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암(浣巖) 정내교(鄭來僑) 묘문(墓文)의 특성(特性) 고찰(考察) -<금택보묘지명(金澤甫墓誌銘)>과 <제처유인변씨묘지(弟妻孺人邊氏墓誌)>를 중심으로-

        강혜정 ( Kang Hye-j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본고는 浣巖 鄭來僑의 <金澤甫墓誌銘>과 <弟妻孺人邊氏墓誌>를 대상으로 그의 글이 기존의 묘문과 비교했을 때, 개성이 발휘된 측면이 무엇인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묘문으로서의 상투적 성격을 보여주는 부분은 무엇인지 밝히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두 묘지는 중인 정내교가 그의 친구와 가족을 대상으로 쓴 것인데, 이 묘주들은 사회 경제적 처지가 정내교 자신과 비슷한 여항인들이었다. 사대부의 전유물이었던 묘문이 중인 작가의 손에서 중인 묘주들을 위해 기술되면서 기존의 묘문과는 변별되는 지점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묘문은 모두 서문과 의론부를 갖추고 있는데, 서문에서 완암의 독특한 글쓰기 방법이 드러났다. <金澤甫墓誌銘>은 서두에서 망자를 함부로 무력을 행사하던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했는데 이는 `稱美而不稱惡`이라는 묘지의 서술원리에 위배되는 것이다. 하지만 후반부에 깨달음을 얻은 이후 크게 변화된 모습을 서술하여 결국에는 망자의 인품과 행적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주었다. 이는 먼저 굽혔다가 후에 높이는 `俯仰折旋`의 기법을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으로 칭송 일변도이던 기존의 묘문과 차이를 보이면서, 진실성을 획득하고, 실감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며 망자를 기리는 묘문으로서의 효과는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弟妻孺人邊氏墓誌>는 삶의 행적을 기록한다는 묘문의 본래적 성격과 달리 묘주의 삶의 행적은 외면하고 임종의 장면만을 생생하게 기록하였다. 긴장감이 감도는 임종의 장면에서 직접인용을 통해 진실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며 망자의 성품을 구체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簡詳法을 극단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문에서 완암의 개성적인 글쓰기로 형상화된 인물은 의론부에서 문인과 열녀로 평가받고 있다. 삶의 행적을 기록하는 서문에서는 개성 있는 글쓰기 기법으로 형상화되었지만, 의론부의 인물평은 유교적 가치관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에서 당대의 가치 규범을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사대부와는 다른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가졌지만, 그 지향가치는 사대부와 다르지 않았던 중인이라는 작가의 신분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며, 당대 서울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소품체라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의 영향과 묘문이라는 장르가 가진 보수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both the unique and the conventional aspects of the epitaphs written by Jung Naegyo(鄭來僑), as compared to the typical epitaphs of the period. At the start of < The Epitaph of Kim Taebo >, Kim is described as an undesirable person and a bully, and this passage violates the unstated premise of epitaph writing that the author should always write positive things about the deceased. However, later in life, Kim became a great man after he changed his perspective, which Jung recounts. This epitaph is illustrative of his style, as he liked to use the technique of initially blackening his subject`s reputation and praising him or her later. This tactic allows readers to recognize Kim`s remarkable abilities and to gain an authentic sense of him. Jung`s epitaphs are distinguished from many other eputaphs through the use of this technique. < The Epitaph of Mrs. Byun, Sister-in-Law > subverts another convention, as it omits the story of Byun`s life and details only the events surrounding the eve of her death instead. While it runs counter to the convention of epitaph writing that the auther should relate the arc of the deceased`s life, it describes how Mrs. Byun was undaunted by the fear of death, and how her fortitude complemented her benevolence as a mother and wife. In the end, Kim and Byun are evaluated as a great writer and a virtuous woman, respectively. The first halves of both epitaphs are replete with unique techniques, but their subjects are ultimately praised as honorable people, as was the case with the subjects of other epitaphs. I believe the dual aspects of these epitaphs, the unique and the conventional, are related to the dynamic between Jung Naegyo`s iconoclastic temperament and his middle class status. Since he was relatively free from the strictures of custom, he could display his indivual writerly style. However, as he lived in Confucian society, he also looked forward to becoming a respected member of that society.

