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안보에 대한 고찰: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콩고민주공화국의 광업 분야를 중심으로

        김유원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3 국제학논총 Vol.38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conomic security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Initially, it consolidates recent discussions on economic security, emphasizing the implication of the integration of economic and security aspects, and highlights the emerging patterns of technological hegemony competition among major powers. However, such discussions face challenges when directly applied to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attributed to political instability rooted in the post-colonial era governance, technological and economic underdevelopment, and global economic marginalization. Nevertheless, developing countries strive not merely to conform to the global structures but to secure autonomy. The study focuses on the African continent, often mentioned only as a backdrop for major power competition, by investigating the mining sectors of South Africa and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DRC). In the case of South Africa with abundant platinum reserves, it pursues a dual objective of maximizing national interests through Mining Charter and addressing lingering racial inequality in post-apartheid era through Black Economic Empowerment law. The DRC, recognizing China's substantial influence in the cobalt industry, aims to emphasize mining industry protection and sovereignty over resources through tax reforms, with the overarching goal of maximizing national interests. Through these case studies, it becomes evident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not disconnected from global discussions regarding the increasing nexus between the economic sector and national security. The paper elucidates that economic security is being debated in the contexts of 1) proclaiming resource sovereignty, 2) overcoming limitations in domestic governance. Unlike advanc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are establishing the concept of economic security with a focus on enhancing national autonomy and leveraging economic growth. 본 연구는 경제안보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도상국 맥락에서의 경제안보 개념을 고찰한다. 먼저 최근의 경제안보가 경제와 안보의 결합이라는 함의를 가지며 강대국들 간의 기술 패권경쟁 양상을 보임을 정리한다. 다만 이러한 논의는 개발도상국 맥락에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운데, 이는 탈식민시기 국내 거버넌스에서 기인하는 정치 불안정과 기술 및 경제적 저발전으로 글로벌 경제체제에서의 소외 등의 이유에서 기인하였다. 그럼에도 개발도상국들은 강대국이 구축한 글로벌 구조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율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대체로 강대국 경쟁의 배경으로서만 언급되는 아프리카 대륙에 주목하여 치열한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콩고민주공화국의 광업 분야를 조사하였다. 백금족 매장량이 풍부하여 전 세계에 독점적 공급을 하는 남아공의 경우, 흑인경제육성법과 광업헌장을 통해 광업 분야에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한편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인종 간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이중적 목표를 상정하였다. 콩고민주공화국은 코발트 산업에서의 중국의 거대 영향력을 인지하고 세제 개편을 골자로 하는 광업법 개정을 통해 광산업 보호와 자원에 대한 주권을 강조하는 한편 국가 이익의 최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이 경제 부문과 국가안보와의 밀접성 증대라는 점에서는 글로벌 논의와 무관하지 않으며, 1) 자원주권 2) 국내 거버넌스의 한계 극복 면에서 경제안보가 논의되고 있음을 밝힌다. 이렇듯 기술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안보를 국가안보의 중요한 축으로 규정하고 군사안보와의 연계, 블록화 등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선진국 경우와 달리, 이들 국가에서는 국가 자율성 제고와 경제 성장의 레버리지 확보 측면에서 개념이 정립되고 있다.군사안보와의 연계, 블록화 등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선진국 경우와 달리, 이들 국가에서는 국가 자율성 제고와 경제 성장의 레버리지 확보 측면에서 개념이 정립되고 있다.

