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성 있는 전자기록관리기관 감사인증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해영,김익한,심성보,우현민,임진희,조윤선,김효진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학연구 Vol.0 No.25

        Digital records management is one whole system in which many social and technical elements are interacting. To maintain the trustworthiness, the repository needs periodical audit and certification. Thus, individual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gency needs toolkit that can be used to self-evaluate their trustworthiness continuously, and self-assess their atmosphere and system to recognize defici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self-certification toolkit for repositories, which synthesized and analysed such four international standard and best practices as OAIS Reference Model(ISO 14721), TRAC, DRAMBORA, and the assessment report conducted and published by TNA/UKDA, as well as MoReq2 and current national laws and standards. As this paper describes and demonstr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ramework of this self-certification toolkit, othe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gencies could follow the process and develop their own toolkit reflecting their situation, and utilize the self-assessment results in-hous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12 areas for assessment were set, which include (organizational) operation manage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master data management, acquisition,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storage and preservation, disposal, services, providing finding aids, system management, access control and security, monitoring/audit trail/statistics, and risk management. In each 12 area, the process map or functional charts were drawn and business functions were analyzed, and 54 'evaluation criteria', consisted of main business functional unit in each area were drawn. Under each 'evaluation criteria', 208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which supposed to be implementable, measurable, and provable for self-evaluation in each area, were drawn. The audit and certification toolkit developed by this research could be used by digital repositories to conduct periodical self-assessment of the organization, which would be used to supplement any found deficiencies and be used to reflect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ategy. 전자기록관리는 수많은 사회적 기술적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신뢰받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전자기록관리기관은 감사와 인증의 정규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따라 개별 전자기록관리기관에서는 스스로의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해보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스스로의 환경과 시스템을 자체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의 필요성이 생겼다. 본 연구의 목적은 OAIS 참조모형(ISO 14721)과 영국 UKDA와 TNA의 자가진단보고서, TRAC 및 DRAMBORA 등 4개 표준과 국제모범사례를 분석하고, MoReq2와 현행 국내 법령 및 표준 등을 종합, 분석하여 자체인증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인증도구의 개발과정과 전체적인 틀을 기술함으로써, 타 기관에서도 기관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도구를 개발하고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결과, (기관) 운영관리, 분류체계 및 기준정보 관리, 입수, 등록․기술, 저장․보존, 처분, 서비스, 검색도구 제공, 시스템 관리, 접근통제․보안, 모니터링․감사증적․통계, 위험관리 등 총 12개 영역으로 진단영역이 확정되었다. 설정된 12개 영역 각각에 대해 각 영역별로 프로세스 맵 또는 기능차트 등을 만들고 업무기능을 분석한 후, 영역별 주요 업무기능 단위를 중심으로 구성된 54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각 평가지표 별로 실제 자가진단을 시행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하고 증빙이 가능하도록 작성한 208개의 ‘평가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생성된 이 지표는 전자기록관리기관의 감사인증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기관 스스로 정기적으로 자가진단을 실행하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발견된 미비점을 보완하고 향후 기관의 발전 전략에 반영할 수 있다.

      • KCI등재

        K-FPGA 패브릭 구조의 평가 툴킷

        김교선(Kyosun Kim)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9 No.4

        FPGA용 CAD툴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상용 FPGA에 적용하기에는 단순하고 비효율적인 아키텍처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용성 측면에서 뒤처져 왔다. 최근 상용 FPGA 아키텍처의 배치 위치 및 배선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용 FPGA에 적용할 수 있는 배치 배선 툴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본 논문은 신규 FPGA 아키텍처로 개발되고 있는 K-FPGA의 경쟁력을 벤치마킹 할 수 있는 툴킷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이는 학계 CAD 툴의 실용성 한계를 한층 더 확장하고 있다. 기존 상용 툴과 매핑, 패킹, 배치, 배선 각 단계 별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어 세부 툴별 비교 평가가 가능하며 이전 단계의 결과물을 기다리거나 결과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각 단계를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상용 FPGA의 아키텍처를 추출하여 단위 셀 라이브러리를 구축함으로써 FPGA 아키텍처의 신규 개발 시 참조 설계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시 벤치마킹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특히, 아키텍처 정보를 툴 내에 하드 코딩하지 않고 하드웨어 설계자에게 익숙한 표준 HDL 형식으로 기술하여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키텍처에 수시로 다양한 변경을 시도하면서 최적화해도 툴이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구동 방식의 툴 개발을 추구하였다. 실험을 통해 단위 셀 라이브러리 및 툴 기능을 검증하였으며 개발 중에 변경되고 있는 FPGA 아키텍처 상에서 임의의 설계를 매핑해 보고 정상 동작할 지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치 및 배선 툴이 개발 중이며 이들이 완성되면 실용적이고 다양한 신규 FPGA 아키텍처들을 개발하고 그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신규 아키텍처를 위한 최적화 CAD 툴 개발 연구가 활발해지는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The research on the FPGA CAD tools in academia has been lacking practicality due to the underlying FPGA fabric architecture which is too simple and inefficient to be applied for commercial FPGAs. Recently, the database of placement positions and routing graphs on commercial FPGA architectures has been built, and provided for enabling the academic development of placement and routing tools. To extend the limit of academic CAD tools even further, we have developed the evaluation toolkit for the K-FPGA architecture which is under development. By providing interface for exchanging data with a commercial FPGA toolkit at every step of mapping, packing, placement and routing in the tool chain, the toolkit enables individual tools to be developed without waiting for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ep, and with no dependency on the quality of the results, and compared in detail with commercial tools at any step. Also, the fabric primitive library is developed by extracting the prototype from a reporting file of a commercial FPGA, restructuring it, and modeling the behavior of basic gates. This library can be used as the benchmarking target, and a reference design for new FPGA architectures. Since the architecture is described in a standard HDL which is familiar with hardware designers, and read in the tools rather than hard coded, the tools are "data-driven", and tolerable with the architectural changes due to the design space exploration. The experiments confirm that the developed library is correct, and the functional correctness of applications implemented on the FPGA fabric can be validated by simulation. The placement and routing tools are under development. The completion of the toolkit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FPGA architectures which, in return, will synergically animate the research on optimization CAD tools.