      • KCI등재

        陶菴 李縡의 碑誌文에 대한 일고찰: 墓誌를 중심으로

        이승용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This study had a general consideration on Epitaph among Epitaphs of Leejae(李縡, 1680~1746) and investigated on acceptance of “SangGangCheonPyo(瀧岡阡表)” by Ouyang Xiu(歐陽修) focusing on Epitaph of Father(先考墓誌) and “Epitaph of Mother(先妣墓誌)” highly praised by Lee Gyusang(李奎象, 1727~1799) and literary accomplishment sought by Leejae(李縡) through “Epitaph of Father(先考墓誌)” and “Epitaph of Mother(先妣墓誌)”. In “Epitaph of Father(先考墓誌)” and “Epitaph of Mother(先妣墓誌)”, Leejae(李縡) inherited the tradition of Epitaph that passed down from the former era while actively accepting and utilizing the method of writing poem from “SangGangCheonPyo(瀧岡阡表)” by Ouyang Xiu(歐陽修) and reproduction of words. Furthermore, Leejae(李縡) intentionally changed the uniform description development method to break away from the fixed format of existing Bijiryu(碑誌類) sentences. Leejae(李縡) also made new attempts by inserting dialogue or stories in the middle to bring vitality to Bijiryu(碑誌類) genre which used flat description method. This brought huge changes in Bijiryu(碑誌類) genre where the description method is mainly flat and dry. Considering this, Leejae(李縡)’s Jeonjangryu(傳狀類) and Bijiryu(碑誌類) sentences were highly praised and comparable to Sima Qian and Ouyang Xiu(歐陽修) at that time not just because he left many works. Instead, his sentences were highly praised and comparable to them because Leejae(李縡) made remarkable accomplishments in literary values. Among Epitaph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numerous works adopted “SangGangCheonPho(瀧岡阡表)” by Ouyang Xiu(歐陽修). On the other hand, “Epitaph of Father(先考墓誌)” and Epitaph of Mother(先妣墓誌) well shows how Epitaphs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ccepted “SangGangCheonPyo(瀧岡阡表)” by Ouyang Xiu(歐陽修) and they clearly show literary accomplishment of Leejae(李縡) among his Epitaphs. 본고는 李縡(1680~1746)의 碑誌文 가운데 墓誌에 대해 개괄적으로 고찰해보고, 그 가운데 李奎象(1727~1799)이 高評한 「先考墓誌」와 「先妣墓誌」를 중심으로 歐陽修의 「瀧岡阡表」의 수용 양상 및 李縡가 「先考墓誌」와 「先妣墓誌」를 통해 추구했던 碑誌類 장르의 변모 양상과 문학적 성취를 규명하였다. 李縡는 「先考墓誌」와 「先妣墓誌」에서 이전시대부터 전해진 碑誌文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歐陽修의 「瀧岡阡表」에서 구현되었던 簡嚴한 篇法과 傳言의 再演기법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碑誌類 문장의 고정된 형식을 벗어나기 위해 획일적인 서술 전개 방식에 의도적으로 변화를 주었으며, 중간 중간 대화나 일화를 삽입하는 등의 새로운 시도를 하여 무미건조한 서술방식으로 일관된 碑誌類 장르에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이는 투식적이고 획일적인 서술이 주가 되는 碑誌類 장르에 가져온 큰 변화이다. 이로 볼 때, 당시에 李縡의 傳狀類와 碑誌類 문장이 司馬遷과 歐陽修에 비견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것은 그가 단순히 많은 작품을 남겨서가 아니라, 작품성과 문학성에 있어서도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어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碑誌文 가운데 歐陽修의 「瀧岡阡表」를 수용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하지만, 「先考墓誌」와 「先妣墓誌」는 조선 후기 碑誌文에서 歐陽修의 「瀧岡阡表」의 수용 양상을 가장 잘 엿볼 수 있는 작품이자, 李縡의 墓誌文 가운데서 그의 문학적 성취를 뚜렷이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 KCI등재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김병인,이현정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oryo women have quoted partly descriptions in epitaphs. This study is to compile and analyze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in detail to understand the social view of womanhood and women's practical life at that time. Chapter Ⅱ consis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on men and women. Epitaphs on men tend to emphasize their personal contributions during their life, with less mentioning their wife, while those of women tend to deal with women's dedicated effort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centering around household affair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records on their husband in women's epitaphs are much more than those in men's, accordingly which indicates that the epitaphs in the Kyoro Dynasty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men in comparison with women. The contents of women in epitaphs can be classified as four types; Fidelity, Filial duty, Assisting husband and Education of children. Fidelity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the concep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Fidelity in Buddhism means that during women's life, but fidelity in Confucianism includes that after women's death.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pitaphs on women emphasized the fidelity after death, which means that they reflected Confucian idea on the view of womanhood rather than Buddhistic one. Such a fact clearly shows that the Koryo Dynasty promoted Confucian idea in its national policy for women and the epitaphs on women are also a proof of the Confucian background. Chapter Ⅲ studies daily life of women in the Koryo Dynasty in the respect of "women's labour" and "womanly virt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women who had epitaphs supported their household economy by weaving by hand, respected parents-in-law, and sacrificed themselves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This study on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has meaningful value as a historic material in that it shows social conditions in a certain area at that time. This analysis of epitaphs related to women indicates that the cases studied have Confucian idea, which can surely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women in the Koryo Dynasty. 기존의 고려시대 여성관련 연구에서 묘지명의 내용은 단편적으로 인용되는 정도에 머물러 왔다. 이에 필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묘지명의 형식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관념 하에서 살아간 여성의 구체적 삶의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남성과 여성 묘지명의 구성과 내용을 비교·검토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본 결과, 남성 묘지명의 경우 남성 개인의 공적을 강조하고 있으며, 부인에 대한 내용은 비중이 크지 않았다. 반면 여성 묘지명에는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남편이나 자식들을 출세시키는데 헌신한 모습 등이 주로 기술되었다. 그리고 남성 묘지명에 기술된 부인 관련 내용보다 여성 묘지명에 기술된 남편 관련 기록의 비중이 더 컸다. 이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존재를 더 부각시켜 기술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 묘지명의 기술 내용은 주로 정절, 효, 남편내조, 자녀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절의 경우 불교에서는 생전의 정절을 이야기하는 반면, 유교는 사후의 정절까지도 강조하는 등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시대 여성 묘지명에서 상당수가 사후의 정절까지 강조한 것으로 보아 불교보다는 유교적 여성관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Ⅲ장에서는 ‘女工’과 ‘婦德’을 통해 여성의 생활모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묘지명을 갖고 있는 여성들은 길쌈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갖추어 가정 살림을 꾸렸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편과 자식의 출세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묘지명 분석을 통하여 얻은 특이한 점은 고려시대 여성들이 불교보다는 유교적 지향 속에서 생활하였으며 그 범주 내에서 평가받았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自撰墓誌銘 연구

