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사천왕(四天王) 탑지물(塔持物)의 위치변화에 대한 재고점

        염중섭 ( Jung Seop You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한국 사천왕은 건축 조각 회화 공예라는 불교미술의 모든 영역 속에서 두루 살펴지는 존재이다. 그럼에도 한국 사천왕에는 麗末鮮初의 변화와 관련된 혼란이 존재하고 있어 이의 뚜렷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 사천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탑지물에 의지한 비사문천 중심의 방위설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이의 보완으로서 본고에서는, 몽구스에 관한 접근을 통해 비사문천의 방위적인 관점환기를 해보고자 한다. 즉, 티베트불교의 영향에 의한 탑지물의 혼란부분을 몽구스를 통해서 보충 받아 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 지금까지 방위와 관련해서만 사천왕이 이해되었지만, 사천왕과 더불어 이천왕이 존재했고 이를 통한 좌우관점의 수용이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관점을 개진했다. 이는 사천왕의 방위문제가 처음부터 방위라는 일관된 측면에 의해서만 전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로 인하여 우리는 佛殿에 보편적으로 수용된 이천왕이 天王殿의 독립과 더불어 사천왕으로 확립되면서, 방위문제로 일원화되게 된다는 점을 파악해 볼 수있다. 이는 방위의 혼란이 ‘좌우의 관점’과 ‘방위의 문제’라는 서로 논리적 층차를 달리하는 두 가지 기준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즉, 사천왕 방위의 혼란은 혼란이 아니라, 두 가지 기준의 일원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일 뿐인 것이다. Korean Four Devas are found in all the fields of Buddhist art such as architecture, sculpture, painting and craft, and they are still manufactured even in these days. Despite it, Korean Four Devas have had such confusions related with the changes during the end of Goryeo and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that it is hard to judge it clearly. It means that the correct arrangement and understanding about Four Devas are urgently necessary. Studies on Korean Four Devas have shown that there are problems in determining the directions by Vaisravana holding the pagoda. Therefore, as an implement, this paper tries to shift the view point about the direction of Vaisravana through the approach to the mongoose. That is, it tries to adopt the mongoose to correct the confusions about the pagoda holding statue influenced by Tibetan Buddhism. In addition, it presents the fact that, even though Four Devas have been understood only with the directions, there were Two Devas as well as Four Devas and that there was the acceptance of left/right view point in them. It clarifies that the positions of Four Devas were not determined only in relation with directions coherently from the beginning. It enables us to comprehend that Two Devas generally set in the Buddhist hall are developed into Four Devas along with the independence of Four Devas hall, being unified in directions. It clearly shows that the confusion of direction were originated from two standards of different logical layers as ‘left/right viewpoint’ and ‘direction problem’. In other words, the directional confusion of Four Devas is just a phenomenon that occurred in the unifying process of two standards. In relation with such reorganization of directions, the author suggests a solution from the influence of Zhu-xi’s formalism in the new Confucianism. This study has a sufficient significance in that this can be another solution for the problems on the direction and the holding statue of Korean Four Devas.

