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무시설의 에너지비용 결정요인 실증분석

        양영준(Yang, Young Jun),임병준(Rhim, Byeong Jun) 한국부동산학회 2013 不動産學報 Vol.55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determinants of energy cost spent at business facilities and to understand how a size of a building affects the energy cost. (2) RESEARCH METHOD With a total of 109 business facilities in Korea managed by real estate agencies determined a research subject, the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energy costs(electrical bills) of those facilities from 2008 to 2010. In order to analyze determinants of energy cost, the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nergy cost determin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ross area, square of the gross area, the number of stories, passed years, outdoor temperature, electric capacity, installed capacity and owner of a building as independent variables. (3) RESEARCH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s t he passed year increases by a year, the energy cost increases by 0.09won/㎡. Eelectric capacity increases by one electric unit, the energy cost goes up by 27.053won/㎡. And the buildings owned by major companies were found to spend energy cost more by 1.442won/㎡.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energy cost decreases as much as 21,069㎡ of gross area of a business facility but when it reaches 21,069㎡, the energy cost increases again. 2. RESULTS The study understood that as the passed years and the elect ric capacity increase, the energy cost goes up. And the buildings owned by the major companies would spend more money on energy comparing to other buildings. The energy cost was analyzed that it would decrease to 21,069㎡ of a gross area of a business facility and t hat it would increase again when it reaches 21,069㎡. The study should have looked if there are any other variables to affect the energy cost. The study is also believed to have a limit in that it has excluded high-rise buildings and outsize buildings.

      • SCIESCOPUS

        Energy-cost analysis of HVAC system for office buildings: Development of a multiple prediction methodology for HVAC system cost estimation

        Cho, Jinkyun,Kim, Yundeok,Koo, Junemo,Park, Woopyeng Elsevier 2018 Energy and buildings Vol.173 No.-

        <P><B>Abstract</B></P> <P>Buildings targeted at high energy performance levels have been proven to be technically feasible, but are relatively expensive.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st relationship between sub-systems of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s. <I>Because of</I> inadequate information to estimate investment cost of HVAC systems in the early stage of building projec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cost analys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predictive models for cost of HVAC syst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cost estimation was examined with the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One of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cost of HVAC systems of any given office building project can be assessed from the same building conditions with <I>high</I> confidence limits using multiple matrix models of HVAC sub-systems and this provided a basis for developing 960 cost models. There is potentially large variability in the range −26–460% with an average at 179% in investment costs for the sub-systems. The cost of a HVAC system has a range of about 125–335 unit rate, which represents a variety of system combinations. Decision tre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and investment cost of HVAC systems were obtained, yielding information on optimal combination HVAC sets in the office buildings.</P> <P><B>Highlights</B></P> <P> <UL> <LI> We examined the cost relationship between sub-systems of HVAC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s. </LI> <LI> The method for predicting the investment cost of the possible 960 combinations of HVAC system was suggested. </LI> <LI> The design rules to optimize the energy-cost level for HVAC system were investigated. </LI> <LI> The effects of the HVAC design factors of investment cost on the energy performanc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LI> <LI> The air conditioning system, sub-system of HVAC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design factor. </LI> </UL> </P>

