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새로운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지수 및 등급 평가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4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그리고 Chung’s equation-XII를 새로 정립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XII (fire risk index-XII, FRI-XII)와 화재위험성등급(fire risk rating, FRR)을 산정하였다. 시험편은 녹나무, 벚나무, 고무나무, 느릅나무를 선택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한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Chung’s equations에 의해 산정된 화재성능지수-X (fire performance index-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ire growth index-X, FGI-X)은 각각 89.34~1696.75 s2/kW와 0.0006~0.0107 kW/s2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ire growth index-XI, FGI-XI)은 각각 0.08~1.48과 0.67~11.89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녹나무가 148.63 (화재위험성등급: G)으로 화재위험성이 매우 높은 목재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연소성 물질은 FPI-X과 FPI-XI이 낮아지고, FGI-X과 FGI-XI이 높아짐에 의하여 FRI-XII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e evaluation of fire risk for combustible materials was carried out using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and Chung’s equation-XII, which were newly established.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and fire risk rating (FRR) were calculated for specimens including camphor tree, cherry, rubber tree, and elm.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using a cone calorimeter according to ISO 5660-1. Chung’s equations caculated the fire performance index-X (FPI-X) and fire growth index-X (FGI-X) values ranged from 89.34 to 1696.75 s<sup>2</sup>/kW and from 0.0006 to 0.0107 kW/s<sup>2</s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 and fire growth index-XI (FGI-XI) varied from 0.08 to 1.48 and from 0.67 to 11.89, respectively.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which is an indicator of fire risk, showed that camphor tree had a value of 148.63 (fire risk rating: G), indicating a very high fire risk. This suggests that combustible material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have lower FPI-X and FPI-XI values, higher FGI-X and FGI-XI values, and consequently higher FRI-XII values, indicating an increased fire risk.

      • SCOPUSKCI등재

        새로운 Chung’s equation-IX에 의한 연소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 등급 평가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2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해 Chung’s equations-VII, Chung’s equations-VIII, 그리고 Chung’s equation-IX을 새로 정립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IX (fire risk index-IX, FRI-IX)와 화재위험성등급(fire risk rating, FRR)을 산정하였다. 시험편은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참죽나무, 피나무, 호두나무를 선택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한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연소 종료 후 Chung’s equations에 의해 산정된 화재성능지수-VII (fire performance index-VII, FPI-VII)는 15.15~182.53 s<sup>2</sup>/kW로 나타났고, 화재성장지수-VII (fire growth index-VII, FGI-VII)는 0.0023~0.0165 kW/s<sup>2</sup>로 나타났다. 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기준으로 한 화재성능지수-VIII (FPI-VIII)는 0.29~3.45로 나타났고, 화재성장지수-VIII (FGI-VIII)는 2.88~20.63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는 메타세콰이어가 71.14 (화재위험성등급: G)로 화재위험성이 매우 높은 목재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체적밀도가 낮은 목재는 FPI-VII와 FPI-VIII가 낮아지고, FGI-VII와 FGI-VIII가 높아짐에 의하여 FRI-IX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 evaluate the fire risk of combustible materials, Chung's equations VII, VIII, and IX were newly established. The fire risk index-IX (FRI-IX) and fire risk rating (FRR) were calculated. Ginkgo, dawn redwood, toona, lime, walnut,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according to ISO 5660-1. After combustion, the fire performance index-VII (FPI-VII) of the specimens, varied between 15.15 and 182.53 s<sup>2</sup>/kW, as determined by Chung's equations, and the fire growth index-VII (FGI-VII) varied between 0.0023 and 0.0165 kW/s<sup>2</sup>. The fire performance index-VIII (FPI-VIII) based on PMMA varied between 0.29 and 3.45, and the fire growth index-VIII (FGI-VIII) varied between 2.88 and 20.63. The FRI-IX, which is the fire risk rating, showed dawn redwood has a very high fire risk, with FRI-IX values of 71.14 (fire risk rating: G). Therefore, wood with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 low bulk density showed a high value of FRI-IX by lowering FPI-VII and FPI-VIII and increasing FGI-VII and FGI-VIII.

