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재 시 연소성 물질에 대한 화재 위험성 등급 평가

        정영진 ( Yeong-jin Chung ),진의 ( Eui Jin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1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 및 플라스틱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하여 새로 고안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삼나무, 적송, PMMA, PVC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화재성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1.0~15.0으로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적송, 삼나무, PMMA 순서로 증가하였다. 화재성장지수-III는 PMMA를 기준으로 0.5~3.3으로 나타났다. 화재성장지수-I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PVC, PMMA, 적송, 삼나무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6~570 ppm으로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적밀도가 낮은 삼나무와 PMMA와 같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재료는 화재성능지수-III가 낮고, 화재성장지수-III가 높으므로 화재로 인한 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화재위험성지수-IV와 일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ire risk assessment of woods and plastics for construction materials, focusing on the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 and fire risk index-IV (FRI-IV) by a newly designed method. Japanese cedar, red pin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polyvinyl chloride (PVC) were used as test pieces. Fir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The fire performance index-III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was found to be 1.0 to 15.0 with respect to PMMA. Fire risk by fire performance index-III increased in the order of PVC, red pine, Japanese cedar, and PMMA. The fire growth index-III was found to be 0.5 to 3.3 based on PMMA. Fire risk by fire growth index-III increased in the order of PVC, PMMA, red pine, and Japanese cedar. COpeak concentrations of all specimens were measured between 106 and 570 ppm. In conclusion, it is understood that Japanese cedar with a low bulk density and PMMA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have a low fire performance index-III and high fire growth index-III, and thus have high fire risk due to fire.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fire risk index-IV.

      • KCI등재

        복합영상관 단일 가연물의 디자인 화재곡선 평가

        장효연,황철홍,오창보,남동군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3

        An actual fire test was performed on single combustibles placed in a local cinema complex, and quantitative differencesin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and fire growth rat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design fire curve methods(i.e., the general and 2-stage methods). In terms of combustible use and fire load, a total of 12 combustibles were selected,classified into cinema lounge and movie theater.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HRR and fire growth rate determined usingthe two-stage method were quantita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neral method. The application of the two-stagemethod,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fire growth rate of the initial fire stage more precisely, could be useful inaccurately predicting the activation time of fire detectors and fire-extinguishing facilities, as well as the available safe egresstime (ASET) and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국내 복합영상관의 단일 가연물을 대상으로 실물 화재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측정된 열발생률(HRR)에 대한 디자인 화재곡선 방법(General 및 2-stage methods)에 따른 최대 HRR 및 화재성장률에 대한 정량적 차이가 검토되었다. 가연물의 용도 및 화재하중의 관점에서 대기공간과 영화상영관으로 구분되어, 총 12개의 가연물이 선정되었다. 주요결과로서, 2-stage method 통해 산출된 최대 HRR 및 화재성장률은 General method의 결과와 정량적으로 큰 차이가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기 화재단계의 보다 정확한 화재성장률을 고려할 수 있는 2-stage method의 활용은 정확한ASET과 RSET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기 및 소화설비의 작동시간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여성주체의 이중성으로 본 여성성장의 일면