      • 환경성·형평성을 고려한 수송용 에너지 적정가격 설정 및 세수 활용 방향

        강만옥 ( Man-ok Kang ),한진석,신동원,강선아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최근 범사회적으로 심각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송 부문의 정책적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환경비용 등 사회적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수송용 에너지의 가격 조정과 관련 세수의 미세먼지 저감, 수소차 보급 활성화 등 친환 경적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수송용 에너지의 환경성 및 과세 형평성 강화, 수소차 지원 등 친환경차 산업 육성 측면에서 현행 수송용 에너지 가격체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환경비용 등 사회적 비용 대비 수송용 에너지 세율(세수) 수준 구조의 적정성, 미세먼지 대책예산 증액 및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 등 관련 세수 활용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저감 등 수송 부문의 외부 불경제 문제 해결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과세 형평성을 강화하기 위해 수송용 연료의 종합적인 적정 가격체계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용 에너지에 대한 환경비용 등 사회적 비용 추정과 과세 형평성 강화, 주요국의 관련 정책 등을 고려하여 수송용 에너지의 종합적인 적정 가격 설정 및 관련 세수의 친환경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적정 에너지 가격 설정을 위해 ① 사회적 비용 내재화, ② 과세 형평성 강화, ③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수소 가격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 사회적 비용 내재화와 관련하여, 환경피해비용과 교통혼잡비용을 이용하여 사회적 비용을 추정한 결과 휘발유(578원/L), 경유(994원/L), LPG부탄(239원/L), CNG(431/kg)로 나타났다. 현행 에너지세율이 휘발유 746원/L, 경유 529원/L, LPG부탄 316원/L, CNG 42원/kg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휘발유 및 LPG부탄을 제외하고는 특히 경유에 대한 과세 수준이 매우 낮아 미세먼지 등 환경피해비용이 상당히 과소 반영되고 있다. 또한 CNG와 수송용 전기도 현행 에너지세제에 환경피해비용이 상당히 과소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송용 연료에 대한 단계적인 탄소세 도입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과세 형평성 차원에서 보면, CNG 및 수소용 전기는 다른 수송용 연료에 비해 과세 수준이 미미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CNG의 경우 EU 에너지 지침상의 최소과세액(CNG 207.48원/kg)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42원/kg으로 약 10%가 반영되어 CNG 요금의 상승이 필요하다. 수송용 전기의 경우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세와 전력기반기금 외에는 관련 세목이 존재하지 않는다. 전기차 시장이 활성화되었을 때를 고려하여 수송용 전기라는 새로운 에너지원의 등장과 확산에 대응하여 과세 분야에도 논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유류세 체계가 종량세로 물가 상승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실질적인 세부담이 낮다. 향후 에너지 가격에 물가연동제를 도입하여 가격 기능을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에너지 세제의 환경세적 교정 기능 강화 및 에너지 사용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하여 수소연료에 대한 가격 지원이 필요하다. 수소연료 판매 가격은 공급자 가격과 소비자 가격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소차 보급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정부는 적정 수준의 수소연료 가격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수소 판매 가격이 디젤 가격(상한) 수준인 8,000원/kg에서 HEV 연료 가격 수준인 6,000원/kg으로 판단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하고 있는 수소는 부생수소로서, 생산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정부는 부생수소를 친환경적 수소로 변환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친환경 발전원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투자해야 한다. 또한 수소차 시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형성되는 시점에서는 수소 생산에 대한 환경성을 판단하여 앞서 제시한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타 수송용 연료와의 과세 형평성 차원에서 수송용 수소에 대한 과세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세수 활용 방안으로는, 첫째, 미세먼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교통 에너지특별회계상에서 환경개선특별회계에 전입되는 비율을 30%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단기적으로는 수소차의 생산·구입, 수소 충전소 설치 및 수소 가격에 대한 재정 보조금 지급 등으로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세제 혜택으로 전환하여 재정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 추진의 우선순위를 검토해야 한다. 정부의 미세먼지 감축 등 관련 예산 집행에서 성과 향상과 집행률 제고 방안, 비용 효과성이 높은 사업의 우선적인 추진 등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omprehensive and appropriate price setting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idering social cost including environmental cost, improvement of horizontal equity and analyzed the related policies of major countries. Also,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eco-friendly using of tax reven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set the appropriate energy price, we should consider 1) internalizing social cost(external cost), 2) enhancing the horizontal equity of taxation, and 3) supporting hydrogen fueled cost to revitalize hydrogen fueled cell vehicles. 1) In relation to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costs, we estimated social cost using environmental damage and traffic congestion cost. As a result, social costs of transportation fuels are estimated to be gasoline(KRW 578/L), automative diesel(KRW 994/L), LPG butane(KRW 239/L) and CNG(KRW 404/kg),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urrent energy tax rate of KRW 746/L for gasoline, KRW 529/L for automative diesel, KRW 316/l for LPG butane and KRW 42/kg for CNG, the tax level of automative diesel is found to be very low because of underestimated environmental damage costs. Also, in the current energy tax system, CNG and electricity for transportation are assessed to underestimate the environmental damage cost. In order to achieve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carbon tax should be introduced. 2) In terms of taxation equity, the tax level of CNG and electricity for transportation is lower than other transportation fuels. Compared to the minimum tax amount of KRW 207.48/kg(CNG) in the EU energy directive, South Korea charged KRW 42KRW/kg on CNG, about 10%, which means that the CNG tax rate needs to be raised. In the case of electricity for transportation, there is no tax except for Korea’s VAT and electricity industry fund. Considering when the electric motor vehicle market is vitalize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iscussion in the tax field in response to the emergence and diffusion of new energy sources of transportation electricity. Curr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x burden is continuously lowered due to the rise in inflation rate because the energy tax system is set as the specific tax. It is necessary to normalize the price function by introducing an indexation system to the energy price. This can lead to enhancement of the environmental corrective taxation and reduced energy use. 3) Price support for hydrogen fuel is needed to activate the supply of hydrogen fueled cell vehic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er price and the seller price for hydrogen fuel is large. This may be an obstacle to the supply of hydrogen fueled cell vehicles, so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a guideline about appropriate price of transportation hydrogen fuel.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 price of hydrogen was estimated from KRW 6,000/kg, which is the HEV fuel price level, to KRW 8,000/kg, which is the diesel price level. At present, hydrogen produced in South Korea is byproduct hydrogen, which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can produce hydrogen as an eco-friendly power source, such as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order to convert byproduct hydrogen into green hydrogen. This study presents tree ways to use the related tax revenue. First, the ratio of special accoun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ransportation, energy, environment tax should be increased to 30%. Second, the financial stability and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benefits of hydrogen taxation in the mid- to long-term. Third, the priority of policy implementation should be reviewed.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points out that the budget performance of reduction in the PM2.5 are very poor. Therefo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projects having the high efficiency in budget execution.