      • KCI등재

        ‘執弓矢’ 호법신장상 연구

        전민숙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6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addresses to the posture of holding a bow and arrows. The initial appearance of the image could be traced back to the Buddhist drawings of the Great Departure of Prince Siddhārtha in Gandhāra in the Gandharan Region, in which the figure with holding a bow and arrows leads Siddhartha out of the palace. The icon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is regarded as the eldest case in the East Asia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ity in terms of characteristic and status in the Buddhist figures. Generally speaking, a set of eight figures on Buddhist Guardians could be defined as either Buddha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or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in the era of the Unified Silla.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s such as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Stone Seated Buddha the Pedestals of Cheongnyangsa Temple, Hapcheon and Gilt-bronze Octagonal Reliquary from excavated at Gwang-yang, Tokyo National Museum the iconograph are expressed and, also, a similar image is found in the sutra named AtabaguGuikshinjangsangbulldari-gyeong(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 interpreted into chinese version in the era of Yang Dynasty, in which it is obvious that a bow and arrows belongs to Gubanda(鳩槃茶). He is under the hierarchy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he is a member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From the late ninth century, the iconograph is expressed in the drawing of the Four Devas in China, spreaded into various areas of Buddhist arts in Goryeo Dynasty. The icon appears in the image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n the Unified Silla, and from the late ninth and tenth century, it moves into the image of the Four Devas.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the major cases of the iconograph are discovered in buddhist stupas and monk stupas and expanded into other areas such as paintings and artificial crafts in the late period. There are four patterns of applying the icon to buddhist art objects in Goryeo Dynasty. The first pattern addresses to holding a bow and arrows with hans; the second is the image of tieing or hanging a bow and holding arrows in a hand, the third is the posture of drawing a bow, and the final pattern is holding a bow without arrows. The iconograph of holding a bow and arrows is frequently adopted in drawings of the Four Devas in Goryeo Dynasty, and considered a periodical style from the late ninth century in the East Ais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very initial articulation with highly possible iconographical interpretation of the Four Devas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is discovered in Green-glazed Terra-cotta laque with Guardian Pattern at Sachonwangsa Temple in Gyeongju ‘執弓矢’는 활과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 무기를 들고 있는 상은 집궁시상이라고 일컫는다. 간다라지역의 불전도 가운데 유성출가상에는 집궁시상이 등장하는데 궁을 나가는 싯타르타 태자를 안내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도상은 이후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동아시아에서는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에 집궁시상(執弓矢像)이 출현한다. 사천왕사지 목탑의 기단부 면석으로 제작된 녹유신장벽전은 지금까지 사천왕, 팔부중, 신장, 신중상이라는 의견이 개진되었지만 정확한 도상에 대한 이름을 명명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상이 8구로 나타나는 도상은 불타팔부중과 사천왕팔부중으로 나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과 합천 청량사지 석조여래좌상 대좌 그리고 국립동경박물관 소장 전 광양출토 금동사리탑 등에서 집궁시상이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상들의 공통점은 갑옷을 착용하고 천의 자락을 날리며 화면을 구성하였지만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불타팔부중 가운데 삼면육비(三面六臂), 삼면팔비(三面八臂)의 도상의 특징을 가진 아수라(阿修羅)는 보이지 않는다. 경전 가운데 『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에서 활과 화살을 지물로 들고 있는 도상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양대(梁代)에 번역된 이 경전에는 구반다(鳩槃茶)의 지물이 활과 화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구반다는 사천왕팔부중의 하나의 권속이기에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도 제시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집궁시상은 9세기 후반부터 중국에서도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며, 다양한 불교미술 분야에서 폭 넓게 나타나 시대양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집궁시상은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으로 나타나다가 9세기 말 10세기 초에 사천왕의 존상 속에서 집궁시상이 표현된다. 집궁시상은 고려전기에는 승탑을 중심으로 출현하며, 후기에는 불화 또는 금강령과 같은 공예품에서 그 흐름을 찾아 볼 수 있다. 고려시대 집궁시상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활과 화살을 손으로 잡고 있는 자세, 두 번째로 활을 팔에 끼던지 걸고 다른 한 손에 화살을 든 자세, 세 번째로 활을 잡아당긴 자세 그리고 네 번째로 활을 생략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집궁시상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양산 신흥사 대웅전 벽화까지 시대적으로는 천년의 시대를 아우르는 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천왕팔부중의 존상(尊像)으로 고려시대에는 사천왕의 존상으로 출현하면서 10세기부터 14세기에 가장 왕성하게 도상으로 채택되어 그 명맥을 이어나간다. 또 집궁시상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까지 동아시아에 9세기 후반부터 출현하는 시대양식을 갖고 있으며, 이 상의 출발점은 사천왕팔부중일 가능성이 높은 사천왕사지 녹유신장벽전이 그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新羅 文武王代 明朗의 密敎思想과 의미

