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世紀 東아시아 出土資料 硏究 現況과 ‘資料學’의 可能性 ― 古代 東아시아史의 理解를 中心으로 ―

        김경호 수선사학회 2008 史林 Vol.0 No.31

        My intention in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 possibility for “textual studies (charyohak)” based on the recent studies on excavated materials of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Also, my paper aims at reconsidering excavated materials as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shared cultures of East Asian society by examining the related “diachronic features” of old texts preserved in East Asia. As a premise for solving these critical problems, I, at first, look through the recent tendencies of academics in East Asia.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studies of Korean excavated materials and of Chinese ones. For the former, the excavation of wooden slips at the Sǒngsan(城山) mountain walls of Haman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 (2007) have become a turning point of the charyohak studies, which put the emphasis on the “middle” status of Korean wooden documents in transnational cultural interactions among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For the latter, the focus consists in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Chinese history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materials or their evidential studies. The outcome of the studies from the middle 1970s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examination of the state power or its institutions through the wooden slips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What has been remarkable from the year of 2000 onward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tud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ocieties such as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Jianbo 簡牘 (2005). In the ca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the main tendency in the academics is to establish specialized academic institutions, to publish academic journals, and to communicate with foreign scholars from abroad through the websites. Similarly, the Japanese academics have also shown interest in more active studies of excavated materials and the reconstruction of academic societies for research collaboration. In particular, it is undeniable that the Japanese study of Korean wooden slip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xamining cultural interactions among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Through the studies of excavated materials in 21st century East Asia motivated by scholarly interactions with different fields of study, concern for East Asia has been strengthened without being limited by “nationalized” excavated materials. In consequ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become possible, and new academic tendencies concerning East Asia have arisen from the improved research environments for research collaborations. In other words, a new methodology of stud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proposed a possibility for the study of charyohak, which may overcome the theory of or discourse of “East Asia” without any substantial entity.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research among international academics in the 21st century will rediscover the truth of history. The “realization” of this kind of study in reality will make excavated materials the basis for charyohak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My intention in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 possibility for “textual studies (charyohak)” based on the recent studies on excavated materials of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Also, my paper aims at reconsidering excavated materials as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shared cultures of East Asian society by examining the related “diachronic features” of old texts preserved in East Asia. As a premise for solving these critical problems, I, at first, look through the recent tendencies of academics in East Asia.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studies of Korean excavated materials and of Chinese ones. For the former, the excavation of wooden slips at the Sǒngsan(城山) mountain walls of Haman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Wooden Document (2007) have become a turning point of the charyohak studies, which put the emphasis on the “middle” status of Korean wooden documents in transnational cultural interactions among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For the latter, the focus consists in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Chinese history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materials or their evidential studies. The outcome of the studies from the middle 1970s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examination of the state power or its institutions through the wooden slips of the Qin and Han dynasties. What has been remarkable from the year of 2000 onward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tud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societies such as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Jianbo 簡牘 (2005). In the ca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the main tendency in the academics is to establish specialized academic institutions, to publish academic journals, and to communicate with foreign scholars from abroad through the websites. Similarly, the Japanese academics have also shown interest in more active studies of excavated materials and the reconstruction of academic societies for research collaboration. In particular, it is undeniable that the Japanese study of Korean wooden slip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xamining cultural interactions among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Through the studies of excavated materials in 21st century East Asia motivated by scholarly interactions with different fields of study, concern for East Asia has been strengthened without being limited by “nationalized” excavated materials. In consequ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become possible, and new academic tendencies concerning East Asia have arisen from the improved research environments for research collaborations. In other words, a new methodology of stud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proposed a possibility for the study of charyohak, which may overcome the theory of or discourse of “East Asia” without any substantial entity. Furthermore,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research among international academics in the 21st century will rediscover the truth of history. The “realization” of this kind of study in reality will make excavated materials the basis for charyohak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 KCI등재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화의 현황과 과제