        安大會 한국한문학회 200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1

        이 논문은 조선후기에 널리 창작된 自撰墓誌銘의 특징과 그 산문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傳記의 碑誌文字속에 속하는 다양한 문체는 모두가 한 인가의 죽음을 전제로 성립한다. 自撰墓誌銘이나 自祭文, 自挽詩, 自傳, 自撰年譜 등등 제 스스로 자기 인생을 정리하고 평가하고 서술하는 글은 正格이 아닌 變格의 글에 속한다. 그러한 變格의 글이 조선후기에는 문인들의 호응을 받아 널리 창작되었다. 그러한 현상의 배후에는 일반 묘지명의 내용이 공허하고 정형화한 서술을 함으로써 생동감을 상실하여 그 폐단을 극복하겠다는 의지가 작용한다. 그리하여 자찬묘지명은 남과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드러내고자 노력한 글이요, 문인의 自我 표현 욕구를 발산하는 도구이며, 불우한 삶에 대한 자아연민의 글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 이래 조선말까지 창작된 자찬묘지명을 모두 조사하여 50여 편의 작품을 발굴하였고, 그러한 글이 조선후기에 집중된 사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차적으로 자찬묘지명의 성격과 그것이 조선후기에 유행하게 된 제반 배경을 분석한 다음, 작품론에서는 朴世堂, 金光遂, 姜世晃, 南鍾玄의 글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정형화한 묘지명의 서사 속에 자신의 삶을 파묻기를 거부한 문사의 의식을 파악하였다. 작가들은 고위관직을 지낸 사람이나 狂氣 어린 예술가 할 것 없이 어떤 틀에 안주하지 않고 자의식을 갖고 인생을 살았음을 자찬묘지명을 창작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따라서 자찬묘지명을 통해서 규격화, 정형화한 인생과는 다른 인생을 쟁취하였음을 보여주는 글, 살아있는 인간을 묘사한 생동하는 글, 휴머니즘을 담은 글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찬묘지명은 조선후기에 등장한 새로운 인간상을 담기 위한 독특한 산문이었다고 규정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Epitaph written by one's own(自撰墓誌銘) widely spread in the Late Choso˘n in literary history. The diverse styles that belong to biography(傳記) and the characters inscribed in a tombstone(碑誌文字) are all formed under the presupposition of one man's death. The writings of reflecting, appreciating, and narrating the whole life by one's own, such as an epitaph written by one's own, a funeral address written by one's own(自祭文), a dirge sung by one's own(自挽詩), autobiography(自傳), a chronological history written by one's own(自撰年譜), are irregular styles, not the regular ones. This kind of irregular writings were largely produced through the literary men's attention. It seems that this trend was motivated by the will to overcome the ill effects caused by the vague and stereotyped contents of the general epitaphs without any vividness. Therefore, the epitaph written by one's own tried to reveal the unique individuality and became a tool to give out the self- expressive impulses as well as self-compassion for the poor life. This paper examined around fifty works by researching all epitaphs written by one's own from Koryo˘ to the late being based on the fact that most epitaphs were produced in the late Choso˘n. In the introduction,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written by one's own and the entire background about how these epitaphs were popular in the late Choso˘n. In criticism of the works, I mainly analyzed the writings of Pak Se-dane(朴世堂), Kim Kwang-su(金光遂), Kang Se-hwang(姜世晃), Nam, Chong-hyih(南鍾玄).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writers refused to bury their life through the typical narrative of' the epitaph. They tried to show that they lived their own life with self-consciousness, not being confined in a routine life through the epitaph. Therefore, we can find the writings describing a living life and humanism in epitaph, different from the standardized on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epitaph written by one's own was peculiar prose style to reflect a new image of man which emerged in the late Choso˘n.

