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맹 결속의 공고함과 느슨함 사이 -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정보 동맹의 역사가 갖는 함의 -

        송민선,석영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5

        본 논문은 영미권의 정보 동맹 파이브 아이즈와 관련하여 그간 크게 주목받지 않았던 ‘파이브 아이즈의 역사’를 다음의 두 가지 차원에서 새롭게 분석해보고자 했다. 첫째, 파이브 아이즈는 영국과 미국의 정보 체계가 결합하고 그것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평화적 세력전이의 과정 속에서 정보 동맹의 ‘무게 중심’이 옮겨가는 과정에 가까웠다. 즉, 파이브 아이즈 동맹 형성의 역사는 ‘결합의 역사’라기보다는 ‘갈등과 그 반작용의 역사’로서, 기존 영연방 중심의 정보 공유 체제가 미국 중심의 정보 동맹으로 옮겨가는 과정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둘째, 영연방 소속 국가들이 영국의 정보 통제 하에서 벗어나 미국과 단독으로 정보 협정을 맺게 되는 과정에는 “어떤 국가가 몇 년도에 추가적으로 합류했다” 정도의 단순한 설명만으로는 충분히 담을 수 없는 복잡다단한 정치적 배경과 의도가 숨어있었다. 특히 그 전환점에 핵심이 되었던 캐나다는 파이브 아이즈의 형성에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은 국가였다. 당시 캐나다는 영국으로부터 미국의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었고, 미국도 영국을 통해 캐나다의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었는데 왜 두 국가는 굳이 별도의 단독 정보협정을 맺게 되었던 것일까? 본 논문은 이 질문을 근간으로 하여 당시 영미 간의 갈등과 캐나다라는 중견 국가가 내린 판단 및 외교 전략을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파이브 아이즈의 참여, 혹은 협력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에 다양한 시사점을 던져 주리라 생각된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history of the Five Eyes, an intelligence alliance(Australia, Canada, New Zealand,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following two dimensions. First, the Five Eyes was more of a process of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stern intelligence alliance, rather than being form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expanding the British and American intelligence systems. In other words, the history of forming the Five Eyes Alliance is not a ‘history of unity,’ but a ‘history of conflict and its reaction.’ It would be interpreted as a process of moving the existing Commonwealth-centered intelligence system to the U.S.-centered intelligence alliance. Second, the process of Commonwealth countries breaking away from British intelligence control and signing an intelligenc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alone contained complex political backgrounds and intentions. It could not be sufficiently accounted by simple explanations such as ‘some additional countries joined the alliance in a few years.’ Particularly, Canada, which played a main role at the turning point, was the country that took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formation of the Five Eyes. At that time, Canada was able to share the U.S. intelligence with Britain, and the U.S. was able to share Canadian intelligence with Britain. If so, why did two countries have to sign the independent intelligence agreement? Based on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and the judgment and diplomatic strategy made by Canada.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give various implications to Republic of Korea, which is agonizing over the participation or cooperation of the Five Eye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국의 정보동맹과 유럽의 네트워크 전략

        오정현 ( Oh Jeong Hye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1

        이 논문은 냉전 이후 현재까지 미국 주도로 공고히 유지되어온 정보동맹인 ‘파이브아이즈’가 화웨이 사태를 맞아 보이는 경쟁과 협력의 양상을 네트워크 전략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019년 미국은 중국의 화웨이 장비에 스파이 기술이 내장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파이브아이즈’회원국에게 장비 보이콧 동참을 요구하였으나 오랜 우방국인 영국과 독일이 파열음을 내며 하나 된 대응을 하지 않았다. 한편, 프랑스는 분열의 틈에서 미국의 요구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세 국가 모두 미중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복잡한 행보로 기존 이론으로는 이해가 다소 제한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네트워크 전략론으로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국제정치 현상을 설명하며 유사한 한국의 상황에 일정 부분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aspect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at ‘Five Eyes’, an intelligence alliance that has been firmly maintained by the United States since the Cold War until now, faces Huawei's situation with the network strategy theory. In 2019, the United States insisted that China's Huawei equipment had built-in spy technology, and asked members of 'Five Eyes' to join the boycott of equipment, but the longtime allies, Britain and Germany, did not respond in unison. Meanwhile, France seemed to agree with the United States in the midst of division. Nonetheless, all three countries have maintained relations with bo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a complicated manner, which is somewhat limited to be explained by existing theories. Accordingly, with the network strategy theory, this paper explains the coexistenc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and suggests specific impli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미국의 인도-태평양 소다자주의 안보 전략 - 위협균형 이론을 중심으로 -