        차순철(CHA, Soon-Chul)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고학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는 발굴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활발한 자료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들 자료에 대한 2차, 3차 검토 및 분류작업을 통한 세세한 분류와 색인작업 등에 대해서는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고고학 분야에서는 매년 수천 권의 발굴조사보고서와 관련 자료가 생산되고 있다. 기초자료 부분으로 볼 때, 그 어떤 학문 분야보다도 많은 내용이 집적되고 이를 정보화하여 유통하고 있지만, 이러한 자료의 이용부분은 매우 제한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자료의 생산과 유통부분에 있어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세부 분석과 해제를 하는 부분이 아직 덜 이루어진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각종 자료들에 대해서는 보고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고, 국공립기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해석한 보고서도 출간되고 있다. 북한자료에 대해서는 과거 불법출판된 영인본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저작권 계약에 따른 출판물이 발간되고 있다. 그러나 최신 자료의 입수문제는 한계가 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해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를 중심으로 정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자료라 할 수 있는 고고학 발굴조사보고서 이용과 관련하여 발간기관별로 관리되는 점과 PDF를 제공하는 기관이 상이한 점 등은 연구자들이 자료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굴조사보고서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와 이용을 요구하는 의견이 제기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원문정보와 시대별, 유적별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고고학자료에 대한 이러한 검색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굴조사보고서 등록제도에 추가적으로 해당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검색편리를 위한 표제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결국 고고학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문화재 관련 보고서자료 등을 인터넷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문 관리시설의 존재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시설을 통해서 한국 고고학 자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한 이용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archeological materials currently pushed forward with in Korea, related data have been generously produced centering on the excavation survey reports. However, there are much to be done for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also the indexing through secondary and tertiary review and classification of such materials. Every year, thousands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nd related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For basic materials, the field of archeology is accumulating more contents than any other academic fields and is digitalizing and circulating them ; however, such uses of the materials are quite limite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data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managed, analyzed in detail, and released properly. The materials produc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oday are made available through report database and newly interpreted versions have been also published mostly by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North Korean materials had been mainly photographic copies illegally published in the past whereas publications are issued based on copyright contracts. However, there are limits in collecting latest materials and such materials have been organized mainly by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fact that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survey reports which are considered public materials are managed by their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the fact that their PDF versions are offer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are causing inconvenience in using such materials.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use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re suggested as the solution for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 to seek after solutions and provide original text information alongside other information by period and remains. The current system for registering excavation survey reports needs to be improved by adding a feature to enter keywords to facilitate the search of main contents of the reports in order to develop a feature for searching archeological data that a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Eventually, the professional management facilities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rcheological materials and providing a variety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reports and so on through the internet are deemed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More convenient uses could be provided if Korean archeological material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rough such facilities.

