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沈從文 소설의 여성형상과 아니마(anima)의 현현

        안승웅(Ahn, Seung-Woong)(安承雄)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5 No.-

        沈從文 소설연구에 있어 최근 새로이 부상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생태주의, 여성주의, 그리고 이를 결합한 생태여성주의 연구방법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 아직은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의 연구를 근원에서부터 사색하게 하는 아니마·아니무스와 관련된 이론은 향후 이들 연구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칼 융의 아니마·아니무스 이론이 생태여성주의 입장에서 沈從文 소설 속 여성형상 이해에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심리학적 측면에서 沈從文의 창작생애와 소설 창작 전반을 거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沈從文이 잠재의식 속 아니마를 조우하게 되는 계기와 과정을 밝혀보았다. 다음으로 沈從文의 소설 속 여성형상들의 창작시기별 전변과정이 沈從文의 잠재의식 속 아니마의 심화과정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이 아니마를 통해 沈從文이 시기별로 특유의 문학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JUNG s anima/animus theory as a useful and valid research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female figure in the novel Shen cong-wen(沈從文) from the standpoint of ecofeminism. When creating the female figure, Shen cong-wen(沈從文) prefers a fantasy cre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artist s unconscious world. In this process, Shen cong-wen(沈從文) was able to meet the inner anima. In addition, since childhood, he had the values of worshiping women and extremely hated the violent culture of the feudal patriarchal society, so he was able to meet his inner anima in the world of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emale form by creation period, which is revealed as ‘mother → lover → fairy → goddess’, coincided with the four-step development trend of anima, which is Eve → Helen → Saint Mary → Sapientia. During the Beijing(北京) period, Shen cong-wen(沈從文) created the image of a mother. This mother figur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Eve stage anima. Through the encounter with Eve anima, Shen cong-wen(沈從文) was able to heal her wounded inner self and continue her literary career. In the Shanghai(上海) period, Shen cong-wen(沈從文) created various female figures. These female figures are similar to Helen s anima, which has the charm of seducing the opposite sex. During the Qingdao(靑島) period, Shen cong-wen(沈從文) created a nymph-like figure of a young girl closely related to nature. This is similar to the Saint Mary stage of anima, which transcends women as sexual objects and shows the universal love of mankind. During the Kunming(昆明) period, Shen cong-wen(沈從文) created a female figure that sparked the artist s contemplation on life and abstraction. These female figures are similar to Sapientia anima, the goddess of wisdom who leads men to philosophical themes or artistic inspirations. In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emale figure in the novel of Shen cong-wen(沈從文) has the characteristic that anima is reflected. This is expected to be able to secure a new perspective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tudying the female figure in the novel Shen cong-wen(沈從文)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feminism.