        김연민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Myeonglang(明朗) was one of Esoteric Buddhist monks who lived in the 7th century. He established ‘Sin-in sect(神印宗)' as a sect of Esoteric Buddhism for the first time. His father was named Jaeryang(才良) and his mother was named Madam Namgan(南澗夫人) as a daughter of Sopan(蘇判) Murim(茂林). She was also a sister of Chajang(慈藏). Originally, Myeonglang grew up in the family of True- born nobility. He had two brothers, who were named Gukgyo-daedeok(國敎大德) and Eui'an-daedeok(義安大德) respectively. Both of them were Buddhist monks. In the period of King Seondeok's(善德王) rulership, Myeonglang went abroad to the territory of T'ang dynasty to learn Esoteric Buddhism. Moreover, he was also deeply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the Four Devas Temple(四天王寺) 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King Munmu(文武王). Here, Myeonglang was recommended by Kim, Cheon-jon(金天尊). Kim had such a close relationship with royal families in the mid of Silla dynasty that he could hold an important post titled Jungshi(中侍) successively. Esoteric Buddhism was originated from India's shaman faith, but came to be a Buddhist spell with certain universality due to diluted regional specialty in India on the way of introduction to ancient China. Universal nature of Esoteric Buddhism could comply with Han-assimilation policies advocated by royal families in the mid of Silla dynasty, which put more stress on introducing universalism like Confucianism or Buddhism rather than Silla dynasty's own native trend of thought. As a monk of Esoteric Buddhism in those days, Myeonglang was so closely connected with his contemporary royal families in the political aspect. That is why he could be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the Four Devas Temple that symbolized the ideology of royal families in the mid of Silla dynasty. Myeonglang's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was revealed into Mundurubeop(文豆婁法). Mundurubeop was completed according to “Abhseka Sutra(灌頂經)”. It was a universal Buddhist spell that aimed to enlighten and awake all sentient beings. It also contained so-called ‘Tathagatagarbha thought(如來藏思想)' as one of universal thoughts in Mahayanist Buddhism. For the practices of such thought, Mundurubeop emphasized the practices based on intuition of Buddhist ascetic exercises(觀法). It could be even slightly led to attaining Buddhahood. The historical period of Myeonglang's lifetime was the time just before Esoteric Buddhism philosophy was completed, and the time in which the various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were complied into one book by referring to many different Buddhist scriptures or Sutras. One of the outcomes was Ajiguda's(阿地瞿多) “Dhanani's collections of Sutra(陀羅尼集經).” Based on these collections of Sutra, Ajiguda formed Bojip-hoedan(普集會壇) as esoteric altar for the first time, which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Myeonglang's Esotheric Buddhism thought later. While founding the Four Devas Temple under the royal tomb of King Seondeok, Myeonglang advocated the faith in the Four Devas. The faith in the Four Devas was one of his contemporary universal religions on the defense of fatherland, which was based on “Suvarnaprabhasa Sutra(金光明經)”. Myeonglang made his home a temple named ‘Geumgwangsa(金光寺)’, which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Suvarnaprabhasa Sutra”. Suvarnaprabhasa Sutra might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his faith in the defense of fatherland and such faith was expressed with the faith in the Four Devas. The Temple of Four Devas was founded at Shinyurim(神遊林) under the royal tomb of King Seongdeok, which was also considered to be Trayastrimsa(忉利天) as a shrine for Indra(帝釋). After a while, Myeonglang's faith in the Four Devas absorbed the faith in Indra. Through Mundurubeop, he could advocate the faith in the Four Devas in association with faith in Indra. Actually, he attempted to fuse Silla ... 진골 출신의 明朗은 善德王代에 入唐해 밀교를 습득하여 文武王代 四天王寺 창건에 깊이 관여했다. 그 과정에서 명랑은 문무왕대에 시중을 역임한 김천존의 추천을 받았다. 밀교는 본래 인도의 토착신앙에서 발생했지만 중국으로 전래되는 과정에서 지역적 특수성이 정화되면서 보편성을 띠는 불교주술을 내세웠다. 밀교가 지닌 성격은 중대왕실이 신라 토착적인 사조를 강조하기보다는 보편성을 가지는 儒敎나 佛敎를 도입하는 한화정책에 부합될 수 있었다. 밀교승려였던 명랑은 외삼촌인 자장과는 달리 중대왕실과 정치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중대왕실의 상징적인 사찰인 사천왕사의 창건에 깊숙이 개입할 수 있었다. 명랑의 밀교사상은 文豆婁法으로 나타났다. 문두루법은 『灌頂經』에 의거한 것으로 圓木에 5방신의 이름을 적어 놓아 邪魔를 쫓는 밀교주술이다. 명랑은 『관정경』을 근거로 5방신상을 세우면서 密壇을 만들었다. 문두루법은 중생의 교화와 깨달음을 목표로 하는 보편적인 불교주술이었다. 명랑은 선덕왕릉 아래에 사천왕사를 창건하면서 사천왕신앙을 내세웠다. 사천왕신앙은 보편적인 호국신앙의 하나로 『金光明經』을 근거로 한다. 명랑은 『금광명경』에 관심을 갖았다. 한편 문두루법이 신라 토착신앙의 신성지인 신유림에서 이뤄지고 사천왕사의 건립으로 이어지면서 명랑의 사천왕신앙은 신라 토착신앙을 융섭하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밀교의 신앙은 토착신앙을 포용해 보편적인 불교신앙으로 내세울 수 있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기존의 토착신앙과 대립할 여지가 있었다. 명랑보다 앞서 활동한 密本은 토착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었던 法惕과 대립했다. 또 명랑 이후에 활동한 惠通도 機張山의 熊神이 된 毒龍과 대립관계에 있었다. 다만 밀본에게서 강조된 것이 토착신앙을 제압하는 것이라면, 혜통의 경우에서 그것을 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명랑이 신유림에 밀단을 만든 것은 분명 토착신앙을 대치하는 성격을 지닌 것이지만, 토착신앙을 제압하는 모습이 강조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점에서 명랑의 밀교신앙과 밀본·혜통의 그것이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이는 그들의 신분이나 사회적 위치, 그리고 사상적 경향과 관련되어 있었다.

