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上古末 新羅의 外位 편성과 干支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4

        진한 지역에서 干支는 소국이나 읍락 등 단위정치체의 대표를 가리키는 위호였다. 사로국에 복속한 이후 간지는 자치적 위호의 성격을 띠었다. 간지의 자치적 위계는 보위자와 하위 간층, 그리고 非간층 실무자로 구성되었다. 전략적 요충지에 거점성주가 파견되면서 간층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기 시작했다. 4세기 후반경부터 신라는 간지와 그 보위자의 자치적 위호를 선택적으로 승인하기 시작했다. 이에 간지는 자치적 위호에 기반을 두고 신라의 통치에 협조하는 직임의 성격도 띠게 되었다. 5세기 말부터 신라는 축성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간지와 그 보위자, 그리고 비간층 실무자의 체계적인 협조를 필요로 했다. 이에 읍락, 伐 등의 간층 가운데 간지를 승인해 道使의 지배에 협조하도록 했다. 간지의 보위자에게는 壹金知를 승인했다. 간지-일금지는 기존 간층의 자치적 위호를 바탕으로 촌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신라의 공적 위호였다. 또한 지역 간층을 경위와 구분해 신라의 통치체계로 편성한 위계라는 점에서 간지-일금지는 외위의 시원적 형태를 이루었다. 505년~520년 사이에는 행정촌의 干支 아래 인물에게 下干支를 수여하기 시작하면서 干群 外位가 분화했다. 봉평비에서 간지가 등장하지 않는 것은 변경 일대의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간지가 타격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외위의 상층이 간지와 하간지로 편성된 것은 율령반포 단계까지도 간층의 자치적 기반이 일정 부분 인정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군 외위의 분화를 통해 외위는 官位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는 중고기에 간군 외위가 상향 분화하는 기반이 되었다. Originally Ganji(干支) was the title pointing to the representative of unit political body in Jinhan(辰韓). Ganji has turned into autonomous title after surrendering to Saroguk(斯盧國). The autonomous hierarchy of Ganji consisted of assistants, sub Gan(干)-clas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Since the lord of the fortress was dispatched to the strategic point, the control of Gan-class got more strengthened. Since the late 4th century, Silla has approved Ganji and the autonomous title of his assistants selectively. Accordingly, Ganji also put on official duty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Silla. Since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required a systematic coordination of Ganji, his assistant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for the aggressive construction of fortress. Silla granted Ganji to one among Gan-class of Eupnak(邑落) and Beol(伐), asked him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Dosa(道使) and granted Ilgeumji(壹金知) to one among Ganjis assistants. Ganji-Ilgeumji was an official title for the effective governance of Chon(村) by separating Gan-class to Gyeongwi(京位). Ganji-Ilgeumji was a primal form of Woewui(外位) in that it intended to organize a hierarchy for the rule of Silla. Haganji(下干支) was awarded at Administrative-Chon between A.D. 504 and A.D. 520. Accordingly, Gan-series Woewui has separated from Ganji. We can"t find Ganji on Bongpyeong(鳳坪)-Epitaph, and it’s supposed that he got damag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incident at that time. Autonomy of Gan-class was partially accepted by Silla even after promulgating Yulrung from the fact that the top layer of Woewui consisted of Ganji and Haganji. But Oewi takes on the character of Gwanwi(官位) by differentiation of Gan-series Woewui."

      • KCI등재

        신라 京位 干群 官等의 語源과 성립과정

        윤선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5 新羅文化 Vol.45 N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rivation of the Silla's Ganji(干支) ranking system during the Isaguem―Maripgan Period. It was during the Isaguem Period that King of Silla divided the ruling class in Ganji ranks. He made major ruling class Il-Ganji(壹干支) and Seobulhan(舒弗邯, 角干) as the highest ranks, and minor ruling class Geup-Ganji(及干支) as higher rank than Ganji. After this, Sa-Ganji (沙干支) as higher rank than Geup-Ganji was made during the Maripgan Period. By the way A-Ganji (阿干支) was made for a legitimate son of lineage, for example the crown prince of Silla and minor country. But Sap-Ganji(迊干支) and Pajin-Ganji (波珍干支) were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e other Ganji ranks. They were made from religious official positions. It was in 520, the 7th year of the King Beopheung, that Silla established 17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 KCI등재

