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 로봇의 법적 지위에 대한 쟁점과 과제 - Bryson 등의 법인격 이론을 중심으로 -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7 No.-

        AI 로봇에 법적 인격을 부여해야 하는가. 그것을 지적인 인공물로 간주해야 할 것인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전에 따라 지능화한 로봇에게 전자적 인간(electronic personhood) 혹은 전자적 인격(electronic personality)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것이 주요한 쟁점이다. 그동안 학자들은 로봇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를 논의했다. 그런데 EU의회의 2017년 제안서가 다시 이 문제를 현안으로 등장시켰다. EU 의회의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장기적으로 자율형 첨단 로봇이 발생시킬 수 있는 손해에 대해 책임지는 전자적 인간과 같은 특정한 지위를 확립해야 하며, AI 로봇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거나 제 3 자와 독립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는 경우 전자적 인격을 적용할 수 있도록 검토를 촉구한바 있다. 그러나 EU 의회의 제안은 많은 비난과 반대를 촉발시켰다. 2018년 4월 유럽 연합 14개국의 인공지능 및 로봇 전문가, 변호사, 기업가들 156명은 5월 초 유럽 위원회에 공개서한을 보내고 로봇에 법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움직임에 반대를 하였다. 이 공개서한에서 자율적이고, 예측 불가능하며, 자기 학습을 하는 로봇에 대해 전자적 인격이라는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했다. 그들은 기술적 관점, 규범적 및 법적 그리고 윤리적 관점 모두에서 폐기되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EU위원회는 한걸음 더 나아가 2019년 6월 26일 인공지능의 윤리 체크리스트를 발표하였다. 인공지능에 대하여 유럽위원회는 ‘High-Level Expert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의 정책 권고안을 토대로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 지침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을 공표하였다. 현재 전자적 인간과 전자적 인격의 도입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지능형 인공물들(artefacts)에게도 유사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자적 인간 혹은 전자적 법인격이라는 개념을 언제 도입할 것인가, 어떤 법적 지위를 부여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논의가 필요하다. AI와 로봇을 법적 인격의 범주로 검토하는 것은 기술의 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대비하는 시도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하기는 쉽고, 실천하기는 어려운 분야임에 틀림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인공물 가운데 AI와 로봇이 법적 인격을 갖는 주체가 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법적 지위 부여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Bryson 등의 논리를 검토한다. 여기에서는 주로 Bryson 등의 논거의 타당성과 한계 그리고 보완해야 할 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로봇에 대해 전자적 인간 내지 전자적 인격을 부여해야 하는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고, 그 시점은 언제인가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Should AI robots be given legal personality? Should we consider it as an intelligent artifact? There is controversy over such issues.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give the intelligent robot the legal status of new concepts such as electronic personhood and electronic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the point of contention. Scholars have increasingly discussed the legal status(es) of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however, the 2017 resolution of the EU parliament on the ‘electronic personhood’ of AI robots has reignited and even made current debate ideological. The European Commission has to establish certain statuses, such as electronic human being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damages that autonomous advanced robots can generate in the long term, and that AI robots make autonomous decisions, And encouraged them to apply electronic personality when they interacted independently. However, the proposal from the EU Parliament has triggered many criticisms and objections. In April 2018, 156 peopl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experts, lawyers and entrepreneurs from 14 European countries, sent an open letter to the European Commission in early May and opposed the move to give the robot a legal status. In this open lett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giving a legal status of electronic character to autonomous, unpredictable and self-learning robots is problematic. They argued that they should be discarded in both technical, normative, legal and ethical perspectives. However, the EU Commission went further and published the Ethics Checklis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n June 26, 2019. The European Commiss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nnounced that it is preparing ethical guidelines for reliabl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policy recommendations of the High-Level Expert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owever, the terms electronic human and electronic personality have the intention of giving a similar legal status to intelligent artefacts that humans already enjoy. However,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legal status of robots at different levels and the question of when the legal concept of electronic humanity will be introduced is needed. Examining AI and robots in the category of legal personality is surely an attempt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echnology change. But speaking is easy and difficult to do. In this paper, I’d like to consider whether AI and robot among the intelligent artifacts can be the subjects with legal personalit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 of Bryson, who takes a positive stance on the legal status of robots. In this paper, I’d like to examine the validity and limitations of Bryson s arguments and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Do we have to give electronic or human personality to robots? If so, what is the key argument? When is it time to give legal personality? I want to focus on this in my paper.