        조현덕 ( Cho Hyun-deok ) 대한정치학회 2023 大韓政治學會報 Vol.31 No.2

        미국은 중국을 동아시아 및 서태평양 일대의 ‘규칙에 기반한 질서’를 변경하고자 하는 도전 세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와 진주목걸이 전략은 중국이 더 이상 평화로운 부상(peaceful rising)을 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왈트(Walt)의 위협균형 이론(Balance of Threat Theory )을 토대로 미국이 중국의 부상을 위협으로 간주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인도·태평양 역내의 균형과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QUAD 2.0이 재출범했다. 미·중 양국에서 헤징 전략을 추진하던 중견국가(middle powers) 호주와 인도는 QUAD에 재참여하면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일각에서는 2021년 9월 출범한 AUKUS에 대해 미국의 ‘최상위 동맹체’로 간주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이 AUKUS, QUAD 및 Five Eyes 등 소다자주의 안보 협의체를 활용하여 스크럼 전략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본다. 이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역내에서 전통적으로 중시하였던 양자 동맹(bilateral alliances) 기조에서 새로운 형태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연계한 스크럼 전략을 네트워크화시키고, 스크럼 전략의 효용성과 한계를 분석·도출하고자 한다. The United States regards China as a contender that challenges a ‘rule-based order’ in East Asia and the West Pacific. China’s One Belt, One Road and String of Pearls signified the termination of a peaceful rise.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U.S. considers China’s rise as a threat, based on Walt’s Balance of Threat Theory as developed from Waltz’s Balance of Power Theory. Accordingly, the U.S. administrations have implemented the ‘Pivot to Asia’ and ‘Indo-Pacific Strategy’ to maintain balance and leverage in the Indo- Pacific region. In 2017, the U.S. re-established QUAD to play a critical role in containing China. The middle powers of Australia and India previously promoted hedging between the U.S. and China. With the establishment of QUAD 2.0, the two middle powers have demonstrated that they are inclined to partake in the U.S. Indo-Pacific Strategy. AUKUS was founded in September 2021 and is regarded by some as America’s ‘most important allied entit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U.S. will promote the ‘scrum strategy’, which consists of AUKUS, QUAD, and Five Eyes. It also implies that the U.S. is looking to complement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bilateral alliances within the Indo-Pacific region. This paper aims to interconnect both the U.S. Indo-Pacific Strategy and the scrum strategy, and then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 scrum strategy.

