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성의 문화적 잠재력 연구: 싱어송라이터의 ‘길거리 노래’를 중심으로

        김미순(Kim, Mi So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3 대중음악 Vol.- No.12

        본 논문은 일상성의 의미화 과정을 통해 문화적 창조성의 잠재력과 그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의 일상은 사소하기도 하고 특별하기도 한 순간들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날 바탕이 되는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일상성은 지배체계가 간섭하지 못하는 잔여적인 영역의 저항성과 창조적 실천성이 결합된 일상생활의 무대에서 드러난다. 일상성이 의미화되는 과정은 일상을 다양하게 재해석, 재창조하는 적극적인 문화 생비자에 의해 일상적 소통 마당을 형성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일상적 삶을 무대로 한 예술 활동이 어떤 문화적 잠재력을 갖는지에 대해 싱어송라이터의 ‘길거리 노래’를 사례 연구로 살펴보았다. ‘길거리 노래’는 마이너리티 영역에서 주류 문화체계의 정형화된 의미를 통합, 변환, 재가공해 일상적인 ‘길거리’로 확장시켜 나간다. 일상을 무대로 한 거리예술은 소유할 수 없는 공간을 새롭게 전유함으로써 이동, 운동, 변화를 이끌어 내고, ‘일상 예술’이라는 자기영역을 확보한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체계는 일상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일상의 예술양식은 일상성을 기반으로 한 내용적 측면과 현장성, 즉흥성, 유동성의 형식적 측면을 내포한다. 그리고, 일상 예술은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 상호작용적이고 직접적인 소통방식의 새로운 문화체계를 독자적으로 형성한다. 일상 예술의 잠재력은 문화 공공성, 다양성, 개방성을 지향하는 일상성을 원동력으로 새로운 문화 마당을 부상시킨다. 이 가능성은 상업성, 획일성, 폐쇄성으로 정형화된 주류문화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물신주의적 소비대중으로 전락한 현대인의 왜곡, 축소, 소외된 일상을 회복시켜 새롭게 거듭나는 삶의 비전을 제시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of the potentiality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reativity as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from everydayness. Everyday life occupies a prominent position in various events happened while experienced trivial and special moments. Everydayness is revealed on the stage of life which is combined the creative practicality with the resistance in residual areas independent from the mainstream system.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from everydayness creates the atmosphere of everyday communication by an active and cultural prosumer who recreates and reinterprets the various ways of everyday. This study examined a singer-songwriter’s ‘street song’ which has a certain cultural potentiality of art activities on the stage of everyday life. This street song in minority areas could be extended into everyday-street by integrating, converting and reprocessing meaning of t he standardized cultural mainstream system. A street art on the stage of everyday life derives the movement, the activity, and the change from having the space which could be possessed and secures its domain in the ‘everyday art’. This new cultural system is achieved in the area of everyday life. The everyday art pattern includes the aspect of content based on everydayness and structural aspect of reality, improvisation and liquidity. And, Independently the everyday art was formed the new cul-tural system with a directiv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The potentiality of everyday art emerges as new cultural place through driving force of the everydayness which pursues the public cultural service, the cultural diversity and the cultural openness. The possibilities with cultural potential of everydayness overcame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mainstream culture’s which is stereotypical with a commercial viability, uniformity and closeness. And this also recovers modern people who degraded to fetishistic consumer and everyday modern life which has been distorted, curtailed and alienated. Therefore this presents a vision of a new life.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 연구 ―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1962- ) 미술 실천을 중심으로