      • KCI등재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의 기호적 분석

        박경철(Park, Keong-Cheol)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7

        만평은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을 풍자하기 위해서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에 비유되는 인물캐릭터를 등장시킨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말과 행위를 통해 부정행위를 한 권력자나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드러낸다. 본 연구의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장기간에 걸쳐 만평에 등장하고 있으며, 실제 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고 있다. 이처럼 국정원 여직원이 장기간에 걸쳐 만평 속 인물캐릭터로 등장하는 이유는 관련된 사회현상이 종결되지 않고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는 이유는 국정원 여직원의 숨겨진 얼굴로 인해 얼굴을 알기 쉽지 않은데 기인한다. 숨겨진 얼굴은 인물의 특징을 과장하기 힘들게 한다. 숨겨진 얼굴은 야구모자와 목도리로 상징되는 숨고 싶은 욕망의 표현이기도 하다. 숨겨진 얼굴과 숨고 싶은 욕망은 실제 인물 대신에 관련 있는 다른 인물 혹은 사회현상으로 치환하기 쉽게 만든다. 즉 국정원 여직원의 외형적 특징은 만평에서 ‘추가된 기의’를 결합시키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실제 국정원 여직원과 무관하게 여러 의미가 필요에 의해 결합하여 실제 인물은 사라지고 다른 인물 혹은 집단 또는 사회현상으로 치환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만평에서 ‘국정원 여직원’으로 등장하는 인물캐릭터를 기호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기호적 분석을 통해 다음을 알 수 있다. 첫번째, 만평은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두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세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네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풍자하고 조롱함으로써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Satirical cartoon features figure characters that liken to particular figures or social phenomenon to satirize particular figures or social phenomenon. Through the words and actions of figure characters in satirical carton, fraudulentact of man in power or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is revealed.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female agent that is the figure character of this study has been appearing in satirical cartoon for a long time and it likens to social phenomenon instead of a actual figure. The reason why the NIS female agent has been appearing as a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for a long time is because related social phenomenon has not ended and is still in progress. In addition, the reason why it likens to social phenomenon instead of an actual figure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identify her face that has been hidde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agger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gure. Her hidden face is also an expression of the desire to hide that is symbolized by baseball cap and muffler. Her hidden face and the desire to hide make it easy to substitute to other related figure or social phenomenon instead of actual figure. Namely, outward appearance of the NIS female agent has a good condition for combining ‘added significance’ in satirical cartoon. Irrelevant to actual NIS female agent, a satirical cartoon figure of NIS female agent is being combined with various meanings when needed and it is substituted as another figure, group or social phenomenon as the actual figure disappea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ole of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by symbolically analyzing the figure character that appears in satirical cartoon as ‘NIS female agent’.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through the symbolic analysis of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in this study. First, satirical cartoon satirizes social phenomenon.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satirizes social phenomenon in place of actual figure. Second, satirical cartoon satirizes core or embarrassing area of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created by politics.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satirizes core or embarrassing area of social phenomenon by revealing it in place of actual figure. Third, satirical cartoon sends a message of warning to a responsible person of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created by politics.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sends a message of warning to responsible person of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created by politics in place of actual figure. Fourth, satirical cartoon provides catharsis for enduring wound or stress received by individual due to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created by politics.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provides catharsis for enduring wound or stress received by individual due to irrational social phenomenon through satirizing and ridiculing actual figure.

      • KCI등재

        차범석의 『손탁호텔』과 三島由紀夫의 『鹿鳴館』에 나타난 여성상 비교 -현주실(玄珠實)과 아키코(顯子)를 중심으로-

        전수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5

        한국의 손탁호텔과 일본의 鹿鳴館은 전근대와 근대의 접점에 존재했던 건축물로 이는 곧 탈 전근대를 지향했으며, 서양의 문물을 수용하고 외국 사절들이 머물렀던 숙박의 기능도 겸했던 곳이다. 손탁호텔은 주로 정동의 개화파 인사들이 드나들었고, 이후 독립협회의 주요 무대가 되기도 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鹿鳴館 시대(1883~1889)``라는 시기가 존재할 정도로 鹿鳴館을 중심으로 서구화 정책에 힘을 기울인 흔적이 역력하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상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긴 손탁호텔과 鹿鳴館을 소재로, 동명의 희곡 『손탁호텔』, 『鹿鳴館』이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며 각 작품의 내용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개화기라는 공통된 역사적 시기의 흐름 위에 각기 작품 속에서 비슷한 비중과 역할을 차지하는 인물상을 알아보는 것은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두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현주실과 아키코의 여성상 비교에 연구 목적을 두려고 한다. 연구 방법은 두 여성의 근대적 자의식과 이상추구의 방향성 측면을 통한 여성상 접근이다. 연구 결과 두 여성 공히 상대적으로 비주류의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인물간의 관계를 조율하며 극의 흐름 속에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공통적 위상을 지녔다. 비록 가치관의 착종 현상이 보이긴 했지만 한, 일 개화기를 살고 근대교육에 노출되었으며 사랑에 적극적이었던 그녀들의 모습에서 근대적 자의식에 눈뜬 여성이라는 교집합적 요소를 발견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주실은 밖으로, 아키코는 안으로 향하는 이상추구의 방향성에서 두 여성상의 차이점도 발견 할 수 있었다. 향후 희곡 『손탁호텔』의 현주실과 『鹿鳴館』의 아키코를 중심으로 한 여성상 비교는 한·일 개화기 여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Sontak Hotel of Korea and Rokumeikan of Japan were buildings that existed on the verge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aiming for post-premodern, and also adopted the Western culture and had the foreign envoys to stay for accommodations. Sontak Hotel was mostly occupied by those in favor of enlightenment from Jeongdong, and later became the major stage of independence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o called ``Rokumeikan era (1883~1889)`` which shows the clear efforts in Westernization policies centering on Rokumeikan. It is very interesting, however, that there are plays named after Sontak Hotel and Rokumeikan with such short yet historically strong impression, and such is sufficient to induce curiosity about what those works are about. It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as a study to investigate the figures with similar significance and roles in each work in the flow of the common historical era of enlightenment period. Therefore, this report intends to study the comparison of female figure of Hyun Ju-Sil and Akiko appearing in these two literary works through text analysis. The study method shall be female figure approach through the perspective of direction of pursuit of ideal and modern identity of the two women. As the result, both women, despite being relatively non-mainstream, had the common status of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exhibiting a strong sense of being in the flow of the plot. Although the entangling of values were found, from these women who liv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and Japan, were exposed to modern education, and were active for love, an intersectional element of women aware of modern identity could be found. However, Hyun Ju-Sil aimed outward, and Akiko aimed inward in the direction of pursuit of ideal, showing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emale figures. In the future, the comparison of female figure focusing on Hyun Ju-Sil of the play 『Sontak Hotel』 and Akiko of 『Rokumeikan』 would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understanding the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n and Japan.