        崔銀晶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고는 츠리(池莉)의 《물과 불의 혼재(水與火的缠绵)》를 대상으로 하여, 여성성장의 일면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水與火的缠绵》은 청망망(曾芒芒)이라는 한 여성의 연애와 결혼 및 떠남에 관한 서사로, 청년기부터 결혼 이후까지의 여성성장의 노정을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통해 츠리는 여성의 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여성의 성장이란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몰((mole)적 존재에서 분자적 존재로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여성다움에서 벗어나 개별화된 여성 ‘자신’으로서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성장 여정에 작용하는 여성주체의 이중성이다. 츠리는 가부장제 여성다움을 내면화한 청망망이라는 여성주체 안에 내포된 두 개의 주체를 발견한다. 작품 제목이 암시하는 ‘水(순응하는 정주적 주체)’와 ‘火(탈주하는 유목적 주체)’가 그것이다. 츠리가 보기에, 여성의 성장은 바로 이 ‘水-정주적 주체’와 ‘火-유목적 주체’가 끊임없이 부딪히고 교차하며 부침(浮沈)하는 과정이다. 중요한 것은 정주적 주체와 유목적 주체가 갈등하면서 어느 하나가 현현(顯現)하는 순간 다른 하나가 완전히 거세되거나 은폐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놓지 못하고 여전히 엉켜있다는 데 있다. 그 결과 한 주체에서 또 다른 주체로 끊임없이 이행과 반전과 전이를 거듭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츠리가 포착한 여성성장의 곤혹이며 특징일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an aspect of woman s growth through Chi Li s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is an epic story of romance, marriage and separation of a woman named ‘Ceng mang mang(曾芒芒)’. The story describes the courses of female growth from adolescence to post-marriage. With the story, Chi Li points out two regarding female growth as follows. One is the course in which a woman grows from an existence of a normative ‘mole’ under patriarchal system to a molecular existence. In other words, it is a route to compose ‘one’s own’ identify as individualized woman escaping from normative femininity in patriarchy. The other is the duality of female subject that affects the course of female growth. Chi Li finds two subjects in the female subject ‘Ceng mang mang’ whose patriarchal femininity is internalized. They are ‘a residental subject of settlement’ and ‘a nomadic subject of escape’. In Chi Li s opinion, a woman grows through endless conflict, alternation, and integration of the residental subject and the nomadic subject. What is important in the course is that the moment they are integrated to one of them through conflict, the other does not vanish or sealed off, but they still continue carrying on, turning over each other, and metastasizing. It is here where Chi Li captured the confusion and distinction of female growth.

      • KCI등재

        고성 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 치수의 자연복원 패턴

        임주훈 ( Joo Hoon Lim ),김정환 ( Jeong Hwan Kim ),배상원 ( Sang Won Ba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atural succession process after forest fire by comparing height, relative growth rates in height (RGH), and tree density of pine seedlings with different fire severity. In the area damaged by surface fire, tree density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5 years after fire. However, in the area damaged by crown fire, tree density rapidly increased during first 5 years after fire. Pine seedlings were found only on the place with ridges, barren soil, and the aspect of north. Annual height growth of pine seedlings was decreased with time in all study sites. The empty space in pine stands gradually decreased by the invasion of Quercus species. The forest fire altered the pine forest into oak forest rapidly. In contrast, pine seedlings invaded steadily on the oak forest in the rocky area or the area with ridge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you Young Jeong,Hee Kyung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5

        본 연구는 직업의 특성상 반복적으로 외상 사건을 경험하게 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명의식과자아탄력성 그리고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명의식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가톨릭 대학교 성심교정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첫째, 소명의식은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외상 후 성장과도 유의한 정적상관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명의식이 직접적으로 외상 후 성장에 이르기도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르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방공무원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상담하고 치료해줄 정규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 sense of calling,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fire officers who experience traumatic events repeatedly due to the nature of job, and to identify its influence. In particular, we tried to find out if ego-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calling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tudy targeted 500 firefight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proceeded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Sacred Heart Correction (IRB) of the Catholic University for ethical consideration. First, the sense of call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lasticity, and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ego-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the sense of calling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This means that the sense of calling directly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but also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ego-resilienc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regular programs should be prepared and implemented to counsel and treat fire officers’ mental health problems.

