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불확실성을 대처하는 증거영향행정: 멘탈모델, 증거, 불확실성의 상호관계에 대한 서설적 이해

        최영준 ( Young Jun Choi ),전미선 ( Mi Seon Jeon ),윤선예 ( Sun Yae Yoon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2

        증거기반행정은 선진국 및 국제기구에서 주창하는 행정의 핵심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증거의 양과 질이 증가하면서 합리적 행정결정을 내릴 수 있는 환경은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행정결정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행정환경에서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주목 하면서, 불확실성이 어떻게 증거기반행정과 조화를 이루면서 효과적인 행정결정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서구를 중심으로 제기되었던 증거기반행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장점과 그 한계를 검토 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증거, 멘탈모델, 그리고 불확실성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의견기반행정, 행정 기반증거, 증거기반행정, 그리고 증거영향행정 등 네 가지 행정/정책 의사 결정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후 네 가지 유형들 중 불확실성이 강한 행정환경 하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행정기반증거와 증거영향행정에 해당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고리원전 사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면서 유형의 타당성과 함의를 논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행정환경에서 증거의 질에 대한 한계를 인지하고, 포괄적으로 증 거가 논의되고 채택되어 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Evidence-based policy-making has been the major paradigm in policy-making in OEC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il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vidence has been considerably enhanced in the last decades, social conflicts around major policy-making processes still remai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uncertainty in policy environments and attempts to discuss how evidence can best be used in policy-making processes under uncertain circumstances. To do this, we examine previous literature on evidence-based policy in western countries and propose are search framework illustr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mental models, evidence, and uncertainty. Based on the framework, we also propose four policy-making models: opinion-based policy-making, policy-based evidence, evidence-based policy-making, and evidence-informed policy-making. Two case studies are conducted to test the usefulness of the four policy-making types and also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limitation of evidence under uncertain policy environments, and it emphasizes the democratic proces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evidence and mental models are discussed and interacted with in a comprehensive and open manner.

      • KCI우수등재

        증거기반정책 연구는 증거가 있는가?: 국내 증거기반정책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양은진 ( Yang Eunjin ),김병조 ( Kim Byeong Jo ) 한국행정학회 2022 韓國行政學報 Vol.56 No.3

        정책의사결정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행정·정책 영역에서 증거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행정·정책 분야 증거기반 의사결정 연구의 확장 노력의 일환으로 이 연구는 국내 행정·정책 분야에서 그동안 수행되었던 증거기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공백을 식별한 뒤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증거기반 행정 및 정책 연구 전수를 검토하여 분석대상 문헌을 선정하고 상세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는 체계적 문헌검토(systematic literature review)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국내 4개 학술데이터베이스(RISS, KISS, KCI, DBpia)에서 검색된 총 335 편의 연구논문 가운데 기준에 부합하는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들은 ‘증거기반(evidence-based)’ 개념에 대한 엄밀한 개념 정의가 부족하였다. 둘째, 개념 정의의 미흡으로 인해 ‘증거기반정책’ 집행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도 부재하였다. 셋째, 척도의 부재는 결국 증거기반정책의 효과성을 실증할 실증연구의 부족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기존 연구는 대체로 특정 사례 분석을 통해 증거기반정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 연구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증거기반 행정 및 정책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is critical in the public sector as it may improve the quality of decision-making. As part of an effort to expand research on evidence-based policy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s current research trends, identifies gaps in existing research,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we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xtant research on evidence-based policy. From a total of 335 research articles retrieved from four academic databases, 49 articles that m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Our findings are threefold. First, domestic studies lacked a rigorous conceptualization of what “evidence-based” means. Second, there was no empirical measure for “evidence-based policy” available due to the insufficient definition of the concept. Third, the lack of adequate measurement has resulted in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policy. Consequently, the majority of existing studies are case studies that mer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evidence-based polic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증거기반 정책결정이 백신 접종의사에 미치는 영향:정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병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3 行政論叢 Vol.61 No.3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하여 정책을 수립하라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정책결정 과정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증거기반 정책 결정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결정이 증거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고 인식하는 경우 국민들의 정책 수용성과 정부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코로나19 백신 접종의사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부의 정책결정이 증거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고 인식할수록 백신 접종의사가 높게 나타나 정부의 정책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증거기반 정책결정은 정부 신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매개로 하여 정책 수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점점 더 복잡해지는 정책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결정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re is a growing social demand for establishing policies based on scientific and objective evidence in the government’s policy-making process. The importance and interest in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s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using a survey related to willingness to receive the COVID-19 vaccine to determine how it affects policy acceptance and trust in the government when people perceive that the government’s policy decisions are made based on evidence. As a result, the more people perceived that the government’s policy decisions were based on evidence,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get vaccinate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the government’s policy.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and increased policy acceptance.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s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government trust and policy acceptance, and it would be important for the government’s policy decisions to be established based on objective and rational evidence.