      • KCI등재

        아비담마의 눈의 문 인식과정과 신경세포에서 나오는 전기신호의 특성과의 대비

        현남규(Hyun, Nam-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이 논문에서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특성으로 아비담마의 인식과정 들여다보기를 시도하였다. 우선 1마음찰나를 1/75초로 하여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을 논의하였다. 아비담마에서는 여섯가지 감각의 문과 각각에 대응하는 감각 대상이 있다고 한다: 눈의 문과 색대상, 귀의 문과 소리대상, 코의 문과 냄새대상, 혀의 문과 맛대상, 몸의 문과 접촉대상 그리고 마음의 문과 법대상. 처음의 다섯 가지 물질적인 감각의 문은 각각의 물질적인 대상에만 관계하나, 여섯 번째의 정신적인 마음의 문은 물직적인 오문의 대상과 법대상을 취한다: 법대상은 오직 마음에 의해서만 인식된다. 여섯 가지 감각의 문 중 하나가 그것에 해당하는 대상에 의해서 자극되면 일련의 정신적인 인식과정이 일어나는데, 여섯 가지의 인식과정이 있다: 눈의 문 인식과정, 귀의 문 인식과정, 코의 문 인식과정, 혀의 문 인식과정, 몸의 문 인식과정, 마음의 문 인식과정이다. 처음 다섯 가지를 오문 인식과정이라 한다.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을 신경과학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오문 중에서도 ‘매우 큰대상’을 가지는 눈의 문에서의 인식과정을 선택하였다. 아비담마의 인식과정은 신경세포의 폭발(버스팅) 신호에, 그리고 바왕가는 폭발 신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안정막 전압에 비교되었다. 눈의 문의 인식과정에서는 7종류 14개의 찰나의 마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오문전향, 안식, 받아드리는 마음, 조사하는 마음, 결정하는 마음, 7개의 처리하는 마음, 2개의 등록하는 마음이다. 이러한 눈의 문 인식과정에서 바왕가의 동요에서부터 결정하는 마음까지의 과정을 원숭이의 망막에 상이 맺힌 다음에 신호가 전전두엽까지 도달하는 과정과 비교하였다. 신호가 망막에서부터 전전두엽(PFC)까지 전달되는 루트는 복잡하지 아니하다. 시각정보는 망막에서부터 외측슬상체(LSN ⟷ ‘오문전향’)로 전달되고 나서 1차 시각피질(V1 ⟷ ‘안식’)로 간다. 거기에서부터 시각 신호는 V4영역(V4 ⟷ ‘받아드리는 마음’)을 거쳐서 전하측두피질(AIT ⟷ ‘조사하는 마음’)까지 도착한다. 거기에서 전전두엽(PFC⟷ ‘결정하는 마음’)까지 투사한다. 원숭이가 사과를 보고 난 후에 이것을 범주화하는 데까지는 약 0.1초가 걸린다. 각각의 과정에서 마음의 기능과 반응 시각이 서로 상당히 유사하다. 그리고 인식과정에서 나타나는 처리 ․ 저장단계에서의 마음의 기능들과 뇌과학에서 다루고 있는 그것들이 서로 유사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매우 다른 특성이 있는 이 두 가지 경우가 어떻게 서로 비슷한 결과를 낼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는 장차 설명될 필요가 있는 재미있는 주제이다. This paper traces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in abhidhamm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ignals of neurons. One seventy-fifth of a second was used as the time scale of a mind-moment. In Abhidhamma, there are two sets of six sense bases: six internal sense organs and six external sense objects. They are eye and color, ear and sound, nose and odor, tongue and taste, body and touch, mind and mental objects. The first five senses coordinate with the mind. However, dhamma objects can be perceived only by the mind. When one of the six sense organs is stricken by its respective sense object, there arises a series of mental cognitive processes. In order to compare the cognitive process of abhidhamma with the findings of neuroscience,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is considered, which can encompass any object, however big it is. The cognitive process of abhidhamma is compared to the bursting signals of nerve cells and the bhavanga with the membrane potentials appearing between the bursting signals. In the eye-door cognitive process, seven types of consciousness sequentially act in progression: a fivefold one for conversion, a visual, a receiving, an investigating, a determining, seven impulsive, and two registering. The sequential processes of visual stimuli that proceed from vibration in the life-continuum to a determining consciousness is compared to a similar process in the chain of visual processing that takes place between the retina and the prefrontal cortex (PFC) in the brain of a monkey. Visual signals are smoothly routed from the retina to the PFC. Vis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tina to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of thalamus (the type of consciousness corresponding to LSN is a five-door adverting consciousness). From there it goes to the primary visual cortex (V1 ↔ eye consciousness). The visual signals then arrive via the visual area V4 (V4 ↔ a receiving consciousness) to the anterior inferior temporal cortex (AIT ↔ an investigating consciousness). Then, the AIT projects to prefrontal cortex (PFC ↔ a determining consciousness). A monkey takes up to about 100ms to categorize the information after seeing an apple. In each cognitive process, the mental functions and response times are almost matching. Research is ongoing to underst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mental functions in the cognitive process in abhidhamma and those in brain science. How could these two cases with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e similar results? This subject needs much deeper research from both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perspectives.