      • KCI등재

        민속박물관과 현대생활자료

        천진기(Cheon Jin-Gi)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우리들은 물건(things)과 역사(history)에 둘러싸여 있으나, 주변을 구성하고 있는 물건을 과거를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지 않는다. 물건을 창안했고, 사용했고, 버렸던 사람과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책을 읽는 노력만큼 물건을 읽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은 물건으로부터 역사를 읽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건은 단지 문헌자료만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에게는 읽혀지지 않는다. 물건은 과거로부터의 판결만을 들으려는 사람들에게는 침묵한다. 그러나 물건은 말하며, 읽혀 질 수 있다. 물건이 문화라기보다는 물건은 문화적 산물이다. 보고 만질 수 있는 물건을 만들어낸 디자인 구상과 제작방법, 그 이유 등 인간의 지식이 물건에 포함되어 있다. 물질문화연구는 바로 그 물건을 만들어낸 문화 속에서 그 물건의 의미하는 바를 찾아야 한다. 물질문화는 그 물질적인 생산물을 통한 문화의 명시(明示, Manifestations)라고 말할 수 있다. 물질문화에 대한 연구는 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물건의 연구이며, 일정기간 내의 특정한 공동체나 사회의 관념체계-가치, 사상, 태도와 가설-를 밝히는것이다. 사람들이 만든 물건에는 그것을 주문하거나, 조립하거나, 구입하고나 사용한각 개인들의 관념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반영되어 있으며 더나아가 이들 각 개인들이 속한 좀더 큰 사회의 관념체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민속은 과거시제가 아니라 현재시제이며, 아니 미래시제로도 연결되는 것이다. 과거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것들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것은 그것이 후대(後代)에 대한 우리의 의무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래는 과거에서 만들어진다. 20세기의 생활자료를 '문화유산(文化遺産)'이라 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 그러나 옛날 사람들도 청자나 백자, 그리고 목가구나 옷가지가 유물이 되리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지만 이것들은 오늘날 문화재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 주변에 있는 생활자료들이 지금은 효용가치가 끝나 창고나 쓰레기통에 버려지고 있지만 앞으로 21세기의 삶을 이야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이자 역사(歷史)가 될 것이다. 우리가 조각난 퍼즐로 역사를 복원해야 했듯이 후손들이 난지도의 쓰레기를 발굴하여 어색한 21세기의 문화복원 위해 헛되이 애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민속의 현재적 기술과 현재의 생활자료 연구와 수집을 정말로 시작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대량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현재의 생활방식 속에서 어떤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도 중요하다. 수 천 수 만 가지의 생활자료를 모두 수집 보관할 수는 없다. 이때는 우리는 조사연구를 통한 기록화와 생활유물의 수집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기록화란 조사 연구하여 영상매체 또는 보고서로 기록해 두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 을 의미한다. 현대생활에 필요한 물건의 가지 수와 종류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곳은 아마 대규모 할인매장일 것이다. 이마트, 농협하나로마트, 백화점 등에서 취급하고 거래하는 생필품의 물건의 수와 명칭을 조사한다면 현대 생활자료의 파악은거의 다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대의 물질문화연구는 종래와 달리 이런 접근방법도 용이할 것이다. 박물관의 수집은 지역별로 각각의 집을 표본추출하여 그 집의 생활방식과 자료에 대한 총조사를 하고, 그것을 수집하여 연구 보존하는 것이다. 생활문화 관련 유물 수집은 역사성 → 현재성, 희귀성 예술성 → 생활문화적 맥락, 구입을 통한 수집 → 생활문화적 맥락에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한 기록화와 수집 보존 등으로 일단 요약할 수 있다. We have been actually surrounded by miscellaneous things and their history but they have been virtually no use in understanding the pa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ople who invented, used, and disposed the things, we would read books rather than utilize the things composing our surroundings.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read history through the things. To whom can only read literatures, things are unreachable. They have kept silent to whom seeks the judgement from the past. Things do speak and read history. Things can be expressed as cultural products rather than culture itself. It includes human knowledge in designing and making process of visual and touchable things. Accordingly, material culture studies aims to find the meaning of things in relation to its background culture. Material culture is a kind of Cultural Manifestation by means of material product. Research in the material culture aims to understand certain culture by investigating things and to reveal conceptual schemes(values, ideologies, aspects and hypotheses) of particular communities or societies in a certain period. Every man made material reflects various ideas of individuals who ordered or assembled or purchased or used, in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and direct or indirect ways. Moreover it also reflects further expanded ideas of the society as a whole which includes each individual. Folklore exists not in the past tense but the present tense and also links to the future tense. The reason why we preserve and transmit culturally significant things is not because that is our ethical mission to our descendants. Future is caused by the past. It might be premature to say living materials in the 20th century are cultural heritage. Ancient peopel, however, would have never expected that their celadon, white porcelain or wooden crafts and garments could be cultural heritage but they have become so. Accordingly,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with no more use dumped into the rubbish bins might be important resources and history to tell our 21st Century lives. It is time to make a sincere start in acquiring modern folk and ethnographic materials so that our ancestors won’t make any vain efforts to restore the 21C culture by excavating wastes as we have restored our history with broken evidences. In modern times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hat to decide which material should be collected. We can not manage to collect and store thousand and hundreds liv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take two simultaneous activities: documentation and acquisition of living materials filtered by academic research. When it comes to documentation, people easily come across visual and written recordings through investigation and research. It may be huge supermarkets to be able to find how many and which kinds of living essentials there are. Investigation on the quantity and kinds of living essentials in E-mark, Nonghyup Hanaro mart, and other department stores can explain the overall situation of modern living (ethnographic) materials. It is interesting that the era of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s brought this methodology of material culture research. Museum acquisition is to carry out regional sampling by selecting sample houses, to investigate the living style and materials in each house in a comprehensive way, and to acquire them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preservation. Finally, I would conclude this page by mentioning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 collecting activities: historic value→contemporary value, rarity and esthetical value→ethnographic context, acquisition through purchasing→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based on research in conterxt of ethnography.