      • KCI등재

        타인의 생명보험에서 피보험자의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 방안

        장경환(Chang Kyung Whan),정완용(Chung Wan Yong)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2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ransactions have changed the conventional PC environment into a mobile environment, mobile electronic transaction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case of electronic insurance transactions, the subscription and contract of insurance contracts are being made using these mobile devices,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 has been amended to provide legal basis. However, when a policyholder concludes a life insurance contract that covers the death of another person as an insurance accident, Article 731 of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at the conclus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the policyholder obtains the written agreement of the insured person (Article 1). It is used not only as evidence for disputes in the event of an insurance accident, but also to prevent the moral hazard of life insurance contracts on the life of another person.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written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 has been interpreted to mean consent by paper writing, and that the consent form by electronic documents with digital signatures is not acceptable under the current law, so it should be legislated. In other words, insurance transactions are concluded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mobile, but in the life insurance contract of others, the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 must be written in paper form.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can be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surance industry. These discussions have been reflected on October 31, 2017. Law No. 14969, Article 731 (1) of the Commercial Code has been amended and the written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 has been replaced with “the electronic signature pursuant to Article 2 (2)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and an authorized electronic signature pursuant to Article 2 (3) Electronic document with credibility for identity verification and counterfeit and tamper prevention “as provided by the insured person, so that the written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 can be made by an electronic document with electronic signature.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briefly the purpose of life insurance and written consent system of the insured people and the purpose of consent system, the contents of revised law were reviewed. We also examined the legislations of Germany, France and Japan, which have adopted a written consent system of the insured person for the life insurance of others. In Germany, France and Japan all of their insurance laws do not explicitly state the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 in electronic form. However, the Civil Law prescribes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and electronic signatures,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sent of the insured person’s electronic documents. In addition, the type and scope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type and effec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re related to the agreement of the insured person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is problem is examined. In addition, the related provisions about insurance contracts on the insurance business law and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law were reviewed.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requirements of electronic signatures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agreement with electronic documents of the insured person. In order to verify the authentic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revention of forgery and alteratio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scope of the digital signature is restricted by digital signature using encryption technology such as digital signature when applying the unauthorized digital signature according to Article 2 something to do. In the case of applying the official digital signature according to Article 2 (3), the authorized digital signature itself has 정보통신기술과 전자거래가 발달하면서 종래 pc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바뀜에 따라 모바일 전자거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전자보험거래의 경우에도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보험계약의 청약과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보험업법시행령이 개정된 바 있다. 제3자가 타인의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생명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상법 제731조에서는 보험계약 체결 시에 타인인 피보험자의 서면에 의한 동의를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제1항). 이는 보험사고 발생 시 분쟁에 대비한 증거로 사용할 뿐 아니라 타인의 생명보험계약의 도덕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그런데 피보험자의 서면동의는 종이서면에 의한 동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고, 전자서명이 있는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방식은 현행법상 허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입법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즉, 보험거래는 모바일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체결되지만, 타인의 생명보험계약에서 피보험자의 동의는 반드시 종이서면으로 하여야 하므로 전자적 방식의 보험계약체결에 의한 신속성과 편리성 등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여 보험산업발전의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되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반영되어 2017.10.31. 법률 제14969호로 상법 제731조 1항이 개정되어 타인의 서면에 의한 동의에 “전자서명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전자서명 및 제2조 제3호에 따른 공인전자서명이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본인 확인 및 위조, 변조 방지에 대한 신뢰성을 갖춘 전자문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피보험자의 서면에 의한 동의방식을 전자서명이 있는 전자문서에 의하여 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타인의 생명보험과 서면동의제도의 입법례와 동의제도의 취지를 간략하게 고찰한 후 개정 상법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① 타인의 생명보험에 서면동의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독일, 프랑스와 일본의 입법례를 검토하였다. 독일과 프랑스 및 일본 모두 보험법에서 명시적으로 피보험자의 전자적 방식에 의한 동의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민법에서 전자문서와 전자서명의 법적 효력을 규정하고 있어서 (독일에서는 학설의 다툼이 있지만) 민법의 해당규정의 적용에 의하여 피보험자의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가 가능한 것으로 해석된다. ② 피보험자가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를 하는 경우, 전자문서의 종류와 범위, 전자서명의 종류와 효력이 관련되므로 이 문제를 검토하였고, 아울러 보험업법과 전자금융거래법상의 보험거래에서 전자문서의 이용에 대한 규정을 검토하였다. ③ 피보험자의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에서 전자문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자서명의 요건을 살펴보았다. 전자문서의 본인 확인 및 위조ㆍ변조 방지에 대한 신뢰성을 갖추기 위하여서는 전자서명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비공인전자서명을 적용할 경우 디지털 서명과 같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한 전자서명으로 그 범위가 제한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같은 법조 제3호에 따른 공인전자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공인전자서명 자체가 전자문서의 무결성, 부인방지 기능이 있으므로 전자문서의 위ㆍ변조 방지를 위한 신뢰성요건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이 경우에도 피보험자의 전자서명이 타인에 의한 무권한 사용이나 도용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피보험자의 명확한 동의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인증절차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비공인전자서명의 사용 시에는 이러한 추가적 인증절차를 의무화하고, 공인전자서명의 적용 시에는 권고사항으로 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으며, 생체인증기술 등이 추가적인 인증절차로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④ 타인의 생명보험에서 피보험자의 서면 동의는 피보험자로 하여금 자신의 생명이 보험에 붙여짐으로 인하여 생겨날 수 있는 위험을 헤아려서 동의의 의사표시를 신중히 하도록 하게 한다는 이른바 경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피보험자가 동의를 표시하는 전자문서에는 미리 그 위험을 헤아릴 수 있는 사항 즉, 보험금액, 보험계약자와 보험수익자의 신원, 보험기간(보험금액 또는 보험기간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고한도)이 빠짐없이 충분히 기재된 경우에만 그 전자문서에 의한 동의의 효력을 인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SSCISCOPUSKCI등재

