에 따른 지혜의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 지혜자의 공감적 대인관계 특질들이 남자 지혜자보다 높다고 평정하였다. 연구 3에서는 자서전적 이야기기법을 활용하여 노년기 성인들에게 살아오면서 자신이 지혜로웠다고 생각하는 사건에 대해 보고하게 하였다. 남자와 여자들이 보고하는 지혜로운 사건 범주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들은 직업과 관련된 사건을 가장 많이 보고한 반면, 여자들은 자녀와 관련된 사건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지혜의 암묵이론의 성차 즉, 지혜 지각에 있어서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혜의 암묵개념의 성차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사회화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입법의 성평등성 제고를 위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활용

        장민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7 No.2

        헌법상 성평등원칙은 입법에 있어서 중요한 지도원리로서, 입법에 있어서 성 주류화를 위해서 우리나라는 2006년에 법제처의 법령입안 심사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도입하고, 2005년에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와 2010년에 성인지예산서를 도입했다. 그중에서도 성별영향분석평가는 2011년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의 제정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제정 또는 개정을 추진하는 법령과 성평등에 관련이 있는 계획 및 사업에 대해서 의무화되었다. 이러한 분석평가는 정책의 수립, 시행 중에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성평등 정책 및 입법의 실현에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현행지침에 따르면 제정 또는 개정되는 법령안이 세가지 제외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한, 모두 분석평가의 대상이 되고, 분석 평가시에는 성별 구분, 성별 고정관념, 성별 특성 반영 여부에 관해 검토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서 법령의 성차별적 요소가 상당 부분 개선될 것이며, 법제처 입안 심사 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전적 평가로서 성차별적 입법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현행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정부 입법에만 적용되고, 새롭게 제.개정되는 법령에만 적용된다는 점에서 성평등 입법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일응 한계가 있으므로 의원입법에 대해서 성별영향분석평가 도입 또는 입법지원시스템 구축, 현행 법령에 대한 특정 성별영향분석평가 실시, 지침의 명확화, 그리고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서 그 효과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A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on the Constitution is an important guiding principle in the legislation. For gender mainstreaming in the legislation, we introduced a gender perspective, a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 gender-responsive budget in the review of the legislation in the Ministry of Legislation(MOLEG) in Korea. Especially Gender Impact Assessment became compulsory to the related plan and business for gender equality and the legislation to promote establishment and revision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legislation in 2011. These analysis and evaluation are important tools for realizing the legislation and the policy of gender equality while attempting to be made of policy formulation and enforcement. The legislation, unless in all three kinds of exemptions, is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whether the existence of the gender, the existence of gender stereotypes, and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 The significant portion of unequalities of the legisla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these analysis and evaluation, which means that the anti-discriminatory legislation in advance as a pre-assessment that takes place before the examination of MOLEG. But this is only applied to government legislation and the newly revised and established legislation that has limits to the effective ways on the legislation of a gender equality, so its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by introduction of a Gender Impact Assessment on the legislation by Assembly Members or construction of legislation supporting system, a specific enforcement of Gender Impact Assessment on current legislation, the clarification of the guideline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to the system.

      • KCI등재

        입법의 성평등성 제고를 위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활용

        장민선 ( Min Sun Jang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論集 Vol.17 No.2

        A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on the Constitution is an important guiding principle in the legislation. For gender mainstreaming in the legislation, we introduced a gender perspective, a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 gender-responsive budget in the review of the legislation in the Ministry of Legislation(MOLEG) in Korea. Especially Gender Impact Assessment became compulsory to the related plan and business for gender equality and the legislation to promote establishment and revision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legislation in 2011. These analysis and evaluation are important tools for realizing the legislation and the policy of gender equality while attempting to be made of policy formulation and enforcement. The legislation, unless in all three kinds of exemptions, is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and evaluation, and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whether the existence of the gender, the existence of gender stereotypes, and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 The significant portion of unequalities of the legisla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these analysis and evaluation, which means that the anti-discriminatory legislation in advance as a pre-assessment that takes place before the examination of MOLEG. But this is only applied to government legislation and the newly revised and established legislation that has limits to the effective ways on the legislation of a gender equality, so its effectiveness should be improved by introduction of a Gender Impact Assessment on the legislation by Assembly Members or construction of legislation supporting system, a specific enforcement of Gender Impact Assessment on current legislation, the clarification of the guideline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to the system.

      • KCI등재

        TIMSS 2003 물리영역 문항들의 상황에 따른 성차 분석

        이수아,박윤배 한국물리학회 2008 새물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differences by context in released physics items of TIMSS 2003. Each item was classified through 3 steps in terms of context. Step one was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subject. Step two was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science concept, and step three was to classify according to the gender. In the context of `pure science', the percent correct was high,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text of `simple concept'. In the context of `sophisticated concept' in `pure science', the percent correct was very low, but the gender difference was relatively high. In the context of `three dimensional space', the percent correct was very high,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also very high. The trends of gender differenc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pite of the same concept which might mean that the gender differences of `spatial ability' have interacted with item-type gender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girls' percent correct was very much lower than the boys'. which might result from the male-centric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the passive role of females in Korea. The gender differences were relatively low in a gender-neutral context. There were no female-centric items in the items, which meant that the released physics items in TIMSS were more advantageous for male. Therefore, for easing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change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the new types of items are recommend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TIMSS 2003 우리나라 물리영역 공개문항에 대한 정답률의 경향과 성차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각 문항을 상황에 따라 3단계에 걸쳐 분류하였다. 1단계는 문항의 소재와 내용에 따라 두 가지 (순수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로 구분하였으며, 2단계는 과학개념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3단계는 성별 상황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문항의 정답률과 성차는 한국교육평가원 공개분석자료집에 제시된 것을 사용하였다. 순수 과학적 상황의 경우 단순한 과학개념이 포함된 상황에서 정답률이 높고 성차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반복 학습의 결과로 판단된다. 정교한 과학개념이 포함된 상황에서는 정답률이 매우 낮았고 성차는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공간과 관련된 입체적 상황에서는 정답률이 비교적 높았으며 성차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개념을 묻는 문항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반된 성차의 경향이 나타났는데, 공간지각력에서의 성차가 문항 유형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일상적 상황의 경우 남성적 상황에 해당하는 모든 문항에서 여학생의 정답률이 남학생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상황이 남성 중심적이며, 여성들에게 수동적인 역할을 기대 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지역의 자연환경과 관련된 문항의 경우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성차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각 나라의 사회문화적 상황의 차이가 과학성취도의 성차에 영향을 줌을 의미한다. 즉, 과학성취도에서의 성차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함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성적 상황에서는 성차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여성적 상황에 해당하는 문항은 없었다. 이는 TIMSS 2003 물리영역 공개문항이 남학생들에게 다소 유리하였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문항 제작시 성별 상황이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 다각적인 평가를 위하여 새로운 유형의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