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밀교미술(密敎美術)의 형성과 전개

        김주미 ( Kim Joo-mi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밀교미술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특정 작품을 고찰하고 논의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다보니 밀교미술의 시대별 전개와 특징, 한국 밀교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밀교의 성립 배경과 밀교미술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고찰했다. 한편 불교계의 동향이 밀교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고려하면서 한국의 밀교 수용과 밀교미술의 전개를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는 신라를 중심으로 신인비법(神人秘法)과 호국 관련 밀교미술, 신라적 만다라의 성립과 기존 존상의 밀교화, 사리탑 신앙과 탑에 봉안된 『다라니경』을 중심으로 밀교미술의 전개를 고찰했다. 고려시대의 밀교는 왕실의 밀교신앙, 총지종과 신인종의 성립, 밀교 의식 및 행사 등과 같은 불교계의 움직임을 통해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밀교미술의 전개는 고려불화, 라마교 양식의 불상, 『보협인다라니경(寶篋印陀羅尼經)』과 보협인탑(寶篋印塔), 밀교 의식구 등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조선시대는 국가의 숭유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에 왕실과 민간에서 밀교 관련 불사가 행해지고, 밀교 계통의 전적이 간행되면서 사리신앙과 사리장엄구의 조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밀교미술의 전개가 이루어졌다. 또한 19세기 이후에 조선불화에 새롭게 등장하는 밀교 존상과 그 출현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국 밀교미술의 어제와 오늘을 고찰하고 그 정체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에 진행된 다소의 연구 성과가 한국 밀교미술의 성격과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Existing studies and papers on esoteric art focused on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centering on specific works. As a result, it was not easy to grasp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by period an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se aspects and developed the thesi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esotericism and the difference between esotericism and exoterism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esoteric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while examining the acceptance of Esoteric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Korea by age, I identified trends in the Buddhist world by period and focused on how they affected Esoteric art. Unified Silla centered on the Shinin technique(神人秘法) and esoteric arts related to national defense, the establishment of Silla-style mandalas(蔓茶羅) and the esotericism of existing statues(尊像), and the belief in stupas and the Darani Sutras(陀羅尼經) enshrined in the pagodas. It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the Goryeo Dynasty, the royal family's esoteric beliefs and protective measures, the establishment of Chongjijong(摠持宗) and Shininjong(神印宗), and esoteric rituals and events were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is, I broadened my understanding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Lamaism Buddha statues, Bohyeopin Darani Sutra(寶篋印陀羅) and Bohyeopin Tower(寶篋印塔), and esoteric rituals that reflect esoteric beliefs and esoteric statues. In the Joseon Dynasty, even under the national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affairs(佛事)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were carried out in the royal family and the private sector, and books such as The Collection of Truths(眞言集) and Secret Buddhism(秘密敎) were published.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belief in sarira and the creation of a stele for relics, and also examined the relevance with esotericism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miracles(異蹟) and worldly oriented contents in the sarira stupa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ried to figure out the background of the esoteric Buddha newly appearing in Buddhist painting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It is not easy to consider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n esoteric art, but I tried to 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esoteric art.