      • KCI등재

        廣開土王陵碑文의 構造

        沈浩澤(Sim Ho-taek)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본고는 광개토대왕비문에 대한 새로운 측면으로서의 全文의 구조를 밝히려 한 논문이다. 광개토대왕비문에 대한 기존 연구의 주류가 勳績(또는 守墓人)을 중심으로 하였다면, 본고는 〈비문〉의 삼 개 부분 중 기왕에 간과되었던 제1부의 의미를 재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전문의 구조를 규명하려 하였다.<BR>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비문의 외형적 체제를 분석하였다. 체제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가 勳績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를 자의적 연역적으로 파악해 왔음에 비하여 본고는 篇法 章法 文體 등 객관적 귀납적 방법을 취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개의 有意味 단락을 추출하고, 이들 단락을 상호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세 章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들 세 章의 관계 규명을 통해 하나의 大 主題에 도달하였는데, 그 대 주제는 광개토대왕이라는 인물이었다. 이는 훈적 중심의 역사 기술체와 다른 인물 중심의 비문체의 변별점임을 말해 준다.<BR>  광개토왕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새롭게 이해된 비문적 체제의 실상을, 제1부는 先王部, 제2부는 太王部(또는 영락대왕부), 제3부는 守墓部로 명명할 수 있다. 이를 先王의 創基, 永樂大王의 廣開土境, 後王의 守墓로 그 성격 지울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BR>  기존에 서문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본고에서 새롭게 밝혀진 先王部는 영락대왕에게는 정신적 기반이 된다. 이 부분은 광개토대왕릉비문 뿐 아니라 정신사적으로 주목을 요하는 대목이라 하겠다.<BR>  기존에 훈적으로만 이해했던 太王部 역시 태왕이란 주체와 훈적이란 행위로 구분된다. 태왕의 형상은 역사적으로 先王의 17세손이자 대외적으로는 영락대왕을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시조왕의 ‘創基’를 계승 발전시키는 차원에서의 ‘廣開’이며, 동시에 고구려의 대내외적 中興 帝王의 모습이었다. 삼국사기의 광개토왕상과는 크게 다르다.<BR>  守墓部의 내용은 수묘에 대한 광개토대왕의 敎令을 後王의 처지에서 보완한 것이었으며, 〈비문〉의 심층적 맥락에서는 선왕의 행적을 보존 계승 발전시키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BR>  〈비문〉의 전체적 構圖는 광개토대왕 즉 광개토경이라는 공간적 개념의 대 주제를 X축으로 하는 한편, 선왕에서, 영락대왕으로, 다시 후왕으로 이어지는 시간적 개념을 Y축으로 하여 이루었고, 文體는 史傳體와 敎令體, 그리고 騈儷體와 국어체까지를 두루 구사하였다.<BR>  〈비문〉의 樣式은 漢代의 墓碑的 요소와 秦代의 事蹟碑的 요소에 고구려의 守墓碑的 요소를 융합함으로써 5세기 고구려 비문 양식의 독특한 면모를 보였다.<BR>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이러한 성격은 5세기 고구려의 碑誌文을 대표함은 물론 7세기 원효의 논변성 불교 산문과 함께 삼국시대 산문의 양대 主峰을 형성하면서 한국한문학사와 정신사의 한 큰 ‘據點’이 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finding out the structure of the full text from a new aspect of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Whereas the mainstream of existing researches on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was based on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or the tomb guardian) this study re-recognizes the first chapter among the three parts of the 〈epitaph〉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past and based on such re-recognition attempt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epitaph<BR>  For this, firstly, the exterior system of the epitaph was analyzed. In analyzing the system, whilst existing structures arbitrarily and deductively understood the whole based on the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this study takes an objective inductive method such as categorizing, chaptering and literary style etc. As a result, five meaningful paragraphs were extracted and through identifying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se paragraph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chapter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 of these three chapters a big subject was attained. The big subject was a person referred to as the Great King Gwanggaeto. This shows that it is a history description based on person different from the type of history description based on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a distinctive style of epitaph.<BR>  The real facts of epitaph structure understood in a new way based on a person, the Great King Gwanggaeto, can be named in the following way, namely the first chapter the previous king section, second chapter the great king section (or Younglak great king section) and third chapter tomb guarding section. These can be characterized by tomb creation of the previous king, Younglak great king’s Gwanggaeto’s land and tomb guarding of the later king. This can be specified as follows.<BR>  Although the first section was considered as a preface in the past, the previous king section newly found forms the mental basis to the Great King Younglak. This is an area which requires attention not only for the Great King Gwanggato’s tomb epitaph but also spiritually.<BR>  The great king section which was previously understood only as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is divided into subject namely the great king and activity namely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The features of the great king were the 17th prince historically, Gwanggae externally in terms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omb creation of the founder king based on the spirit of the Great King Younglak and at the same time king of restoration of Goguryeo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amguksagi is very different from the features of King Gwanggaeto.<BR>  The contents of tomb guarding section is a section which supplements the King Gwanggaeto’s order on tomb guarding from the later king’s situation and it has the meaning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king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 deeper context of the 〈epitaph〉.<BR>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epitaph〉 has the big subject of a spacial concept namely the big subject Gwanggaeto’s land as its x axis and on the other hand a time concept namely the succession from previous king to the Great King Younglak and to the later king as its y axix. In the writing style, various styles such as history and biography, king"s order, parallel and Korean.<BR>  The form of the 〈epitaph〉 shows an unique feature of 5th century Goguryeo epitaph by combining the element of China Han era’s tombstone, China Jin era’s evidence tombstone and Goguryoe’s tomb guarding.<BR>  Such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represents the engraved epitaph of 5th century Goguryeo and also forms the two main mountains of prose with the argumentative Buddhism prose of Wonhyo in the Samguk era. This will become a big base to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spiritual history.

      • 墓誌銘을 통해 본 高麗葬禮考

        이난영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고려시대에 성행된 묘지명은 그 시대의 역사적 인물에서 무명의 인물에 이르기까지 출생에서 죽음까지의 기록을 남기기도 하고 단지 이름만을 적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생전의 업적을 적고 있어서 正史에서 보지 못하던 역사적 사실을 밝혀 주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이미 隋代, 唐代를 비롯하여 역대의 묘지가 부장 유물과 함께 많은 예가 출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백제의 무령왕릉에서 묘지가 출토되고 있다. 한편 고려시대에 오면 도교적인 성격으로 간주되는 묘지 형식이 승려의 무덤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또 후일 무덤이 허물어지더라도 누구의 무덤인지를 밝히기 위해 士大夫에서는 어버이의 묘지를 작성한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묘지의 형식은 화장묘에 주로 사용되는 석관의 뚜껑이나 내외벽, 또는 바닥에 명문을 새기는 형식과, 석관과는 별도의 독립된 지석을 마련하여 명문을 새긴 것도 보인다. 묘지의 내용은 출생과 家系와 자녀 관계, 생전의 업적 등을 적고 있다. 매장묘의 경우에는 지석을 따로 제작하여 명문을 적는다. 명문의 내용은 피장자의 가계, 경력, 공적을 기재하고 다음에 자손과 친족, 사망과 장례 경위 등을 적는다. 이에 따라 매장, 화장, 移葬, 改葬, 묘지명의 撰者 등에 의하여 장례 절차와 가족관계, 생전의 업적 등을 알아 볼 수 있으며 葬地에 대한 기록으로 당시의 가족장 제도나,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墓地 등도 알 수가 있다. 묘지의 주인은 왕족과 신료, 승려, 그리고 관직에 있는 사람들로 구분되며 그들의 부인이나 어머니 등 여성의 묘지도 적지 않은 수가 알려지고 있다. 묘지명을 쓴 찬자(당대의 문장가, 가족이나 친구, 제자 등)에 따라서는 죽은 이를 위한 애틋한 문장이 남아 전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석이 출토되는 고려고분은 도굴이 극심하여 그 부장품이나 지석의 매장 방식이나 매장 위치를 정확하게 전하는 예가 거의 없다. 다만 한 두 가지의 예로 미루어 비석을 세우듯 받침대 위에 세운 흔적은 보이나 역시 매장 위치는 분명히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근래 고려시대의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화장묘, 매장묘 등 구체적인 성과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묘지명 총 219건 가운데 9건은 年代, 성명, 장례 절차나 장지, 묘지의 형식 등이 분명하지 않아 주인공을 알아 볼 수 있는 것 210건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epitaphs in Goryeo period. Some contained personal history from birth to death and others only engraved names. What makes this epitaph interesting is that most of them showed personal history which could reveal 'untold history'. In case of China, epitaphs are the most popular objects found from tombs of Sui and Tang Dynasties with other items.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Korea also contained the epitaph. During Goryeo period, Taoism had influenced Korea and resulted that an epitaph was found from monk tombs. There are also the historic record which proves that royal families used to leave the epitaph for their deceased parents. Epitaph was engraved onto the coffin lid, inside wall and floors. In the mean time, separated stone plate was also used to make an epitaph. Epitaph usually contains personal history such as birth, family trees, children and life achievement. Sometimes reason of death and funeral process were also found. It is interesting that, therefore, diverse 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deceased could be detected through the record of the epitaph. Who owns the past according to the epitaph then? It is divided into several groups from royal family, retainers, monks to officials and women's history can be unearthed as well. Sometimes the writer (the finest writer of the period, family, friends and disciples) left loveable and delicate writings. However, illegal excavation and looting on Goryeo tombs are severe and so it is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xact location and burial methods of the epitaph. Recent excavations of Goryeo tombs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comprehend the epitaph and its burial background. So far 219 epitaphs were found from Goryeo tombs and nine of them contain unclear information about date, name, funeral process and location. Therefore this work only puts the focus on the other 210 epitaphs.