      • KCI등재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이선용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Following the aniconism period,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of Śākyamuni Buddha began to be sculpted around the firstcentury C.E. in the Gandhara and Mathura regions. Similarly to pagodas,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sacred objects, including physical relics found in the cremated remains of the Buddha and relics of the dharma that he left behind as his incorporeal legacy, thus embodying sacredness and Buddhist ideology. The structure of the enshrined relics changed along with the underlying ideology and varied by country. Regardles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se enshrined relics was to religiously vivify the image in question.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ideological backgrounds reflected by the objects placed inside Korean Buddhist sculptures. In Korea, palyeoptong(八葉筒, eight-petaled containers) and huryeongtong (喉鈴筒, containers with a tube) were considered the actual heart of a Buddhist sculpture and vivified the image. The process of enshrinement of these objects was called bokjang(腹藏) in Korean. Palyeoptong and huryeongtong were inserted a round double-sided mirror(兩面圓鏡), Five-Wheels Seed Syllables(五輪種子), and True-Mind Seed Syllables(眞心種子) all of which embodied the pojabeop(布字法), a meditation of middle Esoteric Buddhism performed by a practitioner visualizing seed syllables covering his body and meditating on their esoteric meanings. Therefore, the pojabeop Esoteric Buddhism meditation method from the Goryeo period became established as an element of Buddhist enshrinement rituals unique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pojabeop were perceived to carry seed syllables for a consecration ceremony called eye-opening(點眼) for a Buddhist image in several Buddhist ritual manuals and Josang gyeong(造像經, Sūtra on Making Images). It was disseminated through these means. Thus, Joseon Dynasty bokjang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ir Goryeo Dynasty counterparts. Moreover, pojabeop absorbed by bokjang and jeoman came to provide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enshrinement of relics that became sacred objects of religious belief. 석가모니부처님 열반 후 종교와 신앙의 대상은 탑이었다. 무불상시대가 지나 간다라와 마투라지역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의 모습을 투영한 조각상이 건립되면서 탑과 마찬가지로 신사리와 법사리를 봉안함으로써 신성성과 사상성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사리봉안의 형식은 중국과 일본에서 장장(裝藏)과 납입(納入)이라 정의되면서 <오장(五臟)>, <오륜탑형사리기(五輪塔形舍利器)> 등을 안립하는 형식으로 점차 변화되었다. 한국은 <팔엽통(八葉筒)>과 <후령통(喉鈴筒)>을 심장으로 간주하고 이를 통해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복장(腹藏)으로 정의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복장에서 <팔엽통>과 <후령통>이 심장으로 환원될 수 있었던 것은 수행자가 자신의 몸에 범자를 안포하여 관상(觀想)하는 밀교의 포자법(布字法)을 수용한 <양면원경>, <오륜종자>, <진심종자>를 안립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포자법은 더 이상 『대일경(大日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중기밀교의 사상을 반영한 밀교의 관법(觀法)이 아닌 한국 고유의 형식과 물목으로 변화된 불교의식의 요소로 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포자법은 조선시대 여러 의식집과 『조상경(造像經)』에 점안범자로 수용ㆍ확산되어 고려시대 복장과는 다른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이처럼 복장의식과 점안의식으로 수용된 포자법은 종교와 신앙의 성물(聖物)로 환원될 수 있는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 KCI등재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정보공유체제 분석과 한미동맹에 대한 함의

        문지환,신진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2 국가정책연구 Vol.36 No.3

        This paper aims to provide basic knowledge about the Five Eyes, an intelligence sharing system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eans to contain the PRC in the United States, examines its meaning, and focus on finding relevance including the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it. To this end, the meaning of intelligence sharing in the alliance, and its benefits and costs are examined theoretically, the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Five Eyes are briefly presented, and the conclusion is intend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confirmed through the Five Eyes case that intelligence sharing is essential for the continu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allian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uth Korea's intelligence capabilities so that Washington needs Seoul to participate or cooperate, rather than unilaterally asking for it to join without grounds. 본 논문은 최근 미국의 대중 견제수단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정보공유체제 파이브 아이즈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며, 한국의 참가 등을 포함한 관련성을 찾아내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맹에서 정보공유가 갖는 의미, 그리고 그 편익과 비용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파이브 아이즈의 결성배경과 활동현황을 개략적으로 제시하며, 결론을 통하여 한국에게 갖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동맹의 지속과 강화를 위해서는 정보공유가 긴요하다는 점을 파이브 아이즈 사례를 통하여 재확인하였고, 한국의 경우 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동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이 근거없이 일방적으로 가입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한국을 필요로하여 동참이나 협력을 요구하도록 한국의 정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미국과 동맹국들에게 한국의 효용성과 신뢰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패권 경쟁 속에서 중견국 연대 외교의 갈림길: 화웨이 사례에서 보는 파이브 아이즈의 연대와 일탈

        유인태(In Tae Yoo)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1 동서연구 Vol.33 No.2

