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조세회피

        김은희 ( Eun Hee Kim ),김임현 ( Im Hyeon Kim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저널 Vol.26 No.4

        본 연구는 McGuire et al.(2012)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조세회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을 감사전문성과 세무전문성으로 구분하여 조세회피와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감사인의 감사전문성과 세무전문성 모두를 고려한 종합적인 산업전문성과 조세회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이며, 비금융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산업의 감사전문성과 세무전문성은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검증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측정하였으며, 조세회피 측정치는 현금유효세율(CASHETR)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산업의 감사전문성과 산업의 세무전문성을 가진 감사인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은 조세회피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기업이 효과적인 세무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자신이 속한 산업의 전문지식을 가진 감사인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조세회피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둘째, 종합적 산업전문성을 가진 감사인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은 조세회피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종합적 전문성을 가진 감사인은 기업에게 유익한 세무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해 그들의 감사전문성과 세무전문성을 결합하여 기업에게 효과적인 세무계획을 제공함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조세회피 전략의 효율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조세회피의 결정요인임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품질 및 재무보고품질의 관계를 검증한 다수의 선행연구에 비해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조세회피의 관계를 검증한 국내외 선행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서 감사인의 산업전문성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따라 기업의 경영자가산업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을 선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세무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무적으로도 산업에서 전문성이 높은 감사인을 선정함으로써 기업이 납부하는 세금을 줄여 추가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며,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기업의 효율적인 세무전략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존재한다. According to McGuire et al.(2012), this paper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stry expertise of the auditor and tax avoidance.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s divided into audit expertise and tax expertise.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uditor`s industry audit expertise, industry tax expertise and tax avoidance, and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overall expertise and tax avoidance considering both audit expertise and tax expertis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m engage in greater tax avoidance when their auditor is a industry audit expert or industry tax expert. Second, auditor overall expertise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greater tax avoidance. In conclusion, the industry expertise of the audit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ts client`s tax avoidance. Contribution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dustry expertise of the auditor determinants of tax avoidance. Industry expertise of the auditors and quality of audit,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r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e relationship, but lead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expertise of auditors and tax avoidance is very limited. This study extends this line of research by examining whether the industry expertise of auditors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lient tax avoidance. There are distinctive in that it gave empirically shown that industry expertise of the auditor affect the effective tax strategy of the company.

      • KCI등재

        산업전문감사인의 정보효과

        정현욱(Hyun-Uk Jung) 韓國公認會計士會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은 비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산업전문감사인에 대한 수요는 정보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증가한다는 연구에 근거하고 있다. 투자자들 간에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한 믿음이 상이할 경우 즉, 의견불일치(differences of opinion)정도가 높을 경우 거래량은 증가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 간에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거래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거래량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거래량을 이용하여 산업전문감사인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2001-2011년 기간 동안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산업전문감사인의 회귀계수는 유의한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은 비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보다 낮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산업전문감사인은 개별투자자들의 상이한 믿음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전문감시인이 회계정보의 질과 거래량 간의 음(-)의 관련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지를 추가분석하였다. 추가분석결과, 산업전문감사인은 회계정보의 질이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경제학이론에 따르면, 거래량은 가격과 관련성을 가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효과와 관련된 회계학 연구에서는 정보효과를 가격변화를 통해서만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효과 연구와 달리, 거래량을 이용하여 산업전문감사인의 정보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기관의 담당자가 자본시장의 미시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여점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information effect. Studies related with trading volume report that high-investors’ heterogeneous beliefs result in high-trading volume. Prior studies related with auditors’ industry expertise suggest that high-information risk of client firm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mand for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other studies related with auditors’ industry expertise report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ncreas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Becaus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provide client firms with high-audit quality. In the respect, we expect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rading volume. The sample consists of non-financial listed KOSPI firms. And we use trading volume as proxy variable on information effect. Especially, trade volume is measured based on methodology of Morse(1981), Beaver(1968), Bamber(1987) and Ziebart(1990). Also we measur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based on Park and pak(2007), Jeong et al.(2014) and Jung and Lee(2014)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related to information effect(trading volume) as reported in studi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reports significant negative sign. This empirical result means negative relation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trading volume. Additional test result, first, we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CAR(cumulative abnormal return). But,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means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s related with price. Second, we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earnings quality and TV(trading volume). we use persistence(PER) as proxy variable on earnings quality.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auditors’ industry expertise×earnings quality is not significant. we find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does not additionally affect relation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trading volume. The evidence provides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decrease investors’ heterogeneous beliefs on intrinsic value by providing high-audit quality. In this respct, The results may help investors make a decision.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help policy makers better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auditors’ industry expertise.