      • SCOPUSKCI등재

        화재 발생 시 목재 수종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진의 ( Eui Jin ),정영진 ( Yeong-jin Chung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4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위험성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III, -IV에 의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적삼목, 전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FPI-III는 polymethylmetacrylate (PMMA) 기준으로 0.86∼12.77로 나타났다. FGI-III는 PMMA를 기준으로 0.63∼5.26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 지수인 FRI-IV에 의한 화재 등급은 0.05∼6.12였으며 적삼목이 단풍나무와 비교하여 122.4배 높았다. FRI-IV에 의한 화재위험성 등급은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전나무, PMMA, 적삼목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3∼162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인 50 ppm보다 2.1∼3.2배 높게 나타났다. 적삼목과 같이 체적밀도가 작고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소재는 FPI-III가 낮고 FGI-III가 높으므로 화재위험성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valuate the fire risk and fire risk rating of wood for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focused on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 and fire risk index-IV (FRI-IV) according to Chung's equations-III and -IV. Western red cedar, needle fir, ash, and maple were used as the specimens. The fir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on the specimen. The FPI-III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was 0.86 to 12.77 based o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he FGI-III was found to be 0.63 to 5.26 based on PMMA. The fire rating according to the FRI-IV, which is the fire rating index, was 0.05 to 6.12, and the western red cedar was 122.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maple. The fire risk rating according to the FRI-IV increased in the order of maple, ash, needle fir, PMMA and western red cedar. The CO peak concentration of all specimens was measured as 103 to 162 ppm, and it was 2.1 to 3.2 times higher than 50 ppm, the permissible exposure limits of the 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aterials such as western red cedar, which have a low bulk density and contain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have a low FPI-III and a high FGI-III, so they have a high fire risk rating.

      • SCOPUSKCI등재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목재 4종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적용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4 공업화학 Vol.35 No.1

        Chung’s equation-XII에 의하여 4종의 목재에 대한 화재위험성 및 화재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편은 미국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들메나무, 산벚나무를 선정하였다. 시험편의 연소특성 시험은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를 이용하여 화재위험성등급(FRR)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화재성능지수-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GI-X)은 각각 469.03~1109.73 s<sup>2</sup>/kW와 0.0009~0.0280 kW/s<sup>2</sup>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GI-XI)은 각각 0.41~0.97와 1.11~3.11이었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들메나무가 7.60 (화재위험성 등급: D)으로서 가장 높은 화재위험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hung’s equation-IX인 화재위험성지수-IX (FRI-IX)와 비교하였다. FRI-IX과 FRI-XII에 의한 화재위험성 등급은 버드나무와 들메나무가 공통적으로 높았다. 또한 FRI-XII와 FRI-IX에 의한 결과는 유사한 관계가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화재안성등급의 크기는 서로 간 근접하게 일치하였다. The fire risk and fire safety of four types of wood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 according to Chung’s equation-XII. White ash, willow, fraxinus mandshurica, and sagent cherry trees were selected as test specimens. A cone calorimetery (ISO 5660-1) was used to examine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iece, and finally, the fire risk rating (FRR) was predicted using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The predicted fire performance index-X (FPI-X) and fire growth index-X (FGI-X) ranged from 469.03 to 1109.73 s<sup>2</sup>/kW and 0.0009 to 0.0280 kW/s<sup>2</sup>,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 and fire growth index-XI (FGI-XI) ranged from 0.41 to 0.97 and 1.11 to 3.11, respectively. The fire risk index-XII (FRI-XII), representing a fire risk rating, showed that the fire risk of frasxinus mandsurica tree (FM) was very high at 7.60 (fire risk rating: D). And it was compared with Chung’s equation-IX, fire risk index-IX (FRI-IX). The fire risk ratings according to FRI-IX and FRI-XII were generally high for willow and frasxinus mandsurica tree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FRI-XII and FRI-IX had a similar relationship, and the size of each fire safety rating closely matched each other.

      • KCI등재

        화재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성 변동에 관한 연구

        이재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3

        This study, as the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fire safety guidelines for a building, analyzed the fire risk in buildings according to their occupancy type through fire statistics. This study conducted the fire statistics analysis using data of 6 years (2012-2017) obtained from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The fire risk scale of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per fire was classified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technique. As a result, residential, transportation & vehicles, industrial and medical welfare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structures with high fire risk.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ire risk grade by dividing the risk of facilities into 5 phases through SFPE's structure fire risk analysis method and ArcGIS's natural division method through subdivision of 4 types of facilities previously identified using the IPA technique. 용도별 건축물의 화재 안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화재통계자료을 통해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도 분석에 실시하였다. 화재통계분석은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6년간(2012-2017)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이용해 화재건수 당 사상자 및 재산피해액의 화재위험도 척도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주거시설, 운수·자동차시설, 산업시설, 의료복지시설이 화재위험도가 높은 건축물로 분류되었다. IPA기법을 통하여 도출된 4가지 시설물을 세분류하여 SFPE의 건축물 화재위험도 분석방법과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을 통하여 시설물의 위험도를 5단계로 나눠 화재위험도 등급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산불연료의 연소특성을 활용한 산불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이해평,박영주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3