      • KCI등재

        移葬 과정을 통해 본 「顯隆園誌」의 성격

        정병설(Jung, Byung-sul)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1762년 영조가 아들 사도세자를 죽인 이른바 임오화변은 조선시대 정치사에 가장 뜨거운 논란을 불러온 사건이다. 이것을 잘 알면 조선 정치의 역학을 잘 읽을 수 있는데, 중요한 사건인 만큼 이견이 적지 않다. 이견을 대표하는 자료로 『한중록』과 「현륭원지」를 들 수 있는데, 두 문헌은 임오화변의 해석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했다. 『한중록』은 사도세자의 사인을 사도세자의 광기와 영조를 향한 도발로 인한 처벌로 본 반면, 「현륭원지」는 모호한 서술 속에 품성과 자질이 우수한 사도세자가 역신들의 모함을 받아 죽은 것으로 이해하게 했다. 「현륭원지」는 임오화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시각을 지닌 핵심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 자료 성격에 대해서는 깊이 연구되지 않았다. 「현륭원지」는 장례 때 무덤에 넣은 묘지문이니, 본고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1789년 사도세자 무덤의 이장 과정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정조는 이장 중에 사도세자의 구묘에서 영조가 써서 넣었던 묘지문이 발굴되었다는 보고를 받았지만 그것은 그냥 묻어버리게 하고, 새 무덤에는 자신이 직접 쓴 묘지문 곧 「현륭원지」를 묻었다. 조선 왕실의 이장 관례에 따르면 구 묘지문은 함부로 버릴 수 없다. 그런데도 이를 버리고 새 묘지문을 쓴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본고는 그 이유를 구 묘지문 곧 「영조친제지문」과의 비교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버려진 구 묘지문은 1968년 서울위생병원 간호학교 신축 공사 중에 사도세자의 무덤 壙中에서 기적적으로 발굴되었다. 이 묘지문은 영조가 그린 사도세자의 인물상을 명확히 보여주는데, 사도세자를 세상 어떤 사람보다 무도한 미치광이로 그리고 있다. 정조로서는 아버지를 미치광이 반역자로 그린 것을 그대로 둘 수 없었을 것이고, 그래서 구 묘지문은 묻어버리고 자신이 새로운 전기를 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조가 새로 쓴 묘지문 「현륭원지」는 사도세자의 잘못은 감추면서 탁월한 성품과 자질만 기술했고 죽음은 모호하게 처리했다. 그리고 이것이 세상에 널리 퍼지지 않도록『열성지장』 등에 올리지 않게 했다. 이런 「현륭원지」의 사건 축소적 성격을 알아야 이 자료는 물론 임오화변의 실상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Imo-hwabyeon, the death of Prince Sado in 1762, was the hottest controversy in the political history of Joseon Dynasty. Memoirs of Lady Hyegyeong and Hyeonryungwon Epitaph are key sourc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death. Memoirs of Lady Hyegyeong, the wife of Prince Sado, described him as a mad man and traitor, Hyeonryungwon Epitaph written by King Jeongjo, the son of Prince Sado, as a brilliant prince. Despite Hyeonryungwon Epitaph is the core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death, there is no in-depth study on it.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Hyeonryungwon Epitaph from the transfer of the tomb of Princet Sado in 1789. During the funeral process, King Jeongjo received a report two pairs of old epitaphs were discovered, but they had been buried without any notice. According to the transfer funeral custom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e old epitaphs should not be abandoned. The old Epitaphs written by former King Youngjo were miraculously discovered in 1968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new Nursing School at Seoul Medical Hospital. The Epitaphs show a clear portrait of Prince Sado as the most insane madman in the world. As a son, King Jeongjo could not leave his father’s portrait like that. So the previous Epitaphs should have been buried in the ground, and he wrote a new Epitaph for new biography of his father. The newly written Hyeonryungwon Epitaph was able to hide Prence Sado’s mistakes and describe only its outstanding character and qualities. In order to prevent the Epitaph spreading, the King prevented to take the Epitaph to be a part of Kings’ Epitaph.