      • KCI등재

        안산읍성의 공간구조 고찰

        신다연,이정철,안신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2 고문화 Vol.100 No.-

        Ansan Eupseong Fortress(安山邑城) is a Joseon Dynasty(朝鮮時代) Eup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Gyeonggi region(京畿地域) and is a very important relic due to its scarcity. Various re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seven excavation surveys, and based on this, the Gaeksa(Guesthouse 客舍) and fortress walls were restored. However,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castle, the ruins have been damaged in recent years and there are few historical sources,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original form. Therefore, after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west coast fortress, which is geographically similar to Ansan-eupseong Fortres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fortress was confirmed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data and historical materials of Ansaneupseong Fortress. The internal space structure of the eupseong was different from the estimated structure based on excavation survey data and historical materials. Unlike the records of the excavation survey, Dongheon(Government Office 東軒) and Gaeksa were not arranged in parallel, but Dongheon and Gaeksa were located in the northwest and Gaeksa were located on the southern flatland of Eupseong, and other facilities were likely concentrated as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Eupseong. Other stor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east side of the Eupseong Fortress, and Mokbinggo(Wooden Ice Storehouse 木氷庫) located on the west side did not show any traces of other facilities, so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okbinggo related to Saongwon(司饔院) Ego(魚 所), it seems to have been managed separately from other storage facilities. It is estimated that other facilities such as warehouses were located in the west and south of Eupseong Fortress, which is close to the transportation route favorable to material movement. As such, Ansaneupseong Fortress shows similarities to eupseong fortress in the west coast, but shows different unique structure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spatial structure in Ansaneupseong Fortress, restora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hould be avoided, and additional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to the unexplored area north of Eupseong Fortres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first. 안산읍성은 조선시대 읍성으로 경기지역에 위치하는 입지적 희소성으로 인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7차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현재 객사 및 성벽 복원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 내 공간구조는 근래까지 유적의 훼손이 이루어졌고 사료도 적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안산읍성과 지리적으로 유사한 서해안지역 읍성의 구조와 비교한 후 안산읍성의 발굴조사 자료 및 사료를 바탕으로성 내의 공간 구조를 검토하였다. 읍성의 내부 공간 구조는 발굴조사 자료와 사료를 바탕으로 한 추정 구조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발굴조사 자료를 검토해 볼 때 사료의 기록과는 달리 동헌과 객사는 병렬배치된 것이 아니라 동헌은 북서쪽, 객사는 읍성의 남쪽 평탄지에 입지하여 동헌과 객사는 서로 다른 종축 상에 위치하며 기타시설은 읍성의 서·남편으로 집중되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기타시설 중 저장시설은 읍성 내 동편에서 확인되고,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목빙고는 주변으로 타 시설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고 사옹원 어소와 관련된 목빙고의 중요도를 감안해 볼 때 다른 저장시설과는 달리 별도 관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창고 등은 물자이동에 유리한 교통로와 근접하는 읍성의 서쪽과남쪽에 위치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안산읍성은 서해안 지역의 읍성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서로다른 독특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안산읍성 내 공간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기간 내의 복원은 지양되어야 하며, 읍성 북편의 미조사구역에 대한 추가적인 고고학적인 조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 · 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박혜영(Park, Hey-Yeong)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 · 기록 · 보존 · 전시 ·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 · 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 · 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 · 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을 중심으로