      • KCI등재

        자운사(紫雲寺) 목조아미타불좌상(木造阿彌陀佛坐像)의 복장(腹藏) 「여의보인대수구타라니범자군타라상(如意寶印大隨求陀羅尼梵字軍陀羅相)」의 제작 배경

        옥나영 ( Na Young Ok ) 이화사학연구소 2016 梨花史學硏究 Vol.0 No.53

        There is a Dharani named `Yeouiboindeasugudharani-bumja-gundharasang(如意寶印大隨求陀羅尼梵字軍陀羅相)` among the remains of Jawun-sa(紫雲寺)`s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s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Since it has this name, it is likely based on Dharani Parati-sara stura(『隨求陀羅尼經』) and presumed to be made in 1184. There are two Chinese translations of Dharani Parati-sara stura(『隨求陀羅尼經』), which are Mahapratisara dharani(『佛說隨求卽得大自在?羅尼神呪經』) volum 1(translated by Mani-cinta(寶思惟)) and Mahapratisara-vidyarajni(『普遍光明淸淨熾盛如意寶印心無能勝大明王大隨求陀羅尼經』) volum 2(translated by Amogha-vajra(不空)). These Buddhist scriptures say that people can avoid fire(火不能燒]), be cured of diseases(治病), have children(求子安産), escape disasters(除難) and be removed from sins(罪障消滅) by Dharani Parati-sara. Dharani Parati-sara mandala were mad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se Buddhist scriptures during Tang(唐) and Song(宋) Dynasty. The main reasons why people made Dharani Parati-sara mandala were so that sins of the dead were extinguished so the dead would be reincarnated in good places. Overall appearances of Tang Dynasty`s Dharani Parati-sara mandala were `回` styles and filled with Buddhist images. There are many Eight hand Bodhisattvas(八臂菩薩) as central pictures. After Song Dynasty `回` styles were changed into shapes where the outer shape is rectangular and the inner shape is circular(外方內圓) styles and Tathagata(如來) styles showed up as central pictures. Among them, the Dharani Parati-sara mandala, discovered in Pagoda of Suzhou(蘇州) Ruiguangsi(瑞光寺), China, has diminished decorative features. Therefore it is most closely similar to Jawun-sa Dharani Parati-sara mandala which is `circle` style and undecorated. It seems that the central figures of Jawun-sa Dharani Parati-sara mandala were a transitional phenomenon that ranged from Eight-hand Bodhisattvas to Tathagata style. Most of remaining Goryeo(高麗) Dynasty`s Dharani mandala were `circle` style and left. Considering this, we can say that Dharani Parati-sara mandala followed traditional mandalaproduction of Goryeo Dynasty. Probably both conditions had an influence on Jawun-sa Dharani Parati-sara mandala. Jawun-sa`s Dharani Parati-sara mandala was kept in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s. On the contrary other Dharani Parati-sara kept in mausoleums and pagodas during Tang and Song Dynasty. It is that this phenomenon followed trend of Goryeo Dynasty which kept Dharani, transcriptions of scriptures and prints in statues of the Buddha. Jawun-sa Dharani Parati-sara mandala was affected by traditional Dharani Parati-sara mandala production of Tang Dynasty based on the Dharani Parati-sara stura contents. At the same time, Jawun-sa`s Dharani Parati-sara mandala could possibly have been influenced by Ruiguangsi`s Dharani Parati-sara mandala which started pursuing the formal changes that described the main designs as Bodhasri mudra Tathagata styles. It is that Jawun-sa`s Dharani Parati-sara mandala also followed traditional mandala production of Goryeo Dynasty which had maintained `circle` style, had no decorations, and were kept in the statues of the Buddha for the the dead.