      • KCI등재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용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인우,서한결,장수진,조철희,정양헌 한국회계정책학회 2019 회계와 정책연구 Vol.24 No.4

        [연구목적]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노력으로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고 있어 그로 인한 효과에 관한 관심이 매우 크다. 신재생에너지는 아직 기존 발전원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미래 비용 변화에 관한 관심 역시 지대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을 기반으로 미래 경제적 효과및 비용을 추정해보았다. [연구방법] 미래 경제적 파급효과 추정을 위해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연관분석을 통해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유발액을 확인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용은 문헌자료를 기반으로 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균등화 발전비용으로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타 산업에 대해 약 100조 9천억 원의생산유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동기간의 총 발전비용 5조 2천 5백억 원과 정책적투자로 인한 소모 재원은 84조 5천억 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경제적으로도 유의미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전원별 비용 측면에 있어서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설비단가가, 바이오매스와 연료전지 발전은 연료비단가가 주요 결정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현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정책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음을보였으나, 이는 충분한 기술 혁신 및 생태계 조성 노력을 통한 발전 설비단가 하락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전력산업의 비용 및 경제성 분석에 회계학계나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Purpose] Renewable energy-related policies are major effort to solve the climate change problem.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the economic effects and costs. Since renewable energy has not yet secured a competitive edge compared to existing power generation sources, interest in future cost changes is also enormous.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future economic ripple effects and costs based on recently announced renewable energy policy. [Methodology] In order to estimate the future economic ripple effect, we used the 2014 data to calculate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The cos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calculated based on levelized cost of energy. [Findings] From 2020 to 2030,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about KRW 100 trillion for other industries, which is the total generation cost of KRW 5.25 trillion and cost of renewable energy policy is about 84.5 trillion won, confirming that the renewable energy sector is of great economic value. In terms of cost by power generation source, installation cost is the major determinant for solar and wind power and fuel cost is the major determinant for biomass and fuel cell. [Policy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policy for renewable energy supply is economically valuable.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cosystem creation efforts should be required to decrease installation cos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rest of accounting academia in the cost and economic analysis of the power industry.