        Analysis of Electronic Warfare Capability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Strategic Support Force (PLASSF): Its Impacts and Implications on Korean Security

        ( Nam Tae Park ),( Changhyung Lee ),( Soyeon Kim ) 한국국방연구원 2021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3 No.1

        This paper analyzes the electronic warfare capabilities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Strategic Support Force (PLASSF), established in 2015 in China.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acts of electronic warfare capabilities of PLASSF on South Korea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Korean security. The core mission of the PLASSF is to perform space, cyber, electronic, and psychological warfare. Under the Network Systems Department of the PLASSF, the units for electronic warfare operates ground-based equipment, (un) manned aircraft, and electronic warfare satellites.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argues the impacts of the PLASSF’s electronic warfare capabilities are threefold: First, the PLASSF’s manned electronic aircraft allows them to collect the electronic intelligence regarding the major military equipment not only of the Korean military but of the U.S. Forces in Korea. Seco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PLASSF would conduct electronic warfare activities very close to the Korean Peninsula by utilizing its unmanned stealth electronic aircraft. Third, the PLASSF is highly likely to gather signals intelligence from space via electronic warfare satellite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military to 1) develop a more concrete concept of electronic warfare; 2) explore the ways to refuse China’s electron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3) secure the electronic warfare countermeasure weapons system.