      • 산업전문감사인과 정보효과

        정현욱(Hyun-Uk J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05

        본 연구는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은 비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과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귀무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산업전문감사인에 대한 수요는 정보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증가한다는 연구와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할 경우, 피감사기업의 회계정보가 개선된다고 보고한 연구에 근거하고 있다. Ajinkya et al.(1991), 최기홍 윤성민(2012) 그리고 정현욱(2015)은 투자자들 간에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한 믿음이 상이할 경우 즉, 의견불일치(differences of opinion) 정도가 높을 경우 거래량은 증가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최기홍 윤성민(2012)과 정현욱(2015)은 투자자들 간에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거래량은 감소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거래량을 이용하여 산업전문감사인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2001-2011년 기간 동안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산업전문감사인의 회귀계수는 유의한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은 비산업전문감사인이 감사한 피감사기업의 거래량보다 낮음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 간의 상이한 믿음의 정도를 주식수익률 변동(연간 일별 주가수익률의 표준편차)으로 측정하여 산업전문감사인과 주식수익률 변동 간의 관련성을 추가분석하였다. 추가분석 결과에 따르면, 산업전문감사인과 주식수익률 변동 간에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산업전문감사인이 피감사기업에 높은 수준의 감사품질을 제공하여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한 투자자들 간의 상이한 믿음이 감소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미시경제학이론에 따르면, 거래량은 가격과 관련성을 가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효과와 관련된 회계학 연구에서는 정보효과를 가격변화를 통해서만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효과 연구와 달리, 거래량을 이용하여 산업전문감사인의 정보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규제기관의 담당자가 자본시장의 미시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여점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information effect. Studies related with trading volume report that high-investors’ heterogeneous beliefs result in high-trading volume. Prior studies related with auditors’ industry expertise suggest that high-information risk of client firm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mand for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other studies related with auditors’ industry expertise report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ncrease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Becaus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provide client firms with high-audit quality. In the respect, this study establishes null hypothesis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s not related to information effect The sample consists of non-financial listed KOSPI firms. And We use trading volume as proxy variable on information effect. After controlling for variables related to information effect(trading volume) as reported in studi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reports significant negative sign. This empirical result means negative relation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trading volume. After measuring standard deviation of daily stock returns as proxy of price return volatility, we analysis relations between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nd price return volatility additionally. Additional result,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shows significant negative sign. Additional result is consistent with main results. The evidence provides that auditors’ industry expertise decrease investors’ heterogeneous beliefs on intrinsic value by providing high-audit quality. In this respct, The results may help investors make a decision.