        공주형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at occurred from Wuhan, Hubei, China in December 2019, the world has encountered more instability and uncertainty than ever. Since the constant disaster by this prolonged infectious disease made the crisis of everydayness become widespread, the value of art is being reassessed as a meaningful medium for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review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with art as a medium in the era of the health cri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t practice of Pierre Huyghe. Huyghe probed the possibility of the reconstruction of everydayness by means of re-contextualization, re-arrangement and revaluation of everyday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ness and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 of everydayness in art from ethical, ideal and romantic aspects. It then examines a practical case in the art world for the crisis of everydayness and the interest in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in this Post COVID-19 era. Finally, this study examins the art practice of Pierre Huyghe who has investigated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everydayness and its possibility of appropriation focusing on non-linear narratives, nonsequential time and non-subjective hierarchy. The meaning of the resilience of everydayness through art in the Post COVID-19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does not restore our familiar and conventional everydayness, but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everydayness of possession and accumulation in a fresh way. Second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gives a chance to construct the everydayness of isolation and disconnection rather than the adaptation of current unstable everydayness. Thirdly, the art of resilience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tru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everydayness of solidarity and inclusion can be constructed rather than an imagination of future optimistic everydayness.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전 세계는 그 어느 때 보다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감염병 장기화가 초래한 상시적 재난으로 일상성의 위기가 전면화되는 가운데 위태로운 일상성 회복의 유의미한 매개로 미술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성의 재맥락화, 재배열화, 재가치화를 통해 일상성의 재구축 가능성을 타진해 온 피에르 위그의 미술 실천을 중심으로 보건 위기의 시대, 미술을 매개로 한 일상성 회복의 실천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는 일상성의 개념과 미술에서의 일상성 재현의 시각을 윤리적, 이상적, 낭만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 다음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시대 일상성의 위기와 회복에 관한 관심을 미술계의 주목할 만한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비선형적 서사, 비순차적 시간, 비주체적 위계를 중심으로 위태로운 일상성의 해체와 재구축 그리고 전유 가능성을 탐문해 온 피에르 위그의 미술 실천을 검토하였다. 이상을 통해 본 연구가 검토한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의 미술은 기존의 익숙한 일상성의 복원이 아닌 성장과 축적의 일상성을 새롭게 사유할 기회 제공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회복의 미술은 현재의 불안한 일상성에 적응이아닌 고립과 단절의 일상성을 다르게 구축할 계기 마련한다는 데 의미가있다. 셋째, 회복의 미술은 미래의 낙관적 일상성의 상상이 아닌 연대와 포용의 일상성을 온전히 전유할 상황을 구축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일상성 담론의 조각적 해석 연구 -마페졸리의 현재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복규 ( Kim¸ Bok Gyu ),엄혁용 ( Um¸ Hyuk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본 논문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마페졸리의 일상성 개념의 조각적, 예술적 번역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상성 담론은 20세기 초 후기 후설의 생활세계 담론, 하이데거의 세계 내 존재로서 현존재에 관한 존재론적 분석에서 이미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예술분야에서 일상성의 영역은 오히려 모더니즘이라는 순수주의와 자율성의 강령 아래 배척된 요소였다. 누보 레알리즘, 팝아트, 포스트팝,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흐름은 다시 예술과 일상적 삶, 그리고 사회를 연결하려고 하였고, 이에 모더니즘 이후 일상성 담론은 예술과 이론의 주요 요소로 등장한다. 특히 프랑스의 철학자 르페브르와 사회학자 마페졸리는 일상성 담론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르페브르는 일상성에 대한 자본주의적 침식을 비판하고, 일상성을 다시 근원에서부터 회복시키기를 바랐다면, 마페졸리는 오히려 일상성을 존재의 시원이자 근원으로 긍정한다. 이러한 입장은 그의 현재주의적 관점에 잘 나타난다. 그는 동시대를 진보가 약속하는 미래를 믿기보다 현재 자체, 즉 순간을 긍정하는 시대로 규정한다. 필자는 본인의 작품론을 전개하면서 마페졸리의 현재주의적 입장을 이론적 방법으로 삼아 이를 동시대적 예술적 생산방식과 미학적 언어로 번역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일상성의 이론을 조각적, 예술적 관점에서 순간의 미학과 일상의 포스트프로덕션으로 규정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은유나 알레고리, 혹은 상징적 관점을 배제하고 철저히 일상의 현재 순간을 긍정하는 순간의 미학을 주창하고 이를 조각적으로 구현하려고 하였다. 한편, 일상의 포스트프로덕션에서는 동시대의 예술적 생산방식 즉, 포스트프로덕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예술가는 기존 문화의 임차인으로서 기존의 것을 관객들에게 재작동하게 만든다. 본인은 유명한 영화의 사랑에 관한 장면을 포착하거나 포착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이를 다시 부조 조각으로 옮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culptural and artistic translation of the concept of everydayness of French sociologist Maffesoli.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iscourse of everydayness has already begun with Husserl's discourse on the life-world and Heidegger’s ontological analysis of Dasein as being in the world. However, in the field of art, the realm of everydayness was rather an element rejected under the program of purism and autonomy of modernism. The cultural flow of Nouveau Realism, Pop Art, Post-Pop, and Post-Modernism tried to connect art with daily life, and society again. In particular, the French philosopher Lefebvre and the sociologist Maffesoli played a major role in the discourse of everydayness. While Lefebvre criticized the capitalist erosion of everyday life and wished to restore everydayness to the source, Maffesoli rather affirmed everydayness as the origin and source of existence. This position is well reflected in his presentist perspective. He defines the contemporary as an era that affirms the present itself, that is, the moment, rather than believing in the future promised by progress. In developing my own theory of work, I tried to combine Maffesoli's presentist position as a theoretical method and graft it with the contemporary production method. In conclusion, this thesis defines the theory of everydayness as the aesthetics of instantaeousness and the post-production of everydayness from a sculptural and artistic point of view. My own work excludes metaphor, allegory, or symbolic point of views, and insists on the aesthetics of the Instantaeousness that thoroughly affirms the present moment of everyday life, and tries to embody it sculpturally. On the other hand, in the post-production of everyday life, the contemporary artistic production method, that is, the position of post-production is taken. In post-production, the artist is the tenant of the existing culture, making the existing things function again for the audience. I capture a love scene from a famous movie or use the captured image to translate it back into a relief sculpture.