      • Stock Market Movement Surrounding Global Economic Crisis

        박진우(Park, Jin-Wo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본 연구는 2004년 7월 15일부터 2010년 7월 31일까지의 일별 주가지수 자료를 이용하여 동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16개 국가의 주식시장이 글로벌 경제위기와 이후 회복기간 동안 어떤 행태를 보여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떤 국가들이 글로벌 경제위기동안 심각한 타격을 입었는지? 위기 이후 주가 수익률 패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 국가들이 위기에서 빠르게 회복하였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회복이 이루어졌는지? 등의 이슈가 분석되고 있다 분석결과, 첫째, 글로벌 경제위기가 평균 주가수익률 하락, 주가변동성 상승, 주가 왜도 및 첨도 상승을 초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 주식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러시아, 헝가리, 체코 등의 동유럽 주식시장에 미친 영향이 더욱 심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경제위기로부터의 회복 정도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여 영국, 한국, 폴란드가 비교적 빠른 회복을 보인 반면에 불가리아, 이탈리아, 중국 등은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global economic crisis and its recovery for the stock markets of sixteen countries.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s stock markets of eight developed countries (i.e., the U.S., the U.K., Germany, France, Italy, Spain, Japan, and Australia) and eight emerging countries (i.e., China, India, Korea, Russia, Poland, Czech, Hungary, and Bulgaria) using their daily rate of returns on the market indices for the period from July 15, 2004 to July 31, 2010. To examine the impact of global economic crisis and its recovery the period of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crisis period from September 15, 2008 to July 31, 2010 and normal period from July 15, 2004 to June 30, 2007.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ock return patterns after the crisis by observing decrease in mean return, increase in volatility, increase in skewness, and increase in kurtosis. Second, this paper finds that although the global economic crisis triggered by collapse of Lehman Brothers the crisis continued to affect stock markets of both emerging and developed countries for 6 months. In the country level Bulgaria records the lowest 6 month return, followed by Russia, Hungary, and Czech, indicating that the global economic crisis affected severely Eastern and Central European countries. Thir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arket recovery from the cri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degree of recovery varies significantly across sixteen countries in the sample. In the country level, India, the U.K., Korea, and Poland are countries that made a quicker recovery from the crisis whereas Bulgaria, Italy, and China exhibit slow recovery.

      • KCI등재

        Macroeconomic Indicators to Evaluate Economic Crises in Emerging Economies

        조양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1

        As major economic crise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emerging economies, country/sovereign risk factors have been also reviewed to evaluate any kinds of economic crises. Through empirical data analysis based on cases of major economic crises over 1974-2010, not only leading variables such as real GDP (per capita) growth, exchange rate (depreciation), exports growth, capital and financial account and budget deficit deteriorated one year before the crises, but also coincident variables such as real GDP per capita growth, depreciation, inflation, capital and financial account, public debt and external debt exacerbated in the crises. Additionally, major economic crises of emerging economies, (e.g. Argentina 2001, Greece 2010, Indonesia 1997, Korea 1997, Mexico 1994, Russia 1998 and Turkey 2000) prove to be the data analysis, and the selected principal indicators can diagnose current economic situation through statistical simulation of countries in crises.

      • KCI등재

        Macroeconomic Indicators to Evaluate Economic Crises in Emerging Economies

        Yang-Hyeon Jo(조양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1

        As major economic crise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emerging economies, country/sovereign risk factors have been also reviewed to evaluate any kinds of economic crises. Through empirical data analysis based on cases of major economic crises over 1974-2010, not only leading variables such as real GDP (per capita) growth, exchange rate (depreciation), exports growth, capital and financial account and budget deficit deteriorated one year before the crises, but also coincident variables such as real GDP per capita growth, depreciation, inflation, capital and financial account, public debt and external debt exacerbated in the crises. Additionally, major economic crises of emerging economies, (e.g. Argentina 2001, Greece 2010, Indonesia 1997, Korea 1997, Mexico 1994, Russia 1998 and Turkey 2000) prove to be the data analysis, and the selected principal indicators can diagnose current economic situation through statistical simulation of countries in crises. 역사적으로 글로벌 경제위기는 신흥경제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Moody’s) 등 주요 신용평가기관의 국가위험(또는 정부채권위험) 평가체계는 경제위기 예측에 미흡하다는 평가다. 이에 본 연구는 1974~2010년에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긴급 구제금융(차관)을 지원받은 38건의 경제위기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통계분석을 통해 위기발생 직전의 선행변수와 위기진행중의 동행변수를 선정해 보았다. 그 결과, 위기발생 1년 전에 악화된 선행변수는 (1인당)경제성장률, 환율(통화가치하락), 수출증가율, 자본수지/GDP 및 재정수지/GDP이었으며, 위기발생 연도에 악화된 1인당 경제성장률, 환율(통화가치 하락),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자본수지/GDP, 공적채무/GDP 및 총외채/GDP가 동행변수로 분류되었다. 또한, 신흥경제권의 주요 경제위기 발생사례(2001년 아르헨티나 외채위기, 2010년 그리스 재정위기, 1997년 인도네시아 외환위기, 1997년 우리나라의 외환·금융위기, 1994년 멕시코 외환위기, 1998년 러시아 재정위기, 2000년 터키 외환위기)에 대해서도 검증(시뮬레이션)해 보았다. 신흥경제권의 경제위기 예측을 위한 중점 평가요인(선행변수 및 동행변수)에는 국가간 차별적 요인이 모두 고려되지 않았으나, 경제위기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신흥경제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출 등을 통한 경제성장 잠재력과 동력을 혁신적으로 제고하고, 물가, 환율, 재정, 채무 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 KCI등재

        Causal Nexus between Finan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Growth: Does Nonlinearity Matter?