      • 岩刻畵에 나타난 性形象 그림에 대한 지역비교 - 사람 소재의 그림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그림은“남성상”과 여성상”,“교합상”과“임산상”,“수간상”으로 나누어 보았고 신앙의식 을 가름해 볼 제의그림을 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 그림들은‘수렵과 어로’,‘목축과 농경’의“생업활동”그림과 祈子 등“생식행위”의 그 림 중에서 주로 등장하는데 집단의 번성과 풍요와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생식주술로 의례를 행 했던 제의물이다. 이 같이 그림 제작의 배경에 샤머니즘 사유세계의 의식을 폭넓게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 타난 그림 양상에 있어서도 범세계적 지역 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시기가 지나면서 신앙 의식이 깊게 고도화됨에 따라 그림 형식에도 변화가 왔는데 초기 구상적 실상묘사의 회화성 그 림에서 후기 상징적 추상묘사의 도형그림으로 점차 遷移되어 갔다. 또한 철기 도구를 사용하면 서부터 만기에는 형상축약의 세선 그림이 새겨지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여성 그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Select only sexual figures on petroglyph developed based upon anthropomorphic figures distributed in 33 countries (8 nations Asia, 8 nations in America, 8 nations in Europe, nine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arranged according to its specific characters. As for the figures, divided “male figure”, “female figure”, “coitus figure”, “Pregnancy and Delivery Figure”, “ bestiality figure” and as for the religious figures, describing religious ceremony, divided seperately. These figures appeared mainly in the figures of occupational activities such as hunting and fishing, pasturage and agriculture, and coitus activities praying for their son, and all of these interpreted as religious materials praying for prosperity, abundance and safety for their community. As for the background in creating petroglyph, being having globally in common, shamanic speculative consciousness world, the appearance of the figures presented were not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 regions of the world researched. Only but, passing times,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developed profoundly, the style of figures changed, such as depicting figures to symbolic and abstractive figures. And also, from the time of using iron implement, in later time, fine-lined figures engraved. And these phenomena were remarkable for the figures depicing female.