      • KCI등재

        和順 雙峰寺 澈鑒禪師澄昭塔의 塔身部 浮彫像 硏究

        심홍섭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08 南道文化硏究 Vol.15 No.-

        There is a stupa, the most beautiful one in Korea, Cholgamsonsa Jingsotap at Ssangbongsa Temple in Jungri Yiyangmyon Hwasungun Jollanamdo. This stupa is revaluated so high for an eminent relic as National Treasure No. 57. Cholgamsonsa Jingsotap is a sarira stupa shaped in a traditional octagon circle, supreme among various stupas of the 9th century of the end of the Unitied Shilla Dynasty. It’s adorned in solemnity with many kinds of carved figures. During the period of many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s in the end of the Unitied Shilla Dynasty, this eminent stupa was associated with Zen Buddhism which was marked off through Korean Buddhism history. Cheolgamseonsa, a monk, Park Doyoon was a master of Jinghyu school, which opened the Saja Zen sect, Gusansonmun. He, a very important person in the Buddhist history of Korea, became the founder of Saja Zen sect, which formed at Bumhungsa Temple in Mt. Saja located in Yongweolgun, Gwangwondo. During this period of many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s in the end of the Unitied Shilla Dynasty, he lived in a quiet life at Ssangbongsa Temple. Too many people gathered in crowds under the spirit of his religious power. After his death his sponsored Gyongju Royal Family, and many Buddhism people built this beautiful and magnificient stupa for the memorial of Monk Park Doyun, with an honourable treatment. At the time King Gyongmoon gave him a posthumous name, Cholgam, and named the stupa Jingso. The King issued mourning sentiments. Thus many kinds of carved figures of Cholgamsonsa Jingsotap Stupa were the memorial of Cholgamsonsa and to protect his sarira this stupa is surrounded with the four carved devas. So the study is both deep and exact. This thesis concerns chiefly the body of Jingsotap stupa. That is why the body part of this stupa is the place where is to be enshirned Cholgamsonsa’s sarira. Therefore the study of the carved four devas to love and protect Cholgamsonsa’s sarira, the study of a memorial flying angels for Cholgamsonsa’s charitable deed and the study of the carved door monument to symbolize the place of being enshrined Cholgamsonsa’s sarira are the objects of this thesis. The carved four devas, the memorial flying angels and the carved door are adorned around the part of body of holgamsonsa Jingsotap Stupa at Ssangbongsa Temple. The carved door monument on the body of this stupa is intended to be introduced from the view of a religion to protect a sarira. And also it can be an expression to be a sacred place being enshrined, a sarira. of a most respectable person, Senim. And the memorial flying angels carved on the core part of being enshrined Cholgamsonsa’s sarira are symbolized to pray an easy passage into eternity after death. This stupa is the only example, which is arranged the memorial flying angels on the body of the stupa among the others of 9th century stupas. And also the carved four devas on the four surface of the stupa are imaged after the amored general. As the role of a divine general they do their best to protect a sarira. Cholgamsonsa Jingsotap is a complete of the best prominent stone sculpture, which has the detailed adornments among Korean stupas. and this stupa has lead the latter stupas in carving the four devas. Especially the completed carving of the four devas to protect the most important body of this stupa has become a fine model for the others. Thus this stupa stands for the conciousness of the 9th century at the time of building this stupa. Including even an aesthetic sense of that age this stupa enables us to open our eyes to the new aspect of sublime dornments of a sarira stupa.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박은경 ( Park Eun-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불전 장엄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채색이나 그림으로 불전의 안팎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벽화와 단청이 전국 사찰 곳곳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으로 인해 사찰 건축이 피해를 많이 입었으며, 이에 따른 벽화도 불타고 소실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중수·보수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교체되면서 벽화가 유실되거나 혹은 벽화가 덧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후기에 제작된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는 현존하는 사찰벽화 가운데 최고의 사례이자, 고려시대 유일한 불교도상 벽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귀중한 벽화자산이다.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십찰(華嚴十刹)로도 알려진 유서깊은 명찰로, 영주시를 지나 봉황산 중턱에 둥지를 틀고 있다. 부석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지난 해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사찰의 경내 주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조사당 건물이 자리한다. 지금까지 부석사 조사당 벽화에 대해서는 부석사 및 조사당 수리보고서 등에서 언급되어 왔고, 제작기법이나 사천왕의 명칭 및 도상과 양식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조사당 벽화의 도상을 재검토하고, 그 배치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에 관해 기존에 명명되고 있는 존상명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불교미술의 방위관에 착안하여 배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조선시대 사천왕상 배치형식이 작품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향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적어도 통일신라 석굴암이나 고려시대 불화는 동향법(東向法)이 적용된 사례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석사 조사당은 본존이 남쪽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의 남향법(南向法)에 입각한 배치이다. 이 남향법은 조선시대에 보편적으로 많이 보이는 향법이나, 적어도 고려시대 부석사 조사당을 통해 남향법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 주목 시 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당 사천왕벽화의 서방의 용 모티브의 등장이나 남향법 배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원리에 의해 향법이 작용한다는 사실은 조사당 벽화 도상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is to adorn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with colorings or paintings. Although numerous mural paintings and dancheong-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re found in Buddhist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most of them were pain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temples were damaged and mural paintings were also burnt and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Mongo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ddition, many mural paintings were either lost or repaint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ir walls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temples' wooden buildings. In this sense, the Pusok temple's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invaluable heritages in that they are not only the best examples of existing mural paintings but also the only exampl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Pusok temple, founded in the 16th years of King Munmu(676) by the Buddhist monk Uisang, is a historically distinguished Buddhist temple and also known as one of ten Avatamska temples. It is a branch temple of Goun temple, the 16th paris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temple has nestled in the middle of Bonghwang mountain after passing through Yongju city. Moreover, Pusok temple is currently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der the name of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ince June 2018. Passing through the main building of Pusok temple-Muryangsujeon, the Chosa-Hall is located a little above. Heretofore, previous researches on Chosa hall's mural paintings of Pusok temple have been mentioned in the repairing reports on Pusok temple and Chosa hall.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have been mainly dealt with production techniques, styles, icons and name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focuses mainly on reviewing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This article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names and traditional method of arranging direction and location on Buddhist art history. It seems that the layout of paint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standard direction, though there were various explanations on changing arrangements of the Four Deva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each art work. At leas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re the cases which apply the eastward method. However,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 southward method in that the main Buddha status is facing south. It is important that this southward method is founded in the case of Chosa hall, Pusok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it was a common method of arranging temples' hall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a new fact was founde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Western dragon motif and the southward arrangement of the Four Devas. Therefore, a certain rule influences on the Buddhist halls' direction and location, and this rule will be an important clue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 KCI등재