      • KCI등재

        증거기반 정책형성제도로서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민규(Park Minkyu),김대진(Kim Daejin)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과학적 정책수립과 평가를 위한 증거기반 정책관리제도는 아직 제도적으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고, 공식통계증거에 기반하여 정책의 집행과 평가를 위한 통계기반 정책집행평가제도만 제도화되어 있다. 통계기반 정책집행평가제도는 증거기반 정책수립의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공식통계의 범위가 확장되고, 통계의 품질요건도 정책적 중요성에 따라 구분되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가 증거기반 정책관리제도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증거의 범위, 제도 적용 정책과정과 대상의 범위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통계데이터 거버넌스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통계기반 정책관리제도가 증거기반 정책수립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총리실에서 통계기반정책사업에 관한 총괄적 관리를 맡고, 통계청을 총리실 산하 처급으로 조직을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증거기반의 증거의 범위가 공식적 통계의 영역을 넘어 충분히 넓어지기 위해서는 부처 할거주의와 개인정보와 사생활 보호 등 공사(公私) 영역의 정보접근 제약요소도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The evidence-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for scientific policy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has not yet bee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nd only statistics-based policy execution evaluation system for policy execution and evaluation based on official statistical evidence is institutionalized. The statistics-based policy execution evaluation system needs to develop in the direction of evidence-based policy establishment, and for this purpose, the scope of official statistics needs to be expanded, and the quality requirements of statistics need to be classified and managed according to policy importance. In order for the statistics-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to develop as an evidence-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scope of evidence, the policy process applied to the system, and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a statistical data governance system must be established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statistics-based policy management system to develop into evidencebased policy establishment, it is necessary to take over the overall management of statistics-based policy projects in the Prime Minister s Office and upgrade the organization to the level under whic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s under the Prime Minister s Office.

      • KCI등재

        여성과학기술인 정책과정 연구 : 프로그램논리모형 관점

        이지은,김태윤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6

        The policy process should recall the potential for inherent error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s hypothetical position and utilize information and knowledge, or evidence, based on logical caus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make more detailed and theoretical arguments about major assumptions in the hypothesis based on evidence derived from research conducted in other academic discipline, rather than solely planning policies from a policy and administrative view.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duce hypothesis in policies by using the program logic model and to identify the need for 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through verification process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ssumptions derived in the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lanning were generally able to confirm academic, theoretical and causal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subject awareness, demand, or prospects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 These findings show that evidence-based policy verification using the program logic model in the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lanning can be an essential attempt that the n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lanning system has more academically and empirically verified. It also recognizes that research in other academic discipline can serve as a very important agenda, and ultimately suggests that these diverse processes can be a useful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policy success. 정책과정에서는 정책의 가설적 지위에 따라 내재된 오류발생 가능성을 상기하고 논리적 인과관계에따른 정보와 지식, 즉 증거들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정책입안자들은 정책적・행정적 관점에서만 정책을 기획하는 것보다, 타 분과학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로부터 파생된 증거들을 기반으로 가설 내 주요가정들에 대해 보다 섬세하고 이론적으로 논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증명하고자대표적으로 여성과학기술정책사례를 들어 정책과정에 프로그램논리모형을 활용함으로써 정책에 내포되어 있는 가설을 도출하고, 검증・확인을 통해 증거기반 정책기획(evidence-based policy planning) 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정책기획 과정에서 도출된 가정은 다양한 타 분과학에서의 주제의식, 수요 또는 전망 등의 내용과 비교해 봄으로써 대체로 학술적・이론적・인과적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과학기술정책기획과정에서 프로그램논리모형을 활용하여 증거기반의 정책 검증이 이루어지는 것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 기획 시스템에서 좀 더 학술적・실증적으로 재가한 필수적인 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타 분과학에서의 연구결과가 매우 중요한 어젠다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논의과정이 정책성공에 기여하는유용한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복지정책 분야에서의 증거기반정책(EBP) 개념 활용 필요성과 적용방안: 행정 빅데이터 활용과 정책실험(기본소득, 안심소득) 사례를 중심으로

