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박영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 시내의 T 치매센터에서 입소해 있는 노인의 대상으로 주2회 60분으로 총24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6명과 비교집단 14명으로 사전 사후 검사로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90문항을 실시하였으며 점수 차이를 t검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과정에 따라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The design of the study was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were 30 dementia sufferers who were hospitalized at a T dementia center located in Daegu.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14 control group and 16 experimental group. A program comprised of 24 sessions group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for 3 months, beginning of January, 2002. The evaluating tools for the present study was SCL-90-R (Symptom Checklist-90-Revision) test.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study explo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spects of qualitative change will brought up by group art therapy for the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2. What effects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on total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3. What does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ubordinate factors of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qualitative aspects, the demented elderly pleasantly participated in the art actives with revealing their experiences more freely, improv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ore laughed, talked. Especially mental health of levels of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and psychoticism were decreased by art therapy activities 2. Group art therapy resulted in the increment of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The score of SCL-90-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at 0.05 level. 3. After group art therapy, the effects on subordinate factors in mental health of mental health of demented elderly were decrease scores of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and psychoticis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bsessive-compulsive reac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hostility, phobia and paranoia. In shor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mployed in this study seemed to be profitabl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old men with dementia.

      • KCI등재

        지역 노인지원기관의 노인미술치료 활성화 방안 연구

        백중열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1

        It is time when our society, which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needs a way to solv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In particular, the prevention of mental and physical degeneration appearing in the elderly can be seen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as discussed in the text of various previous papers on the elderly problem in the community. In this sense, the art therapy for the elderly was studied to be effective to relax and preven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Specific effec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reative activities using art can connect the inner world and the outer world of the elderly. Second, the art therapy programs make smooth and creative activities possible by mitiga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flict through art. Third, since art therapy is a non linguistic system, it enables emotional exchanges by acting as a buffer to express negative emotions. Fourth, colleagues with similar situations and needs help each other, solve problems, promote empathy and self-understanding from the feedback of other peers, helping to promote sociality and relationships. Fifth, by expressing the rejection from the linguistic part as the medium of art, the inner part of the client can be analyzed and communicated with the expressed inner world. In order for art therapy to be actively performed in the elderly care fac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and to carry out the art therapy program appropriate for the elderl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f the economic support of the state or municipalities is continuously made for this effect, the elderly art therapy can be activated by the active network of the community and the elderly welfare service.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우리 사회는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 요한 시점이다. 특히 지역사회의 노인 문제에 대한 다양한 선행논문을 본문에서 고찰했듯이 노인에게 나타나는 정신적이고 신체적인 퇴보를 예방하는 것도 문제 해결의 한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노인미술치료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심리적, 신체적 문제를 완화시키 고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첫째, 미술을 활용한 창작활동이 노인들의 내면세계와 외면세계를 연결하는 활동이 가능하다. 둘째, 미술치 료 프로그램은 미술을 통하여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완화시킴으로서 원만하고, 창조적인 활 동이 가능하다. 셋째, 미술치료는 비언어 체계이기 때문에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는 완충제 역 할을 하면서 감정교류를 할 수 있다. 넷째, 비슷한 상황과 욕구를 가진 동료들이 서로를 지지 해주고 문제 해결을 도와주며 다른 동료들의 피드백으로부터 공감 및 자기이해를 촉진시키게 되면서 사회성과 관계증진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언어적인 부분에서 오는 거부감을 미술이 라는 매개체로 표현함으로서 내담자의 내적인 부분을 분석하고, 표출된 내면의 세계와 소통할 수 있다. 노인보호시설에서 미술치료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노인보호시설의 특성을 잘 파악 하여 효율적으로 노인 특성에 알맞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효 과를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역사회와 노 인 복지서비스의 활발한 네트워크에 의해 노인미술치료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집단 미술치료 체험연구