        6세기 초중엽 新羅의 干群 外位 재편과 村民 동원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6

        본고는 촌민에 대한 동원방식을 기준으로 삼아 6세기 초중엽에 신라 干群外位의 역할이 변화하는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상고기에 干支는 지역세력을 대표해 6부와의 관계를 주도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6부의 영향력은 이사금기부터 행사되기 시작했다. 마립간기에는 이들에 대해 일괄적 요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소지마립간 9년(487)을 전후해 신라는 간지의 자치적 위계를 外位로 승인해 지역에서 촌민을 동원하는 매개로 삼았다. 중성리비와 냉수리비의 干支-일금지는 기존 간지의 자치적 위계가 외위의 시원적 형태로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520년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최고 외위는 下干支로 변화했다. 城의 운영을 위한 동원에서 행정촌인 거벌모라의 하간지는 지역세력을 대표해 비간 외위를 거느리고 일반촌의 村使人을 통솔했다. 세부적인 임무는 비간 외위에게 분담되었다. 촌사인의 대부분은 무위호자였고, 촌의 일상적인 운영은 촌주가 담당했을 것이다. 도사는 촌주의 협조를 통해 무외위자에게 촌사인의 직임을 부여함으로써 촌민 동원의 효율성을 추구했다. 율령반포에서는 외위자의 이러한 의무를 법적으로 규정했을 것이다. 중대한 사안에 대해서는 別敎令으로 처리방향을 제시했다. 하간지는 도사에 대한 보위자의 성격을 띠었으나, 휘하의 비간 외위와 무외위자를 통솔함으로써 지역세력 대표로서의 자치적 기반을 일정 부분 유지했다. 524년~551년 사이에 干支上干支撰干支가 첨설되었고, 561년 이전에 貴干[4등] 高干[3등] 述干[2등]이 추가되었다. 이 과정에서 간군 외위는 성촌의 운영과 관련된 전문적인 임무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임무가 비간 외위의 임무와 중복됨으로써 기존 干位의 배타적 위상은 약화되었다. 간군 외위는 성촌을 벗어난 요충지로의 촌민 동원, 변경 성에 대한 주둔군 충원, 軍主의 작전을 위한 긴급한 동원 등에서 책임을 졌다. 干支는 지역세력의 대표가 아니라 간군 외위의 하위자로 자리매김되었다. 간군 외위의 자치적 기반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들은 간층을 계승한 유력자로서 지방관의 보위자라는 위치를 굳히게 되었다. 간군 외위의 상향분화는 전략적 요충지의 지역세력을 우대하는 동시에 동원체제를 강화하는 정책의 결과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일반촌에서도 비간 외위를 확대하여 촌민 동원의 효율성을 도모했다. 이상의 변화는 진흥왕대인 6세기 중엽에 신라가 영역을 급격히 확장하고 유지하는 바탕이 되었다. Ganji(干支) had led the relations with 6-Bu(部) on behalf of the local power in Sanggo(上古) period. But 6-Bu"s influence on Ganji were gradually strengthened from Yisageum(尼師今) to Maripgan(麻立干) period. Silla approved Ganji"s autonomous hierarchy of Woewui as a means to mobilize Chon(村) people around A.D.487. Ganji-Ilgeumji(壹金知) shows that Ganji"s autonomous hierarchy was changed to the primal form of Woewui on Jungseongri Naengsuri-Epitaph. A top Woewui was changed from Ganji to Haganji(下干支) after promulgating Yulrung(律令). Haganji of Geobeolmora(居伐牟羅) led Chonsain(村使人) of General Chon(村) commanding his Non Gan-series Woewui for the operation of the castle. Dosa(道使) pursued efficiency when mobilizing the Chon people by appointing Chonsain with the cooperation of Chonju(村主). The legal obligation to performed by Woewui would have been settled in the promulgating Yulrung. Haganji took on the character of an assistant for Dosa. But he partially maintained an autonomy by commanding his Non Gan-series Woewui and Non Woewui. The new woewui was appointed ranging from Ganji to Sulgan(述干) between 551 and 524. Gan(干)-series Woewui was given the professional task for the operation of the castle and Chon. The exclusive status of Ganwui(干位) could not be sustained because his task overlapped with Non Gan-series Woewui"s. Ganji was positioned as the lower hierarchy of Gan-series Woewui not a representative of the local power. Autonomous force of Gan-series Woewui was virtually dissolved. They took on the character of an assistant for a local governor as a potentate who inherited Gan(干)-class. Upward differentiation of Gan-series Woewui was the result of a policy to both strengthen the mobilizing system and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local power. Such changes provided the basis for rapidly expanding territory and maintaining it to Silla in mid-6th century.