      • KCI등재

        인공지능(AI)의 법인격 – 전자인격(Electronic Person) 개념에 관한 소고 -

        신현탁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8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supposed to be treated as a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law, which, however, may cause many problems. Property is fully controlled by human, but AI is able to acquire autonomy through sensors and/or by exchanging data with its environment and the trading and analysing of those data. Based on such autonomy and physical support, AI can behave independently. For any damages caused by AI, both principles of liability with fault and strict liability are not suitable because of such difference with a property. It is almost impossible that victim proves the negligence of AI. It does not seem fair as well that the owner shall be liable for all the damages caused by AI, even though AI is supposed to behave independently and such use of AI will be flourish. In this regard, the legal status of AI should be newly considered in the world.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electronic person is scrutinized. First of all, the incorporator of electronic person is to be compensated, but s/he does not need to be necessarily allowed with shares in the electronic person. Rather, the incorporator needs to be allowed with monetary compensation within a designated sum or a designated period, which depends on legislation. The concession theory shall be applied to electronic person. Then, it shall be regarded as an artificial being, existing only in contemplation of law. Thus, any ability of electronic person can be restricted or depriv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government. The theory of legal person, which is established for companies, shall not be applied to electronic person in same way, because the activity of electronic person does not intrinsically represent the extension of the human rights. For the economic activity of AI, the earning of human will be reduced drastically. Decreased household consumption will paralyze market mechanism of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The fact shall not be disregarded that AI is using big data, which mainly consist of personal data produced by human. The data subject, human, shall be properly rewarded, and electronic person shall be designed to be able to process to whom to reward how much. The robo-tax is another option. AI의 발전은 향후 많은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AI를 단순히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은 법적 한계상황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물건은 전적으로 인간의 지시에 의해서만 구동되지만, AI는 상당한 추론 능력에 의하여 자율적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현실적인 문제 상황에 대처하거나 창의적 능력을 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AI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 종전의 과실 책임주의를 유지한다면 피해자 입장에서 AI의 하자나 관리주체의 주의의무 소홀을 입증하기가 어려우며, 무과실 책임주의를 도입하더라도 AI 소유자 등의 입장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규모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법적 리스크에 노출되면서도 마땅히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일 방법도 없다. 즉, 어떠한 원칙에 의하더라도 AI가 초래할 상황을 규제하는 법질서로서 정당성이 인정되기 어렵다. 현재 EU에서는 전자인격의 개념을 논의하는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법체계 및 일반적으로 인정된 법이론에 기초하여 전자인격의 개념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전자인격의 설립과정에서 초기비용을 투자한 발기인 등은 일정 기간 또는 일정 금액 범위 내에서 자신의 보수와 비용을 보전받으면 충분하며, 굳이 영속적인 지분권을 인정받을 필요성이나 정당성은 없다. 특히 전자인격이 법인격을 인정받는 근거로는 특허이론에 의하여 국가권력의 창조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며, 기존의 인격체나 법인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을 근거는 없다. 따라서 전자인격의 권리능력, 의사능력, 행위능력은 모두 사회적 필요성이나 현실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사회상황에 맞게 제한되어야 하고, 윤리규범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능력이 박탈될 수 있다. 전자인격의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인류의 소득감소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전자인격의 소득이 인류의 소득으로 환류될 수 있는 체계가 확보되어야 한다. AI는 인간이 발생시키는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정보주체인 인간에게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데이터 경제의 시스템화를 통하여 시장 자본주의 체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자인격은, 개인정보의 대가를 정보주체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자제품 소비자 혁신성에 대한 계층적 성격모델 접근

        박소진,오창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5

        This study analyzed the personality trait antecedents of consumers' electronic innovativeness applying the 3M model of motivation and person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electronic innovativeness as a surface trait,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need for uniqueness as situation traits, need for information and need for play as compound traits, and eight elemental traits. The result revealed the hierarchical model of trait antecedents of consumers' electronic innovativeness was fitted well. In this study, need for uniqueness, need for information, need for material, need for arousal were positively related to electronic innovativeness. Howev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need for play, conscientiousness were negatively related to electronic innovativeness. Applying the 3M model to the consumers' electronic innovativeness provides more fundamental and structural insights on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s. This results give some marketing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brand personality, advertisement message, and STP strategy. 본 연구는 전자제품 소비자 혁신성에 대한 선행 성격 특성변수들을 동기와 성격에 관한 계층적 성격모델(또는 3M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자제품 소비자 혁신성을 표면특성으로 간주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상황특성변수로서 준거집단에 대한 순응성향과 독특성 욕구를 탐구하였으며, 복합특성변수로서 인지 욕구와 놀이 욕구 그리고 여덟 가지 기본특성을 탐구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 본 연구모델은 계층적 성격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제품 소비자 혁신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격 특성 요인들은 독특성 욕구, 인지욕구, 물질 욕구, 자극추구욕구이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준거집단에 대한 순응성향, 신중함, 놀이욕구로 밝혀졌다. 즉, 전자제품 소비자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들은 최신 전자 제품의 소비를 통하여 준거집단에 대하여 순응하려는 성향보다는 자신만의 독특성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인지적인 시도를 하거나 즐기기를 좋아하나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려는 성향은 낮으며, 일을 처리하는데 신중하지 않고, 물질적 욕구와 자극과 흥분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 KCI우수등재