      • KCI등재

        腹藏儀式의 作法節次에 관한 연구

        한정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uddhist ceremonial procedure(作法節次) of Bokjang(腹藏) ritual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e main ritual and the sub-ritual, prior to the main ritual. The sub-ritual, consisted of Saengbansamboon(生飯三分), purifying ceremony[淨化儀式], Samhwasangcheong(三和尙請), ceremony to the Buddhist gods[神衆作法], calling 37 Buddhas for verification[證明唱佛], is to complete the formality for the main ritual to be carried out properly based on the dharma. The main ritual,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eceptor(ācārya) purifying ceremony[阿闍梨淨化儀式], unifying ceremony[加持儀式:praying for unification with the Buddha], abiding ceremony[安立儀式], offering ceremony[供養儀式], ceremony designating the statue of Buddha as a sanctuary[佛像結界儀式], enshrining ceremony[奉安儀式], is to unify the Bokjang objects with the Buddha and to enshrine them in the statue of Buddha.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performance of the preceptor(阿闍梨, ācārya) is emphasized in the Bokjang ritual, since the preceptor contemplation[觀想法] and making mudrā with the fingers[結印法] seen in the Esoteric Buddhist books are contained in detail. Furthermore, most of the objects are unified[加持], put to the five Buddhas of Vajradhātu-mandala[金剛界曼茶羅五佛] and five paramita Bodhisattvas[五波羅蜜菩薩], but the five treasure bottles and the five color strings are put to the five Buddhas of Taejang-mandala[胎藏曼茶羅五佛] and unified. The five treasure bottles is a primary place to store the unified objects, and the five color strings seal the huryeongtong(喉鈴筒). This has the symbolic meaning that Taejang(胎藏), the essence, and Vajradhātu(金剛界), the practice system, are one. n addition, designating the sanctuary and purifying ceremony are done repeatedly. First, the place of the ritual and the participants are purified during the saengbansamboon. Second, the participants and the bokjang objects are purified during the purifying ceremony. Third, the place is designated as a sanctuary during the ceremony to the Buddhist gods. Forth, the preceptor, the ritual masters of the five directions(五方法師), and a dharma master of mantra chanting(誦呪法師) are purified during the preceptor purifying ceremony. Fifth, the bokjang altar is designated as a sanctuary and the bokjang objects are unified with the Buddha during the unifying ceremony. Sixth, the statue of Buddha is designated as a sanctuary for the last. Thus, by repeating the sanctuary designation and purification ceremonies, the preceptor, monks and masters, and other participants, the place of the ritual, the bokjang altar, the bokjang objects, and the statue of Buddha are all perfectly purified and then the seed of the Buddha[佛種子] is abided in the statue. 본 논문은 복장의식의 작법절차에 관한 고찰로, 복장의식은 전의식과 본 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의식은 본의식이 여법히 수행될 수 있도록 격을 갖추는 의식으로 생반삼분, 정화의식, 삼화상청, 신중작법, 증명창불 등으로 구성되며, 본 의식은 복장물목을 가지하여 불상에 봉안하는 것으로 아사리 정화의식, 가지의식, 안립의식, 공양의식, 불상결계의식, 봉안의식 순으로 거행된다. 복장의식은 밀교의궤에서 볼 수 있는 아사리관상법과 결인법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어, 아사리의 역할과 기능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더불어 대부분의 물목들에 금강계만다라 오불과 오바라밀보살을 배대하여 가지하나, 오보병과 오색사는 태장만다라 오불을 배대하여 가지한다. 오보병의 역할은 가지된 물목을 1차적으로 안립 하는 장소이며, 오색사는 후령통을 봉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본체인 태장과 수행체계인 금강계가 하나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결계와 정화의식을 여러 번 행한다. 첫 번째는 생반삼분 시 도량과 동참자를 결계하고, 두 번째 정화의식 시 동참제자와 복장물목을 결계 정화하며, 세 번째 신중작법 시 도량결계를 하고, 네 번째 아사리 정화의식 시 아사리와 오방법사, 송주법사가 정화하며, 다섯 번째 가지의식 시 복장단 결계와 각종 물목을 가지하고, 여섯 번째 불상결계의식 시 불상결계를 한다. 이와 같이 결계와 가지를 재차 삼차 행함으로써 의식을 집전하는 아사리와 법사, 동참제자, 도량과 복장단, 복장물목, 불상 모두 완벽하게 정화한 후 불상에 불종자를 안립 한다.

      • KCI등재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을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도상과 신앙

        서지민 불교미술사학회 2020 불교미술사학 Vol.29 No.-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at was found to have been made in the second year of Yongtai(永泰)(766) is widely known as the initial work of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particular, since no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 made earlier than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India or China has been identified, there have been discussions from diverse viewpoints on whether the image was created in Silla or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this paper,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the hand mudra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follows the form of the bodhtagri-mudra described in the 『Zhufo jingjie shezhenshijing(諸佛境界攝眞實經)』 as it 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not made by modeling the maha-vairocana in vajradhatu images that were introduced from surrounding countries but was independently created in Silla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Monks’ scripture. In addition, by directly comparing the images of main Buddha statues in <The Painting of the Seven Locations and Nine Assemblies of Avatamska> in Tunhuang Mogao Cave no. 44 and those in the main Buddha statues in <The Paintings of the Seven Locations and Nine Assemblies of Avatamska> produced in the Wu Dynasty and Northern Song Dynasty periods with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is study presented new grounds that support the theory that 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 images were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India and China that were mentioned as grounds for the theory that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were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related literature data were reviewed again in general but no example that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fou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s were indewpendently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since the originators and constructors of the Seongnamsa (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the period of formation are estimated to be the Flower Boys(Hwaranngdo) and Buddhist monks, respectively, this study regarded that the styl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could be shared with the Buddha statues in the capital of Sill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a result of reflection of Hwaeom Buddhism’s pureland-belief what was popular at that time and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nd was praying for the repose of Duonaerang's soul while praying that the people would realize the nature of Buddha in their inner side so that they be reincarnated in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永泰2년(766)에 제작된 것으로 밝혀진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은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始原作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석남사 비로자나불상 보다 앞서 제작된 인도나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이 확인된 바 없어서 이런 도상이 신라에서 창안된 것인지 아니면 전래된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수인이 『제불경계섭진실경』에 서술된 지권인의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 형태를 볼 때 주변국가 에서 전래된 금강계 대일여래상 등을 모본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에서 중기밀교 경전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창작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돈황 막고굴 제44굴의 성당대 <화엄칠처구회도>를 비롯하여 오대와 북송대에 제작된 <화엄칠처구회도>의 주존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 도상이 신라 창안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전래설의 근거로 거론되었던 인도와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들과 관련 문헌자료들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한 결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과 직접 비교될 수 있는 예는 없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은 신라에서 독자적으로 창안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상기 중의 발원자와 조성주체가 각기 화랑과 승려낭도로 추정되기 때문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같은 시기 왕경지역의 불상 들과 불상양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성목 적은 당시에 유행하던 화엄정토신앙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신앙이 반영된 결과로써 두온애랑의 추복과 더불어 중생들이 내면의 불성을 깨달아서 연화장세 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이러한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배경은더 나아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특수성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 KCI등재