      • KCI등재

        신라 모량부의 성격과 금척리고분군

        김재홍 한국고대사학회 202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14

        이 글은 신라 6부와 고분군과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모량부의 경관과 정치적 성격을 분석하고 금척리고분군의 역사적인 위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모량부는 무산 대수촌과 연결되며, ‘동로수’로 상징되는 광장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모량부의 경관은 대수를 중심으로 들판에 입지하였으므로 경주 시내 중심부에서 보아 ‘서교’, ‘서원’, ‘서부’ 등으로 불리웠다. 모량부는 간지-일벌이라는 관위를 가진 지배층이 자율성을 가진 단위정치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진평왕대에도 익선이 신라의 경위인 아간을 띠고 있었으나 모량부의 部 役이 따로 존재할 정도로 모량부의 단위정치체적인 성격은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봉평리신라비 이후에 모량부는 행정구역으로 기능하기 시작하였으며, 모량부 출신의 인물은 점차신라의 관직과 경위를 소지하였다. 모량부가 5세기 후반에 지증갈문왕과 혼인을 맺으면서 중고기 왕실과 4대에 걸쳐 정치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모량부의 지배층인 ‘간지’는 이찬, 각간, 상공 등으로 표현되기도하였으나 자율성을 가진 집단의 대표자였다. 모량부의 단위정치체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 금척리고분군과 방내리고분군이다. 모량부는 5세기 후반부터 신라 왕실과 동일한 적석목곽묘를 축조함으로써 훼부나 사훼부와 동일한 묘제를 공유하였다. 신라 통일기 이전 모량부는 단위정치체적인 모습을 띠고있어 완전한 방리제가 시행되지 않았고, 신라 통일기에 조성된 모량리 방리제는 모량부의행정구역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landscape and political nature of Moryang-bu and examines the historical status of Geumcheok-ri tombs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6th section of Silla and the tomb group. Moryang-bu is connected to Musan Daesu-chon and grew around the square symbolized by ‘Dongnosu’. Since the landscape of Moryang-bu was located in a field with Daesu at the center, it was called ‘Seogyo’, ‘Seowon’, and ‘Seobu’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Gyeongju city. Moryang-bu had the character of a unit polity with autonomy, with the ruling class holding the official position of ganji-ilbeol. Eve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the Ganji of Moryang-bu possessed Agan, the lieutenant of Silla, but the nature of the unit polity was maintained to the extent that the labor of Moryang-bu existed separately. However, Moryang-bu gradually began to function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Moryang-bu maintained a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of the Middle and Middle Period for four generations starting in the late 5th century. ‘Ganji’, the ruling class of Moryang-bu, was sometimes expressed as Ichan, Gakgan, etc., but was a representative of a group with autonomy. The relics that clearly show the unit political structure of Moryang-bu are the Geumcheok-ri tombs and the Bangnae-ri tombs. From the late 5th century, Moryang-bu revealed its status by building a red stone wooden tomb identical to that of the Silla royal family.