        전자인격 도입을 전제로 한 인공지능 로봇의 권리능력의 세부적 제안

        오병철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3

        There are recently raised arguments for granting legal personhood to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 motivation for such arguments is to enable electronic person to possess properties and thus hold liabilities for their own damages with the possession. This article proposes specifics under the assumption of electronic person, independently from the controversy on the necessity fo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pers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essentially objects by nature, must be recognized with the legal personhood only when a set of prerequisites are satisfied. A corporate body model must be applied to determine when legal personhood starts and ends. A registration system where the capacity for rights may be acquired through a regist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electronic person and ceased through a registration for termination of electronic person. I propose to adopt the address and disappearance, yet with an additional suggestion to validate the effect of disappearance with the report by an owner instead of decisions of the court such as a declaration of disappearance. Even in situations when the capacity for rights is granted to electronic person, unlike in the case with natural individuals, it is inevitable to put limitations on the granted capacity. Legal personhood cannot be granted the capacity for personal rights derived from human dignity, inheritance permitted only within certain family relations, and comprehensive bequest incurring the same rights and duties as inheritance. In addition, it is unnecessary to acknowledge the exceptional capacity for rights as to fetuses or body corporate without legal personhood. However, if the legal personhood of artificial intelligent robots is acknowledged even to a limited extent, the admissibility of a party to legal proceedings defined by the Legal Procedure Code and the capacity for registration of real property must also be acknowledged. 인공지능 로봇에 권리능력을 부여하여 이른바 전자인격을 인정하고자 하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전자인격의 책임재산을 형성하여 그것으로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지움으로써 전통적인 과실책임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것이다. 전자인격의 도입이 필요한가에 대한 논란과는 별도로, 전자인격을 도입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으로 형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인공지능 로봇은 근본적으로 물건으로서의 본질을 갖는 것이므로 엄격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만 권리능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권리능력의 시기와 종기에 대해서 법인모델을 적용하여, 전자인격의 생성등기를 통해 권리능력을 취득하고 또 전자인격 말소등기를 통해 권리능력을 소멸시키는 등록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자연인처럼 주소와 실종제도도 인정하되, 실종선고와 같은 법원의 개입이 아닌 소유자의 실종신고로 효력이 발생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전자인격에게 권리능력을 인정해도 자연인과 달리 권리능력을 제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에서 도출되는 인격권이나, 일정한 친족범위에서만 인정되는 상속 또는 상속과 동일한 권리의무가 발생하는 포괄적 유증에는 권리능력을 부여할 수는 없다. 또한, 자연인에서의 태아나 법인에서의 권리능력 없는 사단과 같은 예외적인 권리능력을 인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제한적인 범위에서라도 권리능력을 인정한다면 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송법상의 당사자능력이나 등기능력은 반드시 부여되어야 한다.