      • KCI등재

        행정의 전문성의 함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우미형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8 행정법연구 Vol.- No.52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행정법학자는 행정작용에 대해 사후적 법적판단을 내리는 법원과의 교류는 중시했지만 정작 일차적 법집행의 주체인 행정 및 행정부 공무원과의 관계는 소홀히 해왔다. 현실과 괴리되지 않는 행정법학의 발전을 위해서 행정법학은 앞으로 행정의 실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아래 행정학에서 주로 연구해온 인사행정 분야, 그중에서도 공직의 전문성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를 행정법학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최근 인사행정실무에서의 핵심과제는 공무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다수의 행정학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을 비판해 왔다. 변화된 행정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이 필요하고 행정의 전문성이 고양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일반론 차원에서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공무원이 갖추어야할 ‘전문성’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할 공무원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공무원 개인의 전문성이 향상되면 자연스럽게 행정 또는 공직의 전문성도 동시에 고양되는지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독일은 기본법에서부터 성과주의(Leistungsprinzip)를 규정하고 있다. 공무원의 공무담임의 조건으로 성과주의를 규정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독일의 다수 견해는 공무원의 주관적 권리보다는 행정의 능력 내지 전문성이라는 객관적 관점을 보다 중시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공무원 개념과 달리 기관의 임무를 수행하는 기관담당자의 개념을 통설적으로 받아들이는 독일의 이론도 자연인인 기관담당자는 기관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 단초이다. 나아가 독일 기본법상 부처책임독립의 원칙(Ressortprinzip) 또한 조직단위로서의 행정의 전문성에 대한 근거가 될 뿐 아니라 행정의 전문성 고양을 위해서 직업공무원 뿐 아니라 행정청의 수장인 정무직공무원 또한 일정한 수준의 자격 또는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근거로 해석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헌법은 공무원의 자격에 대해 명시적으로 규정하지도 않고 부처책임독립의 원칙을 규정하는 헌법 조항도 없다. 행정학계와 활발히 교류해 온 정부는 공무원의 전문성이 곧 행정의 전문성이라는 전제하에 개개인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여기서의 전문성은 고도의 전문성 또는 협의의 기술적 전문성을 뜻한다. 반면 행정법학은 행정조직법 차원에서 행정의 전문성에 보다 더 초점을 두며 고도의 전문성 보다는 일반적 전문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런데 공익을 수행하는 임무의 주된 행위주체를 행정으로 보고 행정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행정법학의 관점과 미시적으로 공무원 개개인의 전문성에서 인사행정의 개선을 추구하는 행정학계의 해법은 상호 보완관계로 파악할 수 있다. 행정은 스포츠에 비유하자면 다차원의 복잡한 협력이 필수적인 팀플레이에 가까우므로 행정의 최종 목표 차원에서는 행정의 전문성 향상에 방점을 두는 행정법학의 관점을 취해야 한다. 동시에 행정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행정학에서 강조하는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 또한 주된 인사행정의 수단으로 기능할 것이다. 동시에 최근의 행정환경 하에서 행정이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고도의 기술적 전문성 보다는 소속 부처의 중간적 공 ... So far, the administrative law scholar has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urt that makes a post legal judgment on the administrative action, but neglects the relationship with the officials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on, which is the primary subject of the law enforcement. For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law that does not conflict with reality,administrative law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reality of administration. Given this awareness, this study approaches from the viewpoint of administrative law the implica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field of personnel administration, which has mainly been studied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A key task in recent public HR practices i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Many public administration papers have criticize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government officials.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public officials with specialized expertise and professional administration are needed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hanged administrative environment. However, such kinds of works that specify what kind of “expertise” should be provided by public officials, what extent of civil servants should be equipped with expertise, and whether the expertise of civil servants leads to professional administration are difficult to find. Germany defines Performanceism(Leistungsprinzip) in Grundgesetz. Regarding this Article, the performance criterion is indicated as the condition of the public servant in the employment process.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lawyers emphasizes the objective viewpoint of administrativ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rather than the subjective rights of public officials. Furthermore, the German theory that accepts the concept of the person in charge of carrying out the duties of an agency is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that the agency person exists to carry out the duties of the agency effectively. The Ressortprinzip in the Basic Law of Germany, which means an autonomous independent exercise of an agency within the scope of the competence, is a good evidence as well that the expertise of administration can be understood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is principle is not only a basi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he administration as an organizational unit, but also it can be interpreted as a basis that a certain level of expertise is required to all the levels of public servants. The Constitutional Law of Korea does not explicitly stipulate the qualifications of public officials and includes no Ressortprinzip. The government, which has actively exchanged views with the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a, is focusing on enhancing individual professionalism through system improvement under the premise that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is administrative expertise. The expertise here means a high degree of expertise or technical expertise of consultation.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law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neral expertise rather than highly professionalism in term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w. The view of administrative law emphasizing the administrative expertise and the solution of the administrative academy look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from the professionalism of individual civil servants can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first place, it is necessary to take a viewpoint of administrative law that focuses 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expertise because public administration works rather like multi-dimensional team play than civil servants' individual play when compared to sports. At the same time,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public officials emphasized in public administration will also serve as the main means for enhancing administrative expertise. However, in the specific contents of administrative expertise under the recent administrativ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