      • KCI등재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CO<sub>2</sub> 감축 비용 효율성 비교

        이용성 ( Yongsung Lee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1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발전 부문의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추정하고, 원자력 발전의 사고위험에 따른 외부비용을 포함한 발전 비용을 고려하여 두 발전원의 온실가스 감축비용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모형의 추정결과,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1% 증가는 각각 0.744%와 0.127%의 CO<sub>2</sub> 배출량을 감축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CO<sub>2</sub> 배출량을 1% 감축시키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은 1.344%,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7.874% 증가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추정된 계수와 원자력 발전의 외부비용 포함 발전비용을 사용하여 1%의 CO<sub>2</sub> 배출량 감축을 위한 총 비용을 도출한 결과, 전체 발전량이 1MWh로 가정할 때 CO<sub>2</sub> 배출량 1%를 감축시키기 위한 원자력 발전비용은 외부비용에 따라 0.72~1.49달러로 계산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은 6.49달러로 나타났다. 이를 2020년 우리나라 총 화석연료 발전량(352,706GWh)을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 원자력 발전은 2.54억~5.26억 달러,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22.89억 달러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원자력 발전보다 4.35~9.01배의 비용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발전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비해 높은 비용 효율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sub>2</sub> emissions and both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compare the cost efficiencies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reducing CO<sub>2</sub> emiss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hould be increased by 1.344% and 7.874% to reduce CO<sub>2</sub> emissions by 1%, respectively. Using the estimated coefficients and the levelized costs of electricity by source including the external costs, if the current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ion is one megawatt-hour, the range of generation cost of nuclear power generation to reduce 1% CO<sub>2</sub> emissions is $0.72~$1.49 depending on the level of external costs. In the cas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he generation cost to reduce 1% CO<sub>2</sub> emissions is $6.49. That is, to mitigate 1% of CO<sub>2</sub> emissions at the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of 353 million MWh in 2020 in Korea, the total generation costs range for nuclear power is $254 million~$526 million for the nuclear power, and the cost for renewable energy is $2.289 billion for renewable energy. Hence, we can conclude that, in Korea, nuclear power generation is more cost-efficient tha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 mitigating CO<sub>2</sub> emissions, even with the external cost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 KCI등재