      • KCI등재

        생성형 AI(인공지능)와 민사법 관련 쟁점 - 법인격 내지 전자인격 부여를 중심으로 -

        김성연 연세법학회 2024 연세법학 Vol.45 No.-

        생성형 AI의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점점 인간과 유사하게 인간과 상호소통하면서 그 생성물 내지 창작물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생성형 AI는 권리의 객체로서 물건에 해당하기도 어려울뿐더러 민사책임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그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밝히기도 어렵다. 따라서 생성형 AI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서 생성형 AI에도 권리주체성을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현행 민법은 권리주체로서 자연인과 법인을 인정하고 있으나 생성형 AI는 자연인과 법인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의 형태로서 전자인이라는 법인격 부여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인은 인공지능의 기술적 수준에 대한 기술적 판단 기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등의 규범적 판단 기준을 같이 고려하여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자인은 등기 내지 등록제도를 통하여 법인처럼 공시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권리능력 없는 사단 내지 재단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등기 내지 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제한적인 권리능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생성형 AI의 경우 고도의 지능을 갖춘 인간과 유사하기 때문에 완전한 행위능력을 가질 것이다. 생성형 AI는 권리능력의 주체이므로 생성형 AI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재산은 전자인인 생성형 AI에 귀속될 것이고 그 재산을 책임재산으로 하여 민사책임을 부담할 것이다. 전자인인 생성형 AI는 권리의 주체이자 의무의 주체이므로 민사책임의 주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손해배상책임의 주체가 될 것이다. 민사소송에서의 당사자능력을 갖게될 것이다. 다만 민사소송에서의 소송능력과 관련하여는 전자인이 인정되는 생성형 AI의 범위를 어느 단계까지 인정할 것인가와 관련될 것이다. 생성형 AI가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 정도라면 소송능력을 인정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법인과 마찬가지로 관리자나 소유자를 법정대리인에 준하여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생성형 AI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enerative AI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Generative AI increasingly resembles humans and creates products or creations while interacting with humans. Not only is it difficult for such generative AI to be considered a thing as an object of rights,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person responsible when a civil liability issue arises. Therefore, as a prerequisite for resolving legal issues arising in relation to generative AI,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rights subjectivity in generative AI as well. However, the current civil law recognizes natural persons and legal persons as rights subjects, but Generative AI does not belong to natural persons and legal persons. Therefore, as a third form, granting of legal personality as an electronic person should be considered. Electronic people should be recognized by considering both technical judgment standards for the technical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ormative judgment standards such as social interaction. And the electronic person must be announced through a registration or registration system. However, in the case of social interaction like an association or foundation without rights capacity, limited rights capacity must be recognized even if it is not registered. In the case of highly generative AI, it will have full behavioral capabilities because it is similar to a human with high intelligence. The property resulting from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generative AI, which is the subject of rights capabilities, will belong to the generative AI, which is an electronic person, and civil liability will be imposed on the property as liability property. Generative AI, an electronic person, is the subject of rights and obligations and is therefore also the subject of civil liability. Therefore, it will be the subject of liability for damages. Generative AI in civil litigation will have party capabilities. However, with regard to litigation ability in civil litigation, it will be related to the extent to which the scope of generative AI where electronic people are recognized will be recognized. If generative AI has complete autonomy, it would be okay to recognize its litigation ability. However, if this is not achieved, the manager or owner should be treated as a legal representative, just like a corporation. This conclus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tive AI and finding ways to utilize it effectively.

      • KCI등재

        현대 지능정보사회와 인격성의 확장

        양천수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2 No.1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해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 지능정보 사회가 대표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지능정보사회는 새로운 법적 문제를 제기하는데, 인공지능 로봇에게 법적 인격을 인정할 수 있는지가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이 글은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로봇에게 법적 인격을 인정할 수 있는지, 그럴 필요가 있는지를 다룬다. 이를 위해 이 글은 그 동안 법체계 안에서 인격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다. 이 글에 따르면, 법체계 안에서 인격성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물론 처음에 인격 개념은 인간에서 출발하였지만, 인간과 인격이 분리되고, 법인이 등장하면서 인격 개념은 인간보다 더욱 확장되 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인격 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 라, 사회적 소통에 의존하는 변화가능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인격은 관계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근거에서 이 글은 인공지능 로봇에게도 법적 인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인격성 부여에 관한 모델로서 세 가지를 제시한다. 인간중심적 모델, 불완전한 탈인간중심적 모델, 완전한 탈인간중심적 모델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완전한 탈인간중심적 모델을 따를 때, 인공지능 로봇에게 법적 인격성을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글은 인공지능 로봇에게 법적 인격성 을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 문제는 획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상황에 맞게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이 글은 인공지능 로봇의 인격성을 논의하는 것도 여전히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아닌지 의문을 제기한다. 마지 막으로 이 글은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적 법체계와 로봇중심적 법체계가 충돌하는 문제도 등장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A new social paradigm emerges through the ongo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s one of those cases.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raises new legal problems, and it is one of the examples of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an be recognized as legal pers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s of whether and why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re recognized as legal person.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zes how personality has changed in the legal system. According to this article, the concept of personality in the legal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Of course, at first, the concept of personality originated from human beings, but its concept was expanded more than that of human beings as the separation of the concept of human being and person and the appearance of corporation. This analysis results in the following conclusion: personality is not fixed, but a changeable concept that depends on social communication. Personality is a relational concept. On this basis, the article argu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an be recognized as legal person. In this context, the author presents three models on legal personality: anthropocentric model, incomplete post-anthropocentric model and complete post-anthropocentric model. According to the complete post-anthropocentric model, we can recogniz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s legal person. However, this articl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need to be recognized as legal person. The author argues that this problem could not be solved uniformly, but should be solved for each situation and case.