      • KCI등재

        조선 16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이인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In this study, Zhuanshu(篆書) in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神道碑) during the 16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looked into.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are the representative objects, in which we can search for in rich the Zhuanshu on the higher plane among the calligraphy materials in Joseon dynasty period. As a character type containing cultural efficiency that holds sublime personal and national rites, Zhuanshu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ulture in Joseon dynasty due to the intimate characteristics that pursued the courtesy-governing(,禮治) and absorbed the courtesy-study(禮學). The 16th century is the time when Neo-Confucianism came to existence in Joseon by some scholars like Seo Kyung-duk(徐敬德), Lee Eun-juk(李彦迪), Lee Hwang(李滉), Lee Yi(李珥), and it is the tim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ruling caste was changed by Sarim's(士林) entering politics. The Zhuanshu epitaph(篆額) in the 16th century maintains the big frame of Xiaozhuan(小篆), and at the same time it imbu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comparing to any other time in Joseon. It is considere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scholarly attitude of the literary noblemen in the 16th century and with their reverent spiritual world, who searched for the Chu-tzu Neo-Confucianism((朱子性理學) and founded its academic tradition in Joseon. The Zhuanshu epitaph in the 16th century keeps its consistent flow of Xiaozhuan calligraphic style with straight strokes and neat shapes, and it reveals a few trivial characteristics. It has linear strokes and almost right-angled upright curve, and the space between strokes shows its regular neat shapes, and the strokes are convergent rather inside than outside. The Zhuanshu epitaph in the 16th century shows various attempts on a character type. In the letter ‘Mun(文)’, in the letter ‘Jung(中)’, there appears a unique character type, which is hard to find its origin, and the letter ‘gong(公)’ is written in a bent-full(屈滿) way of writing, which shows bent strokes and full- space. These are considered to be the effects of the intentions to make balance in density of writing sentences, to emphasize the divinity of a character as a type of ceremony, and to le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a character stand out. And it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effects of the study on Zhuanshu that the character type of Zhuanshu-ornamental ‘seal’ character is appeared, which is different from Xiaozhuan. Instead of dots and short strokes, the appearance of round dots(圓點) in the 16th century is an unusual character of the Zhuanshu epitaph, and it is used constantly until the 19th century. Round dots are to be found in the epitaph of the ornamental ‘seal’ character in Tang dynasty(唐隸), but it is not considered to be the direct cause. The various attempts applying the character type of the ornamental ‘seal’ character, Gŭzhuan(古篆) type, round dots and so on are considered to be a phenomenon in the 16th century, which brought about in the process of finding a way of writing the epitaph in Zhuanshu. Since then, in the Zhuanshu epitaph from the 17th century, we can’t find this kind of attempts any more, and it proceeded to polish the classical Zhuanshu of Xiaozhuan. In the 15th century, in most of the Zhuanshu epitaph there written only the posthumous epithet, and in the 16th century a government post and byname started to appear in the phrase of the epitaph. A government post in the epitaph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social mood, which puts more stress on the social evaluation on the owner of the gravestone, which is about the role of ruling the people and the ranks of the person as a bureaucrat, than the national recognition. It gives us a chance to make a guess that engraving a private byname of a person in the epitaph of the gravestones shows how big emphasis was put on a person as a literary scholar in spite of one's identity as a ... 조선 16세기 神道碑 碑額에는 15세기와 달리 小篆이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필획은 彎曲이 절제된 곧은 획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轉法은 각도가 느슨하지 않아 획의 흐름이 方正하다. 결구는 획의 포치가 균등한 단정한 짜임을 보여 주고 있다. 16세기 비액 篆書가 다른 어느 세기보다 方正하고 端雅한 것은 주자성리학을 탐구하여 고유의 사상 체계를 모색한 16세기 지식인들의 정신적 태도와 조응하는 것이라고 파악된다. ‘文’, ‘中’, ‘公’ 등 주로 단순한 글자에서 소전과 다른 字形이 나타나는데, ‘公’자는 印篆과 유사한 屈滿의 字法으로 書寫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자형은 章法상 소밀의 균형을 작위적으로 조절하려 한 점과 의장용 서체로서의 신성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점과 짧은 획을 대신하는 圓點(•)이 나타난 것은 16세기 전액의 이채로운 특징으로서 그 영향은 이후 19세기까지 지속된다. 신도비 비액에서 원점은 唐隸의 隸額에서 찾아 볼 수 있으나 영향을 받은 것은 동시기 조선에서 유행했던 雜體篆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자형이나 圓點 등은 비액의 篆法을 정립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모색으로 파악되며, 이후 17세기부터는 소전의 書寫法을 세련시켜가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비액의 문구는 15세기에 대부분 諡號만 표기했던 것에 비해 16세기에는 관직명과 별호가 나타난다. 관직명은 碑主의 관료로서 治民의 역할과 관직을 중시하게 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할 것이다. 지식인 사회에서 통용되는 개인의 사적 호칭인 별호가 신도비에 표기된 것은 관료로서의 위상에 있어서도 문인학자로서의 비중이 작용하였음을 알려준다. 신도비 비액에서 가장 존대한 표기는 ‘별호+성씨+先生’인 것으로 파악된다. 2품 이상의 고위 관직을 받은 인물에게만 가능했던 신도비에 별호가 나타나고 ‘선생’이 가장 존숭된 호칭이라는 점은 16세기 士林의 정계진입과 연관되며, 공직자이자 학자였던 조선 지배계층의 복합적 성격을 보여준다. 선조대 부터 시작되는 정파의 분기로 인해 17세기 이후로는 신도비 전액에 참여하는 書者 및 서풍이 碑主의 학맥에 따른 정치적 입지와 연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조가 李山海의 <이언적신도비>(1577년)에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16세기에 南應雲(1509~1587), 金應南(1546~1598) 등 비액의 전서로 이름이 나는 書家들이 나타나는 것 또한 이후 17세기에 비액의 전서를 전문으로 하는 여러 篆者들이 활약하게 되는 전조가 된다.