        발해 상경성 출토 사리구의 구성과 특징

        이송란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7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발해의 사리구는 모두 6 세트가 확인되었다. 발해 사리구들은 작은 수량은 아니지만, 출토지에 대한 성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어 체계적인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글에서는 발해 상경성의 1975년 봄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토대자촌에서 발견된 석제함, 평탈칠함, 동제함, 금동제함, 은제함, 금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함과 1997년 발해진 백묘자촌에서 출토된 석제함, 철제함, 동제함, 평탈칠함, 금동제함, 은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기의 2 세트를 중심으로 발해 사리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발해의 사리와 사리구에 대한 기록이 희박하여 발해인들의 사리 신앙과 사리관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욱이 발해 사리기의 전모가 공개되지 않아 발해 사리기의 구성을 온전히 복원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사리구와 중국 수당대 사리구 그리고 발해 사리구를 교차 비교하여 동아시아에서 발해 사리구가 차지하는 의의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낸 발해 사리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안쪽으로 갈수록 귀한 재료가 사용하면서 중첩하는 방식을 따라 구성된 발해 상경성의 사리구는 사리가 담긴 유리병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정형함의 기형이며 모두 7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중첩 구조는 『大般涅槃經』,『長阿含經』등의 경전을 따른 것이다. 녹정형의 함의 형식이 중첩된 예는 9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법문사 후실지궁에서 출토된 금동제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석함이 외함의 기능을 하는 고식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인도의『마하밤사(Mahāvamsa, 大史)』의 6매의 큰 돌로 짠 석함에 菩提樹, 香水甁, 金佛像을 넣으라는 내용에서 석함을 외함으로 규정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중국에서도 북위 이래 수대까지 석함이 외함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백제 왕흥사지, 미륵사지, 분황사지에서도 석함이 확인된 바가 있다,. 또한 백묘자촌의 사리기의 경우 철제함이 사용된 예가 주목된다. 이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이다. 돈화, 화룡, 寧安, 東寧 등 발해의 유적지와 무덤에서 많은 수량의 철기가 출토된 바가 있다. 다음으로는 상경성 출토 발해사리기의 편년을 토대자촌의 선조사천왕문은제합을 살펴보았다. 이 사리기의 4면에 새겨진 천왕상은 8세기 후반과 9세기 전반 사이에 중국에서 유행한 도상으로 생각된다. 693년에 한역된『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에 명시된 지물을 통해 4명의 천왕이 사천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대자촌의 사천왕상은 모두 두 마리의 악귀에 걸터앉아 있는데, 두 상은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은 반면 나머지 두 상은 두 다리를 다 내리고 있다. 이에 앉은 자세에 주목하여 좌상으로도 부르지만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는 경우는 반가의 자세라고도 한다. 두 마리의 악귀에 앉아 있는 사천왕의 모습은 679년(문무왕 19)에 창건된 신라 사천왕사 목탑지의 기단부를 장식하였던 녹유사천왕상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사천왕이 들고 있는 지물은 신라 사천왕사지의 상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지물과 자세 면에서 근접한 예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중국 안서 유림굴 제 15굴 전실 남벽에 그려진 천왕상이 주목된다. 이 상은 두 마리의 악귀 위...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eatures of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Sangkyungsung, the capital of Balhae. Until now there has been 6 sets of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Among these those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was a 7 dimension buddhist reliquaries was composed of a stone box, a wooden box, a copper casket, a gilt-bronze casket, a silver casket, golden caske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from Heukryonggangsung, Younganhyung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spring, 1975. Also, another 7 set relic reliquaries consisted of a stone box, a iron casket, a wooden casket, a copper casket, a gilt bronze casket, a silver ches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1997 were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f buddhist reliquaries of Balhae. The uncovering of pertinent archaeological and textu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characterize the excavation site, posing numerous problems for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buddhist reliquaries are not disclosed, it is not possible to actually demonstrate the full composition of the buddhist reliquaries. However,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liquari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Sui and Tang Dynasty of China with those of the Balhae reliquaries' composition and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ere designated by defining the reliquaries' traits that have reflected the craft of Balhae. The characteristics of Balhae reliquaries that have found a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other unique elements of style and iconography of Balhae reliquaries. Apart from the glass bottle that holds the relic, all reliquaries have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and they are all super positioned in seven folds. This is the form that follows the books of Buddhist Sutra. The chests in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can be compared to the gilt-bronze chest excavated from Famensi(法門寺)In relation to this stone chest was found to do the role of a outer chest. The use of stone casket as outer chest can be proved by ploding through India's sutra, Mahāvamsa, where it asserts that in a stone casket made up of 6 pieces of stones. China also have used stone chests as outer casket since the Northern Dynasty for many dynasties and in Korea stone box were found in Wangheung Temple(王興寺) Ground, Mireuk Temple(彌勒寺) Ground of Baekje. and Bunhwang Temple(芬皇寺) Ground of Shilla. In addition, a iron casket the case of reliquaries from Baekmyojachon should be noted. This is a unique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in China or Korea. In other Balhae ruins, there has been numerous stone sarira caskets excavated. Next is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Former Four Devas Silver casket of the Todaejachon for the chronical recording of Balhae relic dishes excavated in Sangkyungsung. The Four Devas inscribed in this casket thought to be a then popular icon in China during the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se icons were Four Devas since the 693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Pu k'ung chüan so t'o lo ni tzu tsai wang chou ching(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 points this out. The all of Four Devas figure of Todaejachon sit on two devils and two of the figures have one leg down whereas the other two have both legs down. Regarding the sitting position these statutes are sometimes categorized as seated figures but in case of one leg down position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leg half crossed position. The Four Devas sitting on two devils can find its lineage from the Four Devas figures that decorated the tiles on a coated green-glass of Gameun Temple which was built in 679(King Moonmu 19). But the items that the Four Devas are carrying do not match. Similarity in items and positions of Four Devas can be found with the Deva drawn on the southern wall of 15th cave in Ansu Yurim Cave of China, which seem to be drawn between late 8th century and the early 9th century. This figu...