      • KCI등재

        현대건축에 나타난 일상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김정숙(Kim, Jeong-Suk),최왕돈(Choi, Wang-D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as a design concept by organizing concepts of "ev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ystematically describ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E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defined and the criteria of case study are suggested, so that characteristics of everyday can be identified by systematical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Japanese cases in order to find the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ials that show users" everydayness has indefinite potential as an element of architecture concept, and they play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architecture and users; second, implementation of everydayness leads to design emergence; third, everydayness can be widely applied to architecture; fourth, everydayness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of architecture uses. In conclusion,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that it draws user-based diverse and fresh architectural expressions that lead to opulent designs. To users, everydayness improves satisfaction of life gained from architecture and provides rich life environment because it changed common human life to a form of art.

      • KCI등재

        현대 포르투갈 건축의 공간적 톤에 관한 연구

        이길호(Lee, Kil-Ho),이정욱(Lee, Jung-W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6

        Modern architecture tends to split the everyday life and the space of human. Position of architecture should b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eed. It will be study on the everyday life of architecture from architecture and everyday life of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is study, it makes clear the visual aspects of architectural experience to acquire spatial tones for analyzing architectural Everyday-ness. In this case, Portugal"s modern architectural space was impressing,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local color and architectural vocabulary of the Everyday-ness. Therefore,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y relationship analysis reveals the space of these spatial ton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e analyzed of simplicity, purity, locality, reminiscent, continuity, and transition, etc.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an be derived into five classes such as light, color, material, pattern (texture), and depth. In conclusi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and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onsist of configuration matrixes to analyze the spatial tone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ton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re background-ness, one-ness, and inherence. I hope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of the architectural Everyday-ness.