      • KCI등재

        高句麗·百濟遺民 墓誌의 出自 기록과 그 의미

        이성제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5

        The origin records of Koguryo and Baekje migrants’ epitaphs have been understoodas data showing their identities. However, in comparison of the epitaph and biographyof Cheon Namsaeng (泉男生: the oldest son of Yeon Gaesomun), the epitaph and biography used the same literature source, and these are ascertained as a sort of conduct descriptions presented by his family to the Tang royal court. To manufacture the epitaph, the intervention of third parties including good handwriters and masons was inevitable.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pitaph is understood as personal record and data containing public attributes. It cannot be regardedas the data that freely reveals self-consciousness like identity. Since the conduct descriptions were to be evaluated on the tomb owner’s activities from the Tang Dynastyby identifying the tomb owner's life history, and therefore, the epitaph based on theconduct descriptions should be identified in the same context. The origin of tomb owner started from identifying previous generations. Although,the description is conducted in detail like the epitaph of Cheon Namsaeng, some cases that never mentioned genealogy as shown in the epitaph of Gao Zuyu (高足酉, One of Koguryo’s migrants) are also shown. Cheon Namsaeng’s epitaph emphasizes that he was from the family dominating Koguryo’s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that Koguryo collapsed, because of his subjection to the Tang Dynasty. Meanwhile, Gao Zuyu’s epitaph was full of his activities as Tang’s general. From this, there was migrants’strategic selection through consideration of what would receive favorable evaluation from the Tang Dynasty in the life history of the dead including genealogy. It isunderstood that such a selection brough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 between epitaphs. One’s native place is one of the important contents consisting the origin records,and the origin records were drawn up, according to a certain style or pattern. Since migrants were included as Tang’s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ountry collapse, the accountexplaining why the dead was entombed in the current residential area, leavingone's place of family register, was essential to mention the origin of obtaining publicoffice and various public offices held. Although, it was customary to show the changeof one’s native place by writing the place of family register and the newly acquired addressof family register, there are some cases that wrote only one of the two. This is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description mode taking into accounthow the dead person's activities can be seen remarkable, depending on the descriptionmode of the dead person's native place. It is revealed from the epitaphs that describedthe change of native place of Gao Zuyu, who was a Tang’s general, or Heukchi Sasngji(黑齒常之, Heichi Changzhi: One of Baekje migrants), unlike the epitaph of CheonNamsaeng that mentioned only the place of family register. The reason why tomb owner’s native place was described as Pyeongyang Fortressperson (平壤城人) in Liadong Commandery or Yuyi person (嵎夷人) in Ungjin (熊津,Xiongjin) is to reveal the dead person’s native place that belongs to the mentionedarea. It actually followed the description mode of ‘Doudufu (都督府)+area’, which is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same kind of description can be found from the OldTurkish, typical migrant group during the Tang Dynasty. Some epitaphs show some cases that ancestors are originated from Chinese legendaryfigure or famous person, and the dead think themselves as their descendants. Such a phenomenon is also found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migrants, and cannotbe viewed as the change of genealogy recognition. The phenomenon is understood as a survival strategy of those who settled in Tang as ethnic citizens in that the same phenomenon is demonstrated from the Old Turkish and Sogdian. 그동안 高句麗・百濟遺民 묘지의 출자 기록은 이들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자료라고이해해왔다. 하지만 泉男生의 묘지와 列傳을 비교해보면, 두 기록은 동일한 典據를 이용하였고, 그것이 일족이 唐 朝廷에 제출한 行狀이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묘지의 제작을위해서는 書家・石工 등 제 3자의 관여가 불가피하였다. 그 제작과정으로 보아 묘지는 私的인 기록이면서 公的인 성격을 띤 자료로 이해되는 것이다. 정체성과 같은 자의식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자료라고는 여길 수 없겠다. 행장이 墓主의 이력을 밝혀 그 활약상을 唐朝로부터 평가받고자 하는데 있었던 만큼 이를 전거로 삼은 묘지도 이 같은 성격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본다. 묘주의 출자는 先代를 밝히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천남생 묘지처럼 자세하게 기술하기도 하지만, 高足酉 묘지와 같이 그 계보를 아예 언급하지 않은 경우도 보인다. 전자는 그가 고구려 國政을 오로지했던 가문 출신으로 그의 귀부로 고구려가 무너졌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고족유의 것은 당 장수로서의 활약상만으로 그 이력을 채웠다. 이로 보아 계보를 포함한 망자의 이력 가운데 어떤 내용이 당조의 평가를 더 받을 것인가를 고려한 유민들의 전략적 선택이 있었고, 그것이 묘지 간 기술 내용의 차이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신지는 출자를 구성하는 주요 내용 가운데 하나로, 어떻게 쓴다라는 일정한양식에 따라 작성되었다. 유민은 망국에 따라 당의 臣民으로 편입된 까닭에, 본적을 떠나 현재의 거주지에 안치된 경위는 就官의 유래와 歷官을 언급하기 위해 꼭 필요한 내용이었다. 이에 본적과 새로 얻은 貫籍을 기재하여 출신지의 변화상을 보이는 것이 상례였지만, 둘 가운데 하나만을 기재한 경우도 보인다. 이는 출신지를 어떻게 기재하는 것이망자의 활약상을 돋보이게 할 것인가를 고려한 기술방식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본적만을 언급한 천남생과 달리 藩將으로 활약했던 고족유나 黑齒常之가 출신지의 변화상을기재했다는 사실에서 그러하다. 한편 묘주의 출신지를 ‘遼東郡 平壤城人’이나 ‘熊津 嵎夷人’이라 기술한 것은 망자가어디 소속의 지역 출신임을 밝히는 것으로, ‘都督府+지역’의 기재방식에 따른 것이다. 이는 당대 대표적 유민집단인 突厥人에게서도 동일한 기술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일부 묘지에는 조상의 기원을 중국 전설상의 인물이나 유명인에 두고 그 후손임을자처한 사례들이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유민 1세대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계보인식의 변화라고는 볼 수 없다. 돌궐인과 소그드인에게서도 동일한 현상이 보인다는 점에서 이민족으로 당에 정착하게 된 이들의 생존전략이었다고 이해된다.