        윤성원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2

        Since the 2000s, policy research and policy-making processes have developed around the concept of Evidence-Based Policy (EBP). Evidence-based policy is the trend that decisions should be mad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not ideology or opinion, in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policies. This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evidence-based policy and research trends, and analyzes cases of application to welfare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Nordic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Korea still had many restrictions on the free use of administrative big data for research, and policy experiments are just beginning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the future, these problems need to be improved and a culture in which welfare policies are decided based on evidence, not ideology or opinions,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증거기반 형사정책과 형사입법

        하태훈(Tae-Hoon Ha) 한국형사정책학회 2022 刑事政策 Vol.34 No.3

        최근 20여 년간의 형사법 발전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강성화 형사정책과 형사입법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독일 등 세계적인 경향이다. 테러 위협과 범죄에대한 공포로 정치, 언론, 학계 등 모든 영역이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보다 안전과 예방이 우선이라는 사고가 지배적이다. 개인의 안전이든 도시의 안전이든 안전을 위한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형법이 위험 예방을 위한 적절하고도 요구되는 수단이라고여기면 형법적 보호영역의 확대와 가벌성의 양적 확장은 필연적이다. 형사입법의 경향은 자유화와 비범죄화보다는 범죄화와 중형화가 된다. 엄벌주의로의 전환은 범죄와 형벌에 관해서 체계적으로 습득한 경험적 지식을 지향하는 증거기반 형사정책이아니라, 언론·여론 기반 강성화 형사정책과 형사입법의 결과다. 독일 정치권과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기 시작했고, 형법 확장에 대한 입법적 수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게 되었다. 20여 년의 형사정책 전개에 대하여 정치인과 학자 및 전문가가 뒤늦게 잘못을인식하고 형사입법의 구조적·본질적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진단을 내리면서 방향 전환을 꾀하게 된 것이다. 형사정책이 감정이나 단지 추측되는 안전 욕구가 아니라 가능한 한 측정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위험 정도와 위태화 상태 등을 고려해서 결정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기후 위기와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는 정책 결정이든 입법이든 정치적 결정 과정이 증거에 기반해야 한다는 점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2021년부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은 2019년 12월 6일 개최한 30주년 기념 유관학회 공동 국제학술회의 대주제를 ‘국민 안전을 위한 증거기반 형사정책’으로 정한 바 있다.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범죄예방과 형사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언론·여론 기반의 강성화 형사정책과·형사입법의 현실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방향 수정의 필요성을 검토한 후(II), 지향해야 할방법으로서 객관적·경험과학적 증거기반 형사정책과·형사입법(III)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criminal law over the past 20 years can be summed up in one word: punitive criminal policy and criminal legislation. It is a global trend,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Due to the threat of terrorism and the fear of crime, the prevailing idea is that safety and prevention are prioritized over human dignity and freedom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the media and academia. If we focus on prevention for safety, whether it is personal safety or city safety, and consider that the criminal law is an appropriate and required means for risk prevention,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criminal protection a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unishment are inevitable. Criminal legislation tends to be criminalized and lenient rather than liberalized and decriminalized. The shift to severe punitiv-turn is not evidence-based criminal policy oriented toward systematically acquired empirical knowledge about crime and punishment, but rather a result of media and public opinion-based hardening criminal policy and criminal legislation. German politicians and academia began to point out that reflective consideration was necessary, and the recognition that legislative amendments to the extension of the criminal law should be made increased. Politicians, scholars, and experts belatedly recognized the mistakes of the 20 years of criminal policy development and made a diagnosis that structural and essential changes in criminal legislation were needed.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that criminal policy should b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measurable and verifiable risk and endangerment status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emotions or presumed safety needs. The same goes for our country. After the climate crisis and the coronavirus pandemic, it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at political decisions, whether policy or legislative, must be evidence-based.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IC, since 2021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KICJ) has set the main theme of the 30th anniversary joint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held on December 6, 2019 as ‘evidence-based criminal policy for public safety’. In this thesis, after examining the reality of the current media and public opinion-based punitive criminal policy and criminal legislation, and examining the need for direction revision (II), the objective and empirical evidence-based criminal policy and criminal legislation will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III).