        복장(腹藏)과 한국 불교미술사 연구 - 회고와 전망 -

        이승혜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1 No.-

        복장(腹藏)은 불상, 불화의 조성을 마친 다음 불전에 봉안하기 전에 예경의 대상으로서 이들을 전화(轉化)하기 위해 거행되는 불교 의례와 의례 도중 납입된 모든 물목을 일컫는다. 복장은 늦어도 12 13세기에는 성립됐으며, 14세기에는 중요한 의례 중 하나로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복장은 핵심 용기와 그 내외부의 장엄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나, 발원문을 비롯한 여러 문서, 불교전적과 사경, 다라니와 만다라, 직물과 복식 등을 포괄한다. 이와 같은 복장의 복합적인 성격상 서지학, 미술사, 불교사, 복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개별적인 측면에 대해 부단히 연구해왔다. 그중 미술사학계에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복장 자료를 불교미술사 연구에 활용해왔다. 첫째, 복장기록의 분석을 통해 불상의 제작배경, 제작자와 후원자의 성격, 불교 신앙의 양상을 분석했다. 둘째, 복장 유물과 소의경전의 비교를 통해 복장의 성립과 의례로서의 성격 규정을 시도했다. 특히 최신 연구에서는 복장의 밀교적 성격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가 벌어졌다. 한국에는 밀교와 관련된 유물과 문헌이 영성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밀교가 뿌리내리지 못했던 것으로 이해돼왔다. 즉, 복장은 이와 같은 기존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자료로서 고려시대 불교미술사 연구의 지평 확대에 이바지했다. 한편 복장의 밀교적 요소에 주목한 최근 미술사학계의 접근은 고려시대 밀교에 대한 역사학계의 기존 성과와 유리되어 진행된 측면이 있다. 학제의 벽을 넘어선 복장 자료의 통섭적인 연구를 통해 고려시대 불교미술사를 재조명할 필요가 제기된다. Bokjang (pokchang) refers to both a consecration ritual of Buddhist images and material remains of the ritual retrieved from the inner recesses of Korean Buddhist images. Bokjang deposit centered on a container functioning as the symbolic heart of the Buddha, but typically included votive texts, Buddhist texts and illuminated sutras, dharanis and mandalas, textiles and used clothing, etc. Due to the inclusive nature of the bokjang, scholars of diverse fields such as art history, bibliography, Buddhist studies and textile studies have examined individual aspects of the bokjang. In particular, art historians have utilized bokjang materials in two major ways. First, they examined issues of patronage, Buddhist belief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Buddhist images by examining votive texts and inscriptions found among the bokjang materials. Second, they attempted to define the nature of bokjang as a ritual based on comparisons of objects retrieved from the bokjang an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In recent years, the bokjang materials received special attention for its potential value as primary sources that could supplement the paucity of textual sources on the esoteric Buddhist tradition in Korea. However, these new findings need to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during the Goryeo and vice versa.