        박혜영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을 위한 중세국어 자료 탐색

        양영희 ( Yang Younghee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4

        본 논의는 중세국어 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를 깨달음으로써 ‘변화하는 언어’의 속성을 이해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때의 매개가 ‘중세국어 자료’인바 자료 선택은 국어사 교육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방향타로 작용한다는 판단에서이다. 어휘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의 ‘용자례’를 선택하였다. 여기서는 어휘의 형태 변화와 의미 변화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음운, 표기 변화 등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이다. 청자 높임법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의 특정 장면을 선택하였다. 「석보상절」, 「월인석보」는 짧은 장면 안에서 ‘□쇼셔, □야쎠, □라, 니’체의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 텍스트여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은 선인들의 사연을 읽을 수 있는 편지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으며 15세기 ‘□야쎠’체의 계승형으로 간주되는 16세기의 ‘□’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마지막으로 의문법 변화의 탐구는 「번역 노걸대 상」의 첫 장면을 선택하였다. 전체 텍스트가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세국어 다른 자료와 차이를 보이면서 이 역시 짧은 장면 안에서 [-상위자]에 대한 의문형인 ‘ㄴ다, 명사+가(고), ㄴ가(고), 뇨(료, 려)’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dieval Korean materials. In the “2015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goal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se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anging language” by real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dieval and modern Korean. It was judged that the selection of “medieval language materials” was important to the suc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vocabulary change, “Hunminjeongeum” “Examples on the Use of Letters” was selected. Analysis is expected to enabl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to be grasped, and changes in phonology and notation can be understood. To explore the change of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specific scenes of “Seokboangjeol,” “Wolin-seokbo,” and “Letters on the excavation of Suncheon Kim’s grave” were selected. This is because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forms of “□쇼셔, □야쎠, □라, 니” are used throughout the short texts of “Seokboangjeol” and “Wolin-seokbo,” which are story texts with a plot with which learners can gain interest and empathy. “Letters of Suncheon Kim’s grave excavation” contain stories related to the ancestors, so learners can gain empathy through the text. In addition, “□” of the 16th century, which is considered as a succession form of the “□야쎠” of the 15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text. Lastly, the first scene of “Byeonyeok-Nogeldae” was chosen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interrogative forms. It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other medieval materials as the whole text is composed of dialogues, and interrogative forms of (-Upper), “-nda, noun+ga(go), -nga(go), nyo(ryo, ryeo),”