        첩보 동맹은 국가 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전제하고 있어, 회원국 간에 유사한 외교 정책과 방향을 취하는 경향이 크다. 그런데 대표적인 첩보 동맹인 ‘파이브 아이즈(Five Eyes)’는 화웨이(Huawei) 제재와 관련한 대응책에서 회원국 간 차이를 보였다. 왜 국가 간 연대에 간극이 생기는 것인가? 기존의 중견국 외교나 화웨이 사태 관련 연구들은 종종 연대 외교의 동학을 체계적으로 그리고 이론적으로 규명함에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동맹 및 연합 이론들에서의 위협 인식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위협 인식의 공유가 대외적으로뿐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연대 외교에 중요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파이브 아이즈에서의 중견국인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의 화웨이 제재 관련 대응을 비교 사례 분석한다. 그 결과 국내 정부 기관 간의 위협 인식 공유가 강력하고 지속적인 대응으로 이어졌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주도국인 미국과는 다른 대응책을 펼쳤음을 발견하였다. 연대 외교를 위해서는 대내외적 행위자들 간에 위협 인식 공유가 중요하다. Countries in an intelligence alliance tend to share more similar policies and strategic orientation among themselves than those that are not. However, members of the Five Eyes have shown discrepancies in their policies toward Huawei, a Chinese multinational technology company. Why do policy discrepancies occur among such tightly bound countries? This article refreshes and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hared threat perception, drawing on alliance and coalition theories, and argues that threat perception shared both among external and internal actors is crucial to keep states in line. Cases from Five Eyes members on Huawei sanctions demonstrate that a country with shared threat perception amongst relevant domestic actors remains adamant and exhaustive in sanctions, whereas other countries without such perception tend to diverge from the United States’ calling for sanctions. Constant management of the threat perception at both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he domestic level is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like-minded staes like-minded.

      • KCI등재

        관상서 『麻衣相法』의 번역 난점과 번역문 분석

        백수진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4 No.-

        『MaUiSangBeob(麻衣相法)』 is the book of physiognomy which was compiled in China. For the book is very practical, many handwriting copies and photoprint copies were circulat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our history. Now, seven kinds of Korean translated versions of 『MaUiSangBeob』 are publish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lose examination of many translations of the book especially to the explanation part of 'the five sensory organs(五官)' shows many mistranslation. The Chinese colloquial translation book also shows many mistranslation. 'The five sensory organs' are explained by analogy the form of animals, and described them in a type of system of chinese poems by four lines‒each line has seven words(七言絶句)–and rhymes. As a result, translators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original fully. Another reason to misunderstand the orignal text is that there are only two old books to explain the five sensory organs in detail with pictures, which is‒『MaUiSangBeob』 and 『SangRiHyungJin(相理衡眞)』. There are no other books about the physiognomy except them. And even in modern books of the physiognomy, it is hard to explain without the classic interpretation of this two old books‒『MaUiSangBeob』 and 『SangRiHyungJin』. Looking at the cause of the wrong translation of the translator, first,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not finding the word or subject to be explained in the sentence. Second,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a lack of physiognomic knowledges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shapes, and third, it is a misinterpretation caused by vocabulary or syntactic structure, not contextual meaning and physiognomic knowledge. 『마의상법』은 중국에서 편찬한 관상서이다. 이 책은 실용성이 높아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에 필사본과 영인본이 많이 나돌았고, 지금은 국내에 번역본이 7종이나 출간되어 있다. 이 책이 많이 알려진 이유는 다른 관상서와 달리 오관(귀, 눈썹, 눈, 코, 입)의 형태별 특징에 대해 그림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해놓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상 실전에 필요한 실용성으로서의 가치가 높았다. 관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마의상법』이 필독서나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마의상법』의 번역문을 검토해보면 유독 ‘오관’ 설명 부분에서 오역이 많이 나타난다. 중국, 대만의 백화 번역서도 마찬가지로 오역이 많았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번역문을 분석하여 관상서 번역의 특수성과 번역 난점을 알아보고, 오류 분석 방법을 통해 올바른 번역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의상법』의 ‘오관’ 부분은 대부분 동물의 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칠언절구 시의 형식으로 표현하였고 압운법까지 사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역자는 문맥 의미에 의존한 번역조차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이 ‘오관’ 부분의 설명과 그림이 있는 관상 고서는 『마의상법』과 『상리형진』 두 권뿐이라는 점이다. 번역에 참고할 다른 관상서가 없다. 현대 관상서도 이 두 권의 고전 해석을 벗어나서 설명하기는 어렵다. 역자의 오역 원인을 분석한 결과, ① 문장에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단어, 즉 주어를 찾지 못해서 생긴 오역, ② 동물의 형상 특징을 묘사한 관상학적 지식의 부족으로 생긴 오역, ③ 문맥 의미와 관상 지식이 아닌 어휘나 통사구조에 얽매여 생긴 오역 등이 있었다. 이러한 오역 원인과 번역과정 분석은 『신상전편』, 『상리형진』 등 다른 관상 고서의 번역에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선어록에 보이는 『금강경』의 공안과 그 의의