        In order to predict about forest fire behavior we constructed a database for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 in Samcheok, Gangwon-do and prepared fire risk map and fire risk rating using GIS method in this study. For the mapping 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and total smoke release are selected as the standardized parameters and the overall risk rating was made up of the ignition risk parameters(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and the spread risk parameters(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total smoke release). Forest fire risk was classified into 5 grades and lower grade of fire risk rating mean to correspond to more dangerous forest fire. As a result, the overall risk rating of Samcheok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from 1 to 3 and Nogok-myeon and Miro-myeon were turned out the most dangerous areas for forest fire. Because of the colony of pine and oak trees and the higher fire loads, the flame propagation will be carried out quickly in these areas.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화염행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산림가연물의 연소특성 DB를 구축하고, 연소특성 DB로부터 GIS를 이용하여 산불위험지도 및 위험도등급화 지도를 작성하였다. 맵핑을 위한 표준화 대상변수로는 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 화염지속시간, 총열방출량, 총연기방출량을 사용하였다. 또한, 총괄위험도 등급화는 착화위험변수(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와 확산위험변수(총열방출량, 화염지속기간, 총연기방출량)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삼척시의 산불위험도등급은 1∼5등급(5단계)으로 등급화하였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산불위험성이 높은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삼척시의 착화위험등급은 1등급과 5등급으로 구분되어 2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확산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4등급, 5등급으로 구분되어 4단계로 나타났다. 총괄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구분되어 3단계로 나타났으며, 산불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1등급의 구역은 산불발생위험등급과 산불확산위험등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에 해당하는 구역은 삼척시의 우발리와 미로면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불발생 시 발열량이 높게 나타나는 소나무와 참나무 군락지로 산불발생 시 화재하중이 크게 작용하여 산불확산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산불연료의 연소특성을 활용한 산불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Haepyeong Lee,Youngju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화염행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산림가연물의 연소특성 DB를 구축하고, 연소특성 DB로부터 GIS를 이용하여 산불위험지도 및 위험도등급화 지도를 작성하였다. 맵핑을 위한 표준화 대상변수로는 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 화염지속시간, 총열방출량, 총연기방출량을 사용하였다. 또한, 총괄위험도 등급화는 착화위험변수(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와 확산위험변수(총열방출량, 화염지속기간, 총연기방출량)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삼척시의 산불위험도등급은 1∼5등급(5단계)으로 등급화하였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산불위험성이 높은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삼척시의 착화위험등급은 1등급과 5등급으로 구분되어 2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확산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4등급, 5등급으로 구분되어 4단계로 나타났다. 총괄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구분되어 3단계로 나타났으며, 산불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1등급의 구역은 산불발생위험등급과 산불확산위험등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에 해당하는 구역은 삼척시의 우발리와 미로면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불발생 시 발열량이 높게 나타나는 소나무와 참나무 군락지로 산불발생 시 화재하중이 크게 작용하여 산불확산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predict about forest fire behavior we constructed a database for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 in Samcheok, Gangwon-do and prepared fire risk map and fire risk rating using GIS method in this study. For the mapping 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and total smoke release are selected as the standardized parameters and the overall risk rating was made up of the ignition risk parameters(autoignition temperature, ignition time) and the spread risk parameters(flame duration time, total heat release, total smoke release). Forest fire risk was classified into 5 grades and lower grade of fire risk rating mean to correspond to more dangerous forest fire. As a result, the overall risk rating of Samcheok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from 1 to 3 and Nogok-myeon and Miro-myeon were turned out the most dangerous areas for forest fire. Because of the colony of pine and oak trees and the higher fire loads, the flame propagation will be carried out quickly in these areas.

      • KCI등재후보

        건축물 화재시 개구분출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유속 위험성 추정 표준에 관한 연구

        신이철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3

        When a flashover occurs from the fire in the building block, the fire explosively grows and the nature of the fire changes from a fuel-controlled fire to a ventilation-controlled fire. As a result, flame and unburned gas are ejected through the openings. The ejected unburned-gas reacts with external oxygen violently to form a large-scale ejected flame, which causes the fire to expand to the upper layer. Also, radiating high-temperature radiant heat to neighboring buildings contributes to spread fire between buildings. In this regar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in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institutes, but researches on the risk of fire spread into adjacent buildings due to radiant heat are very insufficient. In this study, analyzing the statistics on the fire accompanied with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shows that the number of fires accompanied with the ejected flame from an opening was 1577 cases per year on averag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Uijeongbu fire case, the ejected flame was generated from the fire reached at the peak period and combustible building material was used as the exterior material, and burning to the adjacent building was spread by radiation and convection heat of the ejected flame, resulting in great loss of life and property. A radiation heat flux risk assessment algorithm for adjacent buildings was constructed and its verification test was conducted using ISO 13785-2 full-scale external wall fire test equipment. As a result,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verification test results show similar tendency, and it can be utilized as an assessment method for estimating the radiation heat flux between buildings in the future. 건축물 구획 내 화재시 플래시오버가 발생하면 폭발적으로 화재가 성장하게 되고, 화재의 성상은 연료지배형화재에서 환기지배형화재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를 통해 화염 및 미연소 가스가 분출하게 된다. 분출된 미연소 가스는 외부의 산소와 만나 격렬히 반응하여 대규모 분출화염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화재는 상층부로 연소 확대된다. 또한, 인접건물에 고온의 복사열을 방사함으로써 건물 간 화재 확대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개구분출화염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복사열에 의한 인접건물로의 연소확대 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개구분출화염을 동반한 화재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구분출화염을 동반한 화재 건수는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매년 1,577건이 발생되고 있으며, 의정부 화재 사례를 조사한 결과 화재가 최성기로 도달하여 분출화염이 발생하였고, 외장재로 가연물 건축 자재가 사용되어 분출화염의 복사 및 대류열에 의해 인접 건물로 연소 확대되어 큰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인접건물로의 복사열유속 위험성 추정 알고리즘 구축하여 이에 대한 검증시험을 ISO 13785-2 실물규모 외벽 화재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의 계산 결과와 검증 실험 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향후 건물 간 복사열유속 추정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진주시 도시시설물별 화재발생 위험도 평가