      • KCI등재

        Dhāraṇī, Maṇḍala, and Talisman: The Rediscovery of Buddhist Faith in the Goryeo Dynasty

        김수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5 No.1

        The current article proposes the potential of information in and utilization of dhāraṇīs, maṇḍalas, and talismanic se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ith illiterate people could accept intuitively and to assess its signifcance in intellectual history. The examination of dhāraṇī was based on the Collection of Dhāraṇīs Written in Siddhaṃ, whic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fter the 2010s. The comparison of different editions revealed that even the same dhāraṇī could be expressed differently based on the thought forming the background. The estimation of when a certain faith entered Goryeo was also possible. Maṇḍala, which is a condensed illustration of the truth, is not material easily see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material of Goryeo is mainly Vajradhātu maṇḍalas, which, given the lack of material showing the Vajradhātu Esoteric Buddhism, contributes to a deeper and wider understanding of Esoteric Buddhism during Goryeo. Talismanic seals, which appeared as a result of the exchange with and influence of Daoism, show that the everyday faith had developed into a more intuitive and direct form and that the strict boundary between religions was vague, thus resulting in a more realistic manifestation of the Buddhist faith during Goryeo. These materials are not traditional research sources, nor were they recently discovered. However, they tell us about Buddhist faith during Goryeo from a new perspective. The rediscovery of these materials will be the first step in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Buddhist faith during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17세기 이후 불상의 복장(腹藏) 의례: 법계(法界)의 구현

        강희정 ( Kang Heeju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8 No.-

        조선 후기에 만든 불상과 불화는 뱃속에 복장을 넣음으로써 비로소 불상으로 완성된다. 복장에는 세계의 물질을 대표하는 5가지 세트를 집어넣은 후령통을 중심으로 경전과 진언, 각종 봉헌물이 포함된다. 복장을 불상 내부에 봉안하는 의식은 고도로 발달된 정통 밀교 의례를 바탕으로 한다. 후령통과 이를 감싼 황초복자, 기타 유물에는 실담 문자로 오륜종자, 진심종자를 써넣는다. 오륜종자가 대표하는 5불은 『금강정경』의 5불이며, 복장의례 역시 밀교의 전통을 따랐다. 의례를 통해 부처와 신도의 소통이 이뤄졌는데 그 매뉴얼을 밀교가 제공했다. 추상적인 현교 전통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밀교의 체계가 짧은 시간 내 많은 의식을 거행해야 했던 조선 후기에 훨씬 효율적이었을 것이다. 눈에 보이는 실담 종자, 입으로 외우는 다라니, 의식을 거행하는 제단(諸壇)은 밀교적인 요소들이다. 청정하게 베푼 복장단에서 밀교 철학에 기반한 우주를 축소하여 후령통에 구현하고 새로 만든 불상에 납입하는 의식은 물질로 만든 조각이나 불화를 성스러운 예배 대상 불타로 탄생시키는 종교적 행위이다. 세계를 대표하는 물질로 만든 후령통 구성과 이를 납입하는 행위로서의 불복장 의식은 밀교 의례지만 그 결과는 아미타불이나 석가모니불과 같은 현교의 부처님 탄생으로 귀결된다. 후령통은 삼세불과 삼신불을 초월하는 법계를 갖춘 것이며, 이를 납입하여 비로소 불상이 생명을 갖는다는 점에서 불모(佛母)의 역할을 한다. 후혈에서 나오는 오색실로 연결된 것 같은 밀교와 현교의 두 축, 즉 의례 절차는 고도로 발달한 밀교이되 그 결과는 현교의 부처님으로 생명을 갖는 것이 조선 후기 불교미술의 아이러니이다. The Buddha images and paintings, which were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ould be completed due to the abdominal cache inside each of them. The abdominal cache is focused on a casket of bell, which symbolizes the Buddha`s throat. Five sets of various materials representing the world, which includes grain and incense, is installed inside the casket. Also people filled the empty body of the Buddha statue with many published or copied scriptures. It is highly complicated and elaborated ritual to enshrine the abdominal cache following the philosophy of Esoteric Buddhism. The five seeds in Siddham characters representing Five Buddhas and the seed of truth in Siddham were written on the other artifacts, a casket of bell, and the yellow wrapping silk in each direction it represents. The five seed characters are identical with the representative letters of Five Dhyani Buddhas in Vajrasekhara Tantra(金剛頂經), The philosophy and cosmology of the Esoteric Buddhism is ceaselessly infiltrated in the buddhist tradition during Joseon period. Additionally, they have offered the precise manual of the ritual for the buddhists to interact with Buddha. The visible seeds in Siddham script, recitation of dharani, and the altar for the ritual are the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Although completing the casket and the altar for the ritual of embedding the abdominal cache followed the manuals of Esoteric Buddhism, yet the birth of Buddha such as Amit abha, and Shakyamuni was based on the Mahayana Buddhism. In fact, the casket and the surrounding printed version of Treasure Chest Seal Dharani(寶 ?印陀羅尼) plays a role as a full body sarira(全身舍利) that was beyond the Buddhas of the three times. As the full body sarira is a concept that transcends the dharma sarira(法舍利), the abdominal cache itself embedding Treasure Chest Seal Dharani is the seed of Buddha, and it can also be the mother of the Buddha as it breathes a new life into the statue after being embedded. In brief, the casket has implemented the dharmadhatu, which transcends the Buddhas of the three times and the three bodies of the Buddha, and it is where all the Buddhas are originated from.