      • KCI등재

        국권상실기(1905-1910) 여성의 국민화와 남녀동권 인식 - 여자용 교과서 『여자독본』과 여성가사를 중심으로

        정영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1

        The period from 1905 to 1910, Regarding the female figure planning at th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state idea and gender equality recognition was forming a mutually complementary while limited relationship. This article has examined this issue through ‘Yeoja Dokbon,’ a textbook for women, and female-kasa. The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Yeoja Dokbon’ and female-kasa shows that emphasis was added on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civilization) in female education for protection of national rights, and that the gender equality idea, which hugely motivated women during the time, was not being actively accepted. Women could and had to become a citizen ‘together’ with men, however, the term ‘together’ did not imply the concept of equality. In ‘Yeoja Dokbon,’ the figure as a citizen regarding females in Joseon, China, and western countries appear in a hierarchic order. Jang Ji-yeon granted an absolute rank, such as ‘sky’ or ‘ghost’ to Joseon women. Various dividing lines (men/women, good women/bad women, modern women/traditional women, natives/foreigners etc.) are implied within the idea of the nation in ‘Yeoja Dokbon’ and female-kasa. This shows the uneasiness of men regarding enlightened Joseon women. This appears more clearly in female-kasa. This shows that the physical character of the nation is created at the point in time in which ‘modern knowledge,’ such as modern nation, sovereignty, gender equality, and life modes are articulated. 1905년부터 1910년 전후의 시기, 여성상 기획은 國民國家 觀念과 男女同權 인식이 상호 보충적이면서도 제한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를 여자용 교과서 『여자독본』과 여성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여자독본』과 여성가사의 차이는 여성교육이 國權守護를 위한 신지식의 습득(문명화)에 방점이 찍혀있었지, 당대 여성들에게 큰 자극이 되었던 남녀동권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여자는 남자와 ‘함께’ 국민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했지만, 이 ‘함께’가 平等의 개념을 함축한 것은 아니었다. 『여자독본』에서 조선과 중국, 그리고 서양의 여성 국민상이 위계화 되어 나타난다. 張志淵은 ‘하늘’이나 ‘귀신’ 같은 絶對的 심급을 조선 여성에게 부여했다. 이는 개화된 조선여성들에 대한 남성들의 불안을 보여준다. 이는 女性歌詞에서 더 선명히 나타난다. 이는 ‘국민’이라는 신체성이 근대국가, 주권, 남녀동권 등의 ‘근대적 지식’과 삶의 양식이 절합되는 지점에서 창출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태조~성종대 왕실여성의 封號와 가문 현황 분석 - 大君夫人·君夫人을 중심으로