        배규한(Bae, Gyu Han),원태홍(Won, Tae Hong),유환희(Yoo, Hwan H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1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인구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도시시설물들이 급속도로 도시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사회재난 중 화재는 교통사고와 더불어 도시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의 화재발생은 44,432건이 발생하여 253명의 사망자와 4,3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다양한 피해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정보시스템과 진주소방서를 통하여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진주시 화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행정자치부의 시설물 현황 DB를 통해 진주시의 화재와 시설물의 군집성을 분석하고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미국소방기술사회(SEPE: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기준에 따른 화재발생빈도에 대한 위험 등급을 4단계로 구분한 경우 가장 높은 A등급으로 업무시설, 위락시설, 자동차시설이 분류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U등급은 단독주택, 공동주택, 교육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집합시설, 의료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시설, EU등급은 기타주택이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BEU등급은 위험물제조시설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설물은 위험물제조시설이었고 재산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는 집합시설과 산업시설이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도시에서 발생된 화재를 시설물별로 구분하여 발생빈도, 인명피해, 재산피해에 대해 위험등급을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서 도시공간에 분포한 시설물에 대한 화재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rbaniz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equently, various fac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urban areas at high speed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urban population. Accordingly,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a variety of disasters. In particular, fire damage among the social disasters caused the most severe damage in urban areas along with traffic accidents. 44,432 cases of fire occurred in 2015 in Korea. Due to these accidents, 253 were killed and property damage of 4,50 billion won was generated. However, despite the efforts to reduce a variety of damage, fire danger still remains high. In this regard, this study collected fire data, generated from 2007 to 2014 through the Jinju Fire Department and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NFDS) and calculated fire risk by analyzing the clustering of fire cases and facilities in Jinju-si based on the current DB of facilities, offer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a result, the risk ratings of fire occurrence were classified as four stages under the standards of the US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SEPE). Business facilities,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automobil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the highest A grad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education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ccommodation, set of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life servic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U grade, and other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EU grade. Finally,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BEU grade, the lowest gra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loss of life, the highest risk facility was the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hile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property damage, a set of facilit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risk.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to establish the fire reduction measures against facilities, distributed in urban space by calculating risk grades regarding the generation frequenc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fire, occurred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facilities.

      • KCI등재

        물류창고 특성이 고려된 화재위험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김하영(Kim, Hayoung),이동호(Rie, Dongho)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물류창고와 같이 내부 적재물이 저장된 일반적인 화재보다 화재 하중이 높으며 화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른 특성을 보인다. 또한 내부 적재물의 부피로 인해 연기가 체류할 공간이 줄어들어 연기의 하락이 가속화 된다. 이러한 화재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단계에서 화재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지만 기존의 CFD를 사용한 평가방법은 평가에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다양한 환경에 대한 평가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위험성 평가와 관련된 수식을 활용하여 내부 적재물이 고려된 평가가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감지기의 감지시간, 연기의 하강시간,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 피난시간 등이 손쉽게 계산되도록 설계되었다.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초기 설계단계에서 최적화된 화재 안전설비가 계획될 것으로 기대한다. Large spaces, such as warehouses where internal loads are stored, exhibit higher fire loads and faster fire growths than general fires.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internal load reduces the space required for the smoke to stay, thereby accelerating the decline in smoke height. To prevent fire hazards in such spac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ire risk during the design st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various settings because th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exist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utilize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this study, an algorithm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ternal loads by using formulas related to the existing fire risk assessment. The developed algorithm is designed to easily calculate the detection time of the detector, smoke fall time, and sprinkler operation time. This algorithm could be used to design an optimized fire protection system in the initial design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