      • KCI등재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

        방국화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7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and Baekje on the Japanese literary culture based on the excavated text materials. 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Silla and Baekje were discussed. The literary culture of Silla, Baekje, and Goguryeo has the same parts, but each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ancient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cannot be regarded as the same, but each country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by comparing the text materials of Silla and Baekje with those of Japan, the differences in text culture in each region of Japan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usage situation of “ ” in the Saikaido(西海道) area with “甕”, it was concluded that “ ” came to be used in various parts of Japa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aekje people. Also, the use of “甕” (瓮)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Silla. Also, there are cases where the shape of the letters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 such as “伊” in the Wooden Documents of Wakasano-guni(若狹國), but this is also presumed to be related to Silla. 본고는 목간을 비롯한 출토문자자료를 기초자료로 신라의 문자문화, 백제의 문자문화가 일본 문자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신라와 백제의 한자문화의 특성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 것이다. 신라, 백제, 그리고 고구려의 문자문화는 공통적인 부분도 있지만 제각기 자기 나라의 특성도 갖고 있다. 즉 한반도 고대 삼국의 한자 용법은 같다고만 볼 수 없고 각 나라에 특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본고에서는 신라, 백제의 문자자료를 일본의 문자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일본의 각 지역에 나타나는 문자문화의 차이를 문자문화의 전파측과 관련지어 검토하였다. 西海道 지역의 “ ”의 사용 상황을 同訓異表記로 되는 “甕”과 비교함으로써 “ ”은 백제계 도래인의 영향으로 일본 각지에서 사용하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甕”(瓮) 사용은 신라의 영향으로 보았다. 그리고 若狹國의 하찰목간의 “伊”와 같이 글자 형태가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는데 이것도 문자문화의 전파측, 즉 신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춘추관점보주(春秋官占補註)의 "하상지구법(夏商之舊法)" 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방인 ( In Bang ) 퇴계학연구원 2012 退溪學報 Vol.13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연산』·『귀장』의 筮法에 관한 丁若鏞의 『春秋官占補註』의 학설을 出土易學자료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春秋官占補註』는 『春秋左氏傳』과 『國語』에 실린 筮例를 분석하기 위하여 쓰여진 것으로서, 그의 역학관련 主著인 『주역사전』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춘추좌씨전』과 『국어』에 실린 筮例들은 춘추시대의 古占法의 자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정약용은 『춘추좌씨전』과 『국어』에 보이는``某卦之某卦``의 事例 분석을 통하여 『주역』 해석방법의 四大義理 중 하나인 爻變說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某卦之某卦``란 ``某卦가 某卦로 변한다``는 뜻하니, 本卦에서 之卦(즉 變卦)로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本卦에서 之卦로 변화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爻가 변동해야 하니, 이것이 바로 爻變이다. 『춘추좌씨전』과 『국어』의 筮例들은 대부분 一爻만 변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그 중에는 예외적으로 한 개 이상의 爻의 변동을 허용하는 筮例들도 있다. 정약용은 一爻變의 경우는 『주역』의 筮法에 속한다고 보았으나, 多爻變의 경우는 夏·商 시기의 『連山』·『歸藏』의 筮法에 속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이 이른바``夏商之舊法``설이다. 정약용의``夏商之舊法``설은 전통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아온 『춘추좌씨전』의 주석가인 杜預와 『국어』의 주석가인 韋昭의 견해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주역학계에서는 새로운 出土자료에 의거해서 『연산』·『귀장』에 관하여 새로운 가설들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 견해 및 이에 근거를 두고 있는 정약용의 학설에 대해서도 비판적 고찰이 불가피하다. 李學勤을 비롯한 일부 중국학자들은 출토자료에 근거해서 『귀장』이 『주역』 보다 결코 이른 시기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는 가설을 주장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가설이 옳다면, 『춘추좌씨전』과 『국어』에 나오는 多爻變의 筮例들이"夏商之舊法"에 속한다는 정약용의 주장도 마찬가지로 도전받게 된다. 그러나 林忠軍 등의 학자들은 여전히 『귀장』이 『주역』 보다 선행해서 존재했다는 견해를 固守하고 있으며 나름대로 근거를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귀장』과 『주역』의 先後관계에 대해서 어느 한 쪽으로 결론을 내리기에는 아직은 성급하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출토역학자료를 통해 얻어진 학문적 성과의 바탕 위에서 정약용의``夏商之舊法``설의 사상사적 의의와 문제점 등을 따져 보고, 그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ritical review of Chong Yakyong`s theory of "the Old Rule of Xia and Shang period(夏商之舊法)" expressed in his "Complementary Commentary on the Official Divinatory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春秋官占補註)" Basically, My critical viewpoint will be based on the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newly excavated materials from chinese tombs have forced us to take a new look at the traditional studies which have dominated the Chinese classics for over two thousand years. The "Complementary Commentary on the Official Divinatory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春秋官占補註)" which is a part of Chong Yakyong`s Zhouyisijian(周易四箋: Four Methods of. Exposition on the Zhouyi) was written in order to analyze the official records of the divination practise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ose divinatory instances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show the traces of the old method of divination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Chong Yakyong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those divinatory instances because it was decisively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of yaobian(爻變). In general, those instances make it a rule to change only the one yao. But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it is exceptionally permitted to change more than one yao. Chong Yakyong insisted that the divinatory rule of the Zhouyi was to allow the change of only the one yao with the exception of yongjiu(用九) and yongliu(用六) which should permit the change of all six yaos. If there are instances of using more than one line except the above mentioned cases, they should be counted as belonging to the divinatory rule of the Lian Shan(連山) and Gui Cang(歸藏) which were believed to have existed during the Xia(夏) and Shang(商) period. Chong Yakyong`s view is based on the views of Du Yu(杜預) and Wei Zhao(韋昭) who were the early commentators on the Classics of the Zuozhuan(左傳, The Commentary of Zuo) and the Guoyu(國語). Although their books had been traditionally the most respected authority among the commentarial works on the Classics of the Zuozhuan and the Guoyu, some contemporary scholars such as Li Xueqin(李學勤) and Li Ling(李零) set forth a claim that the Lian Shan and Gui Cang could not have existed before the Zhouyi. Their insistences are based on the newly excavated Gui Cang. If their views could be proved to be true, Chong Yakyong`s contention that the divinatory cases of the change of multiple yaos in the Zuozhuan and the Guoyu should belong to the Xia and Shang period should likewise be challenged.