      • KCI등재

        魏晋南北朝-隋唐時代 葬俗 · 葬具의 變化와 墓誌銘

        박한제(Han Je Park)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5

        묘지명은 장속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葬具의 하나이다. 여러 장구들 가운데 墓碑와 墓誌銘은 가장 유사한 것이다. 물론 묘비가 紀功의 성격이 강하고, 묘지명은 標識의 성격이 강하지만 묘지명 문학이 난숙기에 들어선 당대, 특히 당후기가 되면 그 서술상의 구별은 그리 크지 않다. 묘지명은 曹魏시대 禁碑令 선포의 영향으로 묘 앞의 묘비가 묘속에 들어감으로써 나타난 것이다. 묘지명의 사회적 유행과 관련하여 필자가 남달리 관심을 가졌던 것은 강남 남조의 여러 왕조보다는 중원 북조의 왕조에서 크게 유행한 이유와 수?당대에 와서 묘지명과 묘비가 병존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의 문제였다. 필자는 前稿에서 묘지명은 금비령 반포이후 碑의 대체 장구로서 남조에서 먼저 출현했지만, 예제와의 합치되지 않는다는 인식의 영향으로 발달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반면 북조에서는 동진-남조처럼 금비령이 반포된 적이 없었지만, 유목민족의 고유의 장속인 즉 虛葬, 潛埋습속과 농경 한족의 碑銘 문화가 합쳐져 묘지명이 활발하게 유행하게 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한대이후 당말까지 중국에서 발굴된 묘비와 묘지명을 계량적으로 시대별로 비교해 본 결과 한대(특히 後漢)가 墓前 葬具와 碑石의 시대라고 한다면, 동진-남조도 이 전통을 계승하였으며(물론 帝室의 墓葬文化에 한정), 北朝는 묘지명시대이고, 수?당시대는 묘비-묘지명 병존시대라는 결론을 확인하게 되었다. 아울러 묘지명이 북조-수?당시대에 유행하게 된 것은 유목민족의 葬俗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조에서는 위에서 보았듯이 묘비는 제실 구성원(太子?太子妃 이상)에게만 허용된 것이었고, 素族[귀족사대부])에게는 묘지명만이 허락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예제에 맞지 않는 묘지명이 별로 선호되지 않았다. 아울러 남조 제왕의 능묘에서는 묘지명 대신 哀策이 들어가고, 그 외 鎭墓文이나 買地券 등이 납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북조[특히 북위]에서는 사회적 등급에 따른 묘지명 크기 등에 대한 규정을 발견할 수 없으나 발굴된 현물을 볼 때 규정이 있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아울러 수대에 이르면 장구 등에 대한 신분별 규정이 명확하게 등장한다. 다만 묘지명의 경우 묘비와는 달리 자의성이 보다 강하기 때문에 그런 규정이 준수되는 것이 어렵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묘지명의 사료적 가치는 제작 이후 이차 가공이 되지 않았던 것이기 때문에 대단히 높지만, 자의성이 강한 만큼 기존사료에 근거해서 이용해야 한다. 특히 묘비보다도 과장의 정도가 더 심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Epitaphs (muzhiming 墓誌銘) were included in funeral instruments as the funeral customs changed. The function of epitaphs was similar to that of tombstones (墓碑 mubei), more than any other funeral instruments,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epitaphs and tombstones in that tombstones aimed to commemorate one’s feat, while epitaphs were supposed to demonstrate personal history of the dead. However, during the Tang Dynasty, especia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Tang, when epitaph literature flourished, it was hard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ombstones’ way of description and epitaphs’. During Cao-Wei dynasty, tombstones, which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tomb had to be moved into the tomb pit because the government prohibited using them. With regard to the epitaph’s popularity, I would like to focus on two questions. First, Why were epitaphs more 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than Southern Dynasties? Second, why did both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 during Sui-Tang Dynasties? Previously, I have concluded that epitaph culture emerged as a substitute for funeral instruments in Southern Dynasties, but it did not flourish as it was regarded unfit for the legitimate funeral ceremony. On the other hand, epitaphs were extremely popular in Northern Dynasties even though they did not prohibit the tombstones. I have inferred that the popularity came from the intermixture of nomadic tribes’ burial customs - fake burial and secret burial - and Han Chinese’s epitaph culture. Along with this, I analyzed the tombstones and epitaphs in Chinese history from Han Dynasty to Tang Dynasty quantitatively. Putting funeral instruments and tombstones in front of graves was popular during Han period and this trend was still in fashion during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while epitaphs flourished in Northern Dynasties. During Sui-Tang period, tombstones and epitaphs co-existed. Also, I am certain that the popularity of epitaphs in Northern Dynasties and Sui-Tang period has much to do with the peculiar burial customs of nomadic tribes. In Southern Dynasties, while the scholar-officials could only have epitaphs, the imperial family also possessed tombstones. However, epitaphs were not favored as they were regarded unfit for the burial custom. It is not certain that there were regulations about standards on epitaphs. It is probable that they put lament texts (aice 哀策) instead of epitaphs in the imperial tombs along with tomb-securing texts (zhenmu wen 鎭墓文) and land contracts (maidi quan 買地券). From the excavated articl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had been regulations on epitaphs in the Northern Dynasties, even though we can’t find them. With the start of Sui dynasty, the norms of the usage of funeral instruments according to social status became evident. Epitaph may have been free from regulation for it was a rather arbitrary option. Epitaphs have more historical value than tombstones in that they did not go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they’d be analyzed rigorously based on existing historical materials, for they contain a lot of elements of arbitrary exaggerations. We need to analyze them more sternly for they may have outrageous overstat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