        이미선(Lee Mi-Seon)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본고는 조선 초기 왕실여성 가문의 성격과 외척의 정치적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태조∼성종대까지 간택후궁과 대군부인·군부인들의 가문 현황을 정리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無品인 王女를 제외한 간택후궁 25명과 왕자 부인 102명, 모두 127명이다. 이 여성들이 命婦의 爵號로 불렸던 만큼 그 정비 과정과 함께 公的칭호를 살펴보았다. 왕실여성의 칭호는 명부제도의 정비와 관련된다. 그들에 대한 칭호는 명부의 名號이자 封號였다. 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여성을 총칭하는 용어로, 명부의 수장인 왕비 아래에 內命婦와 外命婦로 나뉜다. 후궁은 내명부의 봉호를 받았고 왕자 부인은 외명부의 봉호를 받았다. 외명부제도는 1396년(태조 5) 吏曹에서 문무관 부인에게 내린 봉작을 정비하면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417년(태종 17)과 1432년(세종 14)에 한두 차례 개정되었고 성종대 완성된 경국대전에 최종 수록되면서 대군부인·군부인의 호칭은 각각 정1품 府夫人과 郡夫人이 되었다. 왕자와의 혼인을 통해 정1품에 오른 부인들은 간혹 정치적 문제나 자신의 윤리적 이유 등으로 그 지위를 잃게 되면서 그에 따른 호칭도 변경되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24명은 왕위를 계승한 남편을 둔 대군부인이나 궁궐에서 쫓겨난 폐빈·폐비 또는 이혼당한 대군부인, 그리고 왕비로 승격된 간택후궁 등이다. 태조에서 성종대까지 왕실여성들의 가문 127명의 성관을 분석한 결과, 국왕 10명의 간택후궁 25명은 15개의 성씨와 19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고 왕자 78명의 부인 102명은 32개의 성씨와 58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다. 이때 대군부인의 집안은 28개 가문에서 40명이 배출되었던 비해 왕자군의 부인 집안은 47개 가문에서 62명이 배출되었다. 그런 만큼 이 시기에는 왕실의 통혼 범위가 매우 넓었다. 게다가 대군과 왕자군의 신분적 차별이 사대부 집안과의 혼인 관계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contains a preliminary study that would hopefully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f the nature of certain houses to which the female members of the Joseon Royal family belonged in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as well as studies of the role of the Royal family’s in-law hous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catalogue all the houses of the Daegun-Bu’in(大君夫人) and Gun-Bu’in(君夫人) figur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history of Selected Royal concubines(Gantaek Hugung, 揀擇後宮) from the days of the Dynasty founder(Taejo, 太祖)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Examined here are total of 127 females, including 25 Gantaek Hugung figures (with the exception of Royal princesses who bore royal blood and thus had no Pum[品] ranks), as well as 102 females who were wives of the Royal princes. These females were addressed with their bestowed Myeongbu(命婦) titles[爵號], so their official titles are also examined here. Tit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females were develop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Myeongbu system, which was compiled of official titles[名號] that were to be bestowed(or assigned, 封號) by the government to females married to the Royal family males or other governmental officials. The term Myeongbu itself was a generic term that referred to females who were officially designated by the state, while the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Queen, featured two tracks of females: the Inner Myeongbu figures(Nae-Myeongbu, 內命婦) and the Outer Myeongbu figures(We-Myeongbu, 外命婦). Royal concubin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former track, while wives of princ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latter. The latter track was initiated for the very first time in 1396(5th year of Founder Taejo’s reign) when the Ijo(吏曹, Office of Personnel Assignment) office decided to modify titles that had been bestowed to wives of governmental(civil and military) officials. Later the system was revised in 1417(17th year of the reign of Taejong/太宗) and 1432(14th year of the reign of Sejong/世宗), and was also documented in the Joseon Law Code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compiled during the Seongjong era. The titles for Daegun-Bu’in and Gun-Bu’in became Bu-Bu’in(府夫人) and Gun-Bu’in(郡夫人) respectively, with both figures harboring the Jeong-1-pum[正一品] rank. Females who obtained this rank through marriages with the Royal princes sometimes lost their status due to political controversies or breach of moral conduct, and in those cases their titles were also adjusted or modified. Among the 127 figures examined here, 24 cases can be spotted, ranging from Daegun-Bu’in figures married to males who later became Kings, to Queens and Royal concubines who were stripped of their ranks and summarily dismissed from the palace, to Daegun-Bu’in figures who were forcibly divorced, and to Gantaek Hugung figures who were promoted to the status of Queen. Analysis of the household names of all 127 Joseon Royal family females from the era of Taejo to Seongjong reveals: 25 Gantaek Hugung figures—married to total of 10 kings—who collectively feature 15 last names[姓氏] and 19 hometowns[貫鄕], as well as 102 females married to 78 Royal princes featuring 32 last names and 58 hometowns. There were 40 Daegun-Bu’in figures from 28 houses, while 62 prince-wives from 47 houses. The Royal family of this time displayed quite a range in its marital network, and the unequ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n figures and other princes does not seem to have affected their marriages with Sa-Daebu(士大夫, Scholar/Official) households.