      • KCI등재

        증거기반정책에 관한 연구 - 증거의 편의(Bias)를 중심으로 -

        김길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3

        Evidence-based medicine developed after World War II influenced policy studies, and since the 1990s, evidence-based polic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particular, after Prime Minister Tony Blair of the UK and President Obama of the US mentioned the evidence-based policy, it has spread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ny countries. Evidence is very important in the policy process. The problem is that the evidence used in the policy process must be good evidence. Various opinions exist about good evidence, but in this study, good evidence is considered to be evidenc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policy reality.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bias, the better the evidence. Evidence bias can be divided into methodological bias and value bias. Methodological bias is a bias that occurs due to a wrong application or defect in the methodology without intention or value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interpreting, and using evidence, and value bias is a bias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a specific value in the policy process. Methodological bias can reduce the size of bias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review, and revision, but value bias does not. It can be said that adequacy, appropriateness, reliability, and legitimacy have an effect on value bias. 제2차 세계대전이후 발전한 증거기반의학은 정책학에 영향을 미쳐 1990년대 이후 증거기반정책은 많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영국의 토니 블레어 수상과 미국 오바마대통령이 증거기반정책에 대해 언급한 이후 국제기구와 많은 나라로 확산되었고 적용영역도 건강정책에서 사회복지, 학교교육, 청소년 문제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정책과정에서 증거는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정책과정에서 활용하는 증거가 좋은 증거여야 한다는 것이다. 좋은 증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책현실과 괴리되지 않은 증거가 좋은 증거라고 생각한다. 즉 편의(bias) 크기가 적으면 적을수록 좋은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증거의 편의는 크게 방법론적 편의와 가치 편의로 구분할 수 있다. 방법론적 편의는 증거를 생성․해석․활용하는 과정에서 의도나 가치가 개입하지 않고 방법론을 잘못 적용하거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편의이고 가치 편의는 정책과정에 특정한 가치가 개입되어 발생한 편의라고 할 수 있다. 방법론 편의는 지속적인 조사․재검토․수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지만, 가치 편의는 그렇지 않다. 가치편의에는 적정성, 적절성, 신뢰성, 정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 근거기반 정책 설계에 대한 인식 연구

        최미정,이호규,윤지웅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를 위한 지원에서 활용되는 정책적 근거에 대하여, 정책담당자와 정책 이해관계자인 현장연구자의 인식을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세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를 위한 근거의 활용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경험적근거의 활용이 가장 높고, 과학적 근거, 휴리스틱 근거 순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목적에 따라 주로 활용되는 근거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학기술패권 경쟁을지원하는데 있어서는 과학적 근거, 디지털 전환은 휴리스틱 근거, 사회적 난제 해결은 경험적근거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집행집단인 정책담당자가 정책대상집단인 현장연구자보다 근거의 활용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행위자-관찰자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officials and researchers on evidence-based policy for science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STI] policy. Specifically, 127 policy managers and 223 field researchers were surveyed on the use of evidence. First, policy managers recognized the level of utilization of all scientific, empirical, and heuristic grounds higher than field researchers. Regarding the obstacle to the use of evidence, the policy manager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collect evidence, which was a situational factor, while the field researcher recognized the lack of competence of the person in charge, which was a characteristic factor of the acto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or-observer asymmetry exists in the perception of evidence-based polici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mpirical grounds, scientific grounds, and heuristic grounds were highly usable in the order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ies. Policy managers use empirical evidence the most, use scientific evidence, and use heuristic evidence relatively low. Field researchers were similar in that the use of heuristic evidence was relatively low, but field researchers recognized that empirical and scientific evidence were used to a similar extent, unlike policy makers.

      • 증거기반 정책과정에서 서베이조사방법의 역할 탐색

        이건 ( Geon Lee ) 한국정책연구원 2012 한국정책논집 Vol.12 No.-

        The evidence-based policy process is characterized as a knowledge producing process based on scientific methods while precluding heuristic methods. Evidence-based methods which stand in sharp contrast to opinion-based methods, are conducted with analytical techniques and valid data. Survey research is one of the popular techniques that collect data as evidence in the policy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survey research methods as a tool of collecting evidence in the policy process. Analyzing survey findings the central government generated for the past nine years between 2003 and 2012,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utilized a variety of survey methods in the policy process, such as public opinion polls, focus group, policy demand surveys, monitoring surveys, customer satisfaction surveys, and effect surveys. It has been found that public opinion polls and focus groups are used for identifying the policy problems, policy demand surveys and public opinion polls are utilized for searching for policy alternatives, monitering surveys for process evaluation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customer surveys for policy impact evaluations. Despite the fact that survey methods are popular and efficient techniques in the evidence-based policy process, the methods are not without limitation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survey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