      • 금관총 피장자의 성격 재고

        윤상덕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6 고고학지 Vol.22 No.-

        금관총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금관이 발견된 무덤이나 단 4일 만에 비전문가에 의해 수습되어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2015년에 발굴을 하였고 적석 및 목곽 내부 구조와 규모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사지왕도(尒斯智王刀)’라는 명문이 있는 대도 파편을 발견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1921년의 조사 상황이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아 피장자에 대해 오히려 많은 논란이 생겼다. 여기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관총의 봉분 규모로 피장자의 지위를 추정한 뒤,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성별을 판별하여 피장자의 성격을 추정하였다. 금관총에서는 호석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발굴된 다른 적석목곽분의 호석과 적석부 길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금관총 호석의 장축길이를 45m로 추정하였다. 이를 봉분외형을 통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규모 3군에 속하며 마립간(왕)의 무덤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피장자의 성별은 금관총의 피장자와 ‘이사지왕’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핵심적인 부분이다.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금관총보고서에 태환이식을 착장한 것으로 기록되어 많은 연구자들이 여성으로 보아 왔으나, 필자는 금관총의 대관 부속장식이 세환수식인 점에 주목하여 태환이식의 착장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식을 제외하고 성별문제를 검토하는 방법을 취했다. 즉 신라전기의 주요 무덤 71기에 대해 성별을 나타내는 부장품-대관, 수식, 모관, 경식, 대도(착장), 갑주, 철촉, 대도(부장), 철모, 마구의 출토양상을 정리하였고, 통계기법(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관총의 피장자는 남성(세환이식 착장)으로 추정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적합하였다. 아울러 ‘이사지왕’이 새겨진 대도의 출토양상으로 보아 ‘이사지왕’은 바로 금관총의 피장자와 동일인물이라고 추정하였다. 봉분의 규모로 보아 금관총은 마립간의 능이 아니므로 ‘이사지왕’은 마립간 중에 한 명이라고 보기 어렵다. 결국 ‘이사지왕’은 냉수리비에 나오는 ‘칠왕’과 같은 6부의 최고위층에 속하는 인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봉황대의 배총일 가능성을 고려하여 마립간과 인척관계에 있는 훼부와 사훼부 출신의 간지급 지위의 인물로 추정하였다. Geumgwanchong Tomb is the tomb where the gold crown was first discovered in Korea; regrettably, however, the tomb was excavated by non-professionals, and the excavation was finished in just four days. In 2015,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excavated the tomb to understand its structure and retrieved the fragments of a sword with the Chinese inscription Isajiwangdo (King Isaji’s Sword). But this gave rise to major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buried; thus necessitating a re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buried. First, this writer estimated the scale of Geumgwanchong Tomb and found that only the stone mound remained but not the retaining stone slab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other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the major axis of the slabs of Geumgwanchong Tomb is estimated to be 45 meters long.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e scale of the tomb cannot be that of Maripgan (Silla king). The gender of the buried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ied at Geumgwanchong Tomb and King Isaji. According to a past report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arrings with Thick Hollow Rings symbolizing women were worn on the body, but this writer found it non-trustworthy and consequently reexamined the gender issue excluding the earrings. In other words, this writer analyzed the condition of excavated funerary objects representing gender, except ear ornament, found in 71 major tombs from the same perio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eadgear, Pendant Ornament, Crown, Necklaces, Sword (worn), Armor and Helmet, Iron Arrowhead, Sword (buried), Iron Spear, and Horse Riding Gear. As a result, it is statistically suitable to estimate that the buried of Geumgwanchong Tomb was dressed with Earrings with Thin Hollow Rings that belonged to men. From the excavation of the Sword inscribed with “King Isaji’s Sword,” the buried at Geumgwanchong Tomb is estimated to be none other than King Isaji himself. The scale of the tomb is hardly that of the tomb of a Silla King; thus, King Isaji cannot be a king of the Silla Dynasty. Conclusively, King Isaji is estimated to be a top figure of the six bu (political divisions), just like the “Seven Kings” mentioned in the Silla Monument in Naengsu-ri, Pohang.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nearby Bonghwangdae Tomb, this writer estimates that the buried was a person of Hwe bu and Sahwe bu related to the king with Ganji-rank as political status.