        송재임,김태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hav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d an experience through a group art therapy, and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Accordingly, three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a permanent rental housing were conducted for 13 Group art therapy sess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xcept pre- and post-interviews. The result is as follow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8 components and 3 semantic structures were derived. First of all, the components are ‘Expectations for Art Therapy’, ‘Spontaneous Exploration of the Past’, ‘looking at myself who has been old from a distance’, ‘Meaningful First Memory’, ‘Time to find out which I have buried’, ‘Communication within a small group’, ‘Satisfaction with art therapy using various senses’ and ‘Sprouting Hope’. And semantic structures is ‘relieving isolation and gaining emotional vitality through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experiencing in social relationships that exchange emotional support’ and ‘having room for self-ca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group art therapy was even more meaningful in terms of eliminating isolation, being able to find their own individuality, and experiencing emotion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Finally, it can be supplement with quantitative research as qualitative data for art therapy research targeting the elderly along.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를 통해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독거노인은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 3명에게 사전, 사후 인터뷰와 60분씩 주 2회씩 13회기의 집단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3개의 의미구조가 도출되었다. 먼저 구성요소는 ‘미술치료에 대한 기대감’,‘자발적인 과거 탐색’, ‘노인이 된 나를 거리를 두고 바라보기’, ‘의미있는 처음의 기억’, ‘자신이 묻어뒀던 것을 알아차리는 시간’, ‘소집단 안에서의 소통’, ‘다양한 감각이 사용되는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감’, ‘싹트는 희망’이다. 다음 의미구조는 ‘집단 미술치료 참여를 통한 고립감 해소와 정서적 활기를 얻음’, ‘정서적 지지를 주고 받는 사회적 관계 경험함’, ‘자기돌봄의 여유가 생김’이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집단 미술치료는 고립감 해소에서 큰 의미가 있었으며, 자신의 개성을 찾아갈 수 있었고, 정서적 지지와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연구의 질적 자료로서 양적 연구와 상호 보안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김종희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if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rural elderly women. Study subjects are forty seven rural elderly women in A-city who have participated in producing specialized products in their rural area. They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EG, n=25)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 part of the A-city sponsored program named ‘Making the Rural Elderly Happy’, to improve and enhance the elderly’s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and control group (CG, n=22) with no wish to participate. However, only forty four elderly women a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for data analysis, due to those who either missed the program session more than once or died of old age during the program perio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given from March 16 to May 18 of 2010, every Tuesday between 1pm through 3pm for a total of 12 sessions, with the help of two college student assistants in the region and one staff member for the city program. SPSS WIN version 12.0 is adopted to evalu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independent -test for equivalence check of pretests, and frequency check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he study results are obtained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grasp the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 both groups, together with ANCOVA to evaluat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 with the pre-test as covari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 esteem of EG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G after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Second, self integrity is significantly higher in EG than CG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Therefore, it can be claim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and enhancing self esteem and self integrity of the rural elderly women.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의 ‘농촌어르신 행복 만들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농촌여성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하여 농촌 특화 상품 생산에 참여하는 어르신 47명 중 프로그램을 원하시는 분 25명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2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시 한 번이라도 빠지거나 고령으로 인하여 중도에 사망하신 분을 제외한 44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A지역의 대학생 2명의 보조자와 주최 측의 직원 1명의 도움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5월 18일까지 주 1회 화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120분 동안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 version 12.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의 동질성검사를 위하여 독립 -test를 실시하고, 각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에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통합감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가 농촌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아통합감 증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노인 표현예술치료의 동향 분석과 기대효과 (2019-2021)