      • KCI등재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 탐색

        장환영,백평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일터의 변화는 전문성 개념의 재구조화를 요구하는 것이며 전문성 개념의 영역 의존성과 특수성으로부터의 전환을 의미한다. 전환적 시각은 미래 사회의 전문성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의 문제, 그리고 인적자원개발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과제들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연구 목적으로서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미래 연구 과제의 도출을 지향하면서, 먼저 전문성 연구의 현재 검토에서는 전문성 개념과 이론적 접근, 전문성 개발과 발달의 과정, 전문성 영역 간 융합을 중심으로 전문성의 확장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전문성 개념 재구조화의 논점은 크게 맥락의 중요성의 재확인과 전문성 연구의 확장 가능성 탐색으로 정리되었다. 맥락의 중요성 재확인에서는 1) 시스템 사고, 2) 성과공학과 전문성의 연계, 3) 전문성의 전이, 4) 전문가 중심의 미시적 관점 극복을 제안하였다. 전문성 연구의 확장 가능성 탐색에서는 1) 신뢰의 생산성과 새로움의 생산성의 통합, 2) 창의성과의 접점, 3) 문제 해결의 효율성에서 문제 자체의 재구조화의 의미를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성 연구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미래의 연구 과제를 1) 시스템 관점의 강화, 2)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 3) 미래지향적 전문성 연구 확대, 4) 전문성 활용과 관리의 강조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the challenges the expertise research faces in the context of the future changes represented by Industry 4.0. Those challenges have required the restructuring the concept of expertise, which referred to the transformative stance from domain dependent and domai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expertise research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agenda.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finitions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expertise, developments of expertise, and reformulation of the way to view the expertise research in terms of convergence. The second section presented the two arguments for restructuring the concept of expertise. The one proposed re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ext of expertise concept formulation. It includes 1) systems thinking, 2) HPT(Human Performance Technology) and expertise, 3) transfer of expertise, and 4) overcoming expert-centered myopic approach. The other discussed about enlargement and diffusion of expertise research. It covers 1) integrating the productivity of trust with that of novelty, 2) expertise-creativity nexus, 3) shift from problem-solving efficiency to questioning the problem itself. Future research agenda were proposed as a conclusion section in terms of: 1) systems view, 2) methodologies, 3) future-oriented research, and 4)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expertise.

      • KCI등재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이상훈(Lee, Sang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교사는 학교 교육의 혁신과 변화에 필수적인 핵심 수행자이며, 수업전문성은 교사의 다양한 역할 중 가장 고유하고 중요한 전문성으로서 다양한 연구자에 의해 주목받아 연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어떤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업전문성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관점을 분류하고, 각 관점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관점은 행동 중심 관점, 지식 중심 관점, 판단 중심 관점, 성찰 중심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관점은 탁월한 수업을 위한 교사의 능력 요소를 개별적으로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나, 오늘날의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 및 교육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업전문성의 기존 관점의 대안적 관점으로 적응적 전문성 개념을 제시하고, 적응적 전문성 관점의 필요성과 특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전문성 연구와 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eachers are key performers essential to the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is the most unique and important specialty of the teacher s diverse roles and has been studied with attention by various researcher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critically reconstructed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eaching expertise to find out from what perspecti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understood. The teacher s perspectiv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divided into behavior-oriented perspective, knowledge-oriented perspective, judgment-oriented perspective, and reflection-oriented perspective. This wa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teacher s ability to excellent teaching. But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 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al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view of teaching expertise, this study suggested an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Accordingly, the concept of adaptive experti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expertise from the adaptive expertise perspectiv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of teaching expertise and development of teaching expertise were presented.