        경기지역 공동주택의 건물 및 시스템 요소와 에너지 사용비용의 영향분석

        최재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uilding and system elements and energy use costs of 187 apartme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shown that the heating / hot water supply cost is higher when the use approval year is longer, and the electricity cost is relatively lower when the use approval year is earlier. Next, the higher the total floor area and the additional floor area, the lower the heating / hot water supply cost and the water cost. On the other hand, the larger the floor area, the higher the electricity cost. The smaller the number of cars and the number of elevators, the higher the heating / hot water costs and water costs. Second, the cost of heating / hot water supply is higher in the order of staircase, mixed, and corridor. In the case of electricity costs, the cost of electricity in the staircase and the hybrid system is low. Third, the heating method is economical in the order of district heating, individual heating, and central heating.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system, the water cost of the booster system was lower than that of the high water tank system and the pressure tank system.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in case of the water receiving capacity, the higher the water receiving capacity, the higher the electricity cost likewis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study to reduce the energy use cost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the apartment house,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of planning factor considering the energy use cost when planning the apartment house. 본 연구에서는 주거용 건축물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전국지역 중 공동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경기지역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해 건물 및 시스템 요소와 에너지 사용비용 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건물 요소 중 사용승인연도, 연면적, 부과면적, 동수, 세대수, 승강기대수와 에너지 사용비용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면, 사용승인연도가 오래되었을수록 난방/급탕비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승인연도가 과거일수록 상대적으로 전기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면적과 부과면적이 높을수록, 난방/급탕비용, 수도비용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면적이 클수록, 전기비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수와 승강기대수가 작을수록 난방/급탕비용 및 수도비용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복도유형인 계단식, 복도식, 혼합식에 따른 에너지 사용비용과의 관계를 보면, 난방/급탕비용은 계단식, 혼합식, 복도식 순으로 높아, 복도식보다는 계단식과 혼합식의 에너지 측면의 경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기비용의 경우도, 계단식과 혼합식의 전기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난방방식인 개별난방, 중앙난방, 지역난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지역난방, 개별난방, 중앙난방 순으로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수방식의 경우, 부스터방식의 수도비용이 고가수조방식이나, 압력탱크방식보다 수도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전용량의 경우, 수전용량이 높을수록 마찬가지로 전기비용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에너지 사용비용 저감을 위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되며, 이를 통해 공동주택 계획 시 에너지 사용비용을 고려한 계획요소의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청주시 취약계층 독거노인 가구의 에너지비용 부담 경험과 인식

        강성구,유효정,최은하,이현정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0 No.3

        Energy cost increase affects energy cost burden of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limited resources are influenced even worse. Especially, the elderly are far more vulnerable to negative indoor conditions such as cold, heat, extreme temperature changes, humidity.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energy costs burde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Cheongju-si, Chungbuk,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their energy welfare condotion. During February and March 2018,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in Cheongju and 219 useable respons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verage income to energy cost ratio in winter time was 54.5%. (2) 89.0% were found to be ‘winter-time energy poor’ to spend 10% or more of their income for energy costs. (3) Older elderly,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or singlefamily detached homes, and those who were not beneficiaries of any support program of basic pension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chance to be winter-time energy poor than other respondents. (4) More than 83% were found to have perceived energy cost burdens in recent three years, and 69.6% had experiences to reduce essential spendings and 26.2% had to borrow money to afford energy bills. 본 연구는 청주시 거주 독거노인 가구의 에너지 비용 부담 실태와 관련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취약계층 대상 에너지 지원 정책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18년 2월 20일부터 3월 19일까지 청주시 거주 독거노인 가구를 대상으로 대면면접 방식(타기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219부의 유효응답이 회수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평균 광열비는 봄・가을(비냉・난방기)에는 평균 4.6만원(0원 응답 4가구 제외), 여름(냉방기)에는 평균 3.7만원(0원 응답 2가구 제외), 겨울(난방기)에는 평균 16.4만원이었다. (2) 겨울철 기준 소득 대비 광열비 비율은 평균 54.5%로 나타났고, 겨울철 난방비를 기준으로 볼 때, 89.0%가 겨울철 난방비가 소득의 10% 이상인 에너지 빈곤가구로 나타났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겨울철 기준 에너지 빈곤 가구 여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청주시 통합(2014년) 이전 청원군 지역(농촌 지역) 거주 응답자일수록, 응답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일반 단독주택 거주자일수록 에너지 빈곤율이 높고, 기초생활 수급자나 기초연금 수급자는 에너지 빈곤율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p<.05).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4) 응답자의 83.2%는 최근 3년 사이 에너지 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느낀 적이 있었으며, 78.2%는 에너지 비용 부담으로 난방을 긴축한 한 경험이 있고, 69.6%는 에너지 비용을 지불하기 위하여 식료품이나 의약품 등 필수적인 지출을 감축한 경험이 있었다. 에너지 비용을 지불하기 위하여 타인으로부터 돈을 빌린 경험이 있는 응답자도 26.2% 나타났으며, 에너지 빈곤 가구는 그 외 가구에 비하여 타인으로부터 돈을 빌린 경험이 있는 응답자 비율이 높았다(p<.05). (5) 현재 주택의 실내 방수 상태(빗물 누수)와 실내 환기 상태는 응답자의 70% 이상이 좋은 상태(매우 좋음, 좋은 편임)로 평가한 반면, 실내 단열 상태와 동절기 실내온도(난방 상태), 실내 습도・곰팡이 문제를 좋은 상태로 평가한 응답자는 50~60% 선으로 낮았다. (6) 현재 주택의 에너지 문제 개선을 위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연료 지원, 벽과 지붕 단열 개선, 보일러 또는 난방시설 수리나 교체 순으로 나타났다. (7) 가장 선호하는 에너지 지원 제도(2개 복수 응답)는 쿠폰・현물지원, 에너지 비용 지원, 단열공사 순이었다.