      • KCI등재

        여대생의 성찰을 통해 본 아버지의 의미 탐색

        안윤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fathers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applying CQR-M based on the reflection report of 205 female students from Seoul’s both co-ed and women's university. The analysis of father's meaning revealed that there were three areas, six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The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fathers perceived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shown in two categories: 'dedicated fathers' and 'absent fathers'. 'dedicated father' were five sub-categories: 'protectors of family', 'guides and advisors of life', 'problem solvers', 'economic needs', 'waiting and daily works', and 'absent fathers' were five sub-categories. Two subcategories were revealed: ‘the physical absence of father’ and ‘absence of father responsibility’. Second, the fathers' figures recognized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raditional patriarch' and 'new father's figure'. 'traditional patriarch'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busy and tired', 'rule and coercion',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drunkenness and drunken frenzy'. Third,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hange in relationship perception' and 'break and crisis of relationship'. The 'change in relationship perception' wa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sorry for sacrifice as the head', 'sorry for sick and old age', 'respect', 'forgetting gratitude for familiarity'. The 'disconnection and crisis of the relationship’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love –hate relationship', and 'inability to communicate'.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father' perceived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edia and popular culture that emphasize new father’s figure and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lluminates the influ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ther through the role and figure of polarized father. 본 연구는 여대생에게 ‘아버지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소재 4년제 여대와 남녀공학 여학생 총 205명의 성찰보고서를 기반으로 CQR-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버지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3개 영역, 6개 범주, 21개 하위범주로드러났다. 연구의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이 인식하는 아버지의 역할은 ‘헌신적 아버지’, ‘부재한아버지’ 등 2개의 범주로 나타났고, ‘헌신적 아버지’는 ‘가정의 수호자’, ‘인생의 길잡이와 조언자’, ‘문제해결사’, ‘경제적 필요충족’, ‘기다림과 일상의 수고’ 등 5개의 하위범주로, ‘부재한 아버지’는 ‘아버지의 물리적 부재’, ‘아버지책임의 부재’ 등 2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다. 둘째, 여대생이 인식하는 아버지 상은 ‘전통적 가부장’과 ‘새로운 아버지상’ 등 2개의 범주로, ‘전통적 가부장’은 ‘늘 바쁘고 피곤함’, ‘지배와 강요’, ‘남존여비’, ‘만취와 술주정’ 등의 4개의하위범주로 나눠졌다. 셋째, 여대생이 인식하는 ‘아버지와의 관계’는 ‘관계인식 변화’, ‘관계단절과 위기’ 등 2개의범주로, ‘관계인식 변화’는 ‘가장의로서 희생에 대한 미안함’, ‘아프고 늙어감에 대한 안쓰러움’, ‘존경하는 마음’, ‘익숙해져 감사함을 잊음’ 등 4개의 하위범주로 나눠졌다. ‘관계단절과 위기’는 ‘어색하고 불편함’, ‘애증관계’, ‘소통불능’ 등 3개 하위범주로 나눠졌다. 본 연구는 새로운 아버지 상을 강조하는 미디어와 대중문화 속에서 실제 여대생들이인식하는 ‘아버지의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양극화된 아버지의 역할과 상을 통해 여대생들이 받은영향과 아버지와의 관계를 조명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A.P. 체호프의 여성 이미지 양상 연구: 초기작을 중심으로

        박진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감성연구 Vol.- No.26

        This study focuses on early work on Chekhov's female patterns, which is a relatively short of research, compared to the study by numerous Chekhov researchers on a variety of topics on Anton Chekhov. In the area of art, a female's image is not just a character. In particular, female characters in literature are a complex collection of social ethical, racial, cultural,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closely relevant to the social attitudes and demands imposed on females. Therefore, the subjects of research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to study Chekhov are females, which demands more realistic and multilateral research. The author often classified the images of ‘a young woman who crave marriage’, ‘a woman revealed in a short of understanding between a married couple’, ‘a woman who appears as a predator image’, and ‘a woman who cannot be explained in a single definition’ into four categories in Chekhov's early works: ‘unmarried woman’, ‘married woman’, ‘beast’ and ‘complex figure’. This classification of females will work as a cornerstone for the study of how Chekhov developed the unique concept of females in Russian literature by revealing the female images and creative techniques that appear in Chekhov's early works. 본 논문은 수많은 체호프 연구자들이 안톤 체호프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체호프의 여성 이미지에 대해 그의 초기작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예술 분야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단순한 하나의 캐릭터가 아니다. 특히 문학에서의 여성 캐릭터는 여성에게 부과되는 사회적 태도 및 요구와 밀접하게 연관된 사회 윤리적, 인종적, 문화적, 역사적, 심리학적 매개변수로서 하나의 복합적인 집합체인 것이다. 따라서 체호프를 연구하기 위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연구 대상이 바로 여성이며, 이는 더욱 현실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를 요구한다. 본 연구자는 체호프의 초기작에서 자주 묘사되는 ‘결혼을 갈망하는 젊은 여성’, ‘부부간의 이해 부재의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 ‘포식자 이미지로 나타나는 여성’, ‘하나의 정의로 설명되기 힘든 여성’의 이미지 등을 ‘미혼녀’, ‘유부녀’, ‘야수’, ‘복합적 형상’의 4개의 범주로 분류했다. 이러한 여성 유형 분류는 체호프의 초기작에 등장하는 여성 이미지와 창작 기법을 밝히는 것으로서 러시아 문학에서 체호프가 여성 고유의 개념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아갔는지를 연구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이재관(李在寬)의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연구: 19세기 협기(俠妓) 이미지의 성립과 관련하여

        하성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3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2 No.-