      • KCI등재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과 배치형식 고찰

        김경미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1

        사천왕을 그린 불화에서는 조선 전반기에 多聞天이 드는 지물에 변화가 생긴다. 고려시대까지 부처의 오른편에서 塔을 든 다문천 왕은 조선 전반기에 들어와 琵琶를 드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대 『大方廣佛華嚴經(1330~1336년)』 변상도에서 확인 된다. 불화에서 다문천이 드는 탑이 몽구스(寶鼠)로 변하는 지물의 변화는 티베트 사찰인 哲蚌寺, 吳屯寺, 白居寺에서 처음 벽화로 나 타난다. 조선에서도 원각사지십층석탑 1층 탑신 〈석가설법도〉에서 지물의 변화를 보이는 새로운 배치의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다. 그 러나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탑과 비파를 든 사천왕의 위치는 좌우가 혼용되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티베트계 사천왕 의 영향으로 대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티베트계 사찰벽화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이전의 중국 내륙에서 나타나는 사 천왕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티베트계 사찰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에 나타나는 사 천왕 도상이 티베트계에서 연원을 가지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사천왕상의 지물과 위치가 새로운 도상이 확산되는 현상과 더불어 일정기간의 도상 혼용 현상에 대해 그 원인과 이유를 당시 유통되었을 판본을 중심으로 찾고 자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묘법연화경경변상도(명 1432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사천왕 도상과 『제불세존여래보살존자명칭가곡 (1417년)』의 사천왕 도상은 다른 형식을 보여 준다. 이것은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는 경전임에도 서로 다른 판본의 존재를 확인 시켜 준다. 그러므로,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사천왕의 지물이 다른 두 가지 판본의 경변상도에 의해 도상의 정형이 확 보되지 않은 과도기의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티베트불교미술이 중국 내륙에 전파되면서 전통적인 중국 사천왕 도상과 티베트계 도상의 혼용이 명대 지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전환기 미술이 조선 전기에 유입된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조선 전반 기 사천왕의 다양한 도상 현황은 일괄적인 도상이 정착된 시기가 아닌 다양성을 보여주는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 하겠다.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four devas, there is a change in the paper material of V aisravana(多聞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Until Goryeo Dynasty, Damuncheonwang, who holds a tower(塔) on the right side of Buddha was changed to the form which holds a mandolin(琵琶)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change was first checked in Byeonsangdo in the Yuan period 『The Avatamska Sutra(大方廣佛華嚴經, 1330~1336)』, however the actual paper material change in the Buddhist painting is found first as a mural at the Tibetan temples, Cheolbangsa(哲蚌寺), Odunsa(吳屯寺), Baekgeosa(白居寺), which showed the change of tower which Vaisravana held into mongoose. In Joseon Dynasty, also, new distribution of the four devas appeared first, which showed the change of paper material in the first floor roof-stones of Wongaksaji sipcheung seoktap, 〈Seokgaseolbeopdo〉.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our devas which held a tower and a mandolin consistently appear in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mixing on the left and the right. This means the possibility that the paper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four devas might be flexib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ust like reflecting this, painting image of the four devas in illustration of 『saddharma-pundari-ka-sūtra(Ming 1432,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llustration of 『Jebulsejonyeorae-bosaljonjamyeongching-gagok(제불세존여래 보살존자명칭가곡, 1417)』 has opposite position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henomenon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Joseon had a transitional characteristic which did not secure the fixed form of painting image by illustration of two copies where paper materials of the four devas were different, which characteristic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 of art in the transitional period.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상품기획 및 개발