        ( Sami Saafi ),( Meriem Bel Haj Mohamed ),( Makram Ben Doudou ) 세종대학교 경제통합연구소 2016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Vol.31 No.4

        Empirical studies that rely on a linear framework typically fail to find evidence of a causal link between finan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is study, we extend the analysis by applying both linear and nonlinear Granger-causality tests to data for 19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the linear causality analysis reveals only weak causal linkages between finan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growth. In contrast, the nonlinear causality analysis provides evidence of significant nonlinear causality in 18 out of 19 countries. The growth hypothesis holds true for Argentina, Bolivia, Colombia, Morocco, Tunisia, and Venezuela whereas a reverse relation was found in Brazil, Chile, Cote d`Ivoire, Costa Rica, Ecuador, Egypt, South Korea, Malaysia, Mexico, and Paraguay. The feedback hypothesis also exists in Bolivia and Uruguay. Overall, the divergent results in the 19 countries imply that policies cannot be uniformly implemented as there would have been different effects in each country.

      • KCI등재

        한국형 지역혁신모델의 신흥국 전수사업

        김학민(Hak-M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최근 신흥개발국들은 한국형 경제개발 정책에 관심을 갖고 한국의 지역혁신 모델을 접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도 신흥국의 수요에 맞추어 지역혁신 모델을 수출하고 해당국과 경제협력을 강화하는데 관심이 있다. 본 연구는 신흥국에 대한 한국형 지역혁신모델 전수사업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태국, 키르키즈공화국, 베트남, 멕시코 등 신흥 4개국의 혁신기관 실무자들이 공동학습 - 네트워크- 상호작용 활동에 참여하는 행태를 표적집단면접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한국의 혁신기관에서 제공하는 전수사업에서 현지국가 혁신주체의 초기 활동을 분석한 결과, 전수사업의 연수시간과 이후 현지인들에 의한 자체 공동학습 참여율의 관계는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 (0.975)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자체 공동학습과 현지의 네트워크 참여율의 상관계수는 다소 낮아 (0.667), 현지에서 공동학습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참여율과 혁신주체의 상호작용 참여율은 높은 상관관계 (0.950)로 나타나, 네트워크 구축이 지역혁신 모델의 관건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교육과 컨설팅 형태의 연수보다는 현지의 혁신 네트워크 활동을 촉진하는 사업을 추천한다. 본 연구는 충남테크노파크의 사례와 같이 혁신주체들이 스스로 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에 맞는 혁신모델을 창출하고 지역혁신플랫폼을 직접 운영하는 단계까지 추진하는 전수사업 정책을 제안한다. Recently, emerging countries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Korean economic development policy, trying to adopt the Korean regional innovation model. Korea is also interested in exporting its regional innovation model and enhanc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ose countri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apacity-building programs of the Korean regional innovation model for emerging countries and suggests policies for it. For this purpose, the local innovators" participation pattern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networking/interaction are investigated with a focused group-interview method. From an analysis of the programs supported by Korean organizations, this study find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raining time of capacity building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local members" collaborative learning is very high (0.975). Si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on rat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networking is relatively low (0.667), a policy to link local collaborative learning to networking should be provided. 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articipation rates of networking and interaction is high (0.950), networking is a key to regional innovation. This study recommends activity programs to promote networking among local innovators, rather than training and consulting programs. As introduced in the Chungnam Techno Park cas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apacity-building program should include programs to initiate a collaborative learning network, to create a local-demand, regional innovation model, and to operate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which should be done by local innovators in the emerging countries.