      • KCI등재
      • 불상과 밀교 수행법의 형성

        조금자 회당학회 2013 회당학보 Vol.18 No.-

        불상이 조성되는 최초기에 해당하는 간다라 지역에서 불상의 조 성 형태를 시대별로 살펴보면, 일반적인 종교의 상징과는 달리 석존 의 위대성이나 가르침에 대한 사실 전달과 정당성 확보에 의미가 있 었다. 『반주삼매경』에는 삼매를 속히 얻기 위하여 불의 형상을 짓는다. 삼매를 이루는 것에 쓰이기 때문이라고 하여, 불상 조성의 명확한 목 표를 제시한다. 수행의 목표로서 깨달음을 성취한 석존의 형상을 관 상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삼매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후 『관불삼매해 경』에는 불상에 대한 관법의 순서와 내용을 자세하게 적고 있다는 점 에서, 『반주삼매경』의 삼매를 얻기 위한 용도가 시대가 지나면서 더 욱 구체적인 관법 수행으로 정리된 것이다. 불상의 출현은 대승불교의 성립 이후 불교 대중화에 대한 열망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대승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던 초기 밀교경전들 에는 불상과 관련한 다양한 수행법으로 관법과 다라니의 독송, 인계 법 등이 함께 설해지면서 밀교의 정형화된 수행법인 삼밀수행을 형성 해 가는 과정에 대해 설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불상의 조성이 불교의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추구라는 근본 목적 을 버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종교의 예배공양의 신앙적인 해 석과는 구분된다. 밀교경전들은 삼밀 수행법을 포함한 불상과 관련한 불교 수행법을 정리함으로써 불상조성의 본래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초기 밀교경전을 통해 불상과 다라니 독송법, 인계법, 관법 등 삼밀수행의 성립과정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중기 밀교경전에서 삼 밀 수행법으로 정리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한 밀교경전의 자륜관에 나타나는 진언종자는 불상을 상징적으 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진언본존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고, 종자가 자 륜관에 활용되는 관법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불교의식집 圖像의 현황 및 유형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를 중심으로 ‒

        강대현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5 No.-

        한국 불교의식집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도상은 비록 일반적인 불교회화와는 약간의 거리가 있지만, 한 시대의 정신문화를 함께 향유하는 구성원들의 共時的 소통을 드러내 보임에는 부족함이 없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불교의식집에 나타나고 있는 도상은 당시의 다원적인 문화의식의 토대에서 형성된 사상⋅철학 내지 신앙 등의 융합상을 나타낸 것이며, 이는 또한 종교⋅철학⋅신앙 등에 대한 정신문화적 수용의 폭이 그만큼 넓어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본문에서는 ‘순수 불교 도상’, ‘중국의 사상⋅철학적 요소가 융합된 도상’, ‘풍속 및 신앙적 요소가 혼합된 도상’, ‘기타 도상’ 등의 네 범주로 분류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선후기에 간행된 한국 불교의식집의 도상에 대한 현황 및 유형별 구분은 향후 각각의 도상이 함축하고 있는, 불교는 물론 이외의 사상 내지 철학 등이 융합되어 있는 당시의 정신문화적 다원성을 자 세히 분석하는데 유용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some of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are remarkably different from other Buddhist paintings, they surely reveal the spirit of the communications between Buddhist members in order to join a contemporary trend. Thus, as the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represent the ideas forming the basis of pluralistic cultural consciousness in philosophical or religious attitudes through harmonious convergence, they reveal the widened cultural spirit of acceptance for different religious or philosophical ideas. So the author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categories of ‘the pure Buddhist paintings’, ‘the iconographies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Chinese philosophy’, ‘the iconographies showing the influence of aboriginal religious factors’, and ‘the other iconographies’, in briefly surveying them in this article. This survey of iconographies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ir contemporary conditions and classifications can be said to be highly useful for detailed analysis of the spirit of cultural pluralism t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