      • KCI등재

        근대적 일상의 전개와 김기림 시의 일상성 연구

        조동범(Jo Dong-bum)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일상은 근대 이후에 나온 개념이며 근대의 시공간을 통해 전개된다. 놀랍게도 19세기 이전까지 일상은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었다. 당연히 일상으로 불리는 시공간 역시 없었다. 사전적 의미인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만으로 근대의 개념인 일상을 설명할 수 없다. 일상은 단순히 평범하고 흔한 삶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그것은 근대성 속에 새롭게 전개된 시간을 의미한다. 근대 속에 놓인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내장하고 있는 인문학적 개념이다. 일상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기계문명의 등장과 함께 부여받은 ‘잉여의 시간’이며, 근대의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시간을 의미한다. 근대는 일상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근대성을 내세운 김기림의 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상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기림 시의 근대성 역시 일상성의 세계를 바탕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김기림 시의 근대성은 일상성의 측면으로 접근하기보다, 근대 문명이나 이기 등을 통해 표면화된 근대성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따라서 근대성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특성을 간과할 수밖에 없었다. 근대성의 세계는 문학에 대한 개념도 바꾸었다. 근대 이전의 문학은 대체적으로 가치 있는 ‘사건’을 다루었다. 하지만 근대 이후 문학은 더 이상 ‘사건’을 다루지 않아도 되었다. 오히려 ‘사건’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당대의 모습을 더욱 실감나게 제시할 수 있었다. 여기에 개입된 것이 바로 일상성이다. 김기림은 작품에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일상을 적극적으로 표명함으로써 근대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문학적 사유를 개진했다. 근대성의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제시한 김기림의 시를 통해 일제강점기 근대의 의미는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Daily life is a post-modern concept and unfolds through modern time and space. Surprisingly, the concept of daily life did not exist before the 19th century. Of course, there was no time and space called everyday. The everyday is not just a word that refers to ordinary human life and time. It is a concept that characterizes the modern world. It does not simply refer to the repetition of life, nor does it refer to ordinary time. Everydayness is the “surplus time” that came with the rise of mechanical civi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and it means meaningless and worthless time. It is a concept that refers to a special phase of modern tim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humanities and philosophy. The modern world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everyday life.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analyze everydayness in order to understand Kim Ki-rim’s poetry that claims to stand for modernity. This is because the modernity of Kim Ki-rim’s poetry is also based on the world of everydayness. However, until now, the modernity of Kim Ki-rim’s poetry has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the modern world itself, rather than in terms of everydayness. Therefo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have been overlooked. The world of modernity also changed the idea of literature. Pre-modern literature usually dealt with “events” that had value. But post-modern literature no longer had to deal with events. On the contrary, by not dealing with events, it was able to present a more realistic picture of the times. This is where everydayness came in. By actively expressing the meaningless and worthless everyday life in his works, Kim Ki-rim developed in-depth literary thoughts on what modernity is. Through Kims poetry, which clearly recognizes the meaning of modernit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eaning of the modern world that has suddenly developed, more clearly.

      • 공감과 소통으로서의 일상 미학-칸트의 공통감과 관련하여-

        김광명 ( Kim Kwang-meong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전통적인 미학으로부터 일상의 미학으로의 이행의 의미를 칸트의 공통감과 관련하여 다룬 글이다. 예술과 삶의 경계가 허물어진 이후, 예술과 일상의 삶은 긴밀하게 연관되고 있다. 따라서 예술, 비예술, 반예술, 나아가 미학, 비미학, 반미학과의 경계가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다. 미적인 것은 일상의 미학의 전개에 있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미적인 것은 우리의 태도와 경험에 의해 지각되며, 일상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공감과 소통으로서의 일상의 미학을 주제로, 취미판단의 전제조건으로서의 공통감, 감정의 전달가능성으로서의 공통감을 다루었다. 공통감은 개별적 정서가 아니라 구성원 간에 보편적 정서를 위한 능력이다. 공통감에서의 ‘공통’은 ‘공동의, 보통의, 일상의, 평범한, 세속적인‘ 의 의미를 담고 있다. 공통감은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공동체적 감각의 이념이다. 그것은 보편적 전달가능성 및 소통가능성에 의존한다. 오늘의 미학은 일상의 미학이다. 공통감은 우리를 공감하게 하고 소통하게 하며, 일상의 일상성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shift from traditional aesthetics to everyday aesthetics in connection to Kant's common sense. After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life is demolished, art and everyday life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re will be no more a boundary between art, non-art, anti-art and aesthetics, non-aesthetics, anti-aesthetics. Hence, the aesthetic will be o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esthetics of everydayness. And the aesthetic is perceived by our attitudes and experiences, and is permeated into our daily lives. I discussed the subject from the three aspects, everyday aesthetics as sympathy and communication, common sense as a presupposition of judgment of taste, common sense as a communicability of feeling. Common sense is the ability for universal emotion rather than the individual emotion. Common sense is not the mere sense, but it is the idea of communal sense and the objective validity for the judgment of taste. It relies on the possibility of the universal delivery as well. Today's aesthetics is the aesthetics of the everyday. Common sense plays a role to make everyday keep its everydayness on behalf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Tenacity of the Everyday: Cantonese Narrative Singing from the Late Qing to the Cultural Revolution