        김호귀 한국불교연구원 2024 불교연구 Vol.60 No.-

        금강경 이 선종에서 소의경전(所依經典)으로 선택된 것은 그에 상응하는 까닭이 있었다. 망상을 일으키지 않는 무념(無念)은 사상(四相)을 타파하는 것이고, 분별심을 내지 않는 무상(無相)은 평등심을 지니라는 것이며, 일체의 번뇌에 집착하지 않는 무주(無住)는 능견(能見)과 소견(所見)에도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로써 선수행의 측면에서 초기선종의 시대에 도신(道信)은 문수설반야경 을 중시하였고, 홍인(弘忍)은 금강경 을 중시하였으며, 혜능(慧能)도 금강경 을 중시하여 그에 근거하여 설법하였다. 이후로도 영명연수(永明延壽), 대주혜해(大珠慧海), 진존숙(陳尊宿), 화약진영(花藥進英) 등의 어록에서도 금강경 대목을 인용하여 문답상량(問答商量)을 보여주었다. 가령, 금강경 을 수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에게 무시당하는 일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대목의 공안이다. 그리고 모든 형상을 지닌 것은 진실한 것이 아니라고 알면 여래를 본다는 경문에 대하여 법안문익(法眼文益)은 오히려 여래를 볼 수가 없다고 설한 공안이다. 또한 일체의 제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따로 없다는데, 어째서 오리의 다리는 짧고 학의 다리는 긴가 하는 공안이다. 또 일체제불이 금강경 에서 출현했다는 경문에 대한 것이다. 또한 공안집에 공안으로 활용된 것으로 강경경천(剛經輕賤), 법안여래(法眼如來), 수산차경(首山此經)의 공안은 여러 선사에 의하여 염롱(拈弄)됨으로서 선종에서 금강경 을 더욱더 널리 활용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금강경 은 선종에서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선종계에도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그것은 경전에 담겨 있는 무집착의 사상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수행의 방편으로서 공안으로 활용되는 일례였다. There was a corresponding reason wh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was chosen as an important scripture in the Zen Sec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following words are emphasized: For example, do not be delusional, do not be discerning, have an equal heart, do not cling to all agony, do not cling to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For this reason, it was regarded as important early in the practice of Zen sect. To give a specific example, Zen Buddhism's fourth patriarch Dayi-daoxin(大醫道信), fifth patriarch Daman-hongren(大滿弘忍), and sixth patriarch Caoxi-huineng(曹溪慧能) jointly used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as a method of training and education for disciples. And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also played a big role in the ideological aspect of Zen. In zen-analects, you can find a lot of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contents of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For example, Hongren(弘忍)'s Those who by my form did see me(若以色見我), Huineng(慧能)'s Should produce an unsupported thought, i.e. A thought which is nowhere supported(應無所住而生其心), Dazhu-huihai(大珠慧海)'s Harmonious Buddhafields((諸法如義)), Yonhming-yanshou(永明延壽)'s Five Eyes(五眼), Huatao-jinying(花藥進英)'s Five Words(五語), and Chenzunsu(陳尊宿)'s All conditioned presents(一切有爲法).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xamined four of the contents of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that were used as Topic of conversation(公案). One, that they were ignored by others, even though they had scriptures. two, that all beings with images are not true. three, that all beings are equal and have no high or low. and four, that all Buddhas have emerged from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As such,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has been widely used in China and Korea for a long time and is still widely read.

      • KCI등재

        日本所在 韓國 密敎法具의 현황과 특성 -高麗 金剛鈴을 중심으로-

        최응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7 新羅文化 Vol.49 No.-

        This paper is a research on vajra bell one of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n Japan as a joint research theme with Taisho University in 2015. Although the research was limited to 31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t was possible to present Korean that were produced in Korea or possibly made in Korea among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n Japan.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n East As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of Korea, China, and Japan. Among the 31 the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t is a big achievement that 17 vajra bells and vajras which is estimated to be made in Korea is much more than that which is known in the past. The vajra bell newly excavated at Dobong Seowon is worthy of being the first example of East Asia that combines Five Great Kings, Brahma, Indra and the Four Devas into one body. Through the discovery of this vajra bell,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ex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in East Asia. The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ity of vajra bells and vajras must be clarified in the study of the East Asian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