      • KCI등재후보

        지하공간의 위험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화재확산평가시스템 중심으로-

        박종근,노삼규 한국화재소방학회 200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6 No.4

        최근 국내·외에서 지하철 공사현장 가스폭발, 지하 공동구 화재, 지하가 화재 폭발 등 지하공간에서의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재산의 손실 뿐 아니라 전력, 통신망 마비로 도시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인명 피해의 대형화를 동반함으로서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이 잠재적으로 갖고 있는 연소확대 위험성을 확률을 이용하여 평균 연소손실면적 예측치를 산출하고, 화재시 화재확산 경로 및 피해 크기를 산출하여 각 방재 대책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A large number of accidents at an underground place have been happening, including the gas explosion under construction of subway; the fires of underground utility and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other explosion, at home and abroad recently. These accidents make the function of a city ineffective due to the paralyses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s net as well as the loss of property and cause people to feel unsecured with accompaniment of a heavy of toll of lives. This research will show evaluation methods of a numerical value of expected average loss space of combustion with the use of probability in order to present potential risk of combustion growth that underground space might cause, and how designer decides a system that enables us to compare and evaluate relatively the effectiveness of measures for preventing burning by calculating the expansion route and the damage size of burning in case of fire.

      • KCI등재

        다양한 직육면체 형상의 PU 폼 화염에서 최대 열방출률과 상관관계를 갖는 매개변수의 검토

        박정욱(Jung-Wook Park),한호식(Ho-Sik Han),황철홍(Cheol-Hong Hw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열방출률은 화재의 규모 및 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물리량이다. 최근 가연물의 다양한 매개변수와 화재실험에서 측정된 최대 열방출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식을 통해 가연물의 최대 열방출률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관관계에 적용될 수 있는 가연물의 다양한 매개변수들의 적절성에 관하여 아직까지 충분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polyurethane (PU) foam을 이용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가연물의 다양한 매개변수와 최대 열방출률의 상관관계가 정량적으로 비교⋅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로써, 가연물의 매개변수를 적절히 활용함에 따라 상관식을 통해 예측된 최대 열방출률의 상대오차는 34%에서 12%까지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heat release rate is an important physical quantity that can quantitatively analyze the scale and intensity of fires. 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parameters of combustibles and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measured in fire experiments, and to predict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of combustibles through correlation equations. However, the suitability of various parameters of combustibl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correlation has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polyurethane (PU) foams of various shapes. Besides,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combustible parameters and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by appropriately using the combustible parameters, the relative error of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predicted by the correlation equation could be reduced from 34% to 12%.

      • KCI등재

        실규모 실험에 의한 고체가연물의 화재특성 연구

        김성찬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고체가연물의 초기 점화 및 화재성장과정에서의 발열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가연물에 따른 화재성장특성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된 고체가연물은 단일/이중 목재크립, 단일/이중 쿠션, 카페트/목재크립이며 화재발달 단계에서 화재성장특성을 시간 제곱 화재성장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고 고체가연물의 화재성장 계수를 정량화 하였다. 고체가연물의 연소과정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질량과 방출되는 총열에너지 개념을 이용하여 가연물의 평균 유효연소율을 평가하였으며 환기 및 화재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해석시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A series of fire tests involving realistic solid combustible materials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heat release rate and investigate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during the initial fire growth stage. For these tests, single/double wood cribs, urethane cushion having polypropylene covers and wood crib on nylon carpet with urethane carpet padding were used as a fuel source. The fire growth coefficient of the solid combustible materials was quantified and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t2 fire scenario. The mean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was evaluated by the total mass loss of fuel and total energy release concept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ventilation and fire condi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 to design to a set of fire scenarios for the fire risk analysis.