      • KCI등재

        6세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관등제의 정비과정

        전덕재(Jeon Deog-jae)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5 No.-

        본 논고는 신라가 마립간시기에 干支관등을 설치한 과정과 아울러 520년 무렵에 고구려의 관등을 참조하여 大舍와 그 이하의 하위관등을 설치하였음을 살핀 것이다. 마립간시기에 처음으로 干支를 칭한 존재나 그에 버금가는 왕족 등을 及干支와 沙干支로 구분하여 位階化하고, 그 이후에 壹吉干支, 阿干支, 波珍干支, 壹干支, 壹伐干支를 단계적 또는 한꺼번에 사간지의 상위 관등으로 설치하였다. 일벌간지와 파진간지, 일길간지는 壹伐(一伐), 彼旦(彼日), 壹吉이란 관등에다 干支를 덧붙여 생성된 관등이고, 壹干支와 阿干支는 技能人에서 유래한 壹尺과 阿尺관등을 참조하여 설치한 것이었다. 이사금 시기에 이미 舒弗邯을 설치하였음이 확인되는데, 마립간시기에 새로이 일벌간지를 설치하면서 두 관등의 성격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520년(법흥왕 7)에 京位17관등과 외위 관등을 정비하였는데, 이때에 고구려의 使者, 兄, ?衣, 先人관등을 염두에 두고 대사와 그 이하의 하위관등을 새로 설치하였고, 이와 동시에 壹伐, 壹尺등을 外位관등으로 轉化시켜 새로이 지방의 지배세력에게 수여한 외위제를 정비하였다. 6부체제가 해체된 6세기 전반에 喙部와 沙喙部이외의 나머지 6부 지배자들을 17관등체계에, 지방의 지배층을 외위의 관등에 모두 편제하면서 비로소 국왕 중심의 일원적인 관등체계가 성립되었다.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illa's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Based on the sixth century Silla Monument Jeon Deog-ja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illa's Ganji (干支) ranking system during the Maripgan Period and the introduction of Daesa (大舍) and lower ranks in about 520 following the system established by Goguryeo. It was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at Silla divided the ruling class in Ganji ranks and minor royals into Geup-Ganji (及干支) and Sa-Ganji (沙干支), and introduced, at a time or by stages, the five Ganji posts, Ilgil-Ganji (壹吉干支), A-Ganji (阿干支), Pajin- Ganji (波珍干支), Il-Ganji (壹干支) and Ilbeol-Ganji (壹伐干支) as higher ranks of Sa-Ganji. Among the new ranks, Ilbeol-Ganji, Pajin-Ganji and Ilgil-Ganji were formed by attaching a common term Ganji to the titles of Ilbeol (壹伐/一伐), Pidan (彼旦) or Piil (彼日) and Ilgil (壹吉) which refer to higher government posts while Il-Ganji and A-Ganji were conceived from Il-Cheok (壹尺) and ACheok (阿尺) originated from the technical expert. Records show that the rank of Seobulhan (舒弗 邯) was established during the Isageum Period and that it is the same rank as Ilbeol-Ganji established during the Maripgan Period. It was in 520, the 7th year of the King Beopheung, that Silla established 17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for the capital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including Daesa (大舍) and its lower ranks conceived from the Goguryeo posts such as Saja (使 者), Hyeong (兄), Joui (.衣) and Seonin (先人). Records also show that Silla gave some of its central posts such as Ilbeol (壹伐) and Ilcheok (壹尺) to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s as a part of the effort for the centralizaiton of the kingdom. It was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6-Pu System in the early 6th century that Silla established a king-centered unitary government system via incorporating the rulers of 6-Pu excluding Hwebu (喙部) and Sahwebu (沙喙部) into the 17 Rank System and the local ruling class into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ing system.

      • KCI등재

        卦氣說에서 본 韓國 曆法의 이해

        정하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Korean Ganji changeology. Korean Ganji changeology stems from Chinese Ganji changeology. Chinese Ganji changeology is closely associated with Gua-qi doctrine at Han dynasty. It is based upon correlative changes between heaven and earth which are respectively representative in Qian and Kun. Its essence is a unity of yin and yang. A unity of yin and yang is characteristic of a circular process of nature. Gua-qi doctrine has the content that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are timely changing according to a change of yin and yang. I think that Ganji calendar is based upon the logic of Gua-qi doctrine. To understand Korean Ganji changeology, therefore, we apprehend what is the logic of Gua-qi doctrine and how it is applied to Ganji changeology. 간지역법은 시간변화와 64괘의 괘상을 결합한 괘기설과 관련성을 갖는다. 즉 괘기설과 간지력은 동일한 원리를 표상하는 두 개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괘상과 간지는 모두 하늘과 땅을 기본적인 소재로 하여 천지건곤이 상합하여 천지사이의 만물을 이루는 기제이다. 괘상과 간지의 변화주체는 음양이기이다. 괘상에서는 음양이 소식・승강하는 것이고, 간지에서는 음양이 교대로 순환하는 것이다. 괘기설은 주역괘상에 절기 등 역법을 배합한 것이고, 간지력은 역법을 표상하는 것이다. 괘기설이 음양의 소식승강으로 시간과 절기의 변화를 설명한다면, 간지력은 음양의 교대순환으로 시간과 절기의 변화를 담은 것이다. 괘효는 음양이 오르내리는 통로이고, 간지부호는 음양 변화를 표상하는 부호이다. 괘효상의 변화는 시간을 매개로 한 음양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간지의 전개는 시간을 매개로 한 단계적인 음양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역법을 배합한 괘기설과 역법을 표상한 간지력은 근본적으로 음양이기로서 천문과 역법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표리에 해당한다.