      • KCI등재

        저작권 보호기술 이전에 관한 연구 -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을 중심으로 -

        백승희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6

        전 세계적으로 한류가 지속되면서 K-콘텐츠의 범위 또한 웹툰, 음식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디지털 산업 의 성장은 K-콘텐츠를 전 세계에 확산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에 K-콘텐츠의 불법 유통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 또한 주요한 사회 문제이자 범법 행위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우리나라 문화는 미디어 기술과 결합하여 K-드라마, K-pop, K-웹툰 등 글로벌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K-콘텐츠의 불법 유통이 허용되지 않도록 인공지능을 활용한 저작권 기술보호 시스템을 ODA 국가에 기술이전 한다면 국내·외적으로도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정부는「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을 수립하여 시장 확대와 혁 신 기술 확장을 통한 국가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이전이 저작권 을 비롯한 지식재산 분야에 적용했을 때 많은 경제적 가치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작권 보호기술을 해외 국가에 이전하여 저작권 보호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술이전 국가를 선정 하기 위한 선정기준을 개발하여 필리핀, 베트남, 인도 국가를 최적의 기술이 전 국가로 도출하였다. 이들 국가는 우리나라와 오랜 역사를 함께 한 아시아 국가들로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 크(IPEF)를 구성하는 국가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국가들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저작권 보호기술을 이전하는 방안으로 ODA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국가들의 사회, 경제, 문화적 실정에 맞는 기술이전 형태와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류 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협업을 통해 우리나라의 문화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Korean Wave continues around the world, the scope of K-content is also expanding to webtoons and food. In addition, the growth of the digital industr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s creating different added values by spreading K-contents around the world. In the same way, the issue of copyright infringement due to the illegal distribution of K-contents is also emerging as a major social problem and a criminal act. Therefore, it is time to come up with various solutions to solve this problem. Currently, Korean culture is becoming a global culture such as K-dramas, K-pop, and K-webtoons in combination with media technology. Therefore, if the copyright technology pro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transferred to ODA countries to prevent the illegal distribution of such K-content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lot of added valu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On its part,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Plan to promote national growth through market expansion and innovative technology expansion. Therefore, when technology transfer is applied to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copyright, it is expected to have a lot of economic value.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a way to protect copyright by transferring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to overseas countries. Accordingly, selection criteria were developed to select technology transfer countries. The Philippines, Vietnam, and India were derived as the optimal technology transfer countries. These countries are Asian countries with a long history with Korea, achieve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and also make up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In this study, ODA support was proposed as a way to transfer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these countries. Additionally, technology transfer forms and processes appropriate for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se countri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as Korean Wave culture spreads globally, Korea's cultural industry can be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through collaboration.

      • KCI등재

        국제시장지향성과 MCS 이용이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순기(Kim, Soon Kee),표춘미(Pyo, Chun Mi),이다솜(Lee, Da Som)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2

        신흥경제국 기업들은 선진국과의 기술적 갭을 극복하고 성장하기 위해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Luo와 Tung, 2007; Singh, 2009). 이 과정에서 기업은 해외시장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막대한 자산을 투자하고, 통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McDougall, Shane, 과 Oviatt, 1994; Mort와 Weerawardena, 2006).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전략과 MCS 간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신흥경제국에서의 MCS에 대한 연구는 체제변혁과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는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통합적인 MCS 모형보다는 MCS의 하위시스템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Anderson과 Lanen, 1999; O’connor 등, 2004, 2006). 관리회계 이외의 분야에서는 국제시장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관리회계분야에서는 국제시장지향성과 MCS 간의 연구는 O’Connor(2011)외에는 없는 실정이다. 선행연구에서 경영진의 MCS의 이용(진단적ㆍ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학습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Henri,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시장지향성과 MCS의 이용이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상장사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표본기업의 사업보고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ㆍ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해외시장지향성과 MCS의 이용은 조직학습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직학습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MCS의 이용을 증가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인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국제시장지향성, MCS 이용, 그리고 조직학습에 대한 최초의 실증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중국ㆍ인도 등의 신흥경제국 기업들에게 MCS의 발전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주리라 기대한다. Firms of emerging economics have implemented their business in overseas market to overcome technological gap with firms of developed countries. They have invested huge assets and strengthened the control activities to achieve goal in overseas market.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global strategy and MCS. Most studies on MCS of emerging economics are implemented in setting of China that experiences dramatic transition of political system and rapid economic growth. Moreover, those studies are based on individual MCS, not overall MCS itsel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ve been popular in the other academic areas but management accounting. Prior study shows that managers’ use of MCS(diagnostic, interactive) has effect on developing organizational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ational market orientation and use of MCS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based on survey and hand collecting from business reports of sample firms.. This study shows that international market orientation and use of MCS develop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implies to increase use of MCS for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learning which helps to get competitive edge. This study make a two-fold contribution to the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area. First, It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market orientation, use of MC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first time. Second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gives implication on the way of developing MCS to emerging economics, such as China and In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