      • KCI등재

        실물화재실험을 통한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 연구

        유용호,권오상,김흥열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duct a Real-scale fire test to predict the fire behavior by unit space at the apartment building where a huge casualties and injuries are likely. After setting the inflammables inside the house, the test aimed to identify the fire characteristics to each unit item was carried out. The house was divided into 4 unit space such as kitchen, living room, bedroom and a study for a real scale fire test. As a result, bedroom reached to flashover state in 5minutes after setting the fire, indicating a rapid fire growth such as 7433.3kW of maximum thermal emissivity, 578.6ppm of carbon monoxide, 1.25ppm of carbon dioxide and 1350oC of maximum indoor temperature. Particularly, the fire growth was made up to critical temperature which might cause a severe damage to the people within 3minutes, if the fire were not extinguished at inflammable space at the early stage of fire, which stressed the need of early response. The result of a real scale fire test could be compared with the outcome of expanded simulation test and used in predicting the fire spread at the space for different use.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많은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단위공간별 화재 성상을 예측 하기 위한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모델 주택을 구성하고 있는 내부 가연물을 선정한 후 각 단 위 품목에 대한 화재특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주방, 거실, 침실, 공부방 등 4종류의 단위 공간으로 구분 하여 각각 실물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침실의 경우 점화 후 약 5분이 경과되었을 때 플래쉬오 버 상태에 이르게 되어 매우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며, 최대 열방출율 약 7,433.3kW, 최대 CO 578.6ppm, 최대 CO2 1.25%, 내부 최대온도 1,350oC로 측정되었다. 특히, 화재 발생 초기에 가연 공간에서 화재의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약 3분 내에 인체에 급격한 피해를 줄 수 있는 한계온도 이상으로 화재가 성 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장롱, 침구류 등 비교적 화재가 급속히 전이 될 수 있는 가연물량이 다수 배치되어 있는 침실에서 용도별 가연 공간 중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단위 가연물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임계수준 이상으로 발생되어 이로 인해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물화재실험에서 얻어낸 결과는 향후 화재확대 예측 시뮬레 이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각 용도별 공간에서의 화재 확산 예측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유기 단열재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유지선 ( Ji Sun You ),전남 ( Nam Jeon ),정영진 ( Yeong-jin Chung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유기 단열재인 poly isocyanurate foam (PIR), poly urethane foam (PUR), phenol foam (PF)을 선정하여 ISO 5660-1의 기준에 따라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화재위험성 평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준물질(PMMA)을 사용하여 Chung’s equations-III와 Chung's equation-IV에 의한 화재위험성을 등급화하여 평가하였다. Chung’s equations-II의 화재성능지수-II 값은 PF가 14.77 s<sup>2</sup>/kW로 화재성능지수-II가 가장 높았고, PUR이 0.08 s<sup>2</sup>/kW로 화재성능지수-II가 가장 낮았다. 화재성장지수-II 값은 PF가 0.01 kW/s<sup>2</sup>로 화재성장지수-II가 가장 낮았고, PUR 이 1.14 kW/s<sup>2</sup>로 화재성장지수-II가 가장 높았다. Chung’s equations-III의 화재성능지수-III에서 PUR이 0.11로 화재성능 지수-III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PF가 20.23으로 화재성능지수-III가 가장 높았다. FGI-III에서는 PUR이 14.25로 화재성장지수-III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PF가 0.13으로 가장 안전한 물질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Chung’s equation-IV의 화재위험성지수-IV는 PUR (130.03) >> PIR (19.13) > PMMA (1.00) > PF (0.01)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PF가 화재위험성이 가장 낮고, PUR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study, poly isocyanurate foam (PIR), poly urethane foam (PUR), and phenol foam (PF) of organic insulation material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as per ISO 5660-1. Standard materials (PMMA) were used to standardize the fire hazard assessment, and the fire risk was classified and evaluated by Chung’s equations-III and IV. The fire performance index-II value of Chung’s equations-II was the highest value with PF of 14.77 s<sup>2</sup>/kW. And the PUR was 0.08 s<sup>2</sup>/kW, the lowest value of fire performance index-II value. The fire growth index-II value was the lowest value with PF of 0.01 kW/s<sup>2</sup>. And the PUR was 1.14 kW/s<sup>2</sup>, the highest value of fire growth index-II value. The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 of Chung’s equations-III had the lowest value for PUR (0.11) and the highest for PF (20.23). The PUR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he fire growth index-III (FGI-III) as 14.25, while the PF exhibited 0.13 regarded as the safest materials. The fire risk index-IV (FRI-IV) value of Chung’s equation-IV was in the following order: PUR (130.03) >> PIR (19.13) > PMMA (1.00) > PF (0.01).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fire risk associated with PF is the lowest, whereas that associated with PUR is the high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