      • KCI등재

        터치포인트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여정 맵

        유재연,반영환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The perspectives of customers and providers as for the services have the same objective; however, perspectives and objective are distinctly different. But the existing methodologies have mostly pondered only based on the customer-centric perspective or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viders.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these two perspectives as a whole by combining them into one perspective since they not only have differences but also common point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ed the System Journey Map in terms of internal staff based on the customer’s task in service. System Journey Map is consists of four parts : a customer journey map, thus the performance of internal staff, internal staff satisfaction evaluation, and finally the performance of internal staff assessment of the senior staff. After releasing a service, with customers and internal staff made ​​a point of contact to identify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and whether any part of the problem so that this toolkit gives us an expectation to be a useful map, which is the intangible being placed in service, not just visualize and understand for identifying problems. 서비스 안에서 고객과 제공자의 측면은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관점과 목적은 엄연히 다르다. 하지만 기존에 서비스의 여러 툴킷 및 방법론들은 제공자의 측면과 분리해서 고객 위주의 관점에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두 측면은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보다는 하나로 묶어서 전체적으로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고객 여정 맵 관점인 고객의 시간 순서에 따른 태스크를 바탕으로 제공자, 특히 고객과 직접 대면하는 내부 직원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본 시스템 여정 맵(System Journey Map)을 제안하였다. 시스템 여정 맵은 크게 고객의 시간별 상황, 그에 따른 내부 직원의 퍼포먼스, 내부 직원의 만족도 평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부 직원의 상급자가 직원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출시 이후, 고객과 내부 직원과의 접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인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어떠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무형의 서비스를 시각화해놓은 것에 그치지 않고 이후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까지도 유용하게 쓰이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논문 : 터치포인트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여정 맵

        유재연(주저자) ( Jae Yeon Yoo ),반영환(교신저자) ( Young Hwan Pa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서비스 안에서 고객과 제공자의 측면은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관점과 목적은 엄연히 다르다. 하지만 기존에 서비스의 여러 툴킷 및 방법론들은 제공자의 측면과 분리해서 고객 위주의 관점에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 두 측면은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보다는 하나로 묶어서 전체적으로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고객 여정 맵 관점인 고객의 시간 순서에 따른 태스크를 바탕으로 제공자, 특히 고객과 직접 대면하는 내부 직원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본 시스템 여정 맵(System Journey Map)을 제안하였다. 시스템 여정 맵은 크게 고객의 시간별 상황, 그에 따른 내부 직원의 퍼포먼스, 내부 직원의 만족도 평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부 직원의 상급자가 직원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출시 이후, 고객과 내부 직원과의 접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구체적인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어떠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무형의 서비스를 시각화해놓은 것에 그치지 않고 이후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까지도 유용하게 쓰이기를 기대한다. The perspectives of customers and providers as for the services have the same objective; however, perspectives and objective are distinctly different. But the existing methodologies have mostly pondered only based on the customer-centric perspective or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viders. It would be necessary to take these two perspectives as a whole by combining them into one perspective since they not only have differences but also common point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ed the System Journey Map in terms of internal staff based on the customer’s task in service. System Journey Map is consists of four parts : a customer journey map, thus the performance of internal staff, internal staff satisfaction evaluation, and finally the performance of internal staff assessment of the senior staff. After releasing a service, with customers and internal staff made a point of contact to identify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and whether any part of the problem so that this toolkit gives us an expectation to be a useful map, which is the intangible being placed in service, not just visualize and understand for identifying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