        성지은,심혜경,윤미라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low of existing studies and suggest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along with verification of actual effect of expressive arts therapy by analyzing arts therapy for the elderly published on the academic journals of Korea. Thus, this study classified and collected 73 cases of research related to arts therapy targeting the elderly out of papers published on the academic journals of Korea from 2019 through August 2021, and analyzed them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trend of research papers by therapy, year, types of the method of research and variables. As a result, First, this study was able to find 70 and 3 domestic research papers in the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DBpia respectively. Second, researches were conducted the most in the year 2019 with 32 papers. Third, methods of research include 45 papers by the specific subject and 22 analyses on the Alzheimer’s, Parkinson‘s disease, anxiety and depression by variables. Fourth, the result of analysis by the medium shows that arts therapy is being activated and used for researches in order of art therapy, music therapy, dance therapy, arts therapy and drama therap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 values of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노인을 대상으로 한 표현예술치료를 분석하여 기존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표현예술치료의 실제적인 효과 검증과 더불어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2019-2021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표현예술치료 관련 연구 73편을 분류 및 수집하여 치료별, 연도별, 연구 방법의 유형별, 변인별 분석의 연구논문 동향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가 70편, DBpia가 3편의 국내 학술 논문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둘째, 2019년 32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셋째, 연구 방법의 유형은 특정 주제 연구 45편, 변인별 분석은 치매 및 파킨슨병과 불안 및 우울 22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매개체별 분석으로는 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치료, 예술치료, 연극치료 순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연구에 활용 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미래적 가치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화 ( Gyoung-hwa Kim ) 산업진흥원 2021 산업진흥연구 Vol.6 No.4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effect of reminiscence-based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 volunteers with dementia aged 65 or older attending the S Weekly Care Center located in S-gun as subjects during the period between November 7, 2020 and January 2, 2021 with one session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PSS 24.0 statistics program has been used for various data analyses, including confidence verific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3×2 multi-variant analysis, and the inter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between the group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Second,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rd,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se study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provided an informative basic data on the reminiscence-based collective art therapy.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선영,양윤정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0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농촌지역에 소재한 B경로당을 이용하는 70세 이상의 노인중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노인 8명을 선정하여 2019년 8월 30 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로 구조화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 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SGDS)을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그 점수를 비교하였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로 집단원의 언어표현과 태도를 비 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노 인의 우울감소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우울 점수가 감소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진행과정에서 언어표현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집단미술치료는 매체를 통한 자기표현, 집단원들의 공 감과 지지가 정서적 안정감을 가져왔고, 이는 언어표현의 증가와 적극적인 행동을 동반 한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 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group art therapy programs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eight elderly citizens aged 70 or older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among those using the Bsenior citizen center located in the rural area of Y-si, Gyeonggi-do, and conduct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August 30 to October 31, 2019. As a measurement tool, the scores were compared by conducting the Korean version of Short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in advance and after, and language expression and attitude of the group memb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each stage of the group art treatment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t was verifi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other words,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group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decreased.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attitude in the proces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By self-expression through the media and empathy and support from group members, group art therapy brought emotional stability, which made a difference in attitude involving an increase in language expression and active action. Combining the above results, it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s ar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선영,김선희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미술치료연구 Vol.21 No.1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effective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can be on the anxiety and self esteem for elderly. In order to proceed the research, the study selected from the elderly who are at 2 senior citizen center and 1 senior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marked over 24 cut-off score on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K-MMSE). 68 elderly people were collected, but finally 51 people was us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EG) were 25 people and the control group(CG) were 26 people. And examined pre and post test, For the EG, the CG art therapy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were conducted twice a week which made the elderly get involved in 12 group art therapies in total. Both of the EG and the CG were examined Stat-Trait Anxiety scale & Rosenburg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 provided for elderly the program of 4 phase of psychocybernetic model. I used by creative Art studio that Kim(2013) suggested a value-conscious art. Fir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both group were equivalent in these levels of anxiety and self-esteem before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nges scores for state anxiety scale and trait anxiety scale between the EG and the CG. Participants in the EG reported a greater decrease in both state and trait anxiety after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G.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nge scores for Rosenburg Self-Esteem Scale between the EG and CG. Participants in the EG reported a greater increase in self-esteem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G.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sychocybernetic model showed the value to decrease on the anxiety and to improve the self-esteem for elderly.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경로당 2곳과 노인복지관 1곳의 한국형치매진단척도(K-MMSE) 24점 이상인 노인 68명을 모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으로 나누고 사전질문 후,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6주간 주 2회 12회기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Nucho(2003)가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바탕으로 제안한 네 단계를 따라,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상태특성불안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연구자가 두 집단에게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성불안척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불안을 감소시켰으며,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과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최외선,박혜경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lderly people's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8 elderly people(female) who resided at home, and affiliated to welfare centers for the aged in Gyeongsan city. Their age ranged from 68 to 84, and they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Total 21 sessions of a group therapy were given to them from October to December of 2007, with 2 sessions a week and each lasting 90 minutes. Research instruments employed for analysis ar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for each of Measure for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and repeated measurements of One-Way ANOVA, and Scheffé test were utiliz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lderly people's ego integrity. According to repeated measurements of One-Way ANOVA on the elderly's ego integrit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total score(F=18.69, p=0.0001) and by the sub-scores of life attitude(F=16.95, p=0.0002) and past-present acception(F=111.07, p=0.0013). That is, the elderly people's ego integrity have been improv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Secon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to reduce elderly's death anxiety. According to repeated measurements of One-Way ANOVA on the elderly's death anxiet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exhibited by the total score(F=20.28, p=0.0001) and by the sub-scores of death process anxiety(F=15.15, p=0.0003), the presence loss anxiety(F=16.89, p=0.0002) and after-death anxiety(10.24, p=0.0018). That is, the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have been reduced b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산시 ○○ 노인복지센터에 소속된 재가노인들 중 참여를 희망하신 여성노인 8명으로, 연령은 68세에서 84세까지이며, 2007년 10월 1일부터 2007년 12월 14일까지 주2회씩 회기당 90분으로 총 21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죽음불안 검사와 자아통합감 검사이며,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ments of One-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노인의 자아통합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대한 일원반복측정 변량분석에 의하면, 자아통합감(F=18.69, p=0.0001)과 하위요인인 삶에 대한 태도(F=16.95, p=0.0002)와 과거․현재수용(F=111.07, p=0.0013)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자아통합감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의해 향상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노인의 죽음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일원반복측정 변량분석에 의하면, 죽음불안(F=20.28, p=0.0001)과 하위요인인 죽음과정(F=15.15, p=0.0003), 존재상실(F=16.89, p=0.0002), 사후결과(10.24, p=0.0018)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죽음불안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의해 감소되었다.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관한 인식조사연구 – 서울 · 경기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중심으로 -