      • KCI등재

        “전문성”에 대한 지방공무원의 인식 연구 -서울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송석휘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2

        Many scholars have been paid much attention to the expertise of the public officials working in the public sectors, but most of the attention was focussed on the normative and declaratory perspective of it. Whereas, the endeavors to analyze the concept of expertise has little interested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of it from the public officials' perspective. This study has to aim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xpertise from the public officials' perspectives and then to improve the adaptability and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expertise in real world. This study also has purpose to provide some useful implication to prepare alternatives that increase the expertise of the public officia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public officials perceive the expertise as having the specialized knowledge on the specific fields and having the intuition as well as the ability of problem-solv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ublic officials acknowledge the concept of expertise from the broad concept including such as specialized knowledge on specific fields and the ability of problem-solving, rather than perceiving the concept of expertise from the procedural, cognitive, and even the target of learning perspective. This research result, therefore,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expertise to which public sector has to aim. To increasing the expertise of the public officials, the expertise such as specialized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problem-solving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factors in the processes of recruitment, promotion and job positioning. I will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a momentum to do further researches on the expertise of the public officials. 지금까지 공공부문이나 공무원에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해 규범적이고 선언적인 수준에서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전문성 함양의 구체적 대상인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전문성의 개념 분석은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왔다. 본 연구는 공무원이 인식하는 전문성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서 공무원에 대한 전문성 개념의 현실 적응력과 수용성을 높이고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공무원들은 전문성과 관련하여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통찰력과 구체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공무원들은 전문성을 인식적이고 과정적이며 단순한 학습대상으로서가 아닌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오랜 경험을 통해 구체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는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직사회가 지향 할 전문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무원의 전문성 함양을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채용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관리 등 전반적인 인사관리에 있어서 전문지식과 문제해결역량을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어야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뿐만 아니라 전문성을 승진의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가 지방공무원의 전문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오헌석,김정아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approaches and critical issues in expertise research, explore new approach,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Expertise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traditional approach and expert performance approach. Critical research issues in expertise are identified as definition of expertise, componential elements of expertise, measurement of expertise, transferability of expertise, and time length to develop expertise. New approach to expertise research was suggested as expertise development approach. New research agenda in expertise development research include integrative framework to analysis expertise, life-long perspetive to expertise development, learning mechanism of expertise development, developmental strategies to accelerate expertise development.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전문성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전문성 연구를 크게 전통적 접근법과 전문가 수행 접근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으로는 전문성의 정의(definition), 전문성의 구성요소(Component), 전문성의 측정(measurement), 전문성의 전이가능성(transferability), 전문성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time) 등 5가지 주요 이슈로 분류하여 각각 어떠한 쟁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지금까지의 전문성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전문성 연구의 방향으로 전문성 개발 접근(Expertise Developmental Approach)을 제시하였다. 전문성 개발 접근의 연구과제로서 전문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합적 연구방법의 도입, 전 생애적 관점의 전문성 연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학 습 메커니즘 분석 연구, 전문성 습득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발달 전략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감사위원회 재무전문성의 세부구성이 산업전문가 감사인 선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송보미 ( Bomi Song ),안혜진 ( Hyejin Ahn ),최종학 ( Jong-hag Choi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학연구 Vol.42 No.5

        감사위원회를 구성하는 사외이사의 재무전문성은 회계전문성, 금융전문성, 감독전문성의 세 세부전문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서로 다른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이들 전문성이 산업전문가 감사인의 선임과 감사보수에 반영되는 감사인의 노력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회계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와 회계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과 금융 또는 감독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업이 산업전문가 감사인을 선임하고, 동시에 감사보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발견은 여러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이 동시에 존재할 때, 감사위원회가 감사인의 감시활동에 대해 보다 더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발견을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감사위원회의 구성원 중 회계전문성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다른 전문성을 가진 감사위원들이 함께 감사위원회에 포함되어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각 세부전문성을 별도로 구분하여 수행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할 때, 본 연구는 여러 세부전문성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한 것이므로 감사위원회의 현실과 구성효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udit committee financial expertise on industry specialist auditor choice and audit effort reflected in audit fees. Specifically, we divide the financial expertise of outside directors in the audit committee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unting expertise, finance expertise, and supervisory expertise. While most prior studies specifically focus on accounting expertise, this study regards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valuable non-accounting financial expertise as those who can also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s by helping the role of the members with accounting expertise. From this view, we investigate the joint effect of the existence of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various financial expertise. When we examine each expertise independently, we find that audit committees are more likely to hire an industry specialist auditor and pay higher audit fees when the committees include at least one member with accounting expertise.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ose documented in prior studies. However, when we examine the joint effect of multiple expertise, we find that the previously documented effects of accounting expertise are significant only when the audit committees include members with accounting expertise and a member with other expertise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counting expertise itself, which has been identified by several prior studies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audit committee characteristics, does not play an enough monitoring role when there are no other audit committee members with different expertise.

