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자기자비, 시험불안과의 관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선영,조한익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failure tolerance, self-compassion, and test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job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failure tolerance is modulated.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3.5 are as follows. First, failure tolera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tes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Second, self-compass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est anxiety. Thir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which self-compassion was regulated in the indirect effect of ego resilience mediated failure tolerance to affect test anxiety.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at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has a high relationship with test anxiety and failure tolerance. 본 연구는 취업에 대한 불안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자기자비, 시험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실패내성을 매개로 자아탄력성이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자비가 시험불안과 실패내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시험불안과의 관계에서 실패내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자비는 실패내성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실패내성을 매개로 하여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에서 자기자비가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시험불안과 실패내성에 높은 관계성이 있음을 밝혀낸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김은혜,조한익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1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various measurement including Fir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Korean version Self-compassion scale(K-SCS), Failure-tolerance scale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ale(STAI).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confirm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ysfunctional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where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Self-compa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Also failure-tolera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Second,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were significant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anxiety.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improving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of college students with dysfunctional perfectionism tendencies could be a effective variable that helps to reduce anxiety and relieve psychological p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FMPS),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성인용 실패내성 척도, 상태-불안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불안에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자비는 불안과 부적 상관을, 실패내성은 불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역기능적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에게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불안을 낮추며 그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시험불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오충광,최혜윤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st anxiety, self-compassion,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A total of 610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an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st anxiety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ilure tolerance. failure tolera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and failure tolerance mediate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불안의 적정수준이론을 바탕으로 시험불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강원도에 위치한 3개 대학교 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시험불안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준다는 경로모형이다. 그리고 경쟁모형은 시험불안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시험불안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자비는 실패내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실패내성은 학업성취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험불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시험불안으로 학업성취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이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을 향상시킴으로서 효과적인 학업성취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최서경,양수진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40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were significanc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In addition, the dual mediated effect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was found. That is, the self-compa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is an effective emotional adjustment, which plays a positive role in looking at and facing negative situations such as failure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Findings of the study shed light on the need of early interventive approach to support self-compassion in young adults, which was fully accompanied by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that facilitate construc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overcome failure consequenc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진입기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통해 이중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자기자비가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실패내성의 증진을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의 증진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인지·정서적 요인인 긍정적 재평가를 높이고 행동 요인인 경험회피를 낮춤으로써 실패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실패내성을 키우기 위해 자기자비적인 태도와 이에 수반되는 인지, 행동적 측면의 포괄적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