        이재관(李在寬, 1783-1838년경)이 그린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는 네 명의 아름다운 여성이 등장한다. 아름다운 여성을 소재로 한 그림은 남성의 시각적 즐거움을 충족시키기 위한 작품으로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우리가 소위 “미인도”에서 읽어낼 수 있는 것이 오직 남성의 욕망뿐일까? 이러한 그림들에 여성의 수요와 요구가 반영되었을 가능성은 없을까? ≪고사인물도≫에는 19세기에 경화세족(京華世族)들에게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간주된 재녀(才女), 여협(女俠), 은거자(隱居者)가 그려져 있다. 재녀, 여협, 은거자는 일견 이질적으로 보이나 모두 19세기에 경화세족들이 바람직하다고 여겼던 인물형이다. 특히 당시에 청(淸, 1644-1911)의 강남(江南) 문화에 영향을 받은 경화세족들은 재녀와 여협을 이상적인 동반자로 새롭게 인식하였다. 재녀는 문예적 능력으로, 여협은 신의(信義)를 통하여 경화세족 남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한편 19세기는 기생들의 예술 활동이 두드러졌던 시기였다. 당시에 몇몇 기생들은 문예적 능력을 바탕으로 경화세족들과 교유하며 예술가로 인정받았다. 이 기생들은 재녀와 여협의 덕목을 모두 갖춘 협기(俠妓)로 자처함으로써 자신이 남성 문인의 이상적인 동반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고사인물도≫에는 이처럼 19세기의 기생들에 의하여 형성된 협기 이미지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당대(當代)의 조선에 협기 이미지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주도적으로 노력했다는 점에서 기녀들이 ≪고사인물도≫와 같은 그림의 감상자층(鑑賞者層) 및 수요층(需要層)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은 크다. 실제로 이재관은 평안남도(平安南道) 성천(成川)의 명기였던 김운초(金雲楚, 1800년경-1857년 이전)와 같이 적극적으로 협기의 태도를 취했던 인물과 교유하였다. 김운초(운초)는 평안남도(平安南道) 성천(成川)의 관기(官妓)로 한양(漢陽)까지 이름이 알려졌던 시인이다. 그는 후에 안동(安東) 김씨(金氏) 집안 출신의 고위 관료인 김이양(金履陽, 1755-1845)의 첩이 되었다. 운초는 이재관의 화실(畫室)인 흔연관(欣涓館)에 출입하며 이재관은 물론 이 작품에 제시(題詩)를 쓴 조희룡(趙熙龍, 1789-1866) 및 강진(姜溍, 1807-1858)과도 교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사인물도≫에는 운초를 연상시키거나 그의 시에서 자주 활용된 모티프가 그려져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필자는 본고에서 운초가 흔연관 모임의 일원(一員)으로서 ≪고사인물도≫의 제작에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Yi Jaegwan (1783-ca. 1838)’s Figures (Gosa inmul do) consists of six paintings. Four of them are imaginary portraits of women in antiquity who were famous as talented women (cainÜ) or female knight errants (nÜxia). The others focused on the ideal life of recluses. The images and the poems written on these pictures show the painter’s intention to represent the figures as couples. There was a tendency among some nineteenth-century Joseon literati to regard talented women and female knight errants as their ideal companion. Making the most of this trend, courtesans (gisaeng), especially the ones at the upper level of their profession, positioned themselves as “chivalrous courtesans (hyeopgi)” who were qualified both as talented women and female knight errants. Their purpose was to be perceived as a perfect match for scholar-gentry men. Among those chivalrous courtesans, it is highly possible that Kim Uncho (ca. 1800-before 1857)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creation of Figures. She was a renowned poet and a concubine of Kim Iyang (1755-1845), a high ranking official from the prestigious Andong Kim clan who was 45 years older than her. Jo Huiryong (1789-1866) and Gang Jin (1807-1858), who wrote inscriptions on Figures, seem to have frequently gathered at Yi Jaegwan’s studio named Heunyeon’gwan. Kim Uncho was also a member of this literati circle. The selection of figures and the way in which the inscriptions were written on Figures are highly suggestive of the presence of Kim Uncho behind the making of Figures. In this study, Figures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iece of evidence highlighting that courtesans were active as appreciators, clients, and patrons of paintings in nineteenth-century Korea, as found in the case of Kim Uncho.