      • KCI등재

        중국의 인터넷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법제

        조효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1

        A famous line has been frequently cited, “on the Internet nobody knows you’re a dog”,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93 on an issue of New Yorker aside a cartoon. This line points out the anonymity of virtue society created by internet. However, with the astonishing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innovations in search engines, such line is not so true anymore. In today’s Internet, it is fully possible for people to find out you’re a dog or not. Internet of today is challenging the traditions in logistical systems and thoughts. Personal information is critical to human dignity and freedom in personality. Nowadays it has been a worldwide tren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Internet by laws, including in China. In this report, firstly, a survey i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of protection laws on personal information in China; then, by focusing on the "decisions on the reinforcement in protections of network information" by National People’s Congress (NPC), combined with the Chinese law on tort liability, identifications of tort liability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Internet are addressed, e.g., the principles and key factors in accountability, and detailed analyses in different types of accountability lastly, by referring to experience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gislations, the key tasks for China are clarified. Such tasks include: to justify the studies on viola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on Internet, to the level of studies on facts in crimes; to change the current legislations which use privacy to cover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to separate rights on personal information from rights on privacy. This study also gives out perspectives on legislative trends in protec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in China, in hope of publishing a comprehensive, rigorous and advanced protective law on Internet personal information.

      • KCI우수등재

        지능형 자율로봇에 대한 전자적 인격 부여 - EU 결의안을 중심으로 -

        김자회 ( Kim Jahoi ),주성구 ( Joo Sunggoo ),장신 ( Chang Shin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4

        2017년 2월 유럽연합은 로봇에게 일정한 법적 지위를 인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이 결의안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봇에게 일정한 법적 지위를 주도록, 그럼으로써 적어도 가장 정교한 자율 로봇이 그들이 야기하는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자율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거나 타인과 독립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경우전자적 인간으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권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결의안 대로 입법표준안이 마련되고 유럽연합 내의 국가가 관련 입법을 정비해가는 경우 로봇은 머지않아 전자적 인간으로서의 지위를 보유하게 될 것이다. 전자적 인간 지위의 인정 배경에는 로봇의 책임이 관련된다. 로봇의 위법행위에 대하여 로봇에게 책임을 부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전자적 인간 지위 인정을 택한 것이며, 이는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규제를 의미한다. 위 결의안은 로봇 중 자율성을 지닌 지능형 자율 로봇에 대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있으며, 아시모프의 3원칙을 로봇 외 로봇의 사용자, 설계자 등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권고하고 있다. 더 나아가 위 결의안은 로봇에 대한 법적 규제 외 윤리적인 틀도 마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의안의 내용을 중심으로, 로봇에 대한 전자적 인간지위부여에 따른 효용성의 문제와 로봇의 권리부여의 문제 등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으며, 향후 로봇공학에 대한 법리적 고찰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Robots may have `electronic persons` status under future EU laws before long. The European Parliament has passed a resolution of Civil Law Rules on Robotics. In the resolution, the European Parliament recommends that "a specific legal status for robots in the long run" should be provided for "so that at least the most sophisticated autonomous robots could be established as having the status of electronic persons responsible for making good any damage they may cause, and possibly applying electronic personality to cases where robots make autonomous decisions or otherwise interact with third parties independently". The resolution contains recommendations on how robot liability could be addressed prior to any new `electronic persons` status being established. And the resolution calls on the European Commission to put forward proposals for new EU legislation that addresses "legal ques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robotics and AI foreseeable in the next 10 to 15 years" This paper is kinds of a critical review on the resolution. The interaction between robots and human brings about new legal considerations in respect of the apportioning of risk and liability. This paper contains a consideration of the issues involved in robotics, provides legal analysis about definition of smart autonomous robots, matters of consciousness, matters of the role and application of Asimov`s Laws in robot and issues about liability in robo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