      • KCI등재후보

        음양오행과 결합된 60간지 색상의 이론적 접근

        이옥화 ( Lee Ock Hw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동양의 전통색상은 천체와 관련된 오천과 오성의 운기를 음양오행에서 다섯 단계 요소 木(靑)·火(赤)·土(黃)·金(白)·水(黑)가 된다. 자연현상계에 나타난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것을 본 연구는 오행색상에 근거하여 60간지의 결합되는 색상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책력의 시두가 되는 천간은 甲己 土, 乙庚 金, 丙辛 水, 丁壬 木, 戊癸 火에서는 土의 시작 土生·金生·水生·木生·火生土로 이어지고, 계절의 생왕묘하는 지지는 亥卯未 木, 寅午戌 火, 巳酉丑 金, 申子辰 水에서는 숨겨진 동색이 木生·火生·土生·金生·水生木하는 생의 변화관계에 있었다. 색상의 자연수는 통수와 개별수가 3·8木, 2·7火, 5·10土, 4·9金, 1·6水의 변화성에 천간은 10일이 1순이고, 지지는 3에 합치되는 3개월씩(약90일) 구분하여졌다. 간지의 독립된 체성은 천간의 단순한 음양오행과 지지의 계절변화에 따른 상응관계끼리 오격기운이 취집된다. 특히 계절에서는 그 해의 월건과 일진, 시간에 기세이며, 운동성, 방향성, 추구성, 역동성, 집결성, 통일성의 변화과정을 거친 새로운 색상은 교차하는 일색의 기상을 만들어짐으로써 천지만물은 두 가지이상의 색상이 섞여야만 유용성이 실현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raditional colors in the East are five elements of tree(blue), fire(red), earth(yellow), gold(white) and water(black) i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at represent yun gi of Five Heavens and 5 Stars in relation to the celestial bodies. The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color relationships among those colors that are combined with 60 Ganji based on the colors in 5 Ele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celestial stems(甲己 土, 乙庚 金, 丙辛 水, 丁壬 木, 戊癸 火) as a beginning of a calendar were connected to the beginning of earth(土生·金生·水生·木生·火生土) and the earthly elements of circulating birth, prosperity and death as seasonal changes(亥卯未 木, 寅午戌 火, 巳酉丑 金, 申子辰 水) became changing relations of life(木生·火生·土生·金生·水生木) as hidden colors. The natural number of colors comply with the total number and individual number within the range of 3·8(木), 2·7(火), 5·10(土), 4·9(金) and 1·6(水) allowing the celestial stems to have a cycle of 10 days and the earthly elements to have a division by 3 months complying with the number 3. The independent properties of Ganji are collected by 5 subjects of correlations in accordance with Yin-Yang and 5 Elements of the celestial stems and seasonal changes of the earthly elements. In particular, seasons have Ganji of the moon, the day and the time and new colors that underwent the changing processes of movement, orientation, consciousness, dynamics, concentration and unification create the rise of a single color that crosses existing ones showing that all the creatures should have their own meanings and usefulness when more than two colors are combined.