        이영숙 ( Lee Young-suk ),안용준 ( Ahn Yong-j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IT기기에 문화와 스토리를 접목한 전통문화상품을 기획 및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전통문화소재인 사천왕캐릭터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 및 액세사리로 제품화하였다. 현재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기능과 PC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개인정보 및 중요한 저장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사찰의 수호신이 현대의 스마트폰 보호의 수호신으로 개인의 중요한 정보 및 안녕을 기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스토리텔링 하였다. 사천왕캐릭터는 한국전통문화홍보 및 스마트폰 보호수호신으로 각 수호신별로 역할의 차별화를 고려하여 캐릭터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스마트폰보호용 케이스 및 액세사리로 캐릭터 특징과 형태 색상을 고려하여 상품화 제작하였다. 이것은 외국인 및 관광객들에게 한국문화콘텐츠로 차별화된 시각화 모델 제시 및 전통문화를 기념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며, 향후 다양한 문화상품콘텐츠로 개발가능하다. With storytelling applied, the study has planned and developed traditional culture items by combining an IT device with culture and a story.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a smart-phone case and accessories have been manufactured with the Four Devas characters applied, which are a Korean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 At present, people use a smart-phone to enjoy functions of a conventional cell phone and a personal computer as they keep personal information and other important data in the smart-phon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with the traditional guardians transformed into another guardians of the smart-phone of these times, a story has been created in which those guardians would protect both personal information kept in the smart-phone and the phone itself. As a protection guardian of the smart-phone as well as a kind of ambassador to promote Korean tradition culture, the Four Devas characters have been given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and finally, a character manual has been completed. After that, a case and accessories for the smart-phone based on those Four Devas characters have been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shapes and colors of the characters. What the study has accomplished will play a medium that would propose any original, visualized models for a Korean cultural content appealing to foreigners and tourists while it honors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ose Four Devas characters will be used for developing of various cultural items.

      • KCI등재

        막고굴 335호굴 유마경변의 도상분석을 통한 사천왕 도상 연구

        주수완 ( Soo Wan J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2 No.-

        이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성립된 갑옷을 입은 사천왕 도상 및 괴수형의 팔부중 도상의 연원이 인도의 항마성도 도상에 등장하는 마왕(파피야스) 및 마군의 도상에서 기원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인도미술에 등장하는 사천왕은 “사천왕봉발” 불전장면에서처럼 무장형이 아니라 왕공귀족으로서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는 무장형으로 변모하게 되는데, 그 원인도 마왕의 도상을 사천왕의 도상으로 차용한데서 비롯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이 돈황 막고굴의 초당시기 335호굴의 <유마경변>이다. 지금까지 사천왕으로 해석되어온 도상은 문수·유마의 대담장면 중에서 유마거사의 뒤편에 아수라상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만약 이 도상이 사천왕이라면, 사천왕은 문수보살 쪽에 위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유마거사 쪽에 위치해있는지 의문이 든다. 실제 중당 이후의 막고굴 유마경변 중에는 문수보살 뒤편에 별도의 사천왕이 등장하고 있어서, 유마와 문수 뒤편에 각각 사천왕이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더더욱 유마거사 뒤편의 무장형 인물을 사천왕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들 무장형 인물들이 칼과 보탑을 드는 등 사천왕의 특징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실질적으로는 유마거사가 항복시킨 마왕들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그렇게 되면, 문수보살 주변에는 문수보살과 동행한 나한들과 함께 제왕도 모티프로 표현된 천왕이 묘사되어 있고, 유마거사 아래에는 그가 평소에 제도한 수많은 세속인들이 묘사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인도의 “항마성도”를 주제로 한 불전도에서도 마군들은 한편으로는 석가모니를 공격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합장하며 항복하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를 통해 단순히 마군을 퇴치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들을 항복시키고 이후에는 『사익범천소문경』에서처럼 마왕이 스스로 불법을 수호하겠다고 서원하는 모습으로도 등장하게 된다. 특히 북위시대 항마성도를 묘사한 막고굴 254·263굴 벽화를 보면 석가모니를 공격하는 마군들이 앞 열에는 무장형 마왕, 뒤에는 괴수형 마군들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도는 마치 우리나라 영산회상도의 사천왕과 팔부중의 배치와 매우 유사한 구도로 보인다. 한편 항마성도 장면을 묘사한 불전설화 속의 마군의 묘사를 통해 팔부중의 도상적 연원이 이미 이들 마군들의 모습에 내재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도의 마왕·마군 도상은 직접적으로 중국의 도상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겠지만, 마군의 도상이 “유마경변”에서처럼 항복한 마군으로 발전하고, 이어서 “사익범천소문경”과 같이 불법을 수호하기로 서원한 마군으로 계승되었다가 점차 사천왕·팔부중이라는 불타 입멸 후 불법을 수호하는 대표적 존재로서 정착되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This essay is written to advance a hypothesis that the iconography of Four Heavenly Kings(Caturmaharaja) depicted as armed warrior and the monster shaped Eight Deva Guardians might be originated from the scene of Buddha`s defeat Mara the king of demon(Papiyas). The original shape of Four Heavenly Kings were aristocrats as appeared in the scene of “Four Heavenly Kings offer the Buddha`s Bawl”. But it is changed as armed warrior during the pass of Central Asia to East Asia. This phenomenon seems to be caused that Central and East Asian artist adopted the iconography not from Indian Four Kings image but from Mara the king of demon. The Vimala-Kirtinirdesa-Sutra Tableau in Buddhist Cave no.335 of Dunhuang Mogaoku shows this process very well. A group of warriors standing behind the Vimalakirti with Asuras has been regarded as Four heavenly kings. But if it is really Four heavenly kings, it is doubt that why they are staying with Vimalakirti instead of Manjusr`. In effect, real Four Heavenly Kings appears behind Manjusri after Middle Tang period(中唐) and another Four heavenly Kings group continually exist behind Vimalakirti. In this case, it is obviously that the group behind Vimalakirti is not Four heavenly kings. So even the group behind Vimalakirti seems as Four Heavenly Kings according to a distinct sign as jewel stupa, this group should be interpreted as other existence. This essay is trying to explain this group as Mara and Asura with demons. Especially, in the Vimala-Kirtinirdesa-Sutra, Mara and his demons are appeared to knuckled under to Vimalakirti`s occult power. On this suggestion, the concept of two groups under Vimalakirti and Manjusri. While the group under Vimalakirti can be explained as many peoples and demons whom Vimalakirti had relieved, the group under Manjusri can be explained as Buddha`s disciples and Heavenly king accompanied by the Bodhisattva. In visual, the armed warriors group and demons behind Vimalakirti are very similar to the shape of Mara and his demons on the wall painting in Mogaoku cave no.254 & 263 which are depicted the scene of “Attack of King Mara”. In this scene, Mara and some demon kings are described as an armed warrior in front of monster shaped demons. These kings and demons seems remind us buddhist guardians in Mt.Grdhrakuta(Vulture Peak, 靈鷲山) Assembly tableau. In addition, this essay compared the monster shaped demons in the narrative scene of “Attack of King Mara” with Eight Deva Guardians appeared in Buddha`s preaching scene. And this comparison confirmed that the origin of Eight Deva Guardians can be derived from the demons of King Mara. We can imagine that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Mara and demons are slowly changed as their defeat and surrender to Buddha made them as symbolic guardians of Dharma after his Nirvana.