      • KCI등재

        천경자의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 작품에 관한 연구

        홍윤리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The 22nd Page of My Sad Legend is a showpiece of figure paintings of a woman, Chun Kyung-ja’s trademark subject matter. This painting features a woman, a snake, and flowers, motifs Chun often portrayed, conveying the meanings of those diverse icons. This work is a frontal figure painting in which a woman faces the viewer with her eyes wide open. From the 1960s, Chun portrayed female figures in earnest, seeking an alteration in her artistic tendency. This work is a key painting intimating some change in the trend of her previous pieces. This study casts light on the features of Chun’s female figure paintings done in the 1970s and their art historical meaning, based on close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of her masterwork The 22nd Page of My Sad Legend. This work has been regarded as her self-portrait, calling to mind the days when she was 22. Its title has been derived from the first of her autobiography, The First Page of My Sad Legend and the number “22” was considered related to her age in the first description of this work. With this account, this work was deemed to be her previous self-portrait. A review of Chun’s various writings and works reveals that this woman may be either Chun at 22 or her younger sister who died at the age of 22. Chun identified herself with her deceased sister and gave this title to this work. Laden with her earnest longing for her dead sister, this work is a portrayal of “a beautiful woman with sentiment and solitude” who corresponds to artistic direction Chun has pursued. Her premature death seriously hurt Chun, motivating the artist to constantly depict female figures. Her death was always seated on her life fraught with resentment and loneliness, consistently having an impact on the process of her portraying an anonymous woman. Chun used to bring her ideas and experiences to figures in her works. Her work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her own situation, previous experiences such as her family member’s death, or her dreams. She seemed to arouse the sympathy of women of her time through figure paintings of women who had lived a harsh life as she did.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는 천경자가 즐겨 그렸던 일련의 여인 인물상 중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은 그녀의 회화 속에 자주 보인 여인, 뱀, 꽃이 모두 한 화면에 담겨 있어 그녀의 회화에서 보이는 여러 도상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천경자 작품 특유의 동공을 크게 뜨고 보는 이와 마주한 정면인물화이다. 천경자는 기존의 작품 경향에서 변화를 주며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여인 인물상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이 작품은 1970년대 중반 이후 기존 작품들에서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주요 작품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천경자의 대표작인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를 면밀히 관찰해보며 1970년대 천경자의 여인 인물상의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는 천경자가 22세를 회상하며 그린 자화상으로 불리는 경향이컸다. 이 작품의 제목은 천경자의 자서전 첫 페이지인 「내 슬픈 전설의 첫페이지」에서 연유되었고 최초작품해설에서 ‘22’가 천경자의 22세 나이와 관계한다고 했으며, 이러한 해석이 받아들여져 이후 이 작품을 천경자의 과거 자화상으로 여겼다. 그러나 천경자가 썼던 여러 글과 작품들을 살펴보면 이 작품이 천경자의 22세 때의 과거 자신이면서동시에 22세 때 죽은 여동생의 인물상일 수 있는 가능성을 높다. 천경자는 죽은 동생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이 작품의 제목을 붙였다. 이 작품은 동생에 대한 그리움과 간절함이 농후하게 담긴 작품이며, 천경자가 추구한 예술세계에 걸맞은 ‘한과 고독을 가진 아름다운 여자 주인공’이었다. 일찍 세상을 떠난 여동생은 천경자의 생애에 큰 상처였고, 그녀가 여인 인물상을 지속해서 제작하게 했던 동기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천경자의 삶 속에서 한과 고독의 한자리에는 동생의 죽음이 있었고, 익명의 여인을 그리는 과정에서도 그 영향은 지속해서 작용했다. 그녀는 작품 속에 자신의 사고와 경험을 집약시켜 여인 인물상으로 귀결시켰다. 천경자의 작품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가족의 죽음 그리고 자신의 꿈 등 개인의 과거 경험과 연관성이 짙다. 그녀는 자신처럼생을 힘겹게 지탱해온 여인들을 위한 기념비를 여인 인물상으로 남겨 당대의 여인들에게 공감을 주고자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