      • KCI등재

        흙막이 벽체 배면 그라우팅 시 지반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주익찬(Chu, Ickchan),변요셉(Byun, Yoseph),백승인(Baek, Seungin),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10

        최근 도심지에서의 대심도, 대규모 굴착공사는 인접구조물의 침하 및 다양한 제약사항으로 인해 흙막이 벽체를 이용한 굴착공사가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지반의 굴착은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는 굴착 주변지반의 응력상태를 이완시켜 굴착면 주변 지반 침하 및 흙막이 벽체의 변형을 유발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보강의 목적으로 무기질계 고성능 지반안정재인 NDS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흙막이 벽체 배면에 적용하여 지반의 보강 효과를 규명하였다. 최적 주입압 및 주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주입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정된 주입량과 주입압으로 대형토조모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무보강/보강에 의한 영향 검토, 보강 시 상재하중(50kPa/150kPa)에 의한 벽체 거동도 검토하였다. 흙막이 벽체 배면 그라우팅 시 지반보강 효과를 모형토조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주입시험 결과, 적정 주입압은 350kPa, 경제성을 고려한 각 노즐의 한 단계당 적정 주입량은 10L로 판단된다. 모형토조 시험 결과, 최대변위는 흙막이 벽체 배면에 그라우팅을 실시한 경우 무보강일 때의 변위보다 약 8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된 배면에 상재압 50kPa와 150kPa를 작용한 상태에서 단계별 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의 거동을 파악한 결과, 벽체 변위는 보강만 한 경우에 비해 각각 약 58%와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excavations using propped walls were popularized in downtown due to reduced settlement of nearby structures. These excavations is induced strain to propped walls or settlement in near ground. In this study, the ground reinforcing effect was proven using NDS, which is an inorganic injection material. Injection tests were performed to compute optimum injection pressure and volume. Next, calibration chamber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computed injection pressure and volume, and wall behaviour was examined for overburden pressures of 50kPa and 150kPa. Ground reinforcing effect was shown when the material behind the propped wall was grouted. From test results, optimum injection pressure was 350kPa and the optimum volume was 10L considering economics. Calibration chamber test results show that after the material was grouted, the maximum settlement was reduced to 19% of the non-grouted condition. For overburden pressures of 50kPa and 150kPa behind the wall, the settlement of the wall increased by 58% and 57% when compared to the case of no overburden pres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