        Wen Cuiyan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Plus 사업단 2021 Situations: Cultural Studies in the Asian Context Vol.14 No.1

        The period from the late Qing to the Cultural Revolution, spanning three different regimes and social formations, witnessed the most turbulent and tremendous transformation in China’s history. However, when it comes down to the local level, everyday life nevertheless continued on even during the most disruptive years. How did radical social changes function in everyday life? How did everyday life change in response to the ideological transformations and social turbulence in the past century? In response to these questions, the article critically re-examines the everyday practices of Cantonese narrative singing during this historical period. Informed by Michel de Certeau’s theory of everyday life, as well as concepts developed by Chinese scholars, such as “the invisible structure of minjian” by Chen Sihe and “the structure of interdependence/ oppression” by Zhang Lianhong, this article seeks to depict a picture of everyday life that stands in tension with the grand historical narrative, and argues that everyday life never completely surrenders to ideology. Rather, it adjusts its relations with the politically dominant, absorbs it, makes use of it, and so maintains itself.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also serves to re-think the status of everyday life in the current wave of promo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culture in China.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김윤지,김정섭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일상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변화와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이상의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의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은 ‘일상문제 마주하기: 대학생이 인식하는 일상문제의 의미’, ‘문제해결과정 수행하기: 문제해결자로서의 변화 주도’, ‘문제 상황 종료하기: 변화 체감 및 성장 확인’ 의 총 3개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일상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로 담아내어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따른 일상문제해결 과정의 다양한 종결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상황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자로서 긍정적 변화를 통해 성장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 개발을 통한 교육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their changes and mea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students in second grade or higher who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erived a total of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perception of everyday problem', 'performing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termination of a problem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because the study included their voices from the real experiences of everyday. Also, It suggested that various forms of termination of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eliminate problem situations through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but also experience growth through positive changes as problem solvers. Through thi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skills and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related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와비-사비의 일상미학적 해석을 통한 실내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길호(Lee, Kill-Ho),이정욱(Lee, Jung-W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3

        Today aesthetics expression could be a ‘Everyday-life Beauty’, because today art & design are closely related with a contemporary life. This thesis dealt with a everyday-life and sensitive design which sublimate from everyday-life material to the concept of aesthetics, such a purpose of this thesis establishes a base of everyday-life design through everyday-life aesthetics. This purpose made to pay attention to Japan’s aesthetics concept, because Japan has been maintained and developed its own everyday-life aesthetics. Even if Japan doesn’t have only everyday-life aesthetics, it is useful that is studies as some kind of a prototype. So this study analyzed about a everyday-life aesthetics and the expression method through the case-study of Japan. According to Yonagi Muneyoshi and Leonard Koren, the Wabi-Sabi has three conceptual characteristics like impermanent, incomplete, and imperfect and six expression characteristics like implication, tranquility, simplicity, coarseness, purity, and association. This study process is as follows. In the first a vocabulary of interior design was derived from thre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six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spatial facts was abstracted from it, and then volume, form, and then shape of composition facts of interior space was extracted from it. Finall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Wabi-Sabi in interior design was derived from these processes. In conclusi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Wabi-Sabi in interior design is the transitional space through a Shadow, the conversional space through form and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Copying space through a natural friend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