      • KCI등재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김만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십간·십이지는 상고대 이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많은 문화 요소들과 결부되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문헌·유물자료를 통해볼 때 한반도에서는 늦어도 5세기 전반부터 십간·십이지를 활용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록 한국의 고유 문화요소는 아니지만 십간과 십이지는 날짜·방위·색상 등과 연계되어 궁합·택일·운수 등 한국 민속신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십간의 10은 열 손가락을 가진 인간이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수법은 바로 10진법이라는 사실에서, 십이지의 12는 1년에 12삭망월이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크게 기인한다. 간지의 쓰임은 갑골문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간지(干支)"라는 명칭은 『논형』「힐술편」에 처음으로 보인다. "간지"로 불리기 전에는 "일진(日辰)"과 "모자(母子)"로도 불렸다. 간지의 기원에 관해서는 황제가 그 스승이자 사관인 대요에게 명하여 제정했다는 설과 천황씨가 창안했다는 설, 황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 받았다는 설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고 신화 상의 유래로 봐야 한다.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자연의 생장수장(生長收藏) 과정, 음양의 교차 순환, 사람의 신체 일부 등에 결부지어 설명되고 있는 반면,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물고기·새·벼, 그리고 수렵·어로·농경 도구 등을 직접 형상한 것이다. 고문헌상의 간지는 갑골문상의 간지와 달리 후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로 채색되었다. 이렇게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관념과 결합하면서 십간·십이지는 더 이상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상수화·신비화된 관념과 복잡한 술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Sipgan and Sibiji have been used with significance, being connected to the numerous cultural elements of East Asia culture since the ancient times. Various literature and artifact materials indicate that they have been in use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as late as the former half the fifth century. Even though they are not unique parts of the Korean culture,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Korean folk faith including marital harmony predicted by a fortuneteller, choosing an auspicious day, and one's fortune. Sipgan originated from the decimal system, which is the easiest counting system to man with ten fingers. Sibiji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a year contains 12 months. The use of Ganji is traced back to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but the title of Ganji was first recorded in the Hilsul of Nonhyeong. It was also called "Iljin" or "Moja" before its name Gangji settled down. There are a couple of myths regarding the origin of Ganji; there is a myth saying that the emperor ordered Daeyo, his master and chronicler, to invent it; another saying that Cheonhwangshi invented it; and the other saying that the Yellow emperor inherited it from the Heaven himself. All of them are hardly historical facts, being strictly myths. While the most meanings of Sipgan and Sibiji in old literature including Seolmunhaeja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life and death process, circulating cycle of yin and yang, and man's body parts, those in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irectly embody fish, birds, rice, hunting and gathering, fishing, and farming tools. Unlike that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Ganji of old literature was colored with Yin-Yang and Ohaeng(Five Elements) Theory in later generations. Combined with the mutual survival and rivalry concept of Yin-Yang and Ohaeng, Sipgan and Sibiji got to have constant and mysterious concepts and complex conjury meanings beyond their simple roles as signs.

      • KCI등재

        동아시아의 문명에서 본 무령왕릉의 干支圖와 先驗主義的 세계관 - 天文과 人文의 變奏-

        김연재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본고에서는 문명의 생명력의 차원에서 무령왕릉의 유적에서 干支圖가 차지하는 비중을 주목하고 그 속에서 문명사회의 성격과 특징을 모색한다. 간지도는 무령왕 릉의 지정학적 위상을 나타내는 묘지석으로서, 사후세계의 토지매매서인 買地卷과 함께 백제의 세계관에 접근하는 일종의 블랙박스의 성격을 지닌다. 그 속에는 曆法 의 체계와 그 圖像學的 특징이 담겨있다. 天干과 地支의 시공간적 좌표는 天圓地方 의 천문학적 차원에서 삶과 죽음의 순환적 굴레를 투영한 것이다. 간지도는 무령 왕의 지정학적 위상을 방위의 관념으로 표상화한 것으로서, 세속의 삶처럼 사후의 세계에서도 明堂을 통해 上天으로부터 생명력의 기운을 지속적으로 받고자 한 것 이다. 그것은 圖像의 특수성에서 인간의식의 보편성을 담아내고 天文의 자연과학 적 내용 속에 人文의 자연철학적 사고를 반영하였다. 이는 도식의 생명화와 생명의 도식화로 집약될 수 있다. 여기에는 앞서 존재하는 경험적 의식의 차원에서 先驗主 義的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다. 간지도에서는 삶의 不可逆的 세계의 연장선상에서 삶과 죽음의 可逆的 경계를 염원하는 일종의 求道的 가치관이 투영되어 있다. The essay explores a novel approach to Baekje culture in the broader sphere of East Asian civilization,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importance of the Ganji Diagram, a memorial stone located in and representing the status of the Muryong Royal Tomb, andby doing so,in this way attempts in order to extricate the characteristics of a civilized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talism.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iconological system of the Ganji Diagram and the integral horizon of astronomy and humanities. This system reflects the transformative methodology having the character of prior empiricism in a unity of knowledge and wisdom. This guarantees the universality of prior experience in the particulars of the iconological, diagram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ystem may be understood as having a higher dimension of consciousness, such as life in diagram and diagram in life, in its encoding of the content of East Asian mythological enlightenment and symbolizing the canon of geopolitical compass directions. In this context,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say that in the Ganji Diagram, the irreversible world of life and death is elevated to the reversible world of the sexagenary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