      • KCI등재

        에너지원별 발전비용에 관한 연구

        최승일 ( Seung-il Choi ),김진호 ( Jin-ho Kim ),황인극 ( In-keuk Hwang ) 대한설비관리학회 2016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21 No.4

        Trends in power costs by energy source and causes for these changes are investigated. Levelized Costs of Electricity(LCOE) are used as power cos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Energy Agency(IEA) report, LCOE`s of base power increased a little in 2015 compared to 2010, whereas LCOE`s of renewable power decreased due to technical advancements. In particular, onshore wind power has reached a level that is not a big difference to base power in costs. LCOE`s of domestic power plants are analyzed according to load factors. At higher discount rates levelised fixed costs increase and so do LCOE`s. Despite of high fuel cost, Combined Cycle Gas Turbines(CCGT) turn out to be economic in case of low load factors. Prices of emission trading are used to reflect carbon cost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and effects of social costs of nuclear power, emerged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are taken into account. Construction costs of nuclear power plants are likely to increase due to higher safety standards and so are back-end costs of nuclear fuel cycle and decommissioning costs. And coal power plants will have higher costs due to emiss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se changes of power costs will have impacts on energy policies and energy mix planning.

      • Cost Efficiency Analysis of Design Variables for Energy-efficient Apartment Complexes

        Song, Seung-Yeong,Koo, Bo-Kyoung,Lee, Soo-J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0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 Vol.9 No.2

        <P>Energy-efficient buildings are essential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However, improved energy efficiency may also bring about a rise in construction costs. If design variables can be prioritized according to their cost efficiencies, energy-efficient buildings can be designed more cost-effici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 efficiencies of design variables related to energy efficiency of the apartment complex. After making 78 alternatives for 29 target items, each alternative′s increased amount of construction cost and decreased amount of energy cost against the baseline model were then estimated using actual price data and the assessment methods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respectively. The life cycle cost, net present value, internal rate of return, and payback period of each alternative were shown as cost efficiency indexes. The order of priority of each alternative was presented and very cost-efficient alternatives were suggested.</P>

      • KCI등재

        공동주택 단지의 주동형식에 따른 냉난방 에너지 비용 분석

        노지웅(Roh, Ji-Woo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nergy performance of apartment in respect of complex design, building type and generation house layout and finally to produce the guide line for energy saving design.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about this subject, apartment building types were examined and representative types were extracted. Considering azimuth angle, private area, and generation number, building type of the subject apartment was classified in detail, energy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the effect to energy cost was compared. In the research, using VE energy simulation program,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to energy cost. It is expected that this analysed results will be basic data for the more integrated study. Research consequen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Energy cost is compared according to several azimuth in plank "一" type apartment. As the results, calculated gas cost is the best in 49°, but total cost is in-31°. 2) Apartment buildings of tower types are compared, it is resulted that "Y" type (azimuth-7°,-20°) is the best in gas cost, but the total cost is worst because of high cooling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