        강현정,유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서울 · 경기지역 치매안심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미술치료 및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기대치, 미술치료사에 대한 자질,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 사항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매안심센터 실무자의 미술치료 만족도는 자발성, 생활개선, 이해도, 치매 예방 및 증상 지연의 효과성 부분에서 높았으며, 미술치료의 지속적 운영을 원하고 있었다. 참여자 증가 이유는 흥미로움, 사회적 관계, 이전 이용자의 긍정적 평가 등 이었으며, 감소 이유는 미술 활동에 대한 부담, 흥미를 느끼지 못함, 이용자의 건강상 어려움,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 순 이였다. 또한 실무자들의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치는 자기표현 향상, 긍정적 정서 촉진, 소근육 운동 향상, 문제행동 감소 등으로, 인지기능 강화 측면보다는 정서적 측면의 강화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정서적인 치료로 인식하고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또한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대 학력으로 학사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보다는 임상경험과 공감 능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진행 시 고려사항에서는 대상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과 다양한 매체사용을 들었다. 본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의 고령화에 치매안심센터의 역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치매안심센터 내 실무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와 미술치료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분석함으로 써 치매안심센터의 미술치료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and art therapy among practitioners at dementia relief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art therapy at dementia care centers based on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method, and the content of the the survey was satisfaction and expected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qualities of being an art therapist, and consid 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 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 therapy among dementia relief center practitioners was high in terms of spontanei ty, improvement in lif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in preventing dementia and delaying symptoms, which in turn kept subjects hoping to continue the art therapy. The reasons for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were interests, social relations, and positive evaluation from previous users, while the reasons for the decrea se in participation were the burden of art activities, lack of interest, poor health, and moving on to other programs. In addition, practitioners’ expect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ere higher in emotiona l aspects than in terms of strengthening cognitive function, as they improved self-expression, promoted positive emotions, improved fine motor skills, and reduced problematic behaviors. These results infer that art therapy is recognized as an emotional treatment. In addition, therapists perceived that the bachelor's degree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ected academic background, and clinical experience and empathy were more important than academic background. Considerations to take while conducting art therapy include d specialized programs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for each sub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rt therapy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by conducting and analyzing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y and art therapists for practitioner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at a time when the role of the Dementia Relief Center is increasing in Korea's rapidly progressing aging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