      • 古文獻의 保存處理에 관한 事例硏究- 長興寶林寺四天王像에서 발견된 月印釋譜(권25)를 중심으로 -

        노기춘(Ki-Chun Roh) 한국기록관리학회 200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3 No.2

        장흥 보림사는 신라 경덕왕 18년(759)에 元表대사에 의해 화엄종찰로 개창되었으나 體澄이 헌안왕 2년(858)에 가지산사로 이석함으로서 선종사찰의 중심 도량으로서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단히 번창하였던 사찰이다. 이 연구는 1995년 장흥 보림사의 사천왕상에서 발굴된 복장불서 가운데 보물 제745-9호로 지정된 月印釋譜(권25)를 대상으로 서지학의 관점에서 지류문화재의 보수 및 보존처리 과정을 다룬 연구 논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존처리 전 형태적 특징을 보면, 책의 크기는 가로 22㎝, 세로 32.3㎝, 책의 두께는 2.8㎝, 五針眼訂法의 線裝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총 142장(3∼144장)이 발견되었다. 책의 상태는 사천왕상에 빗물이 스며듦으로서 책의 일부분이 규칙적으로 얼룩져 있을 뿐만 아니라 앞부분과 뒷부분의 장은 부식으로 인한 손상이 심한 상태며, 중앙부분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존처리 과정은 1) 제1차 세척과정, 2) 판본 보완 및 보수 과정, 3) 제2차 세척 및 보존처리 과정, 4) 재단 및 제책과정, 서투 및 표갑의 제작 등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보존처리 후 책의 외형은 가로 22.5㎝, 세로 32.7㎝, 두께 3.2㎝로 가로 0.5㎝, 세로 0.4㎝, 두께 0.4㎝등의 외형적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張數는 총 151장으로 표지를 포함하여 9장의 매수가 증가하였다. Borimsa was first built by Wonpyo, the great Buddhist priest of Whaum branch, in the year of 759 A.D. And Later the priest Chejing converted to Zen Buddhism in the year of 858 A.D., Borimsa got the central status of the Zen Buddhism, and was so prospered during the Chosun period. This research is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Buddhist literatures and the Wolinsukbo Vol.25, discovered in 1995 from the Four Devas of Borimsa, Buddhist Temple at Jangheung County, in the viewpoint of the bibliography. 『Wolinsukbo』 Vol.25 is consist of 142 pages and the size is of 22cm width, 32.3cm of length, and 2.8cm of depth. And also have the five-pinned eye revisor. The pre-conservation condition of this book was partly spotted by the permeated rain, and the cover pages being deeply spoiled.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done in the sequences of 1) 1st linsing, 2) repairing and correcting, 3) 2nd linsing and conservation, 4) cutting and binding. The post-conservation condition of 『Wolinsukbo』 Vol.25 is of, 9 pages including covers are added, total 151 pages, and the size being 22.5 cm width, 32.7cm of length, and 3.2cm of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