      • 피감기업의 전산화정도에 대한 감사인의 대응과 감사효율의 관련성

        허봉구,정용기,서승철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회계법인의 전산감사전문성과 피감법인의 전산화 정도와의 결합을 통해 기업의 전산화정도에 대한 감사인의 대응이 감사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최근 기업의 회계시스템이 IT를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 환경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회계감사실무에서도 시스템감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회계감사인은 여전히 전산감사기법에 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Carmichael 2004). 따라서 감사인이 피감사기업의 정보시스템을 전문적으로 감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많이 보유하고 감사에 활용할수록 효율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과 회계감사 효율성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감사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되고, 감사시간 대비 보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한다.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은 전산감사전문가의 보유비율로 측정하고, 피감법인의 전산화정도는 피감법인의 전체종업원수대비 전산부서인력의 비율로 측정한 후, 전산감사전문성과 피감법인의 전산화정도의 결합을 기업의 전산화정도에 대한 감사인의 대응정도에 대한 측정치로 이용한다. 또한 회계감사 효율성의 대용치로는 감사시간과 감사시간대비 감사보수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가 예상과 일치한다면,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이 감사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감사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다 많은 전산감사전문가를 보유, 활용하고 있는 감사인일수록 보다 효율적으로 감사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감사시간이 감소됨을 시사한다. 둘째, 감사보수는 감사인의 전산전문성정도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감사시간을 통제할 경우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보다 많은 전산감사전문가를 활용하는 경우 감사보수는 증가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감사시간이 감소되어 감사시간대비 감사보수는 크게 높아진 결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전산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감사시간은 감소하며, 감사시간 대비 감사보수는 높아짐으로써, 감사인의 감사효율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Big4 법인만을 대상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감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감사인의 전산감사전문성이 감사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새로운 시도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에 전산전문 감사인의 영향을 추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변경된 감사기준의 적용과 보완을 위해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기업환경의 정보시스템화에 대응하기 위해 감사인도 정보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함을 제시하였다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effect upon audit efficiency. Nowadays, information systems auditing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increased reliance on IS and IT for business operations in recent years. However general auditors do not have the sufficient knowledge about IS audit still. Therefore, we expected that audit firms better hold a lot of information systems auditing expertis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udit. In other words, the efficiency of audit along with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will reduce audit hours. However audit fees are expected to show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along with audit hours. If audit hours are decreased by the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audit fees may decrease. On the other hand, audit fees may increase for auditors to be compensated on improved audit quality along with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Thus, we expected that audit fees/audit hours are increased. Also, This means overall audit efficiency are increased.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is measured by this proxies: the number of IS auditing expertise divided by korean institutes certified public accountants(KICPA). And audit efficiency are measured by two proxies: audit hours and audit fees divided by audit hou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e u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using the audit hours and audit fees divided by audit hour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degree of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as a variable of interests. In addition, we include various control variables identified in prior studies. The control variables are natural log of total assets, sales growth, ROA, total debt divided by total asset, inventory plus receivable divided by total asset, loss dummy, big audit firm dummy, audit opinion dummy, initial audit dummy, and non_audit fee dummy. This study uses 4269 firm-year observations collected from KOSPI over 2004- 2012 period and empirically test this relationship.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are retrieved from TS 2000 database and the number of IS auditing expertises and KICPA are collected from audit firm’s annual repor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 of between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and audit hours. This means that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reduced hours and effort on the audit. Second, auditors’ information systems expertise has a negative effect on audit fees, but after controlling for the audit hours information systems expertise positive effect on audit fees. Finally, auditor firms’ information systems expertise also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divided by audit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portance of IS auditing has increased. This study’s contribution is to find that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have association with audit hours, audit fees, and audit fees divided by audit hours. And we added audit firms’ information systems audit expertise as one of determinants of audit hours and fees. Also these findings are provide to academics, practitioners, and auditors about importance of IS aud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